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MAHN 환경에서의 TCP 프로토콜 성능 분석

        오세덕,김재호,배진승,정찬혁,이치문,하재승,유충렬,이광배,김현욱,Oh, Se-Duk,Kim, Jae-Ho,Bae, Jin-Seung,Jung, Chan-Hyuk,Lee, Chi-Moon,Ha, Jae-Seung,You, Choong-Yeul,Lee, Kwang-Bae,Kim, Hyun-Wook 한국전기전자학회 2008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12 No.1

        최근들어 MANET(Mobile Ad-hoc Network)망과 기존 유선망을 연결한 GMAHN(Global Mobile Ad Hoc Network)에 대한 관심이 이동 통신분야에서 증가하고 있다. 시시각각 변화하는 노드의 이동성으로 인해 토폴로지가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MANET 환경에서 이동 노드와 유선망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기술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GMAHN 환경에서 송신단과 수신단사이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프로토콜(Tahoe, Reno, Vegas, SACK)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다양한 환경에 적용, 결과 값을 비교 분석하며 가장 효율적인 TCP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Recently, GMAHN that provides interface between MANET and Wired Network has been focused in mobile communication. It is necessary that the technology provide reliable data transmission technology between mobile node and wired network in MANET environment that is varied by the node movement. In this paper, using the TCP protocol(Tahoe, Reno, Vegas, SACK)that increases reliability between source and destination, we applied the TCP protocol mechanism to various environment, and proposed the most efficient TCP mechanism by comparing each mechanism.

      • 漆谷 松林寺의 가람배치 변화 고찰

        오세덕(Oh Se-Deok) 동국대학교 박물관 2013 佛敎美術 Vol.24 No.-

        This study examined the Buddhist temple display of Chilgok Songnims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ile it was known that the foundation of Songnimsa was the early 6th century by vague records in Joseon, more accurate foundation period could be verified by historic environments surrounding the temple and relics excavated from the renovation survey of Samseonggak site. In addition, the outlined history of the foundation period up to the Joseon period could be reconstructed based on relics, literatures in Songnimsa and documented area data produced in Joseon. Second, the Buddhist temple display at the time of foundation was conjectured.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main axis line of south to north is not that from the foundation period by comparing Dangganjiju and that of other sites in Gyeongju at the Unified Silla. And the size would be larger than the current one. Third, the survival stone relics including double seated foundation stone, stone light and ritual stone are those created in the 8th century at a time when the temple was extended other than the relics of the foundation period. In addition, the extension scope of the temple in Goryeo was regarded to the west section where Dangganjiju currently exists. Fourth, Songnirnsa in Goryeo period was totally destroyed by fire by the Mongolian invasion in Goryeo. And it seems highly possible to be reconstructed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Sadongjungjyeong shape display rather than a construction in a serial order. And based on such conjecture, Sadongjungjyeonghyeong temple display seems to have the possibility to appear in the Goryeo period, rather earlier period.

      • KCI등재

        부석사 가람배치 변화에 관한 고찰

        오세덕(Oh, Se-deok) 신라사학회 2013 新羅史學報 Vol.0 No.28

        Buseoksa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temples in Hwaeom study of Korea known to be established by Uisang. It is one of the important temples in understanding the Korean Buddhist building construction history. In particular, since the first foundation by Uisang, there has been a great deal of changes in the process of continuation of more than 1,000 years. But, it keeps main foundational lines relatively well.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figure out the changes of temple alignment of Buseoksa based on extensive research results. In chapterⅡ, this study reviewed the process of location selection in the initial period of foundation with its social background. As a result, this study conjectured that the perspective of location of Jisangsa temple of China, where the founder Uisang inherited Hwaeom study during his overseas study period in Tangit, influenced the foundation of Buseoksa building. And it is probable that the original form of the temple was a mountain temple like Namseonsa and Jisangsa of China rather than a large scale temple as in the present. ChapterⅢ reviewed the change of temple alignment from Unified Silla to Goryeo period through the examination of founding period with remains like Muryangsujeon bottom stylobate, stone light, stone pagoda, surface stone subsidiary material of stylobate, Dangganjiju and large stone stylobate. In particular, while the existing studies on Muryangsujeon bottom stylobate style, this study suggested a possibility that it would be founded in the early Goryeo period, which is later than the existing argument. And, this study also conjectured that the initial foundation of large stone stylobate, the greatest features of Buseoksa would be early Goryeo like Geodonsa temple site, which is later than the existing view. ChapterⅣ reviewed the changes of temple alignment of Buseoksa in Joseon based on more practical literary documents and resources like various Gimun, Hyeonpan and Buseoksa Drawing by Gyeomjae Jeong Seon. 부석사는 한국의 화엄학을 대표하는 사찰로 의상법사가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 불교건축사를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사찰 중 하나이다. 특히 의상의 초창 이후 1000년 이상의 법등을 이어오는 과정에서 수많은 변화가 발생하였지만 비교적 온전히 가람의 주축선을 유지하고 있는 사찰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 동안의 많은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부석사의 가람배치 변화상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먼저 Ⅱ장에서는 부석사의 초창시기 가람의 입지선정 과정과 사회적인 배경을 검토해 본 결과 창건주 의상이 당나라 유학을 통해 화엄교학을 전수 받은 중국의 지상사 입지관이 어느 정도 투영된 것으로 추정해 보았다. 또한 현재 같은 대규모의 사찰이 아닌 중국의 남선사와 지상사 같은 산지가람의 사찰로 초창되었을 가능성을 높았다. 다음으로 Ⅲ장에서는 부석사에 남아 있는 무량수전 하부 기단, 초석, 석등, 석탑, 가구식기단의 면석부재, 당간지주, 대석단 등의 석조유물 시기성 제고를 통해 통일신라~고려시대까지 가람배치 변화상을 검토해 보았다. 특히 무량수전 하부 기단형식이 기존의 연구를 통해 통일신라시대 제작되었다는 견해가 제시되었으나 본고에서는 기존의 견해보다 늦은 고려시대 초기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제시 하였다. 그리고 부석사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 대석단의 초창시기도 기존의 견해보다 고려초기 원융국사의 중창 때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조선후기 부석사도와 순흥읍지, 선비의 일기 등을 통해 부석사 가람배치 변화를 살펴본 결과 19세기까지 통일신라시대 완성된 가람의 주축선에 큰 변화없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었으며, 시대적인 경향을 반영한 많은 부속전각이 세워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대학생의 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모듬북놀이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오세덕(Se Duk Oh),김수정(Soo Jung Kim)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13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13 No.-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모듬북놀이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대학생의 스트레스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들은 광주광역시 N 대학교 2학년 학생 15명이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분류는 무작위로 배정하였고 총 15명의 실험대상자 실험집단은 7명, 통제집단은 8명으로 선정하였다.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를 측정 하기 위해 전겸구 · 김교헌(1991)이 개발한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를 전겸구 · 김교헌 · 이준석 (2000)이 수정한것을 사용하였으며, 개인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24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는 Abell의 스트레스척도(2005)를 사용하였다.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Rosenberg(l965)의 자아존중감 척도(Self-Esteem Scale:SES)를 최정아(1996) 가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모듬북놀이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은 휘모리 장단을 중심으로 2011년 3월 16일부터 5월 25일까지 10주동안 총 10회기에 걸쳐 회기마다 70분씩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모듬북놀이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모듬북놀이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은 대학생 개인 스트레스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모듬북놀이 집반음악치료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 수행시 더 많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고 사전-사후 및 추후 지속 효과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겠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기여한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모듬북 놀이를 통한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좀 더 체계화 하고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대학교양교과목으로 개설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의 대상을 대학생 뿐만 아니라, 일반부모와 장애 영 · 유아 아동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八公山 桐華寺의 창건시기와 伽藍의 변화과정 고찰

        오세덕(Oh, Se-Deok)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79

        대구 팔공산의 큰 사찰인 동화사는 다양한 종류의 석조유물과 조선후기 제작된 전각 등이 남아 있지만 이에 대한 개별적인 접근만 이루어지고 있을 뿐 보다 종합적인 고찰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고를 통해 사찰에서 가장 중요한 의미가 있는 가람배치 변화상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본고를 통해 밝혀진 내용은 먼저 동화사의 초창시기에 대한 검증이다. 통상적으로 한국에 남아 있는 대부분의 사찰 창건시기를 너무 일찍 잡는 경향이 있고, 동화사 역시 예외가 아닌 493년으로 초창시기를 설정하고 있어 다소 무리한 추론으로 여겼다. 이 보다는 중창주로 알려진 심지왕사가 창건한 사찰로 추정하였다. 이어서 창건기 동화사 사역이 현재의 대웅전 영역이 아닌 금당암 영역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동화사의 최초 사역은 금당암 일원에 남아있는 석조유물의 시기성 규명과 함께 동일한 시기에 건립된 통일신라의 사찰 가람배치 비교를 통해 ‘동전서탑(東殿西堂)’ 형태의 초창기 가람배치를 추정하였다. 이후 836년에 비로전 영역의 조성이 이어지고, 대웅전 영역까지 짧은 시간에 확장되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고려시대 동화사는 통일신라시대의 다원가람의 형식을 그대로 계승 발전시켰으며 초기에 이미 계단을 건립하여 사역을 확장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조선시대는 초기까지 고려시대의 사역을 그대로 유지했으며, 조선후기 임진왜란의 발생으로 대가람이 훼손된 사실을 알 수 있다. 조선후기 사역에 남아 있는 건조물의 조성시기성 검토와 건립위치 비정을 통해 창건기부터 완성된 다원가람의 큰 틀이 조선후기까지 그대로 계승 발전되고 있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There are various types of stone relics and big buildings constructed in the second half of the Joseon remaining at Donghwa Buddhist Temple at Mt. Palgong in Daegu. However, only individual approaches, rather than synthetic examinations, have been made in regard to these structures. This study thus set out to focus on changes to the temple arrangement, which holds the most important significance in a Buddhist temple. First, the study first verified the date of when the Donghwa Buddhist Temple was first built. In South Korea, it is common that most remaining Buddhist temples estimate their date of construction to be earlier than the actual completion date. Donghwa Buddhist Temple is no exception to the trend, announcing that it was first built in 493, which seems rather unreasonable. The present study estimated that it was built by Shimjiwangsa, who is known to have direction its reconstruction. The study then reported that the perimeter of the temple during its construction was around Geumdangam instead of current Daewungjeon. The temples first perimeter must have been in the form of “Dongjeonseotap,” an early form of temple arrangement, based on the construction dates of stone relics remaining around Geumdangam, and when compared with Unified Shillas Buddhist temples, which were built around the same time. Later in 836, the perimeter expanded to Birojeon and then shortly thereafter to Daewungjeon. In Goryeo, Donghwa Buddhist Temple inherited and developed the Dawon Garam format of Unified Shilla, and expanded its perimeter by adding stairs. The temple maintained its perimeter from Goryeo in its early period and suffered huge damage to its Daegaram during Imjinwaeran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The study examined the construction, timing, and location of buildings remaining within its perimeter during the latter half of Joseon and found that the framework of Dawon Garam, which was completed with its first construction, was inherited and developed during this period.

      • KCI등재

        조선후기 雲門寺 전각의 건립시기와 伽藍配置 변화 검토

        오세덕 ( Oh Se-deok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0 No.-

        조선후기 운문사 전각의 건립시기와 가람배치 변화라는 주제로 진행한 본고를 통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사실을 증명할 수 있다. 먼저 운문사에 남아 있는 주요 전각의 건립시기를 검토하여 1655년은 대웅전이 건립되는 시기이고, 1655~ 1678 년까지 만세루를 건립하고 이후 관음전, 지장전이 들어서는 3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운문사 만세루와 같은 누각이 가람의 주축선과 입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산지, 구릉지, 평지 가람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산지가람에서는 누각과 가람의 주축선 - 동선이 모두 영향을 받고, 구릉지 사찰 역시 산지와 비슷하였으나 관람객 진입축선은 가람은 누각과 무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마지막으로 운문사 만세루 같은 평지 누각이 가람의 주축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남-북 중심축에서 동-서축으로 가람의 축선을 변화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1655 년 가람배치도 분석을 통해 당시의 가람의 중심축선, 대웅전과 금법당을 중심으로 하는 주축선과 나란하게 미륵전과 미타전을 중심으로 하는 부축이 함께 형성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655 년 운문사 경내에 남아있던 전각의 수와 그 구성이 운문사 사적기에 등장하는 고려시대 운문사의 전각 구성과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어 이 가람배치도의 사료적 사실성이 높아졌다. 1935 년 가람배치도 분석을 통해서는 1655 년 가람배치도와 4 가지의 차이점을 찾아내어 설명하였는데 첫 번째는 중심전각의 주축선 변화이다. 1655 년 가람배치도의 주축은 남-북 자오선을 중심으로 2 개의 동선이 확인되고 있으나 1935 년 가람배치도에는 대웅전 - 금법당 - 작압전으로 이어지는 주축 동선은 변화가 없고 나란하게 이어지던 부축선이 만세루 - 대웅전 - 십육전 1 축, 지장전 - 관음전 - 칠성각 - 금법당으로 이어지는 동-서 방향의 2 개의 부축선이 새롭게 생성된다. 두 번째 조전 영역에 설송대사 비각이 추가되고 있다. 세 번째로 삼보위 영역은 사라지고 동쪽으로 청신암과 내원암 북쪽은 북대암, 남쪽은 사리암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암자는 현재의 운문사 주변으로 동일하게 남아 있다. 네 번째 만세루의 건립으로 인하여 남-북 중심의 가람축에서 동-서 중심으로 가람축선이 변화한 사실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construction time of major buildings and changes to the temple layout of Woonmun Buddhist Temple in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The findings helped to demonstrate a few facts: the study first reviewed the construction time of major buildings remaining at the Temple and found that Daewoongjeon was built in 1655, Manseru was built in 1655~ 1678, and Gwaneumjeon and Jijangjeon were built in the third period. The study then examined the effects of such tall buildings as Manseru of the Temple on its major axis and location by categorizing the Buddhist temples into ones in a mountain, hill or flatland. Both the major axis and path of action of tall buildings and temples were affected in the Buddhist temples in mountains. It was similar with Buddhist temples in hills, bu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y axis of visitors and tall buildings. Tall buildings on flatland, such as Manseru of Woonmun Buddhist Temple, had enormous impacts on the major axis of a temple. In the case of Woonmun Buddhist Temple, they altered the axial line from north-south to east-west. The study also analyzed the temple layout of 1655 and found that a minor axis connecting Mireukjeon and Mitajeon was established alongsid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Temple and the major axis connecting Daewoongjeon and Geumbeopdang in those days. In addition, the number and composition of the major buildings remaining at the Temple in 1655 were similar to those of Woonmun Buddhist Temple during Goryeo described in the historic records of the Temple, which adds authenticity to the historic materials of the temple layout.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 temple layout of 1935 and explained the four differences from that of 1655. The first difference involved changes to the major axis of the central buildings. The temple layout of 1655 showed two paths of action along the north-south meridian. That of 1935 showed no changes to the major path of action connecting Daewoongjeon, Geumbeopdang, and Jakapjeon and witnessed two new minor axes including one connecting Manseru, Daewoongjeon, and Sipyukjeon and another connecting Jijangjeon, Gwaneumjeon, Chilseonggak, and Geumbeopdang. The second difference derived from the monument house for High Priest Seolsong to the Joseon area. The third difference came from the disappearance of the Sambowi area and the marking of small temples including Cheongsinam and Naewonam in the east, Bukdaeam in the north, and Sariam in the south. These small temples still remain the same around the current Woonmun Buddhist Temple. The final difference involved a clear change of temple axis from north-south to east-west after the construction of Manseru.

      • KCI등재

        신라사찰 석축(石築)조성 방식 변화와 불국사 석축의 형식과 의미

        오세덕(Oh, Se-Deok)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0 佛敎學報 Vol.0 No.93

        이 글에서는 신라 사찰의 입지를 평지, 구릉, 산지로 구분하고 각각 사찰의 기초와 건물의 기단 조성 방식을 검토하였다. 신라 사찰의 입지가 평지에서 산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지면의 기초를 공고히 마감하기 위한 새로운 석축 형식이 출현하게 된다. 이 석축의 조성방식이 자연석과 가공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자연석 석축은 영주 부석사를 필두로 이후 토함산 지역에 조성되는 사찰로 이어진다. 또 다른 방식인 가공석 석축은 화엄사와 영암사지에서 사용된다. 신라 사찰 석축의 가장 고급 기술은 자연석과 가공석이 결합된 형태로 불국사에서 사용된다. 불국사 석축은 기능과 의장에서 완벽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기능적인 측면의 불국사 석축은가람 전체를 완벽하게 받고 있으며, 이러한 역할을 최근까지 충실히 이어오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완벽한 기능과 함께 의장적으로 대칭과 비대칭의 원리를 모두 사용하고 있다. 불국사 석축은 우리나라의 석조물 중에서 가장 오래되고 완벽한 형태를 유지하는 최대 규모이다. 일제강점기 사진에서 몇 곳의 손상이 발견되기는 하지만 석축의 기본적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창건 때부터 오늘날까지 완결성을 유지하고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the methods used to establish foundations and make stylobates for buildings on the foundations of Silla’s Buddhist temple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locations on plains, hills, and mountains. When building a Buddhist temple on a plain, the builders would prepare the ground by reclaiming land and raising the ground level. Then, the building was constructed on the ground with various stylobates. When building a Buddhist temple on a hill, they would remove earth from higher ground to create a lower level, instead of reclaiming land and raising the ground level to even the topography of the entire lot. Both post-lintel and preaxial-mixed stylobates were used for the foundations of buildings built on the ground. When building a Buddhist temple on a mountain, the builders would plan a temple of two stories or more, since it was more difficult to secure a large lot than it was on the plain. In Silla, they made grand stylobates with natural or processed stone at Buddhist temples in the mountains. The Bulguk Buddhist Temple was the only one to use both types of stone simultaneously. The Bulguk Buddhist Temple has the most ideal stone platform among Silla’s Buddhist mountain-built temples. It is divided into the main and paradise sections. The main section is a two-story structur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tories. The lower story includes large, natural stones at the bottom, upon which a post-lintel stylobate was built that combined Jeoseok, Wuju, Taengju, Gapseok, Myeonseok, and keystones. The upper part of the stylobate in the lower story is wrapped in banisters as a finishing touch. It extends by about a meter in the back to support the stylobate in the upper story. The large stone platform in the paradise section is in a single-story structure, unlike the main section, but there is an Inbangjae in the middle of the stylobate, dividing it into two stories. It has a two-story structure in design. At the Bulguk Buddhist Temple, the large stone platform showcases the most high-end techniques of stone platforms in Silla’s Buddhist temples, combining natural and processed stone. This form is realized at the temple. The perfect harmony between the function and design of the stone platform completely supports the entire temple as one of its major functions, and it has been loyal to this role until recently. In addition, it contains the principles of both asymmetry and symmetry, along with its perfect functions. The original form of the large stone platform of the Bulguk Buddhist Temple has remained intact since its creation.

      • KCI등재
      • 신체감사명상훈련 프로그램이 사춘기 여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오세덕(Se Duk Oh),문영순(Young Soon Moon)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08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8 No.-

        본 연구는 신체감사명상훈련 프로그램이 사춘기 여학생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해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 상자들은 K시에 소재하고 있는 B초등학교 6학년 여학생들로 위 프로그램 참가를 희망하는 28명 중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에 각각 14명을 배정하였다.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Shaver와 Robinson(1975) 이 제작한 자아존중감모형을 김현정(1996)이 총 55문항으로 수정.보완하였고, 이것을 다시 김양미(2000)가 초등학생에 맞게 30문항으로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신체감사명상훈련 프로그램의 실시기간은 2005년 4월 26일부터 5월 17일까지 주 1 회씩 70분간 4회기에 걸쳐 실시되었다. 본 연구결과 신체감사명상훈련 프로그램은 사춘기 여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P=.027<.05)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할 수 있다. 첫째, 신체감사명상훈련 프로그램이 사춘기 남학생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을 끼치는지 연구되어 질 필요가 있겠다. 둘째, 신체감사명상훈련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향상에 기여한다면 자아존중감이 낮은 미혼모들이나 비행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그 효과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겠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