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W교육에 대한 대학 비전공자의 인식과 경험 탐색: CQR을 중심으로

        오보라,이정민,이정은 한국정보교육학회 2019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3 No.5

        본 연구는 비전공자 대상의 대학 SW교육에서 학습자들의 인식과 경험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대학에서 SW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비전공자 학생 36명의 성찰일지를 합의적 질적연구방법(CQR)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SW교육에 대한 비전공자 학생들의 인식과 경험에 대한 응답에서 연구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일반적 범주나 50% 이상의 학습자에게 나타나는 전형적인 범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다양한 변동적인 범주를 핵심개념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SW교육에 대한 비전공자 학생들의 경험과 인식은 각각 57개와 7개의 변동적 개념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비전공자 학생들의 SW교육에서의 경험은 생소함으로 인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는 것과 학습활동을 통해 SW과의 관련성과 유용성을 인식한다는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SW교육에서 비전공자 학생들의 인식의 경우 초보자의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비전공자 대상의 SW교육의 방법은 세심한 수업 운영전략과 상호작용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보다 효과적인 비전공자 대상의 대학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전략을 위한 시사점들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on-major students’ perception and experiences in college software education. For this, we analyzed the reflection journals of 36 non-major students in D University based on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As a result, there was not general core concept to all students nor a typical core concept that appeared to more than 50% students. However, various variable core concepts could be derived. Overall, 57 variable concepts were derived from experience in SW education and 7 variable concepts for perception of SW education. Based on this result, we found many of non-major students feel difficulty from unfamiliarity to SW education. Also, many students have satisfaction in their perception to SW education about personalized learning that their professor provided in the class. Lastly, we conclude that a methodology for SW education needs to have a careful operation strategy and interactive design. Although this study has not been able to elucidate general core concepts that appear to all learners, it has significant implication in terms of providing various implicit core concepts and suggestions for effective software education for non-major students.

      • KCI등재

        조선 후기 지성사의 관점에서 본 『胎敎新記章句大全』의 의미

        오보라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9 고전과 해석 Vol.27 No.-

        본고는 두 가지 층위에서 『胎敎新記章句大全』의 지성사적 의미를 재평가하고자 했다. 첫째, 이사주당, 즉 여성 지식인의 자의식이 저술에 어떻게 투영되었으며, 이는 지성사적으로 어떤 의미를 갖는지 탐색하고자 했다. 둘째, 여성 지식인의 저술이 남성 지식인에 의해 어떻게 재편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이사주당은 학문 활동을 제약받는 여성의 지위에 불만을 품고 학문에 매진하여 남성 사대부와 마찬가지로 한 명의 지식인으로서 살고자 하였다. 이처럼 이사주당은 여성도 학문의 주체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자각했으나, 결국에는 유가적 통념을 기준으로 자기 검열을 행하였다. 그러한 자기 검열 후에 유일하게 남긴 저술이 바로 『태교신기』이다. 『태교신기』는 주제면에서 유가적 婦德과 전혀 배치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사주당은 여성의 지식 영역에 해당하는 ‘태교’를 여성이 주로 사용하는 문자인 언문이 아니라 한문으로 논술했다. 그리고 실제 내용에 있어서도 유가적 부덕을 강조하기 보다는 의학과 성리학을 접목하여 創見을 세웠다. 더불어 이사주당은 태교론을 이론적 차원에서 설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 직접 경험한 내용임을 강조했다. 요컨대, 『태교신기』는 의학과 성리학을 접목한 이론적 토대 위에 경험이 가미되어 완성되었다. 이처럼 당대 小技로 치부되던 의학마저 학문의 대상으로 삼은 『태교신기』는 여성 지식인의 학문 범주를 확대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태교신기』는 박학과 실증을 중시하던 소론계 학풍을 여성의 입장에서 구현했다는 점에서도 지성사적 의의를 갖는다. 한편 이사주당의 저술은 아들에 의해 재편됨으로써 또다른 국면을 맞이하였다. 아들 유희는 어머니를 스승으로 여겨, 어머니의 저술을 스승의 저술로 인식했다. 때문에 어머니의 저술을 재편하는 과정에서 여타 여훈서의 형식을 따르지 않고 經典의 형식을 철저히 고수했다. 그리하여 당대 지성 사회에서 낮은 위치에 있는 ‘여성’이 저술한 ‘婦德’ 관련 저술이, 당대 최고의 권위를 인정받는 경전의 형태로 탈바꿈했다. 이처럼 남성 지식인이 여성 지식인의 저술을 경전화한 것은 매우 파격적인 시도이지만, 이것이 곧 성별간의 지적 경계가 허물어졌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유희가 경전의 형태로 재편함으로써 『태교신기』에 권위를 부여했다는 점은, 여전히 당대 지적 우위가 ‘남성 사대부의 성리학’에 있었음을 암시한다. 하지만 여성의 저술에 남성이 주석 작업을 하고, 남성·여성 모두가 序·跋文을 남겼다는 사실은 분명 여성의 학문에 대한 인식이 이전 시기에 비해 긍정적으로 변했음을 보여준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Taegyosingi in intellectual history of Later Joseon period. This article analyzed the meaning of Taegyosingi in two ways. First, I analyzed how the self-consciousness of a female scholar was reflected in the writings. Second, I examined how the writings of a female scholar were reorganized by male intellectuals. Yi Sajudang was dissatisfied with the status of women who were restricted in academic activities. And she wanted to live as an equal to male scholars. So, she thought women should also study on Chinese characters and neo-confucianism. But Yi Sajudang eventually burned down all her works against female virtue by self-censorship. The only book left after her self-censorship was Taegyosingi, because it wasn't against female virtue. However, Yi Sajudang didn't follow the old theory of prenatal education in the female's textbooks. Instead, she made a new theory of prenatal education by combining medical science and neo-confucianism, and then wrote Taegyosingi. Taegyosingi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xpanded the field of women's academic research. That is also meangingful in that a female scholar inherited academic traditions of So-ron scholars. On the other hand, Taegyosingi was reorganized by her son, Yu Hui. Yu Hui regarded his mother as a teacher, and recognized the mother's writing as the teacher' s writing. Therefore, he reorganized Taegyosingi, the only writings of his mother. Yu Hui completely reorganized Taegyosingi according to the style of Four Books. He empowered Taegyosingi through this reorganizing. Nonetheless, it doesn't mean that intellectual boundaries between male and female scholars have collapsed. But it means that the academic performance of female scholars has begun to be viewed positively.

      • KCI등재

        『재물보』ㆍ『본초강목』과의 비교를 통해 본 『물명고』의 표제어 배열 특징

        오보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 한국학 Vol.47 No.1

        이 글에서는 『물명고』의 특징을 고찰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서 『물명고』와 『재물보』ㆍ『본초강목』을 미시적으로 비교ㆍ분석하여 『물명고』 표제어 배열의 특징을 밝히고자 했다. 『물명고』와 『재물보』는 『본초강목』의 대분류 체계로부터 영향을 받았으나, 각 분류항의 배열 순서에 있어서는 『본초강목』을 따르지 않았다. 『물명고』와 『재물보』는 오충설, 『동의보감』 「탕액편」의 배열 순서 등에서 영향을 받아, 동물에서는 ‘우충(羽蟲)—모충(毛蟲)—인충(鱗蟲)—개충(介蟲)—곤충(昆蟲)’의 순서로 표제어를 배열하고, 식물에서는 ‘곡부(穀部)’를 첫머리에 두었다. 이처럼 『물명고』와 『재물보』는 분류항 배열 순서가 비슷하다. 하지만 각 분류항 내의 표제어 배열에서, 『물명고』와 『재물보』는 큰 차이를 보인다. 『재물보』가 『본초강목』의 하위 분류항, 즉 ‘목(目)’의 배열 순서를 대체로 따른 반면, 『물명고』는 『재물보』ㆍ『본초강목』의 표제어 배열 순서를 대폭 수정했다. 『물명고』는 사물의 형태적ㆍ생태적 특징을 기준으로 표제어 배열을 재조정하고, 때로는 표제어의 분속을 바꾸기도 했다. 유희는 『본초강목』 ‘목’에서 복합적인 분류 기준을 적용하여 사물을 분류ㆍ나열한 것에 문제점을 느끼고, ‘자연물의 속성’이라는 단일한 기준에 근거하여 표제어 배열의 체계화를 도모한 것이다. 이는 본초서의 지식ㆍ분류가 박물가에 의해 수용ㆍ변형되는 면모를 보여준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rangement of the headwords in Mulmyeonggo in comparison with Jaemulbo and Bonchogangmok. While Mulmyeonggo and Jaemulbo were infl uenced by the major classifi cation system of the Bonchogangmok, it was not followed with complete consistency in the arrangement of each classifi cation term. Mulmyeonggo and Jaemulbo were infl uenced by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Ochungseol” and the Dong-uibogam, and the title words were arranged in the order “Uchung-Mochung-Inchung-Gaechung-Gonchung” for animals, and “Gokbu” was placed at the beginning of plants. Thus, the Mulmyeonggo and Jaemulbo have similar arrangements of classifi cation terms. However, in the arrangement of the headwords within each classification term, there is a major difference between Mulmyeonggo and Jaemulbo: While Jaemulbo generally followed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sub-classification term, that is, the “Mok” of Bonchogangmok, Mulmyeonggo significantly modified the arrangement of the headwords in Bonchogangmok by rearranging the headwords based on the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and sometimes changing the classifications of the headwords. Yu Hee had a problem with classifying and listing objects by applying the complex classifi cation criteria in the “Mok” of the Bonchogangmok, and promoted the systematization of the headword arrangement based on the single criterion of “the nature of natural objects.” This shows how the knowledge and classifi cations of herbal medicine were accepted and transformed by polymaths.

      • KCI등재

        西陂 柳僖의 문답식 산문에 나타나는 주제 구현 양상

        오보라 동양고전학회 2015 東洋古典硏究 Vol.0 No.58

        西陂 柳僖(1773-1837)의 한문 산문은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유희의 한문 산문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써, 그의 문답식 한문 산문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했다. 유희는 문답의 서술방식 을 다양한 문체에 걸쳐 사용했는데, 『문통』에 수록된 문답식 산문은 총 11편이 있다. 이는 문답식 산문의 사 적 흐름에서 살펴볼 때 결코 적은 양이 아니므로, 유희가 문답의 서술방식을 즐겨 사용한 작가군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유희의 문답식 한문 산문의 특징은 다음 몇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작중 화자의 변론을 통해 불우한 삶에 대한 고뇌와 성찰을 표현하고 있다. 유희는 寒士로 평생을 불우하 게 보냈다. 그는 자신의 불행에 대해 위로받고 싶은 욕구도 있었던 반면, 그것을 극복하고 군자의 도에 따르는 삶을 살고자 했다. 유희는 고단한 삶을 어떻게 받아들일지 고민하며 복잡한 심경을 갖고 있었다. 문답식 구성 은 유희의 이러한 심리를 효과적으로 드러내는데 기여했다. 유희는 작중화자를 통해 때로는 자신의 처지에 대 해 울분을 토로하기도 하고, 위로하기도 하며, 자신의 깨달음을 피력하기도 했다. 둘째, 소외된 계층과의 문답을 통해 당대 양반 사회를 풍자했다. 유희의 문답식 산문 속에는 무두장이⋅상인⋅몰 락 양반 등이 등장한다. 유희는 그들의 입을 통해 양반 사회의 모순을 폭로했다. 아첨하여 관직을 얻고 임금과 백성을 위해 일하지 않는 세태를 풍자했으며, 賢者가 제대로 등용되지 못하고 文이 무용지물이 되어버린 실정 을 개탄하기도 했다. 사회에서 소외받는 계층이 사회의 모순을 비판하고, 자기 자신도 그 비판의 대상의 되는 구조를 취했다. 이로써 당대 양반 사회의 모순을 입체적으로 그려냈다. 마지막으로 유희는 문답의 반복적 구성을 통해 자신의 주장을 논리적으로 개진했다. 유희는 『논어』나 <화리편>과 같이 문답의 반복을 통해 이치를 구명하는 글이 훌륭한 문답식 산문이라 여겼다. 이에 자신의 창견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장치로서 문답식 구성을 활용했다. 유희의 작품은 홍대용⋅박지원 등 18세기 문답식 한문 산문과 李建昌⋅安潚의 문답식 한문 산문의 사이에 위치 하며, 문답식 산문 창작의 흐름을 이어준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 18⋅19세기의 다양한 문답식 산문과 유희의 작품을 비교하지 못한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의 연구를 기약한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embodiment of theme in Yu Hui(柳僖1773-1837)'s catechetical prose. Yu Hui often used the catechetical prose to embody the theme of his work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characteristics in Yu Hui(柳僖)'s catechetical prose. First, the protagonist of the works speaks for anguish of Yu Hui. Yu Hui led a miserable life, so he wanted to be solaced. However, he sometimes wanted to overcome unhappiness. Yu Hui always suffered from poverty, and he took a belt at his catechetical prose. Second, Yu Hui satirized on Joseon Dynasty in Yu Hui(柳僖)'s catechetical prose. There are many underprivileged people in Yu Hui(柳僖)'s catechetical prose, for example merchants, a master craftsman, ruined peers and so on. In the works, the underprivileged people sharply criticized the corruption of Joseon Dynasty and satirized peers. Finally, Yu hi effectively expressed his creative opinion by the catechetical method in his prose. To put it concretely, the characters of his works exchanged short questions and answers, repeatedly. This is the effective method to explain the complexive opinion of Yu Hui.

      • KCI등재

        紅泉社의 결성과 시세계 ‒ 聯句詩를 중심으로

        오보라 동양고전학회 2017 東洋古典硏究 Vol.0 No.66

        본고는 그동안 학계에 잘 알려져 있지 않았던 紅泉社라는 시사를 소개하고, 그 시세계를 살펴보았다. 홍천사는 1817년(순조17)에 李晩秀(1752∼1820)를 맹주로 하여, 李洛秀(1755∼?), 申縉(1756∼?)⋅申綽(1760∼1828)⋅申絢(1764∼1827) 3형제 및 朴宗羽(1745∼?)⋅鄭遂龜(1750∼?)⋅權烒(1753∼?)⋅金啓溫(1773∼?)이 함께 모여서 결성한 시사이다. 홍천사에서 창작된 시들은 『泉社集』으로 엮어져, 이만수의 문집인 『屐園遺稿』에 수록되었다. 홍천사는 이만수를 맹주로 하고, 신진⋅신작⋅신현 3형제를 주축으로 하여 결성되었다. 이 시사는 1817년부터 이만수가 세상을 떠나는 1820년까지 계속되었다. 홍천사의 동인들은 주로 企臺의 放雲樓에 모여 분운시, 차운시, 연구시 등을 지으며 풍류를 즐겼다. 이들이 지은 시는 『천사집』에 수록되어 있는데, 『천사집』이 이만수의 개인 문집인 『극원유고』의 일부로 편차된 탓에, 이만수 이외의 인물들이 시회에서 지은 분운시⋅차운시는 『천사집』에 실려 있지 않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부득이하게 연구시를 중심으로 홍천사의 시세계를 조망하였다. 홍천사의 연구시는 먼저 홍천사 동인들이 각자의 시재를 겨루는 장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홍천사 동인들은 전고를 화려하게 사용하여 자신들의 능력을 드러냈다. 홍천사 동인들은 연구시를 지을 때, 함축된 시어 안에서 대를 맞추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였다. 특히 <城南聯句>의 형식을 본 뜬 <放雲樓聯句>에서는 홍천사 동인들이 서로 시재를 각축하며 시상을 매끄럽게 전개해 나가는 모습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이는 홍천사의 동인들이 비록 그동안 학계에서 주목받은 인물들은 아니지만, 일정 수준의 문학적 역량을 갖춘 이들이었음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정서의 공유라는 측면에서 홍천사의 연구시를 분석해보았다. 홍천사의 연구시에도 다른 이들의 연구시와 마찬가지로 교유의 즐거움이 전반적으로 드러난다. 특히 노년에 벗들과 즐기는 閒雅한 정취가 주된 정서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홍천사의 연구시는 단순히 노년에 즐기는 벗들과의 우정을 읊은 데에 그치지 않고, 자신들이 풍류를 즐길 수 있는 것은 왕의 덕택이라며 태평성대를 예찬하고 있다. 즉 홍천사의 연구시에는 산림 생활의 한가로움, 태평성대의 풍요로움, 관료로서의 자부심 등이 드러난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feature of the Hong-cheon poetry society(紅泉社). The leader of the Hong-cheon poetry society was Yi Man-soo(李晩秀), and the members of that were Yi-naksoo(李洛秀), Shin Jin(申縉)⋅Shin Jak(申綽)⋅Shin Hyeon(申絢)⋅Park Jong-woo(朴宗羽)⋅Jeong Soo-gui(鄭遂龜)⋅Gwon Sik(權烒)⋅Kim Kye-on(金啓溫). They organized the poetry society at Gi-dae(企臺) of Seoul. The poems of the Hong-cheon poetry society were included in Geuk-won-yu-go(屐園遺稿), a collection of Yi Man-soo´s works. The Hong-cheon poetry society was maintained for three years, from 1817 to 1820. The members of the Hong-cheon poetry society gathered at Gi-dae(企臺) and wrote poems together, such as the linked verses(聯句), divisions of rime(分韻), replying rhyming verses(次韻) and so on. This article especially analyzed the linked verses of the Hong-cheon poetry society.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characteristics in the linked verses of the Hong-cheon poetry society. First, the members of the Hong-cheon poetry society showed their poetic genius by writing the linked verses. They competitively designed unique words and techniques to exhibit their poetic genius. Especially, their poetic genius were exposed in <Bang-un-nu ryoen-gu(放雲樓聯句)>, modeling <Sung-nam ryoen-gu(城南聯句)>'s style. The members of the Hong-cheon poetry society had remarkable literary attainments. Second, the members of the Hong-cheon poetry society promoted friendship by writing the linked verses. They expressed the pleasure of having a poetry party in the linked verses. Their linked verses were elegance. In addition, their poems are full of the pride as officials. And they were glad that they lived in the happy era. So they extoled the king's virtue in their linked verses.

      • KCI등재

        春庵 蘇凝天의 생애 및 학문 경향

        오보라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23 大東漢文學 Vol.76 No.-

        본고는 蘇凝天 연구의 試論으로서, 소응천의 생애와 교유 관계, 학문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소응천은 그동안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향촌 지역의 선비이지만, 당대 삼남 지역에서 명성을 떨쳤으며 소론계 문인 및 영남의 문인과도 교유하였다. 소응천은 18세기 삼남 지방의 학문 동향을 살펴보는 데 있어 주목할 만한 인물이다. 소응천은 향촌의 寒士, 영남 문인, 소론계 문인들과 교유했는데, 그의 교유 관계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소론계 문인과의 교유이다. 소응천은 젊은 시절 제자백가와 불가, 도가, 천문, 지리에 이르기까지 여러 분야를 두루 섭렵하였다. 그러나 소응천은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에 소론계 문인들과 교유하면서 자신의 지난날 학문 방향이 잘못되었음을 깨닫고 유학에 전념하게 되었다. 소응천이 스승으로 섬겼던 윤동수와 윤동원은 윤선거・윤증으로부터 이어지는 파평 윤씨 가문의 학문 정립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소응천이 잡학에 힘쓰고 고원한 담론을 추구하는 문제를 지적하여, 일상에서의 윤리 규범 실천에 힘쓰도록 소응천에게 당부했다. 즉 윤동원과 윤동수는 윤증으로부터 내려오는 務實의 학풍을 소응천에게도 전수한 것이다. 소응천은 이들과의 만남 이후 일상에서의 실천과 소학 공부를 중시하여, 벗과 후학에게도 이 점을 강조하였다. 소응천의 학문 경향을 통해, 조선 후기 호남 지역 학풍의 새로운 국면을 발견할 수 있다. 아울러 소응천과 파평 윤씨 가문의 교유를 통해, 윤증으로부터 이어지는 소론계 학문이 어떻게 전수되어 갔는지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d So Eung-cheon's life, associates, and academic characteristics. So Eung-cheon was a scholar in a rural area, unknown to academia, but he had a reputation in the Samnam area of the time and also interacted with Soron scholars and Yeongnam scholars. So Eung-cheon is a remarkable figure in examining academic trends in the Samnam region in the 18th century. So Eung-cheon was associated with unknown scholars, Yeongnam scholars, and Soron scholars in a countyside, and what is particularly noteworthy in his relationship with Soron scholars. When he was young, So Eung-cheon studied various fields, including all classes of philosophers, Buddhism, Taoism, astronomy, and geography. However, when So Eung-cheon interacted with Soron scholars in his late teens and early 20s, he realized that his past academic direction was wrong and devoted himself to Confucianism. Yoon Dong-soo and Yoon Dong-won, whom So Eung-cheon served as teachers,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the academic background of the Pa-pyeong Yoon family, which led from Yoon Jeung. They pointed out the problem of So Eung-cheon working on general studies and pursuing a high-altitude discourse, and asked So Eung-cheon to work on practicing ethical norms in everyday life. In other words, Yoon Dong-won and Yoon Dong-soo passed on the academic style of Mushil(實務) from Yoon Jeung to So Eung-cheon. After meeting them, So Eung- cheon emphasized this point to his friends and juniors, emphasizing practice and study of So-hak(小學) in everyday life. Through So Eungcheon's academic trend, a new phase of the academic style in Honam reg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can be found. In addition, through the friendship between the So Eungcheon and Pa-pyeong Yoon families, it is possible to confirm how the academic style of the Soron leading from Yun Jeung were passed down.

      • KCI등재

        베트남전쟁 한국군 철수와 국내의 여론·정치 동향

        오보경(吳普慶) 한국역사연구회 2020 역사와 현실 Vol.- No.116

        The Korean Opposition party was always opposed to the ROK Government’s policy of sending troops to Vietnam, which took place total of five times. But in September 1966, with the remarks of Park Sun-cheon, head of the Minjung-dang party, which said ‘We are going to acknowledge the issue of sending Korean troops to Vietnam as part of the reality we’re facing,’ the voice of vehemently criticizing troops dispatchment started to diminish. Even Yun Bo-seon, who ran in the 1967 Presidential election as the Shinmin-dang party candidate, retracted his former position which demanded unconditional withdrawal of Korean troops from Vietnam based on his earlier conviction opposing troops-sending in the first place, and began to suggest ‘arranging for their honorable withdrawal’ as a compromise. In January 1968, armed North Korean operatives breached South Korea’s security, and U.S.S. Pueblo was seized by N.K. forces. Such incidents definitely increased tension in the Korean peninsula, and both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in Korea, emphasizing the U.S. role in ensuring Korean security, strongly demanded that the ‘Brown protocol’ be employed immediately. The ruling Republican (Gong’hwa-dang) party intended to obtain an upper hand in their negotiation with the U.S. by suggesting the necessity of withdrawing Korean troops from Vietnam. It was a way to put political pressure on the U.S., and the Shinmin-dang party criticized such strategy. After January 1969, with Nixon inaugurated as the new U.S. President, U.S. and other allies started to withdraw from Vietnam, and in July 1970 it became official that the size of the U.S. force in Korea will also be reduced. Both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called for the withdrawal of the Korean forces from Vietnam as well. The opposition party criticized the government’s Security policy and incompetence in diplomacy, and even tried to elevate the issue in the 1971 Presidential election. In response, President Park Jeong-hi had no choice but to announce his plans to ‘consider a gradual withdrawal of the Korean troops in Vietnam’ in his annual New Year Press conference addressing the country on January 11th, 1971. He even shared such agenda as a Presidential campaign commitment with the opposing candidate Kim Dae-jung of the Shinmin-dang party. Instead of releasing the agenda into the control of the opposition party, he continued to lead the issue.

      • KCI등재

        초기 한국어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육 사례 고찰: Chinese Characters For Beginners, Book One을 중심으로

        오보라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3 고전과 해석 Vol.39 No.-

        This paper delves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Chinese Characters for Beginners, Book One written by Sauer in 1956, as well as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on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employed in the Korean Language School (KLS) where Sauer served as the principal. Chinese Characters for Beginners, Book One is considered the first Chinese character textbook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was used in the KLS,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missionaries. The Korean Language School is an educational institution aimed at providing specialized language education to missionaries seeking to acquire proficiency in the Korean language. The institution offers a curriculum covering the Chinese characters and Sino-Korean vocabulary, which are taught to foreign learners over the course of three semesters. Among the textbooks utilized in KLS, Chinese Characters for Beginners, Book One is the sole remaining textbook today, designed specifically for beginners and comprising of 7 lessons with a total of 102 Chinese characters. Sauer selected basic Chinese characters based on their high frequency of use in daily life and categorized them into lessons based on topics and situations. This textbook also serves as a workbook, providing learners with opportunities to review and expand their learning themselves. Two main characteristic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presented in this textbook are identified. Firstly, this textbook is structured around learning activities that utilize diverse learning materials. Sauer utilized objects commonly encountered in the daily lives of missionaries, such as Korean guidebooks, railway timetables, calendar, invitations, and business cards, as learning materials. Secondly, this textbook helps the learners develope their ability to understand compound Chinese character. By presenting methods of combining different Chinese characters to create compound words, it facilitated that the learners expand their vocabulary based on the Chinese characters they had already learned. From a contemporary perspectiv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presented in this textbook may be considered lacking in theoretical foundations or expertise. However, this book holds significance in terms of the history of teaching materials as it sheds light on the true picture of Chinese character and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in early Korean language education. Furthermore, the fact that this textbook was the first to pres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Chinese characters and Sino-Korean vocabula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deserves high recognition. The educational focus on learning activities and the emphasis on collocation, as seen in this textbook, are still relevant in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presented in this textbook offer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 and Sino-Korean vocabulary textbooks today. 본 논문은 Sauer가 1956년에 저술한 Chinese Characters for Beginners, Book One의 특징과 구성 내용, 교수 학습 전략 등을 살펴보았다. 이 책은 Sauer가 교장으로 재직한 Korean Language School에서 사용된 한자 교재로, 우리나라 최초의 한국어교육용 한자 교재라고 할 수 있다. Korean Language School은 선교사를 위한 한국어 교육기관으로, 총 3학기에 걸쳐 외국인 학습자에게 한자·한자어를 교육했다. KLS에서 사용한 교재 가운데 현재 남아 있는 것은 초급용 교재인 Chinese Characters for Beginners, Book One 뿐이다. 이 책은 7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102개의 한자를 수록하고 있다. Sauer는 일상생활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한자 위주로 기초 한자를 선정하되, ‘시간과 장소에 사용되는 한자’로 선정 기준을 정하고 주제·상황별로 한자·한자어를 범주화하여 단원을 나누었다. 이 책은 워크북의 성격을 겸하는 교재로서,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 내용을 복습하고 확장 학습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교재에 보이는 교수 학습 방법은 다음의 두 가지 특징이 있다. 먼저 이 교재는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한 학습 활동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Sauer는 한국 曆書, 철도 시간표, 초대장, 명함 등 선교사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물건들을 학습 자료로 활용했다. 다음으로 이 교재는 한자의 조어력에 초점을 두어 한자를 선정하고 한자어를 교육했다는 특징이 있다. 기초 한자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한자어를 만드는 방법을 교재에 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이미 배운 한자를 토대로 한국어 어휘를 확장해 갈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 교재에 제시된 교수 학습 방법은 현대의 관점에서 보면 이론적 근거나 전문성이 부족하다고 여겨질 수 있다. 하지만 이 책은 敎材史 측면에서 볼 때, 초기 한국어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육 실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아울러 이 교재가 한국어교육에서 최초로 한자·한자어 교수 학습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이 교재에 보이는 학습 활동 중심 교육, 조어력에 초점을 맞춘 교육 등은 현재의 한국어 교육에서도 요구되는 사항이므로, 이 교재의 교수 학습 방법은 오늘날 한자·한자어 교재를 개발하는 데에도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 KCI등재

        唐川 李漢龍의 文學論과 著述의 意味

        오보라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49 No.-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Yi, Han-ryong(李漢龍)’s literary theory and writings. After the Gabo Reform(甲午改革) of 1894, the classical Chinese have lost its authority in the Korean literature and society, but many intellectual who had educated about the classical Chinese still survived. Therefore, many people use the classical Chinese in their writings, although the government declared that all of official documents was written by pure Korean. To explain why many people kept on using the classical Chinese, I analyze Yi, Han-ryong(李漢龍)’s writings. Yi, Han-ryong was a rural intellectual. He lived in Namwon and belonged to a rural community. In other words, he was isolated the mainstream society. So he found his own literature theory. The ancient Chinese prose(古文) was meaningful to Yi, Han-ryong. He thought that the ancient Chinese prose represented the world. And He pursued realizing an ideal Confucian society by using the classical Chinese. Therefore, he didn’t delight in the classical Chinese writings, but wrote serious articles. For example, he wrote about the law, social system, historical events and so on. Additionally, he wrote some biography of patriots and much of monody to memorialize achievements of patriots. In conclusion, Yi, Han-ryong sticked to Confucian values and traditional styles of writing. He coped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in his own way. The writhing of Yi, Han-ryong may be seen by some people as an anachronism. However, he struggled with a crisis of state seriously. So we need to acknowledge a meaning of his writings, rather than criticising it as an anachronism. 본고는 구한말의 향촌 한학자 李漢龍(1862∼1926)의 문학론 및 저술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갑오개혁 이후, 한문이 문명의 중심에서 소외되고 타자화되었으나, 여전히 대다수의 지식인들은 전통 한문 교육을 받은 이들이었다. 그러므로 ‘국한문 혼용’에 대한 공식적인 선언만으로 한문 향유 계층을 한 번에 소거할 수는 없었다. 한문이 구시대의 유물로 전락해 가는 상황 속에서, 여전히 수많은 이들이 한문 글쓰기를 고집하고 있었다. 본고는 그 이유를 탐색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이한룡의 문학론을 살펴보았다. 李漢龍은 전라도 南原에 대대로 살았던 향촌 지식인이다. 그는 소규모의 인적 관계를 유지하며 자신만의 문학론을 구축해 갔다. 이한룡에게 있어서 한문으로 쓰여진 ‘文’은 천하 만물의 표상 그 자체였고, 文을 통해 유가적 도의 실현을 추구하고자 했다. 따라서 이한룡은 음풍농월이나 교류의 목적을 가진 글을 쓰기 보다는, 道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는 글들을 많이 짓고자 하였다. 이때, 道學者로써 道의 원론적인 문제에 치중하기 보다는 법제나 역사적 사건과 같은 구체적인 문제에 대해 논평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경향은 그가 살고 있던 당시의 義士들을 추숭하는 글에서 보다 뚜렷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이한룡은 漢文이 지식인들의 보편적인 문자 수단으로 사용되던 시기의 사고관과 글쓰기 방식을 여전히 고수한 채, 그 틀 내에서 시대 변화에 대응하고 있었던 것이다. 새로운 문물이 유입되고 한문 향유층 내에서도 국문⋅한문 논쟁과 계몽 담론이 오고하던 시점에서, 그의 태도는 배타적이고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하지만, 당대 파편화된 채로 존재하던 향촌 지식인이 자신만의 방식으로 시대의 급격한 변화에 맞서 고군분투했다는 점은 인정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