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죽여도 되는’ 사람은 어떻게 탄생했는가? -인종혐오와 동물화-

        염운옥 ( Yeom¸ Woonok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2 사총 Vol.105 No.-

        본 논문에서는 비인간화의 양상으로서 ‘동물화’를 중심으로 인종혐오의 생성과 작동의 역사를 살펴보았다. 흑인의 동물화는 근대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등장과 밀접히 관련되며,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소수자의 동물화와 다르다. 흑인노예의 동물화에 기반을 둔 대서양노예제는 근대 자본주의 탄생과 시원적 축적의 계기였으며 이를 통해 자본주의는 인종자본주의가 되었다. 생명정치가 인종과 만날 때 흑인은 폐기가능한 인구가 되었고, 음벰베가 말하는 죽음정치의 대상이 되었다. 또한 흑인의 동물화는 19세기 인종분류, 인종론, 진화론을 통해 정당화되고, 자연화되었다. 유럽의 18, 19세기 자연학자들과 인류학자들은 분류의 욕망에 충실했고 인종론을 체계화했다. 이 과정에서 흑인은 동물에 가까운 위치를 부당하게 할당받았다. 인종혐오와 연결된 동물화는 인간이 비인간 동물과 분류학적으로 갈라져 나온 계열화를 거꾸로 밟아 가는 과정, 즉 진화의 이면에 있는 퇴화에 대한 불안의 반영이었고, 이를 인종적 타자 흑인에게 투사한 결과물이었다. 자연에서 ‘니그로’의 위치를 둘러싼 인류학 담론은 인종혐오와 동물화를 체계화하는 도구였다. 인종혐오의 대상은 비단 흑인만의 아니라 무슬림, 난민, 이주민으로 확장되고 있다. 혐오와 동물화는 흑인만 겪는 것이 아니다. 흑인이 먼저였을 뿐 누구나 이주민이나 난민이 되고, 죽음에 내몰릴 수 있는 가능성이 상존한다. 전 지구적 차원에서 죽음정치가 심화되는 가운데 혐오에 맞서 연대해야 할 필요성은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This study analyses a history of racial hate and its mechanism focusing on ‘animalization’ as de-humanization. Animalization of black is different from animalization of other minorities in its close connection with modern capitalist economy system and continuity of its affect until even today. Transatlantic slavery served as a momentum of the birth of modern capitalism and primitive accumulation. Through transatlantic slavery capitalism becomes racial capitalism. When biopolitics meets ‘race’, blacks became ‘disposable’ population and the object of Archille Mbembe’s necropolitics. Animalization of black was also justified and naturalized by taxology, racial theory, and evolutionism in the 19th century. Through racialism blacks were supposed to belong to neighboring position of animals. Animalization and racial hate were the result of projection which whites made between evolution and degeneration. Anthropological discourses on the ‘negro’s place in nature were the instrument of racial hate and animalization. Blacks were not the only victim of Racial hate. Muslims, refugees, and migrants also were also suffered racial hate and animalization. Whoever becomes the victim of global necropolitics, and it is the very condition of solidarity.

      • 평화를 위한 전쟁박물관이라는 역설 - 영국 제국전쟁박물관

        염운옥 ( Yeom Woonok )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2023 평화들 PEACES Vol.2 No.1

        본 논문에서는 영국 제국전쟁박물관 중에서 대표적인 두 곳, 제국전쟁박물관 런던관과 맨체스터관의 전시를 분석했다. 1차대전 중 반전 여론을 잠재우고 전쟁 동원과 협력을 차질 없이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제국전쟁박물관은 국가를 위한 숭고한 희생이라는 아우라를 입히는 대신, 전쟁의 참상과 전쟁이 사람들의 일상에 끼친 영향을 다면적으로 보여주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20세기의 모든 전쟁에 ‘목격자’가 되어주기를 관람자에게 요구함으로써 제국전쟁박물관은 전쟁에 대한 인습적·규범적 교훈을 넘어 타인의 고통에 대한 공감에 바탕을 둔 평화의 의미를 전하고 있다. 제국전쟁박물관의 전시는 전쟁에 관한 군사주의적·애국주의적 서사를 피해 가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하지만 전쟁에 동원된 식민지 병사들의 재현에서 피부색 인종차별을 한다든지, 무기 산업과 국가의 책임은 비판하지 않고 난민에게 공감하자는 전시는 위선적이거나 공허할 수 있다. 전쟁의 인간적 고통 앞에 공감을 강조할 수 있겠지만, 그 공감에 선택의 요소가 부여된다면 선택적 공감에 그치고 말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제국전쟁박물관 같은 전쟁박물관에서 평화를 말하는 것에는 쉽게 가능성과 불가능성을 재단할 수 없는 성과와 한계가 동시에 존재한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exhibition narrative of Imperial War Museum London and Imperial War Museum North. The Imperial War Museums was established during the first World War to cope with the total war. For calming anti-war opinion and mobilizing the British nations and subject of British empire, government started systematic collecting of war objects and opened Imperial War Museum at Crystal Palace in 1919. Instead of creating an aura of noble sacrifice for the nation, the Imperial War Museum takes a multifaceted approach to showing the horrors of war and its impact on people’s daily experiences. Asking viewers to be ‘eyewitnesses’ to every war and conflict in the 20th century, the Imperial War Museum conveys a meaning of peace that goes beyond conventional normative lessons about war and is based on empathy for the suffering of others. I appreciate that the Imperial War Museum makes an effort to avoid militaristic or patriotic narratives. However, it can be hypocritical or hollow to show racial discrimination in a representation of colonial soldiers at war, or to have an exhibition that asks us to empathize with refugees while not criticizing the arms industry. If empathy is emphasized in the face of the human suffering of war, but that empathy is limited to selective empathy. In that sense, we can only evaluate that the idea of peace in a war museum such as the Imperial War Museum has both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 KCI등재

        ‘산업혁명의 요람’ 아이언브리지 세계유산의 박물관화에 관한 연구

        염운옥(Woonok Yeom) 역사비평사 2022 역사비평 Vol.- No.141

        This paper analyses the heritagization process focusing on the case of the Ironbridge and the Blists Hill Victorian Town in the Ironbridge World Heritage sites. The Ironbridge gorge area was transformed from industrial ruins into ‘the cradle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the process of the museumification. The Industrial Archaeology brought up in 1959 raised the necessity of excavation and preservation of industrial ruins. The development of Telford New Town project was the direct moment of the establishment of the Ironbridge Gorge Museum Trust. Then the Ironbridge Gorge Museum Trust which runs 10 museums became the main actor of industrial heritage management. As a palimsest process, new meanings were added to industrial heritage. In the first stage of industrial heritagization, elite innovator who made ‘the first’ was praised. However, new attention on tension between elite and masses and memory politics emerged recently. The restoration of history of coracle is the example. The Blists Hill Victorian Town raises the issue of authenticity of industrial heritage. As a fake town, the Blists Hill Victorian Town is not the case of nostalgic commercialization of the past but the public history space which provides the immersion to visitors and meditates history and masses.

      • KCI우수등재

        [영국] 안정 속의 성장과 모색 : 2013~2014년 영국사 연구동향

        염운옥(Yeom, Woonok) 역사학회 2015 역사학보 Vol.0 No.227

        During the period from 2013 to 2014, eight books and ninety eight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about British history in the Korean academic circle. It would be that the British historians have produced almost ninety articles every two year since 2007. That is not a small volume of academic research. It means that British historiography in Korea has been placed on a stable foundation. As European history is no more ‘universal’ history than British history, it can be taken as a model of modernization. British studies have drawn more and more interests as Korean scholars have been being liberated from the obsession of modernity. Generally British history studies show ‘a growth in stability’ last two years. Besides conventional research areas such as political, social, cultural, imperial history, new fields such as transnational, migration, racism come to rise and several historians publish high quality empirical studies during this period. Since 2006 the Korean Society of British History has held communication with Japanese British historians. Through the exchange with Japanese scholars the Society tries to read the British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East Asia. However, the Korean scholarship confronts a structural problem. That is the reproduction of future generation historians. The number of new scholars who finish their doctorial degree in British Studies decrease compared to that of French history or American history, Russian history. For the future academic continuation of British history, this will be a major challenge to tackle with.

      • KCI등재

        리버풀 국제노예제박물관의 전시내러티브 -노예제 역사의 기억문화 만들기-

        염운옥 ( Woonok Yeom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6 사총 Vol.88 No.-

        이 논문은 두 차례 리버풀 현지 방문조사를 수행한 결과물로서, 국제노예제박물관의 전시내러티브를 분석했다. 국제노예제박물관은 2007년 8월 23일 리버풀 머지사이드 앨버트독에 개관한 신설 박물관이다. 앨버트독은 1980년대 문화유산산업 개발의 대표적인 성공사례였다. 국제노예제박물관은 노예제 역사와 유산, 노예제 과거사 극복이 영국 사회에서 공적 담론으로 부상하게 되는 정의로운 전환을 이끌어낸 주역인 동시에 그 결과이기도 하다. 1994년 대서양노예제전시실에서 발전한 국제노예제박물관은 해양박물관 3층에 위치하고 있다. 국제노예제박물관은 세 개의 주전시실 전시를 통해 노예제 폐지의 역사에 주목해왔던 기존의 노예제 인식을 극복하고 노예제 자체의 역사에 주목하는 전시내러티브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노예를 수동적 존재로 재현하던 기존 이미지에서 탈피해 능동적으로 자유와 해방을 쟁취하려 노력한 존재로 보는 등 재현의 문법을 바꾸는데 공헌했다. 하지만 노예선 브룩스와 같은 백인 노예제폐지운동 진영에서 발명한 스테레오타입적인 이미지를 반복하고, 심지어 상업적 목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면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국제노예제박물관의 전시내러티브는 노예제 역사를 충실하게 재현하고 노예제 역사의 전체상을 보여주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국제노예제박물관’이지 ‘노예제역사박물관’은 아닌 것이다. This study analyses the Exhibition Narrative of the International Slavery Museum. The Museum newly opened in August 23, 2007 at Albert Dock, Merseyside, Liverpool. The refurbishment of Albert Dock was the typical case of Heritage Industry development in 1980s. The Museum is located in the 3rd floor of the National Merseyside Maritime Museum. In 1994, the Transatlantic Slavery Gallery started in the Maritime Museum and expanded into the International Slavery Museum in 2007. The three main galleries of Slavery Museum focuses on the history of slave trade not on the history of white abolitionism. Through the exhibition of the museum, slavery history and legacy included in the public discourse of British society. The Exhibition Narrative of the Museum shows the agency and resistance of Enslaved Africans and tries to overcome the victimization of slave. However the project of out of victimization is only partly successful because the controversial slave ship Brookes image still exists in the Museum. Furthermore, the case of commercialization and consumerism is found in the Museum shop. Consequently the International Slavery Museum does not represent the totality of the History of Slavery.

      • 영국의 우생학 운동과 섹슈얼리티 : 성병의 관리에서 결혼전 건강진단 계획까지

        염운옥 ( Yeom Woonok ) 한국여성사학회 2004 여성과 역사 Vol.- No.1

        In 1883 Francis Galton invented the term `eugenics` which means racial improvement through selective breeding. The discourses of national efficiency, race-degeneration and eugenics were flourished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when british empire began to decline. With the foundation of the Eugenics Laboratory and the Eugenics Education Society in 1904 and 1907, the british eugenics movement started and interfered in several reforms, such as divorce law reform, family endowment, birth control and population policy. Although venereal diseases, such as syphilis is not a hereditary diseas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health of mother and child. From the early years, the Eugenics Society proposed that sex education should be done at home and school in order to prevent venereal diseases. In 1930s the Society propelled `the Premarital Health Schedule` which required the engaged couples to exchange the certificate of health before marriage. This paper argu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rol of sexuality and eugenics through analysing the activities of `the National Council for Combating Venereal Diseases`, `the British Social Hygiene Council` and the Eugenics Society. The Eugenists regarded the prevention and cure of congenital syphilis as a eugenic problem because it provoke mental defective, mental disorder, blind and deaf. When they confronted mental deficiency, the eugenists stressed the necessity of taking into consideration not only hereditary factor but also environmental factor. The protection of mother`s body which constitute the environment for fetus could be the important task for preventive eugenics. Congenital syphilis is also related to the economy of welfare. Considering the expenses for care of the disabled, it would be better to prevent their birth. `The National Council for Combating Venereal Diseases` and `the British Social Hygiene Council` shared the same premises with eugenics. Free love, free sexuality and the reproduction of `excellent` illegitimate children were not true for the british eugenics. The Eugenics Society and other related societies for combating against venereal diseases made an effort for the elevation of the quality of further generation through sex education and marriage counselling. Consequently, the british eugenics movement attempted to control the sexuality for the stabilization of monogamy as a social institu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영국의 도시사연구와 도시학 연구소의 학문적·사회적 역할

        염운옥(Yeom, Woonok)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0 인천학연구 Vol.12 No.-

        본 논문에서 ‘런던 메트로폴리탄대학 도시연구소(, 이하 도시연구소)’를 중심으로 연구소가 ‘생산’하는 도시에 관한 지식이 어떻게 런던의 현재를 반영하며 미래를 진단하고 있는지 분석했다. 도시연구소는 인류학, 건축, 도시 디자인, 미디어 디자인, 지리학, 주거와 재개발 연구, 사회정책, 도시 사회학, 도시계획과 교통계획, 도시유산과 관광, 지방경제 개발 연구, 커뮤니티 개발, 문화연구 등 학계와 관련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학문융합적(multi-disciplinary) 프로젝트팀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특히 돋보이는 연구는 런던 이스트엔드의 두 개 다문화지구, 브릭레인(Brick Lane, Spitalfields, London Borough Tower Hamlets)과 그린스트리트(Green Street, West Ham, London Borough Newham)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인종적 소수자와 도시 공간을 연결한 것이다. 1990년대 ‘도시 재생’ 프로젝트의 일환인 도심 재개발로 ‘뱅글러타운(Banglatown)’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브릭레인은 1990년대 재개발을 통해 인도식당가로 변모했고, 그린스트리트는 아시아계 쇼핑객을 위한 패션타운으로 변신했다.??장소마켓팅에 의한 재개발을 채택한 브릭레인과 그린스트리트의 재개발 사례는 밝은 면과 동시에 어두운 면을 낳았다. 즉 장소의 소비지로서 재이미지화를 초래했고, 지대상승으로 인한 소기업과 저소득 세입자 추방, 저임금 산업에 인종적 소수자를 고정시키는 효과 등으로 인해 오히려 인종적?계급적 갈등을 조장하고 심화시킬 소지를 안고 있다. 인종적 소수자의 문화가 다문화 소비주의의 대상이 되고 타자화되는 현상을 이스트엔드 재개발에서 목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시연구소의 이러한 연구 성과는 구식민지로부터의 이민을 포용하고 공존해야 하는 탈식민사회 영국에서 다문화주의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This paper aims to describe how the knowledge produced by the Cities Institute, London Metropolitan University reflected the past and present of metropolis London and showed a vision of London's future. The Cities Institute runs several multi-disciplinary project teams which constitute of experts on anthropology, architecture, urban design, media design, geology, housing and redevelopment studies, social policy, urban sociology, urban and transport planning, urban heritage and tourism, community development, cultural studies etc. Especially this paper focuses on the critical analysis upon 'urban renaissance' project of two East End multicultural districts, Brick Lane, Spitalfields, London Borough Tower Hamlets and Green Street, West Ham, London Borough Newham. After the urban renewal in 1990s supported by British government, Brick Lane so called 'Banglatown' was transformed into the street of Indian and Pakistan restaurants and Green street was changed into fashion street for Asian visitors. The case of Brick Lane and Green street which adopted the 'place marketing' has bright and dark sides. As the rent has risen, small businesses and lower class rentiers displaced and ethnic and class conflict deepened. The culture of ethnic minority became the object of multicultural consumerism. The activities and researches of the Cities Institute help to understand and criticise multiculturalism in post colonial Britain.

      • KCI등재

        비평논문 : 식민지 폭력 피해와 배상 -케냐 마우마우의 사례-

        염운옥 ( Woonok Yeom ) 영국사학회 2015 영국연구 Vol.34 No.-

        영국은 2013년 6월 케냐 식민통치 시기 영국 식민정부가 케냐인의 무장독립투쟁인 마우마우 운동을 진압하면서 저지른 고문과 가혹행위를 처음으로 인정하고 5,228명의 피해자에게 각각 2,600 파운드의 배상금 지급을 약속했다. 영국의 사죄와 배상을 끌어낼 수 있었던 배경에는 므디쿠 무튀와 무투아(Mdiku Mutwiwa Mutua) 외 4명의 피해자가 제기한 재판과정에서 새로운 사실들이 밝혀진 공이 컸다. 케냐가 1963년에 독립한 후 약 50년 만에, 네 명의 케냐인들의 증언과 고발을 통해 영제국은 심판대에 올랐다. 법정에서는 1952-1960년 케냐에서 영국이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벌인 반(反)폭동활동과 수용소 운영이 개인적 일탈이 아니라 체계적이고 계산된 국가적 대응, 국가폭력이었다는 점을 입증했다. 재판 과정에서 또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사실은 역사가들의 공헌이다. 마우마우 운동에 관한 역사연구의 성과가 개인배상 소송인의 주장을 입증하는데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식민통치시기에 고문 피해에 대한 개인배상에 합의한 첫 사례이다. 마우마우 재판은 정의의 회복을 향해 한 걸음을 내딛는 과정이었을 뿐만 아니라 영제국사를 다시 쓰지 않을 수 없게 만든 사건이었다. Britain acknowledged for the first time that the elderly Kikuyu and other Kenyans had been subjected to torture and other horrific abuses at the hands of the colonial administration during the Mau Mau emergency. The British government expressed "sincere regret" that these abuses had taken place and announced payments of ξ2,600 to each of 5,228 claimants. In the process of the suit issued by 4 Kenyans unequivocal evidences of torture and abuses were revealed and that forced to the government acknowledge brutalities in colonial Kenya. The anti-Mau Mau campaigns and organization of camp were the calculated and systematic activities of colonial government from 1952 to 1960. One of the remarkable things in the litigation was the contribution of historians who researched on colonial Kenya and the Mau Mau. The Mau Mau verdict was the first case of the compensation to the victims of torture under colonial rule. The case should be the first one step towards restoration of jus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