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도시 지역에서 3.1운동의 전개와 특징

        염복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9 民族文化硏究 Vol.84 No.-

        This paper analyzes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rch First Movement in 1919 in urban areas, based on the database built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The database classified as the urban areas in colonial Korea as of 1919, a composition of the twelve boos (府, administrative cities designated by the colonial government), the 23 designated myeons (面, lager townships), and some of the non-designated myeons of a relatively large population, many of them located with railway stations. This paper looks into the categories of the database, including the basic types of the protests, the degrees of violence, the types of participants, the media used in rallies, the temporal developments of the protests, and their usual time-slots of the day.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of protests in the cities are students strikes and other activities, mostly done by not-organized individuals. It reflects the fact that most schools were located in colonial cities. As for the degrees of violence in the independent protests, most of the protesters favored non-violent chanting “manse,” a slogan calling for independence to the Government-General, both in urban and rural areas. However, in the cities, damage to property had higher percentages compared to the rural areas, which showed property worth damaging concentrated in urban areas. Participants were mostly composed of Christians, followers of Cheondogyo, a Korean religion, students and farmers across the nation. While Christians participated in similar percentages, regardless of rural or urban areas, students had a greater presence in the city rallies and members of Cheondoist and farmers in non-city areas. Three major media of the March 1 Movement were banners, flyers, and slogans. While banners were favored evenly both in rural and urban rallies, city protesters preferred flyers and their non-city counterparts more heavily depended on chanting slogans. It showed the letter-based network and verbal network co-existed in different spatial zones in colonial Korea. As for the temporal development of rallies, in most cities, they surged in early March, slowed in mid-March, resurged later in the month, and subsided in April. On the other hand, in rural areas, demonstrations gradually gathered momentum all through March, reached a peak in early April and abated from mid-April. In overall, the nation-wide protests started in the cities and gradually spread out into neighboring non-city areas. Whereas the time-slots of rallies were similar in cities or non-cities, in cities, more protests occurred in the afternoon, and in rural areas, they happened slightly darker hours than in the cities. That showed a difference in rhythm of life between cities and non-cities. This analysis is a quantitative one based on the big data and can be used as a basis for further qualitative studies in the future. 이 논문은 국사편찬위원회 삼일운동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도시 지역에서 3.1운동의 전개과정과 특징을 살펴본 연구이다. 먼저 1919년 당시 식민지권력이 행정적 도시로 지정한 12개 府와 23개 指定面, 그리고 인구가 상대적으로 많고 철도역이 입지한 일부 보통면을 도시로 설정했다. 다음으로 삼일운동데이터베이스의 분류에 따라 3.1운동의 기본 유형, 행동 양상, 주체, 매체, 운동 발발의 시점, 시간대를 살펴보았다. 기본 유형에서 도시의 특징은 학생의 운동인 휴학휴교와 개인적 투쟁이 대부분인 기타활동의 비중이 높다는 점이다. 여기에서 학교가 있는 곳이 곧 도시임을 알 수 있다. 행동 양상은 도시, 비도시를 막론하고 만세가 주류였다. 그런데 도시는 비도시에 비고른 비중인 반면 도시에서는 학생, 비도시에서는 천도교도, 농민의 비중이 확연히 높았다. 깃발, 문서, 구호는 3.1운동의 3대 매체였다. 그런데 깃발은 도시, 비도시를 막론하고 고른 비중인 반면 도시에서는 문서, 비도시에서는 구호의 비중이 확연히 높았다. 이는 당시 조선에서 문자 네트워크와 음성 네트워크가 서로 구분되는 공간에서 기동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운동 발발의 시점을 보면 도시에서는 3월 초순에 급상승, 중순에 하강, 하순에 재상승, 4월 들어 지속적 하강의 곡선을 그린다. 반면 비도시에서는 3월 내내 서서히 상승, 4월 초순 절정, 중순부터 급하강의 곡선을 그린다. 이는 도시에서 시작된 3.1운동이 점차 인근 비도시로 확산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운동 발발의 시간대는 도시와 비도시가 비슷하다. 그러나 도시는 오후의 비중이 조금 높으며, 비도시는 야간의 비중이 조금 높다. 이는 두 지역 간의 생활 리듬의 차이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은 분석은 빅데이터에 기반한 운동의 ‘양적 분석’이다. 추후 이를 기반으로 ‘질적 분석’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 KCI등재

        1960-2000년대 광화문 공간의 재구축에서 ‘전통과 현대’

        염복규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3

        이 논문은 2022년 7월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의 완료에 즈음하여 1960년대 이래 ‘광화문 공간’의 역사적 변천을 살펴본 것이다. 1960-2000년대 광화문 공간의 변형의 저류에는 ‘전통의 복원’과 ‘현대의 질주’라는 상반된 욕망이 다양하게 뒤얽혀 있었다. 이는 크게 두 단계로 나뉘어진다. 1960-70년대 박정희 정부의 발전국가는 중앙청 복구를 시작으로 광화문 공간을 전통의 동원과 현대의 건설이라는 두 축의 상징정치의 전시장으로 만들었다. 이순신동상 건립, 광화문 중건이전자라면 광화문지하도 건설, 세종로 확장은 후자에 해당한다. 1980-2000년대 민주화 이행과 선진국 진입의 국면을 거치며 광화문 공간에서는 전통과 현대의 균열이 일어나고그를 봉합하기 위한 시도가 계속되었다. 경복궁 복원, 구 조선총독부 건설 철거, 광화문 목조 복원, 광화문광장의건설 등이 그것이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완성된 광화문광장은 서로 다른 여러 역사적 상징성이 중첩된 복합적인 역사 공간이라고할 수 있다. 앞으로 광화문광장은 이런 다양한 역사적 흔적을 미래로 전달하는 매개체가 되어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제하 도시지역정치의 구도와 양상 -1920년대 京城 市區改修 이관과 수익세 제정 논란의 사례 분석-

        염복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7

        이 글은 식민지 도시지역정치의 한 사례로서 1920년대 경성시구개수의 이관과 수익세 제정 논란을 검토한 것이다. 원래 시구개수는 1910년대 총독부의 사업으로 시작되었다. 그런데 1920년대 들어 사업의 진척이 부진하자 경성부가 시구개수를 시행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했다. 그리고 그를 위한 유력한 재원으로 수익세 제정이 논의되었다. 그런데 수익세라는 거액의 준조세를 새롭게 제정하는 문제는 총독부, 경성부, 재경성 일본인 유력자, 조선인 친일유력자 등 여러 주체 간의 다면적인 갈등을 불러일으켰다. 수익세 징수가 민족별 손익이 분명한 사안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갈등은 지방제도 개정으로 도시에서 지역 개발 현안에 대한 여론이 조성되는 장이 일정하게 열린 ‘1920년대 문화통치’의 조건에서 이전과 달리 표면화되었다. 경성부와 재경성 일본인 유력자들은 수익세 제정에 적극적이었다. 그에 반해 조선인 친일유력자들은 수익세 제정에 격렬하게 반대했다. 이에 대한 조선인의 반대 여론이 높았기 때문이다. 조선인 친일유력자들은 물론 식민지권력의 협력자였다. 하지만 그들의 지역정치 활동의 기반은 조선인의 여론이었다. 또한 재정적 부담이 큰 경성의 도시 개발 사업에 부정적이었던 총독부 수뇌부도 수익세 제정에 반대했다. 이 점도 조선인 친일유력자들의 활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대립 과정에서 경성부는 시구개수의 이관을 성공시키기 위해 시구개수의 규모와 수익세의 적용 범위를 재고하는 등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였다. 이는 경성부라는 지역 단위 식민지권력의 구상이 총독부라는 더 상위의 권력, 그리고 지역의 일본인ㆍ조선인 유력자들의 정치적 기동과 부딪치면서 조정되어 나가는 ‘지역정치의 과정’이었다. 그러나 복합적 과정을 거쳐 도달한 ‘합의’는 총독부의 기준에 의해 간단하게 무효화되었다. 이 점은 식민지 지역정치의 근원적 한계를 지시해 준다. This article analyses the argument on transfer of control of the Kyungseong City Street Improvement project and taxation on its beneficiaries, as an example of colonial urban politics. As the project of enhancement of the colonial capital, initia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in the 1910’s, was delayed in the 1920’s, some argued that the project should be transferred to the Kyungseong City Government, with funds financed by taxing the beneficiaries from the project. However, establishing a new quasi-tax, which would collect a large sums of money, provoked multi-pronged disputes among the Government General, Kyungseong City Government, influential figures of Japanese immigrant community and their Korean counterparts of pro-Japanese inclination, for the new tax would cause a clear loss and gain for different national groups. The dispute was able to surface due to the so-called “Cultural Government” of the 1920’s, when public opinions on issues of developing regions could be exchanged more openly through the revision of the regional systems. The colonial capital government and Japanese colonial leaders in Kyungseong community welcomed the new taxation, while Korean pro-colonialist men of influence vehemently opposed it, voicing fellow Korean people’s interest. They, of course, were partners of colonial government in general, but couldn’t afford to ignore their compatriots’ opinion, which formed the basis for their local political activities. One of the factors was that the Government General also had a negative view on it, apprehending financial burden the city development projects would incur. Among the disputes, the Kyungseong City Government revised the scale of the project and the scope of assessment of taxation in order to successfully take up the control of it. The process can be viewed as an example of local politics, where opinions of local leaders of Japanese and Korean communities collided and attempted to find an agreement. However, the “agreement” met through the complex process involving a number of interested parties was simply nullified by the standard set by the Government General, which showed an ultimate limitation in colonial urban poli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