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래사회를 대비한 대학교양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요구 분석 : D대학교를 중심으로

        연혜민(Yeon, Hye-m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사회를 대비한 교양교육의 운영과 내용 및 방법에 대한 대학생의 요구를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37명의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SNS 조사를 통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중응답을 분석한 결과, 미래사회를 대비한 교양교육 운영으로 가장 많이 답변한 내용은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 필요한 사항은 흥미 있는 강의내용으로 나타났고, 새로운 교양 교과목 개설시 운영방식은 직접 체험하고 경험하는 실질적 지식 습득으로 나타났다. 미래사회를 대비한 교양교육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요구로 새로운 교양 교과목 개설 시 수강하고 싶은 과정으로는 리더십 및 자기 관리 역량 습득을 가장 많이 답변하였고, 영역별 교과교육에서 원하는 교수방법은 기초교육영역, 교양교육영역 모두 강의식을 답변하였으나, 소양교육영역은 실험실습 중심을 가장 많이 답변하였다. 향후 교양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모습으로는 시대적 변화를 고려하여 최신의 내용을 반영하는 교과목 구성을 가장 많이 답변하였다. 본 연구는 교양교육 교과를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의 요구를 구체적으로 조사하여 미래사회의 변화에 적응하며 대처할 수 있는 구성원으로 그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대학의 교양교육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할 지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미래사회를 대비한 교양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데 기초자료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ollege students’ needs regarding content and management of liberal education to prepare for future societ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037 college students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s. An analysis of the multiple responses showed that the most answered reply regarding the liberal education for future society was “interesting lecture content.” The most answered reply regarding the wanted education style was “practical knowledge learning based on actual experiences.” In terms of the need for the liberal education content and instruction method, the lectures regarding leadership and self-management ability were required the most. In terms of the curriculum by area, the most wanted instruction method in the basic education and the liberal education areas was lecture-centered method. Meanwhile, with regard to the most wanted instruction method in courtesy education, hands-on training was answered the most. With regard to the directional point of the liberal education, the most answered reply was “composition of courses that reflect the latest content referring period chang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what roles liberal education should take to develop students’ ability to cope with changing future society based on detailed research on the needs of college students taking liberal lecture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basic material for the construction of liberal education systems for future society.

      • 코로나19 상황에서 유아교육과 학생의 교육만족도 분석 연구

        연혜민(Yeon, Hye Min)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20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유아교육과 학생의 교육만족도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소재 T대학 유아교육과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코로나19 상황에서 유아교육과 학생의 전공교육과정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둘째, 코로나19 상황에서 유아교육과 학생의 비교과프로그램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이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첫째, 학과전공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4.21이며, 만족도가 가장 낮은 항목은 차시별 학습량의 적절성이었고, 제안하고 싶거나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과제가 많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전공수업에서 선호하는 수업형태는 강의식수업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비교과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3.99이었고, 만족도가 가장 낮은 항목은 취ㆍ창업의 도움정도와 학교사이트의 정보 제공 부분이었다. 제안하고 싶거나 개선되어야 할 사항은 다양한 프로그램이 많았으면 한다는 의견이었다. 본 연구결과의 의의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병행되는 대학 교육환경에 대한 유아교육과 학생의 반응을 분석하여 이를 참고로 앞으로 변화되는 학습상황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교육 콘텐츠와 환경을 구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Children Education majored students satisfaction on education in COVID-19 outbreak. For this analysis, the online questionaries were conducted for 72 students in Children Education Dept. at T University located in Busan, South Korea.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like below; First, the average level of satisfaction on majoring in Children Education is 4.21, and the lowest level of satisfaction was regarding relevance of education amount for each class. The most common comment of suggestion is Reducing the amount of assignment . The most preferred major courses style is instructor-led lecture. Second, the average satisfaction level of nonsubject lectures is 3.99. The lowest level of satisfaction was regarding supports for recruiting and inception, and provided information from the university official website. The most common comment of suggestions is Providing various programs . Meaning of this study is analyzing the status of education environment which runs both of online and offline lectures due to COVID-19 outbreak and students satisfaction and responses. Therefore, this study can support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content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composition.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과 독서 태도, 독서 지도가 유아의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혜민 ( Yeon Hye-min ),현은자 ( Hyun Eun-ja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6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과 독서 태도, 독서 지도가 유아의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유아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15곳의 만 5세 유아 445명과 그의 어머니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분석은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은 어머니의 독서 태도, 어머니의 독서 지도, 유아의 읽기 태도에 전부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어머니의 독서 태도는 어머니의 독서 지도와 유아의 읽기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어머니의 독서 지도는 유아의 읽기 태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과 유아의 읽기 태도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독서태도는 정적인 간접효과를 나타냈고, 어머니의 독서 지도는 부적인 간접효과를 나타낸 반면 어머니의 독서 태도와 어머니의 독서 지도를 함께 살펴볼 때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유아의 성별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어머니의 독서 태도, 어머니의 독서 지도와 유아의 읽기 태도 간의 구조 관계는 차이가 없었다. This research study will structurally analyze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as well as that of her reading attitude and her reading guide on a young child`s attitude towards reading. And it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young children`s groups by genders. This research has targeted 445 children of age five from 15 preschool institute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and their mothers as subject of study. Research analysis was done on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method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factors in effect. Research result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self-efficacy of a mother had a static effect on all aspects of mother`s reading attitude, her reading guide and reading attitude of her young child. Also, mother`s reading attitude had a static effect on her reading guide and reading attitude of her young child. However, mother`s reading guide had a negative effect on child`s reading attitude. Second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and child`s reading attitude, mother`s reading attitude showed a static, indirect effect whereas mother`s reading guide showed negative, direct effect. However, no mediating effect showed up in screening the whole reading attitude and reading guide of the mother. Thirdly, no difference in structure relation by genders was found among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her reading attitude, her reading guide and reading attitude of the young child.

      • KCI등재

        24주간의 복합무용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신체구성, 등속성근기능 및 PAPS에 미치는 영향

        연혜민 ( Hyemin Yeon ),윤기혁 ( Kihyok Youn ),방현석 ( Hyunseok Bang ) 한국무용과학회 2020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7 No.4

        본 연구는 24주간의 복합무용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신체구성, 등속성근기능, PAPS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지역아동센터의 17명 아동들은 복합무용프그램집단 9명, 대조집단 8명으로 구분하였다. 복합무용프로그램은 총 24주간 실시하였으며, 1-6주는 35분, 7-12주는 40분, 13-18주는 45분, 19-24주는 50분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α=.05로 하였다. 연구결과 신장은 두 집단 모두 6개월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체중은 대조집단에서만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BMI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지만, 등속성근기능과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은 복합무용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이 의미있는 증가를 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전에 비하여 12주후와 24주후에서 모두 의미있는 증가를 보인점으로 미루어볼 때 본 연구 복합무용프로그램은 장기간 지속될수록 신체전반적인 체력의 증가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신체적·정신적 특성이 고려된 본 연구의 복합무용프로그램은 아동의 근 기능 및 건강체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요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4 week complex danc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an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PAPS) in children at local children`s centers. 17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complex dance program group of 9 and comparison group of 8. Complex dance program was conducted for 24 week and it was practiced for 35 minutes from the 1st to the 6th week, 40 minutes from the 7th to the 12th week, 45 minutes from the 13th to the 18th week, and 50 minutes from the 19th to the 24th week.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significant difference was .05. Height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and weight was increased only in comparison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MI but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muscle endurance, cardiovascular endurance, and flexibil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mplex dance program group showing significant increase after 12 weeks and 24 weeks. These result derive a conclusion that complex dance program can be a training method to educe motor skills as it is practice longer. These result shows that complex dance program considering physical and mental characteristic of children at local children`s centers can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therapy for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muscular function and physical strength.

      • KCI등재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그림책과 활동내용 분석

        연혜민(Hyemin Yeon),최경(Kyoung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영ㆍ유아를 대상으로 한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그림책과 활동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사례집에 수록된 그림책 244권과 활동들이다. 연구결과, 첫째,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그림책 유형은 전체적으로는 판타지그림책이 가장 많았으나, 연령별로 살펴보면 6-18개월 영아는 놀이책, 19-35개월 영아는 정보그림책, 36개월-취학 전 유아는 판타지그림책이 많았다. 둘째, 그림책의 내용은 전체적으로 자연탐구, 사회관계, 예술경험의 순서로 많았고 연령별로는 전 연령 모두에서 자연탐구 내용이 가장 많았으나, 그 이외의 내용에서는 연령마다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그림책을 활용한 활동내용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그리고 연령별로 모두 미술 활동이 가장 많았으나, 그 이외의 활동내용에서는 연령마다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북스타트 프로그램이 영ㆍ유아의 발달특성에 적합한 그림책을 선택하였으나, 그림책의 내용과 활동내용의 연관성이 긴밀하지 못하였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후 북스타트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진행하는 교육자들에게 효과적인 그림책의 선택과 활동에 대한 정보와 근거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picture books and activity contents of Book Start Program targeting infants and preschooler. Target objects were 244 picture books with their activities contained on casebook of Book Start Program. First, the study outcome showed that the most type of its picture books in general was fantasy, while, by ages, play books for those in 6~18 months, information books for those in 19~35 months, and fantasy books for those in 36 months~before going to school were the most. Second, contents of the picture books showed the most order of nature exploration, social relationship, art experience, while by ages, contents on nature exploration were the most in all ages, while social relationship and art experie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s. Third, the outcome of activity contents utilizing the books showed drawing activities were the most, while activities other than draw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s. This result shows that they chose a picture book suitable for the develop5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infants and preschoolers, but that the contents of the picture book were not closely associated with the activities. The outcome of this study lies in offering information and basis on ways to choose effective picture books and their activities to those planning and running Book Start Program in the future.

      •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근무환경이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연혜민(Hye Min Yeon),박소윤(So Yun Park)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3 사회융합연구 Vol.7 No.5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근무환경이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19년 6월 20일부터 7월 5일까지 부산과 경남 지역에 소재한 영유아교육기관에 재직중인 영유아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민감성은 직무만족도 중 업무부담을 제외하고,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며, 근무환경은 하위요인 모두 민감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근무환경은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직무만족도가 28%, 근무환경이 2%의 설명력을 가져 전체 30%의 설명력을 가졌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민감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키고, 쾌적한 근무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searching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working environment on sensitivity. From June to July, 2019, the 329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Busan and Gyeongnam, South Korea,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by-ste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SPSS 23.0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ensitivities have a positive relation with the job satisfaction excluding work loads. The working environment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ensitivity in all sub-factors.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working environment affect the sensitivity. In terms of explanation power, it was shown total 30% including 28% for the job satisfaction and 2% for the working environment. Therefore, it is required to enhance the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ovide a proper working environment to increase the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온실의 미기후 및 근권 데이터 활용을 위한 R 웹 애플리케이션 연구

        정지민 ( Jimin Jung ),혜민 ( Hye-min Noh ),효진 ( Hyojin Yeon ),김태영 ( Taeyoung Kim ),이지현 ( Jihyun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8 No.2

        농업에 IC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팜은 단순한 생육 환경 모니터링에서 벗어나 작물 생육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발견하고 인공지능에 기반한 자율제어가 가능한 농업으로 나아가고 있다. 자율제어가 가능한 농업의 시작은 최적의 작물 생육 환경을 아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수집된 데이터들의 품질을 검증하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작물 생육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유용한 정보를 도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들이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작물 생장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프로토타이핑 결과를 기술한다. 이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들을 입력하고 원하는 분석을 요청하게 되고, 서버는 사용자의 요청과 관련된 R 스크립트를 실행하고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 KCI등재

        증강현실기술과 로봇을 적용한 동극활동유형에 대한 유아의 사용자 경험

        현은자(Eunja Hyun),연혜민(Hyemin Yeon),최경(Kyoung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동극활동, 증강현실기술과 로봇을 적용한 동극활동, 증강현실기술과 로봇을 적용한 창의적 동극활동을 실시하고 유아의 사용자 경험 반응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6주 동안 3편의 동화를 감상한 후, 각각 동화에 대한 세 가지 동극활동을 차례대로 진행하였다. 이후 모든 동극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유아가 가장 흥미로워했던 동극활동은 증강현실기술과 로봇을 적용한 창의적 동극활동인 반면, 가장 흥미 없었던 동극활동은 일반 동극활동이었다. 둘째, 유아가 가장 쉽다고 답한 동극활동은 증강현실기술과 로봇을 적용한 동극활동인 반면, 가장 어렵게 인식했던 동극활동은 증강현실기술과 로봇을 적용한 창의적 동극활동이라고 하였다. 셋째, 증강현실기술과 로봇을 적용한 동극활동에 대해 모든 유아가 기술은 어렵지 않다고 답변하였고, 증강현실기술의 효과, 로봇의 역할 모두 정확하게 인식하여 답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성격과 방향에 대한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user experience on three types of dramatic activity: traditional dramatic activities, dramatic activities relying on robot projector based augmented reality and creative dramatic activities relying on robot projector based augmented reality. Participants were 20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D kindergarten, in Seoul, Korea. They read 3 picture books, then did 3 types of dramatic activities in order.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in each activity then they took a role as actors and audiences in order. After all dramatic activities had been done, participants had been interviewed regarding to user experi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interesting dramatic activity for young children was creative dramatic activities relying on robot projector based augmented reality. On the other hand, the least interesting activity was traditional dramatic activities. Second, They answered it the easiest one for them the dramatic activities relying on robot projector based augmented reality, whereas the hardest one was the creative dramatic activities relying on robot projector based augmented reality. Thirdly, all the participants answered that it was not hard for them to use the technology embedded in dramatic activities relying on robot projector based augmented reality. They acknowledged the effects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the role of robot as well.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suggest the feasibility of new technology promoting young childrens digital literacy.

      • KCI등재

        증강현실 그림책의 읽기방법에 따른 유아의 반응 비교

        현은자 ( Eun Ja Hyun ),연혜민 ( Hye Min Yeon ),최경 ( Kyoung Choi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증강현실 그림책을 일반 종이그림책처럼 읽는 방법과 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하여 읽는 방식에 따라 유아의 반응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34명을 17명씩 각각 두 집단에 무선 배정하고 한 집단은 일반 그림책처럼 읽게 하고 다른 집단은 증강 기술을 이용해서 읽도록 했다. 종속 변인으로는 책을 읽는데 소요되는 시간, 만족도, 이해도, 단어 회상능력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증강 그림책을 일반 그림책처럼 읽을 때 한 페이지 당 소요되는 시간, 한 권 전체를 읽는데 소요되는 시간 모두 증강그림책으로서 읽을 때 보다 더 많은 시간이 걸렸다. 둘째, 증강현실 그림책의 읽기방법에 따른 유아의 만족도에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증강현실 그림책보다 일반그림책처럼 읽을 때 내용 이해도가 더 높았으나 등장인물 이해도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유아의 단어회상능력은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증강현실 그림책을 유아들이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를 밝힘으로서 증강현실 그림책의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새로운 미디어를 이용한 읽기, 쓰기 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s in children`s responses to an AR picture book between two groups who read the AR picture book in two different ways respectively. Participants were 34 5-year old children who attended two classes of M kindergarten in G City, Gyeong-gi Provi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young children who read the picture book not activating AR technology spent more time reading the text and the images of the book than their counterparts. Children who read the book activating AR technology were likely to turn the pages of the book as soon as the augmented reality images appeared on the computer screen. Second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ildren`s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books between two groups. Thirdly, young children who read the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 like a normal printed picture book, were able to comprehend the story of the book better than those who read it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Final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ildren`s word recall between two groups. The most important finding was that children were likely to focus on augmented images rather than the text, not paying much attention to the story of the book. This study would provide some considerations in utilizing AR picture books in mor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ways for young children as well as a new way of literac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growing up in a new media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국내 어린이집 성학대 판례 연구

        윤기혁(KiHyok Youn),연혜민(HyeMin Yeon),방현석(HyunSeok Bang)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0 교육발전 Vol.40 No.2

        본 연구는 법원 소송에 이른 국내 어린이집의 성학대 판례의 동향과 쟁점 사항별로 심층 분석하여, 어린이집의 성학대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과 대안 마련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영유아보육법에서 어린이집 학대 예방 강화를 위한 법 개정이 이루어진 2015년 5월부터 2019년 12월 말까지 법원에서 판결된 성학대 관련 13건(1심 7건, 2심 4건, 3심 1건)의 판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첫째, 성학대 사건 중에서 법원 소송에 이른 유형은 성폭력처벌법의 13세미만 미성년자 강제추행과 아동복지법의 음행강요·매개·성희롱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학대 가해자는 보육교사, 차량기사 등이고, 법원의 판결은 징역형, 집행유예, 병과형(성폭력치료프로그램, 사회봉사 등)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성학대와 관련된 판례의 주요 쟁점사항은 고의가 없이 훈육 차원에서 발생한 성학대 판단, 피고의 무죄 주장에 대한 피해아동 진술에 대한 신빙성, 양형부당, 지적장애 등 피고인의 심신장애 판단으로 나타났다. 상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어린이집 성학대 예방을 위한 학대 예방 및 인권 교육의 지속적 강화, 성학대의 양형인자 감경요소의 재고 및 가중요소의 명확한 판시와 처벌 수위 확대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and alternatives preparation to prevent sexual abuse in daycare centers by analyzing in depth the trends and issues of sexual abuse precedents, that have reached court litigation, in daycare centers in Korea. To this end, the 13 precedents (7 at 1st trial, 4 at 2nd, and 1 at third) related to the court-determined sexual abuse were analyzed from May 2015, when the Infant Care Act was revised to strengthen the prevention of abuse at daycare centers, to the end of December 2019.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types of sexual abuse cases that resulted in court cases were forced indecent assault on minors under the age of 13 in the act on sexual crime of violence, and coercing or arranging lewd acts by coercion, and sexual abuse in the Child Welfare Act. Second, the court s ruling against them were varied including prison sentence, probation, and cumulative sentence (Sexual Violence Treatment Program, Community service, etc). The main issues of the case related to sexual abuse were the judgment of sexual abuse that occurred unintentionally in terms of discipline, the credibility of the victim s statements against the defendant s claim of innocence, improper sentencing, and the judgment of the defendant s mental and physical disabilities such as intellectual dis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it suggests the effective abuse prevention and the continuous strengthening human rights education to prevent sexual abuse at daycare centers, and the consideration of the reduction factors in sentencing of sexual abuse and the clear judgment of increasing factors and the expanding level of punish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