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은의 언양 유배가 언양지역에 끼친 영향과 그 의미

        엄형섭 포은학회 2018 포은학연구 Vol.22 No.-

        This research paper has a purpose of looking into an influence of Poeun Jeong Mong-ju’s exile to Eonyang region and investigating its meaning. There were some studies about Poeun’s exile, however, most of those were treated as a part of explaining Poeun’s life and characteristics of his literature only. This paper gives more attention to an Eonyang region, especially to a regional clan society which was influenced by Poeun’s exile to this area. At first, I proposed a new opinion that Poeun’s actual exile period was shorter than expected by existing chronologies and statement writings. Though, this is not directly concerned with this paper’s purpose, it is meaningful in the perspective of the necessity for investigating this time gap, if his exile period was shorter than what we know about. Secondly, I raised a question that if Yodo was an Poeun’sactual place of exile. In town chronicles of Ulsan which were issued from the middle of the eighteenth century to 1930’s, Bangu-dae was referred clearly and repeatedly as related place to PoEun. However, Yodo was never mentioned as related place to PoEun even though Yodo was listed on town chronicles of Ulsan. Thirdly, I investigated an influence of Poeun’s exile to Eonyang to a regional clan society. Even though Poeun’s exile period was short, his royalty of refusing to serve two kings and ethical lifestyle had become a dynamic of constructing the Bango memorial hall by members of Eonyang clan society. After the Bango memorial hall was removed, Poeun’s spirit influenced people to establishing their own life orientation by constructing a gravestone of Poeun’s great mausoleum. Lastly, I explored an influence of a Poeun’s poet which was written while his exile to Sino-Korean literature of Eonyang region. Poeun’s poet was repeatedly copied not only by scholars in the late of the Chosun Dynasty but also by a literary man and a public official no matter how they are distant from Eonyang or not. Also, his poet has influenced to a development of this region by giving birth to memorandums, prefaces, and epitaphs. Poeun’s exile to Eonyang is still influencing this area even after Eonyang had been united to Ulsan. In this point of view, it is natural and right to progress various businesses which are related to Poeun in this region. Merely, before progressing those businesses, there is a necessity for a close reconstitution. 이 글은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의 언양(彦陽) 유배가 언양지역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펴보고, 그것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지금까지 포은의 언양 유배와 그가 남긴 시에 대한 고찰이 없었던 것은 아니나 대부분 포은의 전반적 생애와 문학작품의 특징적 면모를 설명하는 과정의 일부로 다루어졌을 뿐, 포은의 언양 유배가 언양지역, 특히 지역 사족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탐색은 시도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이런 점에 유의하여 논의해 보았다. 먼저, 포은의 언양 유배 기간이 지금까지의 연보나 논저에서 파악한 것보다 짧다는 새로운 의견을 제시했다. 이는 본고의 주안점과 직접적인 연관은 적다. 그러나 만약 실제 유배 기간이 지금까지 파악된 것보다 훨씬 짧다면, 그 공백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다음, 현재 유포되고 있는, 포은의 적소가 요도였다는 점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18세기 중엽 이후 1930년대까지 발간된 울산 읍지류에 반구대는 포은과 관련된 곳으로 분명하고 꾸준하게 언급된다. 그러나 요도는 읍지의 항목에 등장하는데도 포은과의 관련성은 전혀 기록되어 있지 않다. 다음, 포은의 언양 유배가 지역사족사회에 끼친 영향을 살폈다. 잠시 머물다 간 인연이긴 하나 포은이 남긴 불사이군의 충절과 도학적 삶의 행적은 언양지역 사족이 반고서원을 건립하는 동력이 되었고, 반고서원이 훼철된 뒤에는 포은대영모비를 건립해 자신들의 삶의 지향을 설정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포은이 언양에서 지은 시 한 수가 언양지역한문학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포은의 시는 조선 후기 언양지역 사족은 물론 반고서원과 반구대를 찾는 원근의 문사와 관원들에 의해 끊임없이 차운되고, 기문과 서문, 비문을 낳게 함으로써 이 지역 한문학 발전에도 일정한 영향을 끼쳤다. 포은의 언양 유배는 언양이 울산과 통합된 현재까지도 이 지역에 여전히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런 점에서 그에 대한 다양한 사업이 지역에서 진행되는 것은 당연하고 일면 바람직한 일이다. 다만 그것에 앞서 보다 면밀한 사실의 재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후대뇌동맥 경색으로 발생한 시각 및 인지장애 환자 치험 1례

        엄형섭,정운석,서운교,강윤호,김성아,Eum, Hyung-Sup,Jung, Wun-Suk,Seo, Un-Kyo,Kang, Yoon-Ho,Kim, Sung-A 대한한방내과학회 2004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25 No.4

        The posterior cerebral arteries supply the temporal and occipital lobes of the left cerebral hemisphere and the right hemisphere. Clinical symptoms associated with occlusion of the posterior cerebral artery are visual abnormalities including opposite visual field defects, hallucination, visual amnesia and a variety of other symptoms, including confusion, cognitive disorders, thalamic syndrome, Weber's syndrome, contralateral hemplegia. This case report is about a patient with visual and cognitive abnormalities caused by posterior cerebral artery infarction. He was regarded as Soyangin(少陽人) in constitution and was treated with Yangkyuksanhoa-tang(凉膈散火湯) and other treatments. Improvement in his general symptoms was observed.

      • KCI등재

        『東南唱酬錄』硏究

        엄형섭(Eom, Hyoung Seop) 동악어문학회 2016 동악어문학 Vol.66 No.-

        이 글은 『동남창수록』에 대한 면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동남창수록』은 1808년 가을에 경주, 울산, 밀양의 문인들이 15일 동안 밀양에서 동래, 양산, 울산을 거쳐 경주까지 여행하면서 창수한 시를 모아서 엮은 시집이다. 논의 과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자료의 면모는 다음과 같다. 우선 19세기 초반에 단독으로 엮인 창수록이 흔하지 않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참여 작자는 해당 지역에서 얼마 되지 않는 대과 급제자를 비롯해 각 지역의 유력 가문에 속한 인물과 지방 관리들이다. 이를 통해 당시 이들의 행적과 교유관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들이 주로 방문한 곳은 각 문중의 재실이나 정자, 여정의 경로에 위치한 사적이었다. 이는 당시 이 지역에서 한문학이 산생된 공간과 도로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수록된 작품들은 창수시가 갖는 어쩔 수 없는 제약 아래 놓여 있었으나 다양한 창수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단조로움에서 벗어나고자 했으며, 지역의 특성으로 고찰할 만한 정서의 일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참여 작자들은 자신들이 살고 있는 지역을 ‘하나의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살필 수 있다. 그러나 이 글은 자료를 통해 지역성을 파악해보고자 했던 부분에 있어서 그리 만족할 만한 성과를 제시하지는 못했다. 차후 이 지역에서 제작된 작품들을 보다 많이 고찰함으로써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로 한다. This paper has an intention of careful consideration about 『Dongnamchang sureok』. 『Dongnamchangsureok』 is an collection of poems that compiles poems exchanged by literary people from Gyeongju, Ulsan and Milyang traveling from Milyang to Gyeongju, passing through Dongrae, Yangsan, Ulsan for 15 days in 1808, autumn. The aspect of material which can confirmed through a process of discussion is as in the following. Fisrt of all, it has the value of data in that solely compiled changsureok(唱酬錄) in the early 19th century is not common. Participatory writers are people who belongs to influential families of each religions and local governor, including unaged local successful examinee of Daegwa(大科). This makes us catch their pasts and social intercourses at that time. Where they mainly visited were houses built with used timbers of each families, pavilions and historical sites situated in the course of the travels. This provides information about space where chinese classics appeared and networks of roads of the region at the time. Although included works were under unavoidable restrictions that belongs to changsusi(唱酬詩), they meant to get away from monotony by choosing various ways in exchanging poems and represent one side of sentiment that can be considered as characteristic of area. Also, it can be catched that participatory writers recognized their residential district as ‘one place’. But, this message is not present a satisfactory product in terms of making an attempt to catch the regionality through this data. Insufficient part will complemented later on by considering much more works which are made in the region.

      • KCI등재

        竹塢 李覲吾의 시에 보이는 安分의 의미

        엄형섭(Eom, Hyoungseop)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7 동양한문학연구 Vol.48 No.-

        이 글은 조선 후기 울산 출신 문신 竹塢 李覲吾(1760-1834)의 시에 나타나는 安分이 시기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를 담고 있으며, 그것은 이근오가 지역과 문벌이란 두 가지 점에서 좌절하고 도전해 나가는 과정에서 산생된 것임을 논하고자 한 것이다. 이근오는 울산 지역 토착 가문인 학성 이씨의 후손으로 태어나 울산 최초로 대과에 급제해 중앙에서 實職을 역임했고 문집을 남겼다. 재지사족의 출현이 늦었던 울산 지역 사족의 동향과 한문학의 성취 정도를 살피기에 적절한 인물이나 지금까지 논의된 바가 없었다. 본고는 우선 이근오의 삶과 저술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했다. 현재 그의 문집에 남아 있는 시문의 수는 그다지 많지 않고, 시는 40대 이후의 작품만 수록되어 있다. 그의 시는 대체로 충담하고 화평하다는 평을 받은 바 있는 데, 이는 본고에서 그의 시에서 주목한 안분과 일맥상통한다. 그러나 이근오의 시에 나타난 안분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안분의 의미로 설명되지 않는 지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그런 경향은 낙향 전후 시기의 작품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본고는 바로 그 시기의 주요 작품을 대상으로 삼아 심도 있게 분석함으로써 안분에 담겨 있는 시인의 마음을 좌절과 도전 두 가 지로 읽어내었다. 본고는 시의 문면을 읽는 데 머물지 않고 그 속에 담긴 시인의 마음을 들여다보기 위해 ‘관건어’를 분석의 틀로 삼았고, 문집에 실린 편지글과 실록 등의 관찬 사료를 보충자료로 삼아 논지를 입증했다. 이런 방법은 이근오와 같은 시기를 살았던 당대 중앙과 벌열에 속하지 않은 많은 지역 문인들의 시를 읽어내는 데 일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aer represents that An-Bun(安分) which appear in Jug-O Lee, Keun O s Chinese poems have different meanings accroding to time and attempts to discuss that the difference is produced in the process of frustration and challenge to two things ; region and clan. Lee, Keun-O who was born into descent of Hak-Sung Lee passed Dae-Gwa(大科) for the first time in Ulsan, served as sil-jik(實職) position in central and left a colletion of works. He is a proper person to look around the trend of noble family of Ulsan where the provincial noble family s appearance was late, but haven t been discussed so far. This paper simply arrganged the life and writing of Lee, Keun O. Not many poems is remaining in his colletion of works nowadays, the poems after his forties are only included. His poems generally received a evaluation that his poem is crystal clear(沖澹) and peaceful(和平), which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An-Bun that this paper payed attention in his poems. But the An-Bun in his poem have a point that can not be explained by the common meaning of An-Bun. And the tendency appears remarkably in the work of before and after of rustication. This paper read the poet s mind as frustration and challenge by analyzing the major works of that time in depth. In additon to reading the contents of the letter, this paper makes the key words as the framework of analysis and historical records compiled by government, such as letters in collection of works and annals, as supplementary records. This method can contribute to reading many regional writers poems that are not belongs to the center and the distinguised family of the same time with Lee, Geun O.

      • KCI등재

        울산 지역 문집의 현황과 과제사적 위상

        엄형섭(Eom, Hyoung-seop)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3 No.-

        이 글은 울산 지역 출신 관료와 문인들이 남긴 문집 42종의 현황을 제시하고 그에 담긴 과제사적 위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문집 저자의 생년순으로 각 문집의 체재와 저자에 대해 소개하고 주목할 만한 시문에 대해 고찰했다. 그 결과 울산 지역의 문집의 저자의 생년별ㆍ가문별 분포, 문집의 간행 시기, 판본의 종류 등 현상적 양상을 정리할 수 있었다. 울산 지역 문집은 17세기에 들어서야 나타나며 이후 꾸준히 증가한다. 이는 17세기 이전의 울산 지역은 문집이 나올 만한 토양이 부족했다는 것을 말해주는 동시에, 그 시기에 대한 고찰을 요구한다. 이 글에서는 울산 지역문집의 출현과 증가는 무반에서 출발한 가문들이 문반으로 이행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로 보인다는 점을 논했다. 또한 울산 지역에서 문집을 낸 주요 가문, 저자의 사승과 교유 관계, 아직 발굴되지 않은 문집에 대한 탐색과 수집, 목록과 해제 작성 등의 과제를 수행하고 나면 울산 지역 문집을 통해 울산의 지역 정체성은 물론 울산이 동남ㆍ영남ㆍ전국과 어떤 관계망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위치 설정도 가능해질 것이다. 이 글을 포함한 앞으로의 과제들은 결국 울산 지역 문집의 문학적 성취를 알뜰히 살피는 것으로 마무리될 일이지만, 아직 거기까지 나아가진 못했다. 다만 그 일단을 보이기 위해 17세기와 18세기 인물의 문집에서 시 한수씩을 제시했다. 울산 지역 문인의 문학적 감성을 짐작하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s about the present and the status as a task of anthology of Ulsan region from government officials and literary people. We introduced the system and author of each anthology in birth date order of authors. Also, we investigated the remarkable poetry and prose. As a consequence, we were able to organize the phenomenal aspect such as a distribution of authors by their date of birth and branch of family, a publication date of anthology, a kind of edition and so on. Anthology of Ulsan region appears around the seventeenth century and increase constantly. It says that Ulsan region was too inadequate to produce remarkable anthology before the seventeenth century. In the same time, it requires consideration about the period. In this paper, we discussed an appearance and increase of anthology in Ulsan region is an effort of the military nobility to transit to a literary nobility. After listing and writing summary, exploring and collecting of the major family that published anthology, chronicles and social intercourse of an author and undiscovered anthology, we will be able to identify the identity of Ulsan region but als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Ulsan and southeast, Yeongnam area and whole country. Further tasks including this paper should end up with exploring literary achievement of anthology of Ulsan region which we could not reach yet. This paper introduce one poet of each authors from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y as a mere start. We hope this can help you assume the literary sensitivity of a literary person of Ulsan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