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농업인의 연령집단별 영농활동 비중 결정요인 분석

        엄진영,김선웅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9 농촌경제 Vol.42 No.4

        This study analyzed how the demographic factors, the types of households, and the economic factors of female farmers affect the participation rate of female farmers' farming activities. In particular, this paper considered the following points that were not attempted in previous studies. First, we used a repeated cross-section data to reflect changes in the participation rate of female farmers’ farming activities over time. Second, a multilevel ordered logit model using cross-classified random effects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female farmers’ farming activities by age group. The types of agricultural products, the types of households, and the sales amount of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factors. Also, our study identifi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articipation rate of female farmers' farming activities by age group. Namely, female farmers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y the participation of farming activities: 26 - 45 years old, 46 - 65 years old, and 66 - 85 years old. The result of our study suggested that a policy for each age group should be in place for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related to female farmers’ farming activities. 본 연구는 여성농업인의 연령집단별 영농활동 비중의 차이와 해당 비중의 변인을 동시에 분석하여, 여성농업인 생애주기에 따른 노동부담 경감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령집단별 영농비중 차이를 반영하고자 반복적 횡단면 자료(repeated cross-section data)를 바탕으로 교차분류임의효과(cross-classified random effects)를 고려한 위계적 모형(Hierarchical model)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농작물의 품목, 가구 형태, 농축산물 판매금액이 여성농업인의 영농활동 비중 결정에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더하여 연령집단별 영농활동 비중에 대한 분석에서는 2013년을 기준으로 25~44세의 연령집단은 영농활동 비중이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시기로, 45~64세의 연령집단은 영농활동을 집중적으로 영위하는 시기로, 65~84세의 연령집단은 영농활동 비중을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시기로 나타났다. 해당 결과는 여성농업인 관련 정책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각 연령집단별 정책 수립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코로나19와 농업 고용노동력

        엄진영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정포커스 Vol.- No.188

        • 코로나19 발생에 따른 이동 제한으로 내국인 농업 고용노동력 감소로 인한 일손 부족 체감은 농업노동 투입 집중시기인 5~6월과 9~10월에 심화될 가능성이 높음. • 코로나19로 인한 외국인 근로자 공급량은 현재 제도권을 통해 입국하는 외국인 근로자 공급 규모는 감소하고, 미등록 외국인공급 규모도 여건에 따라 다르나, 전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파악됨. • KREI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발생 후 농업인력 수급이 점차 어려울 것이라는 응답이 증가함. 특히 밭작물과 과일 · 과채 품목에서 인력 수급이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함. • 전년 동월 대비 외국인 근로자 수급 어려움 정도는 과일 · 과채, 밭작물 농가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남. • 구체적으로는 코로나19 이후 축산농가의 경우 고용허가제를 통한 외국인 근로자 고용이, 밭작물과 과일 · 과채 농가는 인력소개소 및 지인을 통한 외국인 근로자 고용이 어려웠다고 응답함. • 전년 동월 대비 3월에는 동일하게 임금을 지급한 농가가 많았으나, 4월에는 동일하게 임금을 지급하는 농가 비율이 점차 감소하였고, 밭작물의 경우 외국인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임금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 이러한 현상은 4월부터 밭작물의 정식 · 파종 · 수확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코로나19로 인한 인력 부족으로 인건비 상승이 나타났을 가능성이 높음. 특히,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인건비 상승효과가 크게 나타남. • 따라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은 다음과 같음. - 첫째, 코로나19로 인한 외국인 근로자 입국 제한 · 지연과 내국인 근로자의 이동 제약에 따른 인력 규모 감소를 완화할 수 있도록 농업부문 일자리 소개 · 알선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함. - 둘째, 코로나19로 인한 외국인 근로자 공급 규모 축소 완화를 위한 한시적 정부 정책이 마련됨. 그러나 이에 대한 농가의 인지도는 낮고,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이 미흡하여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함. - 셋째, 농작업 환경을 고려할 때, 인력 건강 및 지역사회 감염관리 측면에서는 문제가 될 개연성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함.

      • KCI등재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a Grouping Algorithm on IEEE 802.15.4 Networks with Hidden Nodes

        엄진영,안종석,이강우 한국통신학회 2014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Vol.16 No.1

        This paper proposes hidden-node aware grouping (HAG)algorithm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institute of electrical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5.4 networks when they undergoeither severe collisions or frequent interferences by hiddennod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measured collisions and interferences,HAG algorithm dynamically transforms IEEE 802.15.4protocol between a contention algorithm and a contention-limitedone. As a way to reduce the degree of contentions, it organizesnodes into some number of groups and assigns each group an exclusiveper-group time slot during which only its member nodescompete to grab the channel. To eliminate harmful disruptions byhidden nodes, especially, it identifies hidden nodes by analyzing thereceived signal powers that each node reports and then places theminto distinct groups. For load balancing, finally it flexibly adaptseach per-group time according to the periodic average collision rateof each group. This paper also extends a conventional Markov chain model ofIEEE 802.15.4 by including the deferment technique and a trafficsource to more accurately evaluate the throughput of HAG algorithmunder both saturated and unsaturated environments. Thismathematical model and corresponding simulations predict with6%discrepancy that HAG algorithm can improve the performanceof the legacy IEEE 802.15.4 protocol, for example, even by 95% ina network that contains two hidden nodes, resulting in creation ofthree groups.

      • KCI등재

        농업부문 미등록 외국인 근로자 고용실태와 과제

        엄진영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1 농촌경제 Vol.44 No.2

        In agricultural fields, unregistered foreign workers who illegally reside in Korea with illegal work status takes a larger portion than registered foreign workers. This paper conduct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urveys and analyses on the scale of unregistered foreign workers in the agricultural sector and how they are employed. It presents the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on how to improve related policies and systems. Then, it suggests measures to improve the problem of unregistered foreign worker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atistical basis for the agricultural labor force. Second, it is essential to identify the causes for the employment of unregistered foreign workers and improve the system accordingly. Third, there is a need to prepare a plan to move the organized and systemized supply channels of unregistered foreign workers to the institutional sphe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