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학교장의 분산적 지도성이 교사효능감, 교사의 수업전문성,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엄준용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敎育問題硏究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centralized leadership of schools and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the teacher's teaching expertise. Specifically, the school's decentralized leadership was examined for the impact of teachers' effectiveness, job satisfaction, and teachers' teaching expertise, and the intermediary effects of teachers' effectiveness in relation to each other's relationships were identifi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enhancing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eachers' teaching expertis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ecentralized leadership affects teacher effectiveness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and teacher effectivenes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eacher job satisfaction and teacher class expertise. Second, while decentralized leadership has a direct impact on other variables, classroom expertise has only an indirect effect that mediates teacher efficacy. Third, there was a mediation of teachers' effectiveness in relation to distributed 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teacher class expertise. 본 연구는 학교의 분산적 지도성과 교사효능감, 교사의 직무만족, 교사의 수업전문성 간의 관계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학교의 분산적 지도성이 교사효능감, 교사의 직무만족,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교사의 직무만족과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독립변인을 분산적 지도성으로, 매개변인은 교사효능감으로, 종속변인을 교사의 직무만족과 수업전문성으로 설정하고, 변수 간 구조적 관계의 규명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산적 지도성은 교사효능감과 교사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고, 교사효능감은 교사 직무만족과 교사 수업전문성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친다. 둘째, 분산적 지도성은 다른 변수들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수업전문성에는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한 간접적 영향만이 있었다. 셋째, 분산적 지도성과 교사 직무만족・교사 수업전문성의 관계 속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교현장 개선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 1인에게 집중된 권력을 분산시키고 학교 내 현안 문제들에 대해 교사들이 참여할 통로를 개방하고 참여를 보장할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교육부나 시․도교육청에서는 분산적 지도성을 단위학교에 정착시키기 위해 학교장과 교감들에 대한 연수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 내에서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제반 조치들을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 KCI등재

        DEA를 활용한 대학원의 효율성 분석

        엄준용(Uhm, Joon-Yo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1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0 No.2

        본 연구는 정보공시제에 의거하여 공개된 자료를 토대로 일반대학원의 효율성 평가에 적합한 투입 및 산출 변수를 설정하고, 이를 기초로 DEA기법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일반대학원의 효율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131개 일반대학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선행연구의 결과와 상관 및 회귀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투입변수로는 전임교원1인당학생수, 전임교원강의비율, 학생1인당장서수, 교수1인당연구비, 재학생1인당장학금 등 5개 변수를, 산출변수로는 취업률과 연구실적 등 2개 변수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에는 EMS 1.3 프로그램, Excel 2003, SPSS 15.0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전체 일반대학원의 효율성 수준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대학원의 약 54~58% 정도가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대학원의 특성 변인인 설립, 소재지, 규모에 따라 효율성 값에는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규모에 따른 효율성 점수(대규모<중규모<소규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효율적인 대학원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준거집단과 참조횟수가 높은 효율적 대학원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투입변수로는 전임교원1인당학생수와 전임교원강의담당비율이, 산출변수로는 연구실적의 기여도가 다른 변수들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효율적인 대학원의 특징과 비효율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효율성 상위 10%와 하위 10% 대학원간 투입 및 산출변수별 평균을 비교한 결과, 효율적인 대학원은 비효율적인 대학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적은 인적, 물적 자원을 투입하면서도 더 높은 취업률과 연구실적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모형에 따라 투입된 4~5개의 변수 대부분과 취업률이 비효율적인 대학원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장 효율성 점수가 낮은 대학원을 6개 선정하여, 이들 대학원의 효율성 개선을 위한 투입 및 산출변수별 목표치 및 조정비율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 efficiency of the graduate schools in Korea using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which is useful non-parametric method to evaluate the relative efficiency of a set of Decision-Making Units(DMUs) with multiple inputs and outputs. Reviewing related literatures, the concept of efficiency and the applicability of DEA were investigated thoroughly. The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in the study; ① What is the distribution between efficient and inefficient graduate schools in Korea? ② Is th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fficiency scores when analyzed by characteristics(foundation, location, and scale) of the graduate schools? ③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efficient graduate schools? ④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inefficient graduate schools, and How can the cause of inefficiency in them be improv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me similar distribution was found between efficient and inefficient graduate schools in Korea. About 54~58% of all Korean graduate school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efficiency.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fficiency scores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the graduate schools such as foundation and location,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ores depending on scale. When the scale was smaller, the score was higher. Third, efficient graduate schools showed higher outputs with smaller inputs. The most important input variables are the number of graduate student per professor and the retention rate of professor. Also, the core output variable among efficient graduate schools was the research performance. Finally, inefficient graduate schools showed lower output with bigger input in most variables. This study provided each inefficient graduate school with potential improvement and modification rate were provided. This study can provide substantial guidance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graduate schools through identifying problematic areas within the input factors. In spite of the limitation in research design, the overall results and suggestions would contribute to the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for improvement of efficiency of Korean graduate schools.

      • KCI등재

        교육정책평가 연구의 경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를 중심으로

        엄준용(Uhm, Joon-Yong),정우진(Jung, Woo-Jin),이준희(Lee, Jun-Hee)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0 敎育問題硏究 Vol.0 No.36

        본 연구는 한국교육행정학회의 학술지인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하여 교육정책평가의 연구 경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1983년(창간호)부터 2009년 12월 현재(27권 4호)까지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논문 1,021편 가운데 정책평가 관련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87편의 논문들을 선정하여 연구의 목적, 연구 주제영역 및 내용, 연구수준 및 대상, 연구방법의 측면에서 교육정책평가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목적의 측면에서는 특정정책의 진단과 개선, 특정정책의 효과나 공과의 검토 등을 목적으로 한 실증적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연구 주제영역 및 내용의 측면에서 행재정일반 영역과 학교교육을 포괄하는 영역을 주제로 정책의 진단이나 효과 및 공과, 향후과제를 검토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어 왔다. 연구 수준 및 대상의 측면에서 국가수준의 정책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의 측면에서는 문헌연구와 양적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안한 향후 정책평가연구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정책평가에 관한 기초이론의 정립이 요구된다. 둘째, 연구 주제영역 및 내용의 측면에서, 정책평가의 결과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셋째, 질적인 연구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보다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넷째, 정책평가에 대한 메타평가가 보다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trends of educational policy evaluation studies and to suggest tasks for future studies in Korea. For this purpose, 87 among 1,021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from 1983 to 2009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and analyzed as to purpose, the main subjects and contents, methodology of studies and level and object of policies,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Most studies are intended for empirical research purposes which focused on the diagnosis and improvement, the effects or the merits and demerits of specific educational policy. Secondly, the main subjects are mainly dealt with administrational and financial area of educational policies, and the contents with the diagnosis, effects or merits and demerits and tasks of educational policies Thirdly, the level and object of policies(of studies) are located on the policy programs in the National level. Fourthly, lots of studies are based on literatural studies and quantitative methods. The results suggested tasks of study for educational policy evaluation; It is necessary ① to establish the ground theory for educational policy evaluation, ② to activate studies about utilization of the result of educational policy evaluation, ③ to activate studies whice used quantitative methods and ④ to use the meta-evaluation for educational policy.

      • KCI등재

        네트워크 성능향상을 위한 시스템 호출 수준 코어 친화도

        엄준용(Junyong Uhm),조중연(Joong-Yeon Cho),진현욱(Hyun-Wook Jin) 한국정보과학회 2017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3 No.1

        기존의 운영체제는 매니코어 시스템에서 코어 수의 증가에 따른 확장성 문제를 보였다. 특히 네트워크 I/O 관점에서 코어가 많아질수록 기존의 운영체제가 가지는 캐시 일관성 비용, lock 오버헤드 등의 문제들은 네트워크 성능을 저하시키는 주된 요인이 된다. 많은 연구들이 마이크로커널과 같은 새로운 운영체제 구조를 제안하거나 커널 수준의 변경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책들은 이미 구현된 수많은 응용을 지원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커널이나 응용 수준의 변경 없이 사용자 문맥과 시스템 호출 문맥을 분리시키고 코어 친화도를 적용하여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라이브러리를 제안한다. 구현된 시스템은 Apache를 통해 네트워크 처리량을 약 30%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 Existing operating systems experience scalability issues as the number of cores increases. The network I/O performance on manycore systems is faced with the major limiting factors of cache consistency costs and locking overheads. Legacy methods resolve this issue include the new microkernel-like operating system or modification of existing kernels; however, these solutions are not fully application transparent. In this study, we proposed a library that improves the network performance by separating system call context from user context and by applying the core affinity without any kernel and application modifications.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our implementation can improve the network throughput of Apache by up to 3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