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서 요구하는 수학 관련 과학 개념의 수준 및 학생들의 인지 수준 분석: 2015 개정 교육 과정의 화학과 생물을 중심으로

        양희선,조향래,강성주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4 科學敎育硏究誌 Vol.48 No.1

        본 연구는 학생들이 과학 개념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학습을 회피하는 이유를 파악하기 위해 학생들의 인지 수준과 수학과 관련된 과학 개념이 요구하는 인지 수준을 분석했다. 먼저, 2015 개정 교육 과정의 수학 및 과학 교육 과정을 분석하여 중학교 과학 내용 중 수학과 연계된 부분의 학습 요소를 추출했으며, CAT (Curriculum Analysis Taxonomy)을 이용하여 학습 내용에서 요구되는 인지 수준을 분석했다. 화학의 경우, 수학과 관련된 총 20개의 학습 요소 중 12개가 초기 형식적 조작 수준(3A)의 이해가 필요하며, 3개가 후기 형식적 조작 수준(3B)의 이해가 필요했다. 3A와 3B에 해당하는 학습 요소들에는 비례 논리, 수리적 조작, 측정 기술에 관련된 사고 논리 유형이 많이 사용되는 것을 확인했다. 생물의 경우, 수학과 관련된 총 7개의 학습 요소 중 3개가 초기 형식적 조작 수준(3A)의 이해가 필요하며, 2개가 후기 형식적 조작 수준(3B)의 이해가 필요했다. 3A와 3B에 해당하는 생물 요소들은 상관 논리에 해당하는 학습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인지적 원인이 화학 영역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는 GALT 축소본을 통해 분석된 형식적 사고가 가능한 중학교 학생의 평균 비율이 1학년의 경우 12.1%, 2학년의 경우 16.6%, 3학년의 경우 29.3%임을 고려할 때, 학생들의 인지 수준에 비추어 수학과 연계된 화학 및 생물 학습 내용에서 요구하는 인지 수준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students' cognitive levels and the cognitive demands of mathematical concepts related to science to understand why students struggle to comprehend scientific concepts and tend to avoid learning them. Initially, the mathematics and science curricula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examined to extract learning elements related to mathematics within middle school science content. The Curriculum Analysis Taxonomy (CAT) was then employed to analyze the cognitive levels required by the learning content. In the domain of chemistry, among a total of 20 learning elements related to mathematics, 12 required an understanding at the level of initial formal manipulation (3A), while 3 necessitated comprehension at the level of later formal manipulation (3B). It was noted that cognitive logic types such as proportional reasoning, mathematical manipulation, and measurement skills were prominently employed in elements corresponding to both 3A and 3B. As for biology, out of 7 learning elements related to mathematics, 3 required an understanding at the level of initial formal manipulation (3A), and 2 necessitated comprehension at the level of later formal manipulation (3B). Elements corresponding to both 3A and 3B in biology predominantly involved correlational logic, indicating a somewhat different cognitive challenge compared to the domain of chemistry. Considering that the average percentage of middle school students capable of formal thinking, as analyzed through the GALT short form, was 12.1% for the first year, 16.6% for the second year, and 29.3% for the third year,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gnitive demands of mathematics-related chemistry and biology learning content are relatively high compared to students' cognitive levels.

      • KCI등재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at Home and Attributable Problem Behaviors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for 2012–2014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양희선,임형렬,최종혁,배상혁,김예니,권호장,하미나 대한의학회 2018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33 No.36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TS) exposure at home and associated problem behaviors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Approximately 2,167 children aged 3–18 yea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fter excluding 163 active smokers from the Korean Environmental Health Surve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012–2014). ETS data were obtained using a questionnaire; problem behaviors were measured using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dministered to par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ETS exposure and problem behavior was evaluated using a survey regression model adjusted for region, age, sex, income, and father's education. The population-attributable fraction (PAF%) was calculated based on problem behaviors related to ETS exposure at home. Results: The rates of ETS exposure at home were 20%, 28%, and 39% in children aged 3–5, 6–11, and 12–18 years, respectively; ETS exposure at home was associated with behavioral problems: the exposed group having higher total behavioral problem score (95% confidence interval [CI]) than the non-exposed by 2.46 (0.60–4.32) and 2.74 (0.74–4.74) in children aged 6–11 and 12–18 years, respectively, with no significant association in those aged 3–5 years. The PAF% (95% CI) of total problem behaviors for ETS exposure at home were 2.68 (−10.11–17.78), 10.66 (3.25–17.55), and 11.62 (3.03–18.96) in children aged 3–5, 6–11, and 12–18 years, respectively. Children with externalizing problems had higher PAF% than those with internalizing problems. Conclusion: In Korea, ETS exposure at home is associated with problem behavio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bout more than 10% population attributable fraction.

      • KCI등재후보
      • 차세대 항공기용 디스플레이 제안

        양희선,이동호,안경수 한국항공우주학회 2012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2 No.4

        고정익 전투기에 적합한 통합전장환경 전시용 "차세대 항공기용 디스플레이"(Next Generation Avionics Display; NGAD) 프로토타입을 제안한다. NGAD 의 해상도는 1920 X 800 이며 직관적인 데이터 입력을 위해 IR 방식을 사용한 고감도의 터치스크린을 적용하였다. 오토 파일럿, 항법, 무장, TSD Map 등 비행/임무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Man-Machine Interface 에 중점을 두어 화면설계를 하였다. 제안된 NGAD 를 실제 전투기와 유사한 Cockpit 에 장착하여 모의비행환경에서 연동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the "Next Generation Avionic Display; NGAD" prototype that meet exhibition of integrated battlefield environment for fixed-wing aircraft. The resolution of NGAD is 1920 X 800 and IR Touch Screen technology is used for intuitive data input. The screen configuration of NGAD is designed with emphasis on Man-Machine Interface for indicating flight/mission information such as Autopilot, Navigation, Weapons, TSD MAP effectively. The proposed NGAD equipped on the fighter-grade simulator cockpit is interfaced with flight simulator environment.

      • KCI등재

        과학자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탐색된 과학 공감

        양희선,강성주 한국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empathy factor in scientists’ problem-solving process and to examine how the empathy factor influences scientists’ problem-solving situation. In this study, we selected six common persons among the scientists mentioned by creativity researchers. And through their autobiographies and biographies, we extracted elements of empathy from their case of problem-solving and categorized them. We analyzed cases from 12 books and 50 papers using Davis’ empathy scale as an analysis framework and extracted common factors. As a result, the scientific empathy elements were extracted from a total of 182 cases, and 33 common elements were found. The validity of this case was verified through the content validity test of the science education specialist group. As a result, the I-CVI average was .86 and the S-CVI average was .90. For the empathy elements that scientists used in problem-solving cases, in cognitive empathy, three elements (empathy through other disciplines, empath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search object, accommodating others’ opinions) were extracted in terms of perspective-taking, and three elements (imagination thought experiment based on observation, thought experiment, feeling like part of object) in fantasy. And in affective empathy, three elements (influenced by fellow researchers’ motivation, touching from the subject, excitement studying more) were extracted in terms of empathic concern and two elements (heartache for others’ failure in their research, sensitivity to problems) in personal depression. This could not be said to be a perfect match for Davis’ empathy, but it would be possible to define the scientific empathy elements based on these common elements found in the scientists’ cases.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자들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공감요소를 추출 하고 그 공감요소가 과학자들의 문제 해결 상황에서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창의성 연구자들이 언급한 과학자들 중 공통인물 6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그들의 자서전 및 그들의 일대기에 관련한 논문을 통해 그들의 문제 해결 사례에서 공감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유목화 하였다. 총 12개의 서적과 50여개의 논문에서 제시한 사례를 Davis의 공감척도를 분석틀로 분석하였고 공통요인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총 182개의 사례에서 과학 공감요소가 추출되었고, 이 중 33개의 공통요소가 발견되었다. 과학교육전문가집단의 내용타당도 검사를 통하여 본 사례의 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I-CVI 평균은 .86, S-CVI 평균 .90 값이 확인되었다. 과학자들이 문제 해결사례에서 활용하고 있는 공감 요소는 인지적 공감으로 관점 취하기 측면에서 3가지(다른 학문 분야를 통한 공감, 연구대상의 관점에서 공감, 다른 사람의 의견 수용), 상상하기 측면에서 3가지(관찰 근거의 상상, 사고 실험, 연구 대상에 대한 유기체적 느낌), 정서적 공감으로 공감적 관심측면에서 3가지 (동료 연구자의 의욕에 따른 반응, 연구대상에 대한 감동, 더 연구하고 싶은 흥분), 개인적 각성 측면에서 2가지(타인의 연구실패에 대한 불편한 감정, 문제에 대한 민감성)가 추출되었다. 이는 Davis의 공감요 소와 완벽하게 일치한다고 할 수 없었으나 과학자들의 사례에서 발견 되는 이러한 공통되는 요소를 기초로 과학 공감요소에 대한 정의가 가능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