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unilateral mastication in malocclusion cases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and a motion capture system

        양헌무,차정열,홍기석,박종태 대한치주과학회 2016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46 No.2

        Purpose: Stress distribution and mandible distortion during lateral movements are known to be closely linked to bruxism, dental implant placement, and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stress distribution and distortion patterns of the mandible during lateral movements in Class I, II, and III relationships. Methods: Five Korean volunteers (one normal, two Class II, and two Class III occlusion cases) were selected. Finite element (FE) modeling was performed using information from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CBCT) scans of the subjects’ skulls, scanned images of dental casts, and incisor movement captured by an optical motion-capture system. Results: In the Class I and II cases, maximum stress load occurred at the condyle of the balancing side, but, in the Class III cases, the maximum stress was loaded on the condyle of the working side. Maximum distortion was observed on the menton at the midline in every case, regardless of loading force. The distortion was greatest in Class III cases and smallest in Class II cases. Conclusions: The stress distribution along and accompanying distortion of a mandible seems to be affected by the anteroposterior position of the mandible. Additionally, 3-D modeling of the craniofacial skeleton using CBCT and an optical laser scanner and reproduction of mandibular movement by way of the optical motion-capture technique used in this study are reliable techniques for investigating the masticatory system.

      • KCI등재

        삼차-얼굴신경연결과 얼굴표정근육 운동의 해부학 및 기능적 고찰

        양헌무(Hun-Mu Yang),허경석(Kyung-Seok Hu),김희진(Hee-Jin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13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6 No.1

        본 연구는 기존의 문헌고찰을 통해 삼차-얼굴신경 연결이 얼굴표정근육에 미치는 신경해부학 및 기능 해부학적 관계를 고찰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삼차신경의 눈신경, 위턱신경 그리고 아래턱신경은 머리뼈의 해부학적 구조를 통해 얼굴 부위로 빠져나와 얼굴 피부와 근육에 분포하여 감각성분을 제공한다. 특히 눈신경의 눈확위신경(안쪽가지와 가쪽가지), 위턱신경의 눈확아래신경(아래눈꺼풀가지, 바깥코가지, 안쪽코가지, 가쪽위입술가지, 안쪽위입술가지) 그리고 아래턱신경의 턱끝신경(입꼬리가지, 가쪽아래입술가지, 안쪽아래입술가지, 턱끝가지)은 여러 가지를 내어 얼굴의 넓은 부위에 분포한다. 얼굴신경은 붓꼭지구멍을 빠져나와 다섯 개의 가지(관자가지, 광대가지, 볼가지, 턱모서리가지 및 목가지)로 나뉘어 얼굴표정근육에 분포한다. 삼차신경과 얼굴신경은 얼굴부위에서 연결을 이루어 ‘다른 뇌신경기원 신경연결’을 이룬다. 이러한 삼차-얼굴 신경연결은 눈부위(눈확위신경과 관자가지), 광대부위(광대신경과 관자 및 광대가지), 아래눈확부위(눈확아래신경과 광대가지), 아래턱뒤부위(귓바퀴관자신경과 얼굴신경줄기), 볼부위(볼신경과 볼가지 및 광대가지) 그리고 턱끝부위(턱끝신경과 볼가지 및 턱모서리가지)에서 관찰된다. 얼굴표정근육은 근막에 둘러싸이지 않은 채로 머리뼈와 피부를 바로 연결하여 정교한 얼굴표정을 나타낸다. 대뇌 피질에서 겉질뇌줄기로를 통해 얼굴신경운동핵으로 전해진 운동정보는 얼굴신경을 통해 얼굴표정근육으로 전해지고, 삼차신경을 통해 얻어진 얼굴부위의 고유감각은 삼차신경감각핵을 통해 시상을 거쳐 대뇌겉질 및 소뇌로 전해지며, 이러한 정보는 얼굴신경이 얼굴표정근육을 정교하게 움직일 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얼굴신경의 운동성분은 삼차-얼굴신경연결을 통해 삼차신경을 타고 얼굴표정근육에 전해지며, 얼굴신경이 분포하는 곳에서 감각신경이 얻어져 삼차-얼굴신경연결을 통해 삼차신경으로 전달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aim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and communications of the trigeminal nerve (TN) and facial nerve (FN) and considerate their relationship with the anatomy and function of the facial expression muscles (FEMs) by means of the literature study. The TN emerged on the face via various structures of the skull, and received sensation of the skin and muscles on the face. The FN supplied the motor components to the FEMs, as ramifying five branches after running through the stylohyoid foramen. The TN and FN constituted “nervous communication between heterogeneous cranial nerves” on the ocular (supraorbital nerve and temporal branch), zygomatic (zygomatic nerve and temporal/zygomatic branch), infraorbital (infraorbital nerve and zygomatic branch), retromandibular (auriculotemporal nerve and FN trunk), buccal (buccal nerve and buccal/zygomatic branch) and mental areas (mental nerve and buccal/marginal mandibular branch). The exquisite movement of the FEM which was controlled by the facial motor nucleus would be referred by the proprioception from the TN. The motor components from the FN could be delivered to the FEM via the TN as recruiting the heterogeneous nervous communications. The sensation from the FN also could be conveyed to the TN via the communication.

      • KCI등재

        얼굴에 분포하는 얕은동맥의 국소해부학

        양헌무(Hun-Mu Yang),이영일(Young-Il Lee),이재기(Jae-Gi Lee),최유진(You-Jin Choi),이형진(Hyung-Jin Lee),이상희(Sang Hee Lee),허경석(Kyung-Seok Hu),김희진(Hee-Jin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13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6 No.4

        얼굴에 분포하는 얕은동맥은 바깥목동맥의 가지인 얼굴동맥(facial artery), 얕은관자동맥(superficial temporal artery)과 눈동맥(ophthalmic artery)의 가지인 눈확위동맥(supraorbital artery), 도르래위동맥(supratrochlear artery), 도르래아래동맥(infratrochlear artery)이 있다. 얼굴동맥은 턱뼈각앞패임을 감고 올라와 눈구석까지 얼굴의 위안쪽을 향해 주행하며 아래 및 위입술과 코에 분포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전의 많은 해부학 연구에서는 4~68%에서만 눈구석까지 도달하며 마지막 가지가 도달하는 위치는 개인에 따라 다양하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한국인의 얼굴동맥은 54.5%에서만 오른쪽과 왼쪽 얼굴에 분포하는 양상이 같다고 보고되었다. 얼굴동맥의 가지인 아래입술동맥(inferior labial artery)은 턱끝으로 수직 및 수평으로 주행하는 가지를 내며, 위입술동맥(superior labial artery)은 코중격으로 가는 얕은 및 깊은코중격가지(superficial and deep septal artery)를 낸다. 한국인의 대부분은 위입술동맥이 나뉜 후, 코로 가는 가지들이 나오는데 이들 중 가쪽코동맥(lateral nasal artery)과 콧등동맥(dorsal nasal artery)은 코끝의 혈액 공급에 주된 역할을 하며, 이들의 손상 시 코끝의 조직 괴사가 일어날 수 있다. 이마 및 미간 부위는 눈동맥의 가지들이 분포하며 이들은 서로 문합을 형성할 뿐 아니라 얼굴동맥의 눈구석동맥과도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피판 형성을 통한 얼굴의 재건술 뿐만 아니라 보톡스 및 필러 주입과 같은 비침습적(non-invasive) 치료에서도 얼굴의 얕은동맥 주행과 분포는 중요하다. 얼굴의 얕은동맥은 기존의 교과서의 일반적인 기술보다 다양하고 복잡하므로 보다 자세하고 정확한 해부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The facial artery (FA) and superficial temporal artery (STA) from the external carotid artery and the supraorbital, supra- and infratrochlear arteries from the internal carotid artery are the superficial arteries distributing to the face. It was broadly known that the FA winds on the antegonial notch, ascends superomedially and finally reaches to the medial canthus area as forming the angular artery (AA). However many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the AA was only observed in 4~68% in their studies. The superior labial artery (SLA) from the FA issues the superficial and deep septal artery proceeding superiorly toward the nasal septum. It was reported that the nasal branches were ramified from the FA, after the bifurcation of the SLA in most Korean cadavers, and it seems that the lateral nasal and dorsal nasal arteries are crucial vasculature of the external nose. The branches of the ophthalmic artery distribute the glabellar and forehead, and they form anastomoses each other or are communicated to the AA. The topography of the superficial arteries of face is very important in the reconstructive surgery and non-invasive treatment such as the botulinum neurotoxin type A or dermal filler injection.

      • KCI등재

        Phylogenic Oto-stomatognathic Connection of the Mammalian Jaw

        Hun-Mu Yang(양헌무),Kyung-Seok Hu(허경석),Hee-Jin Kim(김희진) 대한체질인류학회 2015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8 No.2

        턱관절장애는 귀통증, 귀울림, 어지러움 및 청각 손실 등과 같은 귀의 이상증상과 관련이 있다. 씹기근육, 가운데귀공간 및 턱관절의 밀접한 해부학적 관련성을 바탕으로 턱관절장애-귀관련질환에 대한 다양한 가설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고막긴장근 (tensor tympani muscle)은 턱관절장애 관련 귀질환 (TMD-related otologic complications)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근육이다. 삼차신경이 분포하는 고막긴장근은 망치뼈자루에 붙어 귓속뼈의 소리전달조절 기능을 한다. 병적인 고막긴장근의 자발적 수축 (voluntary eardrum movement)은 다양한 귀질환의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고막긴장근이 씹기근육과 공동수축을 하는 것은 턱관절장애 관련 귀질환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현상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문헌을 바탕으로 귀와 씹기계통의 계통발생학적 연관성을 고찰하고, 고막긴장근과 씹기구조의 계통발생학적 연관성이 턱관절장애 관련 귀질환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하고자 한다. 등자근 (stapedius muscle)이 청각반사 (acoustic reflex)와 관련되어 소리전달조절 역할을 하는 것과는 달리, 고막긴장근은 청각반사와는 별개로 수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고막긴장근이 삼차신경감각핵 (trigeminal sensory nucleus)에서 들어온 고유감각에 의해 조절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계통해부학적으로 포유류의 망치뼈, 모루뼈 및 등자뼈를 포함한 가운데귀 구조는 포유류가 아닌 턱뼈 척추동물 (non-mammlian jawed vertebrate)과는 달리 씹기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포유류가 아닌 턱뼈 척추동물에서 포유류로의 진화과정에서 이러한 기능적 분리가 이루어졌으나, 포유류에서 고막긴장근과 씹기근육의 신경연결은 일부 남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계통발생학적 흔적은 귀-씹기계통의 병적 연관성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계통발생학적 배경을 바탕으로 씹기근육의 비정상적 수축 시 고막긴장근이 귀-씹기계통 계통발생학적 흔적을 통해 과도한 공동수축을 일으켜 다양한 귀의 이상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한다. Otologic complaints, including otalgia, tinnitus, vertigo, and hearing loss, are known to be related to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s). There have been several hypotheses regarding the clinical correlation between otologic complaints and TMDs, based on clinical phenomena with corresponding symptoms, the close neur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otic and masticatory structures, and anatomical features of the tympanic cavity and jaw joint. Function of the tensor tympani muscle seems to be crucial to understanding TMD-related otologic symptoms. The tensor tympani inserts into the handle of the malleus and it modulates sound transduction in situations of excessive noise. This muscle is innervated by the trigeminal nerve, like the masticatory muscles. Voluntary eardrum movement by pathological tensor tympani contraction results in various otologic symptoms. Thus, co-contraction of the tensor tympani with the masticatory muscle could be a possible cause of TMD-related otologic symptoms. The tensor tympani is rather unrelated to the acoustic reflex, in which the stapedius is strongly involved. The tensor tympani seem to be controlled by proprioceptive information from the trigeminal sensory nucleus. The peripheral innervation pattern of the tensor tympani and masticatory muscles is also supposed to be interconnected. The middle ear structure, including the malleus, incus, and tensor tympani, of mammals had been adapted for acoustic function and lacks the masticatory role seen in non-mammalian jawed vertebrates. The tensor tympani in non-mammals is one of the masticatory muscles and plays a role in the modulation of sound transduction and mastication. After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the mammalian middle ear, the nervous connection of the tensor tympani with other masticatory apparatus still remains. Through this oto-stomatognathic vestige, the tensor tympani seems to contract unnecessarily in some pathological conditions of the TMD in which the masticatory muscles contract excessively. We hypothesized that the phylogenic relationship between the tensor tympani and masticatory apparatus is a significant and logical reason for TMD-related otologic complaints.

      • 치아균열증후군 진단 시스템으로서의 치과용 광결맞음 단층촬영장치

        이상희,양헌무,허경석,김희진 대한구강해부학회 2013 대한구강해부학회지 Vol.34 No.1

        목적 . 치아균열증후군은 임상에서 육안겸사만으로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적절한치 료가 행해지지 않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우리는 LG 전자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이 공동 개발한 광결맞음 단층촬영장치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 OCT) 를 소개하고 구내표준방사선사진과 전산화 단층촬영 영상을 OCT영상과 비 교하여 균열치아 진단시 스템 으로서 의 적절성에 대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재 료 및 방법 : 구내표준방사선시진을 통해 치아균열을 관찰한 8개의 치이-를 표본으로 선정하고 OCT로 촬영 하여 단면영상을 획 득하였다. 이 후 OCT영상에서 보여진치아균열을 구내표준방사선사진 전산화 단층촬영 영상과 비교 하여 OCT 영상의 균열치 진단능력을 평가하였다. 결과 OCT를 이 용하여 2mm 정도 깊 이까지의 치이-의 단면영상을 획득하였다이 영상을 이 용하여 치이-균열과 볍랑상이경 계도 뚜렷이 관찰할 수 있었다 .OCT를구내 표준방사선사진 그리 고 전산화 단층촬영영상과 비 교한 결과 우리는 OCT영상이비침 습적 이 고 다루기 쉬우며 촬영 비 용이 싸고 전산화 단층촬영 술에 버 금가는 민감도와 특이 도를 보인다는 점에서 우수성 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이 실험을 통해 우리는 치아구조를 확인하는데 있어 OCT가 적절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 므로 우리는 치과용 OCT가 치아균열증후군을 효과적 으로적용 가능하며 향후 초기 충치나 치 주질환의 진단에 있어서도 적용 기농할 것을 기대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