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생어 형성 과정의 형태론적 기술

        양정호(Jeong-ho, Yang) 어문연구학회 2009 어문연구 Vol.6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way of a morphological description of '-gi' in the process of the derived word formation in the middle Korean. This study finds that the process of derived word formation involves an analogy, as well as grammatical rules, which performs a directive influence referring to grammatical regulations in the formation of a new vocabulary. This study also defines the whole process of the derived word formation-from the starting point of process of word formation by analogy and grammatical rules to the point of registering the new word to the lexicon. Such a redefinition enables researchers to describe the derived word formation at the time span of researcher's designation.

      • KCI등재

        < 한글 맞춤법 >의 텍스트 내적 완결성에 대한 거시적 측면에서의 고찰

        양정호 ( Jeong Ho Yang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16 텍스트언어학 Vol.40 No.-

        Korean Orthography has two aspects: it is a prescriptive norm of language life and, at the same time a text that requires its completion. As for prescriptive aspect, a study of validity of the rules of Korean Orthography is demanded. The latter demands an examination of the internal completion of the text itself. This study analyses the internal completion of the text itself, placing an emphasis on macroscopic aspects of the text, i.e. the structure of the text and logical consistency In this study four criteria such as the principle of economics, sufficiency, consistency, and uniformity, are employed to assess the internal completion of the text. Principles and findings are as follows: The criteria of the internal completion from macroscopic perspectives comprise of principle of economics (the text should include necessary rules only), sufficiency (the text include every rule necessary), consistency (logical consistency among the rules), and uniformity (the expression of rules should be in similar tones and patterns). This study also finds that specific rules in the text are to be revised. Rules 4, 5, 6, 16, 27/28/29, 31, 55/56/57 are in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economics. Rules 10/11/12, 18 violate the principle of sufficiency. Rules 28/29, 42/43 and Rules 16/18/34/35/36, 18, and 28/29/31 also are against the principle of for consistency and uniformity respectively. Findings suggest that revision of the text should be made with deletion, merge, amendment, and so on.

      • KCI등재
      • KCI등재

        ‘-음’과 ‘-기’의 문법 범주에 대한 일고찰

        양정호(Jeong-ho, Yang) 어문연구학회 2010 어문연구 Vol.65 No.-

        In modern Korean, some constructions, particularly '-im' or '-gi' ones, are clearly identified as distinct derived nouns or gerund, while others are unclear in their grammatical categories. Those constructions that belong to the latter poss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rived noun which is modified by adjectives, of gerund which is modified by adverb, or of gerund that has a subject. Such characteristics pave a way to the discussions on the grammatical category of '-ɨm' and '-gi': whether they are derivational suffixes or inflectional endings. This paper argues that the grammatical category of '-im' and '-gi', tha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noun and verb, is the nominal ending. In particularly, this paper explicitly shows that a nominal form of a verb or a gerund can be modified by adjective, which establishes a strong ground of support for arguing that the construction under investigation is the nominal form of a verb. In addition, this paper insists that a word and a syntactic construction must be distinguished strictly and that synchronically no syntactic constructions can be considered as a word. Accordingly, as already confirmed, all the syntactic constructions belong to the realm of syntax and thus excluded in the discussion of morphology before they are listed in the lexicon through diachronically lexicalized procedures.

      • KCI등재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텍스트언어학적 이해 -정치 영역을 중심으로-

        양정호 ( Jeong Ho Yang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11 텍스트언어학 Vol.31 No.-

        This paper analyzes the social science textbook, especially politics text in middle school synchronical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extuality, that is, cohesion, coherence, intentionality, acceptability, informativity, situationality, and intertextuality. To put it concretely,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o realize each textuality in all kinds of texts and suggested a couple of points that are better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text on the viewpoint of textuality. However, I must admit that a depth study is to be made to find further meaningful findings. Nevertheress, I hope that this a general review into the textbook will make a contribution to further studies of this theme.

      • KCI등재

        중세 여성 종교운동에 대한 페미니즘 철학적 연구: 젠더화된 공간 개념의 관점에서

        양정호 ( Yang Jeong-ho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100

        중세의 여성 종교 운동은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할 수 있는데, 종교 운동의 일부라는 관점에서 접근할 수도 있고, 또 여성과 중세 기독교라는 관점에서도 접근할 수 있다. 허버트 그룬트만이 중세 종교 운동을 연구하면서 제도로서의 교회나 교리로서의 기독교를 다룬 것이 아니라 종교문화로서 접근한 까닭에 후대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길을 열어주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관점은 중세 여성 종교 운동을 이단 운동의 일부라는 점에서 파악함으로써 가부장적 가톨릭 역사 연구자들의 관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여성 자신의 관점 혹은 융복합 방법론으로 중세 여성 종교운동을 접근함으로써 그룬트만의 관점에서 벗어나서 여성 종교 운동을 중세종교개혁의 일부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공적 - 사적 공간 이데올로기라는 개념과 젠더화된 공간이라는 개념을 결합할 때, 여성 종교 운동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는데, 그것은 젠더화라는 관점에서 중세 여성 종교운동을 파악하는 것이다. 젠더화라는 개념은 중세 여성의 역할과 기능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방법론의 하나로서 젠더링이 제공할 수 있는 것은 중세 여성 종교 운동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페미니즘 철학 연구방법론을 사용하여 여성의 역사를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젠더라는 관점에서 융복합 방법론을 사용하여 중세의 종교운동을 바라볼 때, 중세의 모든 여성 종교운동들은 가톨릭의 기존 질서를 부정하는 것이라기보다 주체성과 영성의 표현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Women’s religious movements in the Middle Ages can be approached in various ways, not only as a part of religious movements but also as a part of feminism and medieval Christianity. Even if Grundmann’s work focuses on religious culture, instead of institution and doctrines, his view seems to represent the perspective of Catholic clerical historians: regarding women’s religious movements as a part of heretical movement. Therefore, we need to reconstruct women’s religious m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and philosophy of religion in terms of feminist philosophy with women’s own eyes. This approach leads women’s religious movement to be interpreted as a self-expression of women’s subjectivity and spirituality. When we use the notion of gendered space, a new approach to women’s religious movement can be suggested; namely, feminist philosophical investigation on women’s religious movement in the Middle Ages in terms of gendering. Gendering is quite important to understand women’s role and functions in Christianity in the Middle Ages.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ing women’s religious movements in the Middle Ages, all the significant movements of the Middle Ages can share their commitment to the aim of improving souls, in terms of subjectivity and spirituality.

      • KCI등재

        중세 여성 신비가의 작품 해석을 위한 연구 방법론 : 노르위치의 줄리안의 “사랑의 계시를 중심으로

        양정호(Yang, Jeong-ho) 한국사학사학회 2012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6

        14세기 영국의 여성 신비신학자 노리치의 줄리안의 신학 사상의 중심이 되는 고통(passion)과 사랑이라는 주제는 비교문화적 방법과 덕성(virtue)이 어떻게 표현되는가하는 문제를 살펴볼 때 잘 드러나게 된다. 본 연구는 줄리안이 저술한 사랑의 계시에 나타난 그녀의 사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상사 영역에서 역사학, 여성학, 기독교 신학간의 학제간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그녀의 작품을 분석해야 한다는 하나의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노리치의 줄리안은 영문학사에서 영국 최초의 여성 문필가로 인정되어 왔다. 그녀의 작품 사랑의 계시에는 신의 모성적 사랑이 강조되었기에 영문학 뿐만 아니라 여성학 그리고 기독교 여성신학 분야에서 주목을 받아왔다. 그러나 그녀의 작품에 나타난 사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녀의 저서가 문학작품이라기 보다는 신학작품이라는 것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저작의 장르에 맞는 읽기와 해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녀의 신학 사상은 그 핵심 주제가 신의 모성적 사랑이고 그에 대한 해석이 여성의 몸경험과 연결되어 있기에 여성주의적 텍스트 읽기도 함께 요청된다. 사랑의 계시를 통하여 14세기 영국 여성의 삶과 느끼고 생각하는 방식 혹은 사상을 이해하려 한다면 이 작품을 역사 사료로 읽어 낼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줄리안의 작품을 입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신학과 여성학과 역사학을 포함하는 학문 융복합으로 전공 간의 소통이 필요하다. 중세 여성의 작품에 나타난 사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역사학이 신학과 대화함으로써 새로운 인식 지평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The 14th century English woman mystic, Julian of Norwich’s notion of passion and compassion were the core theological notions, which could be best understood when we look into her virtues from the perspective of cross-cultural concerns. This study aimed at suggesting a hermeneutical methodology in terms of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cluding history as an academic discipline, women’s studies and Christian theology, in which we read and interpret Julian’s Showing of Love in the discipline of history of thoughts. Julian of Norwich has been regarded as the first woman writer in the history of English literature. Because she emphasized God’s motherly love in her work, scholars shed light on Showing of Love in the field of English literature as well as women’s studies, not to mention Christian feminist theology. However, we need to make sure that Showing of Love is a work of theology rather than a work of literature, for we need to read and interpret it in accordance with the genre of the text. The key notion of Julian’s theological thought was placed on God’s motherly love,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women’s bodily experience or bodily knowing. Therefore, reading Julian’s text requires the approach of women’s studies. We can also read Julian’s text as the primary source when we investigate the 14th century woman’s ways of thinking, understanding, and feeling, because Julian deals with the problem of passion and compassion in terms of virtue, the ultimate value of her thoughts. In order to read and understand from the finest view point of Julian’s Showing of Love we need to transcend the artificial boundaries of our disciplines in terms of trans-disciplinary approach, which includes theological studies, women’s studies, and history as an academic discipline. We can pave the way for the new horizon of trans-disciplinary approach by way of reading Julian’s text in terms of a dialogue between theology, history, and women’s study.

      • KCI등재

        ‘X시키다’의 논항(論項) 구조(構造)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양정호(梁正昊) ( Yang Jeong-ho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4

        ‘X시키다’는 동작성 명사 X에 파생 접미사 ‘-시키-’가 결합되어 생성된 타동사이다. 이때의 ‘X시키다’는 ‘X하다’ 등으로부터 파생된 사동사가 아니며 따라서 ‘X하다’ 등과의 관련성은 동일 어기로부터 파생된 단어이기 때문에 생긴 우연한 의미적 관련성이다. ‘시키다’는 ‘NP1이 NP2에게 X를 시키다’의 논항 구조를 가지며 이때NP2는 X에 대해 행위주역을 가진다. ‘X시키다’는 논항 구조를 달리하는 세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 세 유형을 ‘X시키다1’, ‘X시키다2’, ‘X시키다3’라 할 때, 이들은 각각 ‘NP1이 NP2를 X시키다’, ‘NP1이 NP2를 NP3에 X시키다’, ‘NP1이 NP2를 NP3와 X시키다’의 논항 구조를 가진다. 이때 NP2는 항상 목적어로 실현되고, NP3는 X에 대해 피동주역 또는 경험주역으로 이해될 수 있지만 행위주역으로 이해될 수는 없다. 또한 NP3는 ‘X시키다’의 선택 제약에 따라 ‘에’와 ‘와’ 대신 ‘으로, 에서’ 등의 다른 조사와 결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argument structure of ‘Xsikida’. ‘Xsikida’ is a transitive verb that is formed by combining verbal noun ‘X’ and derivational suffix ‘-siki-’. ‘Xsikida’, in this context, is not a causative verb that is derived from ‘Xhada’. The semantic relations between ‘Xsikida’ and ‘Xhada’ is accidental as they are derived from and share the same base ‘X’. The argument structure of ‘Sikida’ is ‘NP1i NP2ege Xril sikida’. The theta role of NP2 is agent. ‘Xsikida’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of the argument structures. When we name three categories as ‘Xsikida1’, ‘Xsikida2’, ‘Xsikida3’, each argument structure is ‘NP1i NP2ril Xsikida’, ‘NP1i NP2ril NP3e Xsikida’, ‘NP1i NP2ril NP3wa Xsikida’. NP2 in this context is always an object. The theta role of NP3 is a patient or a experiencer, but not an agent. NP3 can be combined with ‘iro’ and ‘eseo’ in place of ‘e’ and ‘wa’ in accordance with selectional restriction of ‘Xsikida’.

      • KCI등재

        정책 딜레마 해소 도구로서의 특례제도 형성 연구: 특수형태근로종사자 산재적용 특례제도를 중심으로

        양정호 ( Jeong-ho Yang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6 국가정책연구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하나의 제도나 정책이 본래의 목적과는 달리, 정책 갈등을 해소시키는 도구로서의 역할을 해 오고 있음을 딜레마 이론을 활용하여 규명함에 있다. 제도나 공공정책의 원래 목적은 그 제도로 인하여 예상되는 정책의 수혜자들에게 공익을 안겨주는데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인 특수형태근로종사자를 위한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적용 특례 제도는 본래의 취지대로 제 역할을 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즉, 특수형태근로종사자를 위한 산재보험법 적용 특례 제도의 산재보상 적용제외신청제도로 인하여 보호대상자들이 스스로 적용을 배제하고 있어 실질적인 산재보상기능을 못하고 있는 것이다. 특수형태근로종사자 산재보험 적용특례제도는 근로자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게 형식적으로 산업재해로 부터의 보호기능을 하고 있을 뿐이다.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산재보험 적용 특례 제도는 정부가 특고직보호법 제정의 딜레마로부터 벗어나기 위하여, 이해관계자들로부터 나오는 갈등을 누그러뜨리기 위한 절충의 산물인 것이다. 이러한 절충물로 인하여 갈수록 늘어만 가고 있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실질적 노동권적 보호는 관심에서 멀어져 가고 있다.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실질적인 노동권적 보호를 위해서는 특고직보호법을 제정하여 전속성이 인정되는 특수 형태근로종사자 직종에 한하여 순차적으로 특고직보호법에 편입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look into the role of an institution or a policy as the relief of policy conflicts unlike the original purpose, by using the dilemma theory. The original goals of public policies or institutions are for the policy beneficiaries to get the public benefits from them. but it seems that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for Economically Dependent Workers(hereinafter referred as ‘EDW’) does not play the same role as its original intentions. Actually, the EDW want to be excluded from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s) law. And the exclusion provisions of exclusion from application in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for EDW become a useless thing for EDW. At the same time,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for EDW seems to play only the role of protection for those who are not regarded as workers perfunctorily.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for EDW is the result of compromising to relieve conflicts and to escape from a dilemma in making the protection law for EDW. But this compromise law[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for EDW] does not attract any public attention for the protection of EDW’s right. To protect EDW’s right to work, we need to make another new law protecting EDW who work for one workplace exclus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