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과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SSI)의 도입을 통한 창의,인성 교육 가능성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

        양정은 ( Jung Eun Yang ),김현정 ( Hyun Jeong Kim ),( Lei Gao ),김은진 ( Eun Jin Kim ),김성원 ( Sung Won Kim ),이현주 ( Hyun Ju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1

        This study explored to what extent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ived socioscientific issues (SSI) as an effective instructional tool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CreActer) education; which was recently announced as a main goal for the Korean National Science Curriculum 2009. The guiding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How do science teachers conceptu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character in the context of science classes? (2) What do science teachers think about the possibility of CreActer education through SSI in science classrooms? Thirty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individual interviews (each lasted 20-90 minutes). In the results, the teachers` perceptions on CreActer education and SSI for CreActer education were categorized into four profiles. Eleven teachers in Profile A thought that creativ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aracter education because their understanding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mbraced a very broad range of elements. They mentioned that addressing SSI in the science classes would be satisfactory to cover those elements of CreActer education. Six teachers in Profile B mentioned similar elements of creativity and character of Profile A, but reported that, in their experience, creativity was often inversely correlated with character. However, they responded that addressing SSI would be a good way to integrate creativity and character in the science classes. Ten teachers in Profile C believed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character, but took a positive stance on CreActer education through SSI. Unlike Profile A and Profile B, they tended to regard character as only an interpersonal virtue. And three teachers in Profile D had narrow perspective on CreActer education. Not only did they think creativity had no relationship with character, but also disagreed that CreActer education would be activated by addressing SSI in science classrooms. The results imply that SSI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instructional tool for CreActer education, but this can be possible when science teachers expand their view on CreActer education.

      • KCI등재후보

        해방 후 북한 기록영화와 정치선전

        양정심(Yang, Jeong-Sim),김은경(Kim, Eun-Kyung) 역사학연구소 2016 역사연구 Vol.- No.31

        본 연구는 북한 노획 영상을 통해 해방 이후 한국전쟁 전까지 북한의 사회상과 정치선전 전략을 분석했다. 연구에서 주목한 부분은 영상을 제작한 주체의 의도와 텍스트가 유포하는 담론이다. 연구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한에서 미군정이 미공보원을 통해 정치선전을 했던 것처럼, 초기 북한의 기록영화 제작에서 소련의 역할과 비중이 매우 컸다. 소련은 자국에서 생산한 기록영화를 북한에서 상영하기 위해 우리말 내레이션을 삽입하는 등 북한에서 사회주의 정치선전을 하는데 힘을 쏟았다. 정치선전의 장이 되었던 기록영화는 북한에서 소련의 문화적 헤게모니가 관철되는데 큰 역할을 했다. 둘째, 초기 북한 기록영화는 북한정권의 정당성과 사회주의의 우월함을 선전하는데 집중했다. 북한은 ‘민주개혁’과 사회주의를 표방했기 때문에 기록영화의 주요 선전 주제는 토지개혁과 공장의 생산성 증가, 그리고 농민, 노동자, 여성, 청년 등 하층 대중의 삶을 조명하는 것이었다. 또 선거와 교육을 계몽하는데 많은 분량을 할애했고, 분단이 현실화되던 시점에서는 남북연석회의를 집중 조명하기도 했다. 셋째, 북한 기록영화의 영상 스타일은, 계몽과 선전을 위해 사운드를 많이 활용했다는 특징이 있다. 북한 기록영화는 이미지보다 사운드를 우위에 두어 전지적인 ‘신의 목소리’를 통해 대중을 계몽하려 했다. 이는 문맹인구가 많은 상황에서 북한의 정책과 이데올로기를 선전하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넷째, 기록영화는 김일성을 비롯한 북한 정권과 소련의 정책을 일반 대중에게 선전하고 보다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설득의 매개체였다. 문맹인구가 많았던 북한대중은 영화를 통해 새로운 정치체제와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했다. 북한의 개혁이 실제 생활양식과 삶의 방식을 바꾸었다면, 영화는 개혁의 정치적 의미를 각인시켰다. 기록영화의 관람은 오락과 정치 학습을 오가는 시간이었다. 그런 점에서 해방 후 북한의 기록영화는 새로운 체제에 동의하는 대중-인민을 형성하는데 기여했다. This paper attempted to discuss the social aspects and political propaganda of North Korea after liberation before Korean War. The targets of analysis were visual resources, specifically news films and documentary films of North Korea that US Army captured during the Korean War. The research began with the question, how or to what extent can visual records be used as historical resources? Of course, it is a difficult task to reconstruct history with short films. However, the attempt like this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helps us to find a historical methodology between visual records and history. In conclusion, documentary films of North Korea was a very effective media for propaganda. there were a lot of illiterate people at that time. They easily could accept new regime and ideology through the documentary films. Film had been one of the most popular media since colonial period. Watching documentary films was located between political study and entertainment. Therefore, they made people who agree with the North Korean regime.

      • KCI등재
      • KCI등재

        일측 태아 기형을 동반한 쌍태임신 2 례

        양정인(Jeong In Yang),오기석(Kie Suk Oh),김행수(Haeng Soo Kim),안은주(Eun Joo Ahn),박현희(Hyun Hee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2

        Twin pregnancy is at increased risk for congenital anomalies. Although twins were relatively infrequent, they accaunted for a disproportionately large portion of adverse pregnancy outcome, primarily as a consequence of preterm delivery, gestational diabetes, and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In case of twin pregnancy with a single anomalous fetus, the clinicians are faced with difficult decision-making processes regarding the route of delivery, when to deliver, how aggressively to attempt to prevent delivery. Twin pregnancy discordant for a fetal abnormality can be managed expectantly or by selective fetocide of abnormal twin. Recently we experienced two cases of twin pregnancy with a single anornalous fetus. We reported cases with concerned literatures.

      • KCI등재

        연구논문 : 산채나물의 관능적 특성에 근거한 소비자 기호도 유도 인자 분석

        양정은 ( Jeong Eun Yang ),이지현 ( Ji Hyeon Lee ),김다윤 ( Da Yoon Kim ),최은옥 ( Eun Ok Choe ),정라나 ( La Na Chung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 한국조리과학회) 2014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0 No.2

        본 연구는 4 종류의 나물을 대상으로 전 처리 방법을 달리하여 총 8 종류의 산채나물 시료들을 제조한 후, 이들의 관능적 특성들을 파악하였고, 20~70대의 고른 연령분포의 남녀 115명을 대상으로 소비자 검사를 수행하여 소비자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들을 규명하였다. 산채나물의 묘사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관, 향, 맛, 조직감 및 뒷맛특성 40개가 도출되었으며, 짠 향미, 참기름 향, 삶은 팥 향미, 아몬드 향미, 쌀밥 향미, 김 향미, 감칠맛, 뭉그러짐, 파인애플의 조직감 특성을 제외한 31개의 특성들에서 유의적인 차이(p<0.05)가 나타났다.전 처리 방법에따라 관능적 특성들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시료의 거친 질감 및 질긴 정도는 미역취 시료(Miyeokchwi_SBS와Miyeokchwi_B)와 불리고 우리는 과정을 거치지 않은 시료들(Daraesoon_B와 Bangpung_B)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p<0.05). 또한 향 특성에서 익숙하지 않은 시료에 관해서는 한약재 향, 고무향, 말린 풀, 기름 산패취, 잔디 향 등 비 식품적인 특성들이 도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비자 조사 결과, 외관 기호도를 제외한 모든 기호도에서 Sam_SBS의 값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부드러움, 촉촉함, 감칠맛, 기름짐 등의 특성이이에 영향을 주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반면 표면의 거친정도, 마른 풀 냄새, 잔디 냄새, 한약재 냄새, 고무냄새, 아린 맛, 쓴맛, 떫은 맛, 질김, 거침 등의 특성들은 소비자기호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관기호도에 있어서는 뭉그러지거나 기름지고 촉촉한 특성들 보다는, 선명하고, 초록빛이 나며 거친 표면의 특성들이 기호도를 높이는 주요 동인(drivers of liking)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거친 정도와 질긴 정도의 적절성 평가 결과, 외관 기호도와는 달리 조직감에 있어서는 부드럽고 질기지 않은 산채나물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있다. 결론적으로 산채나물에 대한 소비자 기호도는 향미와 조직감에 있어 전 처리 방법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산채나물에 대한 친숙도 및 잎, 줄기 등의 부분적인 특성들에도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 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령 별 소비자 조사를 실시하여 그에 따른 산채나물에 익숙한 정도의 차이가 소비자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며,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한 소비자 조사도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그에 따른 산채나물의 세계화 방안 연구도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four kinds of wild vegetables (samnamul, miyeokchwi, daraesoon and bangpung namul), which were prepared through three different soaking methods: SBS (soaking both before and after boiling), BS (soaking only after boiling) and B (never soaking). Moreover, it also compared the consumer acceptance of these samples in Korea. A descrip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12 samples (Sam_SBS, Sam_BS, Sam_B, Miyeokchwi_SBS, Miyeokchwi_BS, Miyeokchwi_B, Daraesoon_SBS, Daraesoon_BS, Daraesoon_B, Bangpung_SBS, Bangpung_BS and Bangpung_B) by 10 trained panelists. Furthermore, 115 consumers evaluated the overall acceptance (OL), acceptance of appearance (APPL), odor (ODL), flavor (FLL), and texture (TXTL) of the samples using a 9-point hedonic scale; they also rated the perceived intensities of toughness, roughness and moistness using a 9-point just-about-right (JAR) sca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LSR data, the Sam_SBS sample, which had significantly (p<0.05) high muddiness, moistness, brightness, redness, oily appearance, sesame oil flavor, softness and greasy attribute scores, presented the highest acceptability and consumer desire scores for consumers. On the other hand, the Miyeokchwi_B and Bangpung_B samples, which had relatively high toughness, crispiness, roughness, bitterness and, astringent attributes scores, were the least preferred samples. Therefore, the muddiness, moistness, brightness, oily appearance, sesame oil flavor, softness and greasy attributes were drivers of “liking,” whereas toughness, crispiness, roughness, bitterness, astringent attributes acted as drivers of “disliking” for consum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