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Visual Servoing을 위한 3차원 물체의 인식 및 자세 추정

        양재호(Yang JaeHo),정문호(Jeong MoonHo),박민용(Park Mignon) 대한전기학회 2006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6 No.7

        로봇이 어떤 물체를 인지하고 그 물체에 대해 어떤 작업을 하고자 할 때 특정 물체의 인식 문제, 3차원 정보를 획득하는 문제, 자세를 추정하는 문제 등 해결해야 될 문제들이 있다. 물체를 인식하는 과정에서는 주위 배경과 물체의 크기의 변화, 회전, 가려짐 등으로 인해 물체 인식을 어렵게 만드는 요소들이 있다. 2차원 이미지를 통해 3차원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두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이미지를 통해 얻는다. 이 때 좌우 영상간의 매칭의 과정이 필요하다. 자세 추정의 문제는 카메라 좌표와 물체의 좌표간의 관계를 알아야 한다. Visual Servoing을 어렵게 만드는 많은 요인들이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물체의 크기, 회전, 이동에 불변인 디스크립터(descriptor)를 사용하는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를 통해 3차원 물체의 인식과 자세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자세 추정을 위해 2차원 Keypoint들의 매칭을 3차원 정보를 통해 검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SIFT에 의해 추출된 point를 Keypoint라 명한다.)

      • KCI등재

        소비자의 속성 선호도와 구매 목적 동기가 제품선택에 미치는 영향

        양재호(Jaeho Yang),서해진(HaeJin Seo)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6

        [연구목적] 본 연구는 승용차 타이어제품 구매에 있어서 고려되는 속성의 선호도를 파악하고, 평가 속성의 수준과 중요도를 고려한 효용가치를 산출하여 최적의 제품속성 조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가상의 제품속성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타이어제품의 속성중요도와 효용을 측정하는 컨조인트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타이어 제품의 대안평가 과정에서 소비자가 가지는 구매동기(안전/경제)가 속성평가와 제품선택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력을 조사하였다. 타이어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14명의 응답자에게 4가지의 제품속성을 수준별로 구성한 9개의 가상 프로파일을 제시하여 응답자가 선호하는 최적옵션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안전 동기를 고려한 소비자가 선택한 타이어 제품의 최적판매옵션은 7만㎞+사후관리서비스(포함)+할인율 20%+금호타이어로 밝혀졌다. 경제적 구매동기를 고려한 소비자는 할인율 20%+7만㎞+한국타이어+사후관리서비스(포함)의 속성조합을 선택한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타이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가 그들이 가지고 있는 소비동기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타이어 제조 및 판매를 책임지는 기업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및 광고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할 때 대상 소비자들의 구매동기를 사전에 조사하여 최적의 속성조합을 개발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onsumers’ preference attributes with a tire purchase, and to propose the optimal attribute set based on the utility value estimated using the levels and importance of the tire attributes. [Methodology] The conjoint analysis was employed to estimate the importance of the tire attributes and utility from the hypothesized attribute profiles, and to investigate. The analysis sample consisted of 214 consumers who had ever purchased any tire product. Nine hypothesized profiles composed by 4 different levels of the product attributes were presented to the respondents to obtain their optimal preference attribute set. [Findings] Findings revealed that the optimal sales’ option the respondents decided to purchase in considering the safety motivation was 70,000 mile+Warranty service+20% of the discount rate+Kumho brand. In addition, Consumers who focused on economical motivation selected the optimal set of 20% of the discount rate+70,000 mile+Hankook brand+Warranty service. [Implications] This study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consumers’ motivation associated to their purchase. Implications for tire companies in deciding the optimal sales op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시장진입전략을 고려한 요소브랜딩전략에 관한 연구

        양재호(Jaeho Yang) 한국통상정보학회 2016 통상정보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시장의 후발주자가 선발우위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요소브랜딩전략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브랜드성분의 원산지정보와 요소브랜딩제품의 제시된 가격수준이 소비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실험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총 40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2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1에서는 요소브랜드의 시장지위 및 원산지정보는 소비자의 요소브랜딩 제품 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2에서는 시장진입순서와 요소브랜드의 원산지정보가 소비자의 요소브랜딩 제품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시되는 제품의 가격수준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내용은 후발브랜드의 선발우위 극복을 위한 전략적 방안을 제안하고, 후발기업의 브랜드 운용전략에 대한 시사점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ingredient branding strategies for late entrants as one of the strategic tools to overcome first-mover advantages.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brand origin information of the ingredients and price information of the ingredient branding product affect consumer evaluation. A sample of 400 university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2 experimental studies. Results from study 1 showed that the market position of ingredient brand and brand origin inform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consumers’ evaluation on the ingredient branding product. In addition, from the study 2, this study found that price information significantly moderated the effects of the order of market entry and brand origin information of the ingredients on the consumers’ evaluation on the ingredient branding product. Implications for brand strategies to overcome the late-entrant disadvantages are discussed.

      • KCI등재

        소비자의 친환경 제품 속성평가 및 제품선택에 관한 연구

        서해진 ( Haejin Seo ),양재호 ( Jaeho Yang ) 한국유통물류정책학회 2020 유통물류연구 Vol.7 No.4

        본 연구는 친환경 제품 구매 시 중요하게 고려되는 속성과 속성 수준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최적의 판매 옵션의 조합을 조사하였다. 가상의 프로파일을 만들어 친환경 제품의 속성별 중요도와 수준 별 효용을 측정하는 컨조인트 기법을 활용하였다. 친환경 제품을 두 가지 유형(탐색재/경험재)로 구분하고 최종 291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4개 속성 수준에 대한 9개의 프로파일을 제시한 후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최적의 판매 옵션 조합은 탐색재로 선정한 텀블러(경험재로 선정한 세탁세제)에 대해 ‘바이오 플라스틱 50% 사용+ 유통업체 브랜드+Grande 사이즈(95개 캡슐)+가격 20,000원(23,000원)’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친환경 제품의 유형에 따라 제품 속성의 중요도 및 속성 수준별 효용가치가 다를 수 있다는 점과 브랜드가 소비자의 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보여준다.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optimal combination of the sales options based on attributes and levels of the attributes importantly considered in purchasing an environment-friendly product. The conjoint analysis estimated the importance of each attribute contained in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and the utility of each level of the attributes, drown from 9 hypothesized attributes’ profiles. The analysis sample consisted of 291 consumers who responded to the 9 profiles composed of 4 different levels of the attributes in two types of the environment-friendly products(search goods and experience goods). Findings revealed that the optimal combination of the sales options for search goods was to use the fifty percent of bio-plastic, private brand, and grande size with the 20 thousand won price. On the contrary, the optimal sales option, for experience goods, was to combine the fifty percent of bio-plastic, private brand, and 95 capsules with the price of 23 thousand won. The results underscored that the utility of the importance of each attribute and different levels of the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was likely to be differentiated by the types of the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 KCI등재

        코로나19와 소비지출 변화: 신용카드 빅데이터 기반 스포츠서비스 및 용품 업종별 추이 분석

        신성연(Shin, Seongyeon),양재호(Yang, Jaeho) 한국서비스경영학회 2021 서비스경영학회지 Vol.22 No.4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nges in consumer behavior caused by COVID-19 and derive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changes in consumption expenditure before and after the spread of COVID-19 by major sports-related industries.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consumption expenditure by sports-related industry in 2020, when the spread of COVID-19 began, recorded a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2019. In particular, during the COVID-19 pandemic (1st and 2nd), the scale of decrease in consumption expenditure was remarkably large. Second, differences in consumption expenditure trends were ver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ports-related industries (high-intensity distancing industries, indoor and outdoor, etc.).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ate of recovery of consumption expenditure immediately after the COVID-19 pandemic and increase in consumption expenditur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actors such as consumer gender, age group, and income quintile.

      • 운수종사자 교통안전교육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지민경(Ji, Minkyung),양재호(Yang Jaeho),김응철(Kim, Eungcheol) 대한교통학회 2018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8 No.-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제25조 및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제59조에 의거 운수종사자들은 교통관련 교육을 이수해야 하나, 오프라인으로만 진행되고 있어 운수종사자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최근 오프라인교육은 여객보수교육 1회당 278명, 화물보수교육 1회당 326명씩 교육을 실시하다 보니 교육에 대한 효율성도 떨어지고 강사도 수강생도 서로 지루하고 유익하지 않으며, 단순히 시간때우기 식의 시간낭비만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사이버 운수종사자교육제도 도입이 필요하다. 사이버 교육의 경우 문제점도 많을 것으로 사료되나 동영상 넘김 불가, 시험문제 출제 등 다양한 제약조건을 개발할 경우 해결될 것으로 판단된다. 가장 최선의 사이버 교육은 제약조건을 강화하는 것 보다 운수종사자들이 다시 보고 싶을 정도로 재미있고 유익하게 만드는 방식이 가장 중요할 것이다. 사이버 운수종사자 교육제도가 신설되어 운수종사자들의 시간과 경비를 아끼는 날이 앞당겨 지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개별자유여행객의 소비가치가 체험관광의 만족과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보경(Kim, Bo-Kyeong),양재호(Yang, Jaeho) 한국경영교육학회 2021 경영교육연구 Vol.36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인바운드 관광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국내 체험관광상품개발과 마케팅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국내 체험관광에 대한 개별자유여행객이 지각하는 소비가치가 체험관광상품의 만족과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국내체험관광 경험이 있는 관광객 294명을 대상으로 소비가치, 만족, 방문의도를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20년 8월 1일부터 2020년 10월 30일 까지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모형에서 제시한 개별자유여행객의 소비가치 중 상황적 가치를 제외한 나머지 4개의 가치가 관광객의 체험관광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체험관광에 대한 만족은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체험관광활동에 있어서 개별자유여행객의 관광상품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지각된 소비가치의 중요성을 이해하는데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지역관광을 바탕으로 하는 관광상품 개발을 위한 마케팅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r marketing strategies for domestic experienced tourism products to stimulate the inbound tourism industry.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free independent travelers’ perceived consumption values toward domestic experienced tourism products affected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ducts and intention to visit. [Methodology] The sample of 294 tourists who had used a domestic experienced tourism product responded to the survey designed to assess consumption values, satisfaction, and visit inten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st to October 30th 2020, and were analys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Findings] Results showed the significant influences of four type of consumption values(functional, social, emotional, and exploratory consumption values) among free independent travelers on their satisfaction with the experienced tourism product. In addition, this study revealed that satisfaction with the experienced tourism product increased intention to visit. [Implications] This study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t role of perceived consumption values among free independent travelers in evaluating a tourism product incorporating activities designed to experience local culture and indigenous manufacturing. Implications for marketing strategies to develop a tourism product based on regional tourism activities.

      • KCI등재

        문화 향유 다양성의 선행 및 결과요인 분석: 소비자의 삶의 성취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최순화(Choi, Soonhwa),양재호(Yang, Jaeho) 한국경영교육학회 2021 경영교육연구 Vol.36 No.5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 향유 다양성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소비자의 학력, 소득, 사회관계망이 문화 향유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과 문화 향유 다양성이 삶의 성취감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문화자본론, 옴니보어 가설과 관련 연구를 바탕으로 5개의 가설을 포함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2019 사회조사」에서 추출한 20,039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AMOS 22.0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학력과 소득, 사회관계망은 각각 문화 향유 다양성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 향유 다양성은 삶의 성취도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고학력, 고소득층일수록 문화 향유 다양성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어 문화자본론과 옴니보어 가설이 지지되었다. 또한 문화소비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문화, 경제자본 뿐 아니라 사회자본을 함께 고려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고, 성취감, 만족감 향상 등 다양한 문화 경험의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되었다. 문화 향유 다양성을 증진하기 위한 정부 정책, 기업 전략 차원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diversity of cultural experience.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consumers’ education, income, and social network level on the diverse cultural experience, and the effect of diverse cultural experience on the sense of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life. [Methodology] Based on cultural capital theory, omnivore hypothesis, and related research, a research model including five hypotheses was presented. 20,039 data from 2019 Social Survey and AMOS 22 were used for analysis. [Findings] Educational, income, and social network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experience of diverse cultur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diverse cultural experi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nse of life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mplications] Cultural capital theory and omnivore hypothesis were supported by finding that elite, high incomers tend to be diverse cultural consumers. Also, it is confirmed that not only cultural and economic capital but also social capital should be considered to explain cultural experience,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life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mplications for government policies and corporate strateg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B2B 산업의 판매전략이 판매행동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업, 판매사원, 고객의 3수준 다층모형을 활용하여

        신경민(Kyong Min Shin),양재호(Jaeho Yang),송태호(Tae Ho Song) 한국관리회계학회 2021 관리회계연구 Vol.21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B2B 기업에서 전사적으로 판매사원의 활동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판매전략이 판매사원의 판매행동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기업 수준, 판매사원 수준, 고객 수준의 3수준 관점을 통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33개 의료기기 및 제약 기업의 대표 및 판매 임원, 판매팀장과 관리자 91명과 해당 기업의 판매사원 163명, 판매사원과 거래하는 고객 263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고객 우선순위는 판매성과와 고객성과에, 판매모델은 판매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고객 세분화는 고객지향성에, 판매모델은 판매지향성에 고객 우선순위 부여는 가치기반판매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판매사원의 고객지향성은 가치기반판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판매사원의 판매행동 중 가치기반판매는 판매사원의 판매성과와 관계성과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의료기기 및 제약 판매 경우 판매의 대상이나 제품의 특성, 판매방법에 따라 판매전략의 구성요인인 고객 세분화, 고객 우선순위 부여, 판매모델의 영향력이 다르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B2B 산업에서 고객을 세분화하고, 개별 고객의 가치를 평가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전략이 기업의 경쟁력을 높여 성과향상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sales strategies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sales person’s activities across the enterprise on the sales behavior and performance of sales person by using a three-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 at the corporate level, sales person level, and customer level in aspect that sales person at B2B company are the foundation of a company’s survival and competitiveness. [Methodology]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91 CEOs, sales executives, managers and 163 sales representatives and 263 customers who trade with sales people of 33 medical and pharmaceutical companies. Multi-level models analysis results can be divided into four major categories. [Findings] First, the customer priority of the corporate sales strateg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ales performance and customer performance and the sales model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ales performance. Second, the customer segmentation of the corporate sales strateg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orientation and the sales model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ales orientation. Prioritizing custome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value-based sales. Third, the customer orientation of the sales person was found a positive impact on value-based sales.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firms should strive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sales activities by segmenting customers based on their needs, demands, value in use, potential value and by establishing a framework to prioritize individual customers for a group of granular custom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