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지도학습의 한일 비교 연구

        양병일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ocial studies national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s in Korea and Japan to find out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map learn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Japan's revised social studies guidelines in 1998, 2008, and 2017 were analyzed, followed by Korea's 7th national curriculum social studies courses, 2007, 2009, and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ocial studies courses. And finally, the contents of the social studies in both countries were compare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map learn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are as follows. The common point is that the Environmental Expansion, which expands the scope of map learning as the grade rises, was applied, and as the curriculum was revised, map learning in the areas assigned to the fifth grade of the two countries was emphasized. The difference is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Japan's social studies learning guidelines in learning the map element, but there was a change in Korea's social studies national curriculum that excluded scale as the learning content of the map element and included it again.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emphasis on the tradition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s a reflective thinking and a criticism that scale is not suitable for the learner's developmental stage.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을 비교해 지도학습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일본의 1998년, 2008년, 2017년 개정의 소학교 사회과 학습지도요령이 분석되었으며, 다음으로 우리나라 7차 교육과정의 사회과 및 2007, 2009, 2015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이 검토된 후, 마지막으로 양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지도학습의 내용이 비교되었다. 비교 결과 양국의 지도학습에 나타난 공통점과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공통점으로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지도학습의 범위가 넓어지는 환경확대법이 적용되었다는 점, 교육과정이 개정됨에 따라 양국의 5학년에 배치된 국토 영역의 지도학습이 강조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차이점으로는 지도 요소의 학습에 있어 일본의 사회과 학습지도요령에는 큰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우리나라의 사회과 교육과정에는 지도 요소의 학습 내용으로 축척이 배제되었다가 다시 포함되는 변화가 나타났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는 축척이 학습자의 발달 단계에 적합하지 않다는 비판 및 반성적 사고로서의 사회과의 전통이 강조된 결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지리적 인과관계의 문제 해결 과정에 나타난 지리적 사고의 성격 - 초등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사례로 -

        양병일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80 No.-

        This essay aim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geographical thinking in geography education. In order for it, firstly main cognitive operation of geographical thinking was specified and secondly geographical thinking was categorized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 main cognitive operation and context of teaching and learning. Then empirical survey was carried out to validate the geographical categories. Two characteristics were verified about the geographical thinking process of solving geographical problems based on geographical causality. One thing is that a intuitive obsession might show up because of biased words and familiar examples in the problems. The other thing is that learning of Korean traditional village position should include the concept of directions and grid north in digital image map.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지리적 사고의 성격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리적 사고의 주요한 인지적 과정을 밝히고, 지리적 사고를 분류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설계한 문제를 이용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실시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지리적 사고의 성격은 다음과 같다. 지리적 인과관계를 주요한 인지적 과정으로 한 학습 문제의 해결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사고 과정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직관적 고착의 오류로 평가문항의 어휘 또는 최초로 접한 기학습 내용에 대해 지나치게 중요성을 부여함으로써 지리적 인과관계 사고가 주의 깊게 전개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는 전통적 농촌 입지 개념의 이해에 나타난 사고 과정의 오류로써 배산임수 개념의 이해에 방위가 간과되거나 디지털 영상 지도의 해석에서 도북의 개념이 누락되는 것을 말한다.

      • KCI등재

        공간 인지를 위한 초등 사회과 행정구역 학습의 성격

        양병일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9 사회과교육 Vol.58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characteristic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learning in social studies education of Korea. Spatial cognition of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was analyzed. Results are shown below. The firstresult is related to the curriculum while the rest is associated with learning. Firstly, the curriculum plays a positive role in learner’s spatial cognition. Administrative districts learning was directly mentioned in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Secondly, social studies education’s teachers need to let students know that there is a discordance between place names of Chungcheong Buk-do and Chungcheong Nam-do and their relative positions. Thirdly, social studies education’s teachers need to provide additional clues for the learning of location of Sejong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and Daejeon metropolitan city. Fourthly, it is efficientfor administrative districts learning to teach the origin of a place name. Fifthly, social studies education’s teachers need to provide information of absolute distance and relative position for the learning of location of Ulleungdo and Dokdo.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에서 객관적인 공간 인지를 위한 기초 지식으로 볼 수 있는 행정 구역의 학습이 가지는 성격을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행정구역 인지에 대한 실증적 조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분석했다. 이를 통해 도출한 본 연구의 결과는 5가지이며, 첫 번째는 교육과정과 두 번째 이후는 교과서를 바탕으로 하는 교수·학습과 관련된 내용이다. 첫 번째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광역지방자치단체 수준의 행정 구역에 대한 학습이 직접적으로 명시된 변화는 우리나라에 대한 학습자들의 기초적인 공간 인지 발달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다. 두 번째로 충북과 충남의 행정 구역을 지도 할 때는 행정 구역 명칭에 포함되어 있는 방위의 속성이 두 지역이 가진 상대적 위치의 속성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시적으로 학습자들에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 대전과 세종의 행정 구역을 지도 할 때는 기본적인 위치 정보와 더불어 두 지역을 구분하기 위한 추가적인 실마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네 번째로 광역지방자치단체 행정 구역 명칭의 유래를 제시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교과서의 시도는 행정 구역 명칭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극복하기 위한 바람직한 시도라고 볼 수 있지만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의 가능성에 대한 주의가 요구된다. 다섯 번째로 울릉도와 독도의 행정 구역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는 영역 교육의 단원에는 한반도, 울릉도, 독도의 상대적 위치와 절대적 거리를 명시적으로 지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地理敎育における景觀寫眞の分析に關する硏究: 地理學者と大學生の比較を通して

        양병일 한국일본교육학회 2013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17 No.2

        This research attempts to reveal the factors which make an analysis of landscape photographs meaningful. In order to this research, an experiment was planned and carried out. For the experiment, participants consisted of geographers and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asked to solve a few tasks which were created using landscape photographs. The think-aloud method was used to make the thinking processes of the participants visible. Using this data, their thinking processes were compared. In the think-aloud method,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keep talking about what they were thinking while they were performing the tasks. Two factors below were revealed fro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Firstly, the more perspectives participants used to analyze landscape photographs, the deeper was the level of information processing that resulted. Secondly, in order to have an meaningful analysis of landscape photographs, it is important to choose between divergent thinking or convergent thinking depending on the task. 本研究の目的は、調査協力者の思考過程に関するデータに基づき、景観写真の分析結果を優れたものにする要因を明らかにすることである。この目的を達成するために、本研究では、「地理学者と大学生の比較」という研究上の枠組みと「発話思考法」を活用した調査を行った。また、ここで言う「発話思考法」とは、調査協力者に課題を達成する間に頭に浮かんだことすべてを声に出して語ってもらう、思考過程の顕在化の方法である。調査の結果からは、景観写真の分析結果を優れたものにする要因として、次の二つが明らかになった。一つ目の要因としては、同一の景観写真を対象として、より多種の分析を、より多く行うことによって、景観写真に含まれている地理的情報の処理水準を深くすることが挙げられる。二つ目の要因としては、問題状況に応じて、「収斂的な思考」と「発散的な思考」を使い分けたことが挙げられる。

      • KCI등재

        서대문 형무소의 상징 읽기

        양병일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6 사회과교육 Vol.45 No.4

        Reading Symbol in Meanings of Seodaemun Prison Byung-il Yang Graduate School Dept of Geography, Korea University According to Ernst Cassirer, the symbolnets of man make tangible things on the earth and the things affect the symbolnets of man again. The Seodaemun Prison is an accumulated symbol which totally reflects the intentions of Japanese Imperialism, the primary power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Japanese Imperialism intended to infuse fear, humiliation and discouragement in Korean people's souls through such symbols in Seodaemun Prison. After that, because the primary power was replaced by the office of Seodaemun-Gu, the symbols of the Seodaemun Prison were changed in their characteristics. The Office of Seodamun-Gu inscribes its charming images in Korean people's minds through drawing spectacles on the Seodaemun Prison. Ernst Cassirer에 따르면 인간의 상징체계는 지표 위에 구체적인 상징물을 만들고, 그 상징물은 다시 인간의 상징체계에 영향을 미친다. 서대문 형무소는 당시의 주도적 권력체였던 일제의 상징체계가 반영된 총체적인 상징물 이었으며, 일제는 그러한 상징물을 통해 피지배자인 한국인이 일본을 인식하는 상징체계에 공포, 굴욕, 체념이라는 요소를 주입하려고 했다. 탈식민화 이후 서대문 형무소는 주도적 권력체가 서대문구로 바뀜에 따라 과거의 형무소 기능은 사라지고 역사교육의 명분 아래 공원으로 조성되어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으로 이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표면적인 명분 이외에도 공원조성의 주도적 권력체였던 서대문구는 스펙터클을 동원해 국민들이서대문 독립공원을 인식하는 상징체계에 조작을 시도했다. 그러한 조작을 통해 국민들이 서대문 독립공원을 ‘그럴듯한 곳’으로 생각하도록 만들고, 궁극적으로는 국민들에게 서대문구를 근사한 지역으로 인식시키려고 했다.

      • KCI등재

        1941년 국민학교령 제정 전후 활용된 일본 국정 지리 교과서의 특징

        양병일 한국일본교육학회 2022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geography textbooks used in Japanese geography education before and after the enactment of the National School Imperial Order in 1941. The procedure of this study firstly analyzes the Japanese school education system when geography textbooks were published, then derives major analytic geography textbooks based on their status in Japanese school education, and finally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geography textbooks.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geography textbooks reveal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Japanese national geography textbooks were used as a tool to provide high-quality geographic knowledge to learners. The evidence for this is that the provision of up-to-date geographic information on world countries, the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expansion methods for teaching and learning, the use of statistical and overlapping maps, and a description centered on geographical causal relations were observed in the geographic textbooks. Secondly, the national Japanese geography textbooks reflected the perspective of Japanese imperialism through the emphasis of colonial-related narratives and the setting of others to criticize. 본 연구의 목적은 1941년 국민학교령 제정 전후 시기에 일본의 지리교육에서 사용되었던 지리 교과서의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절차는 우선 근대 일본 학교 교육 체제에 대한 분석을 실행하고, 다음으로 지리 교과서가 일본 학교 교육 내에서 점유했던 위치와 성격을 바탕으로 주요 분석 지리 교과서를 도출한 후, 마지막으로 지리교육 및 정치적 역할의 두 가지 관점을 바탕으로 하는 분석을 통해 일본 국정 지리 교과서의 특징을 밝혀낸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낸 국정 지리 교과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국민학교령 전후 일본의 국정 지리 교과서는 학습자에게 양질의 지리 지식을 제공하는 도구로 활용되었다. 그 근거로 세계국가에 대한 최신 지리정보의 제공, 초보적 환경확대법의 정착, 통계지도 및 중첩의 활용, 지리적 인과관계 중심의 서술 등이 분석 대상 교과서에 나타난 것을 들 수 있다. 두 번째로 국민학교령 전후 일본의 국정 지리 교과서에는 식민지 관련 서술의 강조, 비난하기 위한 타자의 설정을 통해 일본의 제국주의적 관점이 반영되었다.

      • KCI등재

        사회과 교육에서 고차적 사고력을 육성하기 위한 교재의 개발

        양병일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7 사회과교육 Vol.5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고차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재 개발의 일반적 수준의 논의와 구체적 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사회과 교육 연구 영역의 성과와 4차 산업혁명의 대두라는 시의성을 고려해 사회과 고차적 사고력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사회과 교육의 고차적 사고력이란 사회적 사상(事象)을 비판적으로 바라봄으로써 문제를 발견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창의적으로 제시하며, 다수의 해결방법들 중에 과학적 사실과 추구하는 가치에 부합하는 방법을 합리적 대안으로 결정하는 능력이다. 단, 이 모든 과정은 협업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원인’은 같지만 ‘결과’가 다른 또는 ‘결과’는 같지만 ‘원인’이 다른 성격을 가진 사회적 사상을 사회과 고차적 사고력을 육성하기 위한 교재로서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상술한 이론적 내용의 구체적 사례를 제시하기 위해 촌락의 입지라는 지리적 사상을 바탕으로 개발한 교재의 활용 절차를 설명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to make teaching materials for developing higher-order thinking skill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Higher-order thinking means that learners can find a problem out of social phenomena with critical thinking, find different solutions with creative thinking, and make a decision to choose one of plural solutions as the most favorable alternative. These skills are learned through cooperative performance with peers in class. In order to make such teaching materials, two kinds of social phenomena were used: 1) social phenomena with similar causes but dissimilar results; and 2) social phenomena have similar results but dissimilar causes. Finally, an example of such teaching materials using the two kinds of social phenomena mentioned above is provided to accomplish the goal of this study in more detai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