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한 사회성 기술 중재의 연구 동향 및 향후 과제 고찰

        안혜신,이숙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9 지적장애연구 Vol.21 No.3

        As the social participation in adulthood and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the importance of social skills teaching has been more emphas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of social skill intervention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is study, 33 relevant articles(15 domestic and 18 international) published since 2005 have been identified and analyzed. First,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studies have been increasing in Korea and abroad since 2010. In terms of participants, the studies in Korea were focused on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majority of international studies put on emphasis on interventions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research design were mainly group design. Second, direct teaching methods were used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and teaching through peer support and other people training was also studied abroad. In addition, it was examined whether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ctivity participation, job-related skills, behavior management skills were effective through social skills intervention in school, workplace, residence, and community settings. Based on findings, the future directions were suggested as follows: 1) facilitating research including the extension of intervention subjects, 2) utilizing of human resources and diversifying of teaching methods, 3) teaching various social skills necessary for improving adult life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4) applying various evaluation methods to measure dependent variables. 발달장애인의 성인기 사회적 참여와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사회성 기술 교수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 성인 대상의 사회성 기술 중재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과제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 이후 국내외에서 발표된 발달장애인의 사회성 기술 중재 관련 문헌 33편(국내 15편, 국외 18편)을 선정하여 연구 동향에 대한 심층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전반적인 연구 동향 분석 결과 국내외 모두 2010년 이후부터 관련 연구가 증가하였으며, 연구 대상의 경우 국내에서는 주로 지적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은 반면 국외에서는 자폐범주성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연구 설계로는 집단연구가 주로 사용되었다. 둘째, 중재 특성 및 효과와 관련하여 교수 방법을 분석한 결과 국내에서는 모두 장애인당사자를 대상으로 한 직접 교수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국외에서는 또래 지원과 주변인 훈련을 통한 교수도 함께 연구되고 있었다. 중재환경 및 목표 기술을 분석한 결과 학교, 직장, 주거, 지역사회 환경 등 다양한 환경에서 중재가 실시되었으며 이러한 중재를 통해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활동 참여, 직업 관련 기술, 행동 관리 및 기타 목표 기술에 미치는 효과가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발달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한 사회성 기술 중재 관련 향후 과제를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1) 중재 대상 확대를 포함한 성인기 관련 연구의 활성화, 2) 주변 인적 자원 활용 및 교수 방법의 다양화, 3) 성인기 생활 및 사회적 참여 증진에 필요한 다양한 사회성 기술 교수, 4) 종속 변인 측정을 위한 다양한 평가 방법 적용.

      • KCI등재

        사용자 경험 중심의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 전략 분석

        안혜신,김홍찬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0 조형디자인연구 Vol.23 No.1

        The digital signage market (including software, hardware and content) is expected to develop rapidly over the next few years. Digital signage was initially initiated for advertising promotion purposes, but is now emerging as a new media medium that is now integrated with various IT technologies, enabling not only advertising, but also education, professional information and artistic use. Users, familiar with smart phones, are easily accepting and using digital signage, which has recently appeared in elevators, buses and subway stations. Instead of simply recognizing digital signage as a market to replace traditional outdoor advertising, it should be recognized as a new medium and developed new content, stories, and user interfaces to match it.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digital signages and analyze how they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users from a usability perspective. Thus, this research examined the cases and trends of interactive digital signage and analyzed th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interactive digital signage.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the concept and status of digital signage, type and classification and the concepts and trends of interactive digital signage focused on interaction are researched, and also the evaluation elements through its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In addition, through a recent case study of an increasing number of interactive digital signage, th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 was five development strategies of interactive digital signage. The interactive digital signage development strategy is to increase user interaction, increase user-customized content, expand mobile and Web links, use 3D technology as digital signage content, and use it as an artistic medium for digital signage. An important aspect of digital signage is maximizing its effectiveness by interacting with and participating in users. It needs to provide customized contents that are more personalized by working with variety of displays and understanding location and needs of users. This requires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signage in planning, producing and operating content. 국내외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그리고 컨텐츠를 포함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장은 앞으로 몇 년 동안 급속도로 발전될 전망이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처음에는 광고 홍보를 목적으로 시작을 하였으나, 현재는 다양한 IT 기술과 결합하고 발전되어 광고뿐만 아니라, 교육 분야, 전문정보 제공 및 예술적 활용까지 가능한 새로운 미디어 매체로 등장하고 있다. 스마트폰에 익숙한 사용자들은 엘리베이터, 지하철역, 버스 승강장 및 내부 등에 등장하고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쉽게 받아들이고 사용하고 있다. 앞으로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단순한 전통의 옥외광고의 대체를 넘어 새로운 매체로 인지하고 이에 적합한 새로운 컨텐츠를 개발하고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등을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사용성 관점에서 사용자와 어떻게 소통하고 상호작용 하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이에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의 사례와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한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의 발전 전략에 대해 분석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디지털 사이니지의 개념과 현황, 유형과 분류에 대해 살펴보고,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춘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의 개념과 동향에 대해 분석하며, 이의 특징을 통한 평가요소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최근들어 늘어나는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의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해 그 특징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결과로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의 다섯 가지 발전 전략을 도출하였다.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 발전 전략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의 증대, 사용자 맞춤형 컨텐츠의 증가, 모바일 및 웹 연동 확대, 3D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컨텐츠, 디지털 사이니지의 예술적 표현 매체로의 활용이다. 디지털 사이니지 전략에 있어 중요한 점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및 참여를 통한 효과 극대화이다. 다양한 디스플레이와 연동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니즈를 분석 및 반영하여 보다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특성을 고려한 컨텐츠의 기획과 제작 및 운영이 전제되어야 한다.

      • KCI등재

        삼성금융브랜드 디자인아이덴티티 연구

        안혜신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1 No.4

        금융 시장의 개방과 금융상품의 다양화, 복합화로 인해 금융시장은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기업의 입장에서 금융상품은 상품의 개발과 모방이 용이하고 고객의 입장에 서도 그 차이점을 알기가 쉽지 않다. 내용적인 측면에서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금융 상품이 소비자들에게 선택되기 위해 서 금융 브랜드의 중요성이 대두되었고 그에 따른 경쟁이 심화되었다.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브랜드 경쟁력 제고를 위한 수단으로 금융업계에서도 디자인 마케팅에 대한 중요 성도 점점 증대되고 있다. 연구자는 금융 브랜드의 디자인 마케팅에 대한 전략적 기초를 제시하고자 삼성 금융계열사의 디자인 마케팅 사례 를 연구의 과제로 삼고 각 계열사 간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비교연구 하였다. 삼성 금융계열사는 계열사 별 각기 다른 디자인 아이덴 티티를 통해 브랜드를 커뮤니케이션하였다. 삼성금융계열 사는 보험업과 자산운용으로 나눌 수 있으며, 보험업인 삼 성화재와 삼성생명은 블루 계열의 컬러를 활용한 그래픽 모티브를 개발하여 홈페이지와 광고 , 리플렛과 포스터 등 기 타 홍보물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적용하고 있었고, 금융업 인 삼성증권과 삼성자산운용은 레드 계열의 컬러 아이덴티 티를 구축함으로써 보험업과 차별화된 디자인 아이덴티티 를 형성하였다. 보헙업종과 비교해 자산운용업은 삼성의 아 이덴티티와는 구분되며, 고객의 감성과 상품 브랜드를 중심 으로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개발하고 커뮤니케이션 하였다. 연구결과 삼성금융사들은 브랜드 경쟁력 제고를 위해 독특 하고 차별화된 브랜드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개발하고 지속 적인 디자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었다. This study is indicate the importance of Design Marke ting of Finance Corporate. This study proceeded Samsu ng financing group..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Visual Identity on hom epage, advertisement, leaflet, poster and PR publications of Financing firms. For this study, homepage, advertisement, leaflet, poste r and PR publications of Sanmsung Insurance, Sanmsun g Life Insurance, Sanmsung Securities and Sanmsung F und were gathered . From the study, we found that Design Marketing of Fi nance Corporate were designed consistently on its desig n expressions. Design products on Sanmsung Insurance, Sanmsung Life Insurance were designed in blue color b ased on Samsung Group color system. Because of blue were linked with its mother company, Samsung it was easy to remind of Corporate image. By the way Sanmsu ng Securities and Sanmsung Fund were designed in red color, which was brand identity' color, unrelated on Sa msung. In conclusion, design marketing strategy of finance bra nd was according to brand strategy. I hope, through this paper, finance brand will be struct ured systematically and multi-facetedly. The way to po werful brand of finance brand depends on its lasting and consistent design strategy.

      • KCI등재

        공공디자인에서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안혜신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1 조형디자인연구 Vol.24 No.1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began in the 2000s, with the perception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resource scarcity, and the thought of the future. Currently, the concept is gradually expanded and embodied, and consequently aims to lead the direction of our lives in a more developmental direction. Especially in the field of public design, research on sustainability is becoming active in terms of urban regeneration, which is seen as a way to seek to recover and revamp the declining local economy, society, and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ustainability in public design and analyze cases that indicate sustainability in the public design field, suggesting directions for sustainability development in the public design sector. In this work, the following sustainable public design directions are presen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analysis in three areas: social/cultural, industrial/economic, and physical/environment. In social and cultural aspects, identity should be strengthened, understanding of public design should be spread, and participation should be increased. In industry and economy aspect, great efforts shall be made to prepare measures to revitalize the urban economy for regional revitalization, and to improve urban safety and disaster prevention.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aspects serve as the most direct factors, such as promoting sustainable land use, considering sustainable resource and energy use, and pursuing the sustainability of public design through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systems. Research and implementation of specific strategies for sustainable design development in the public design sector can become more active in the future. 지속가능성의 개념은 2000년대로 들어서면서 환경파괴와 자원 부족에 대한 인식과 함께 미래를 생각하는 데에서 시작되었다. 현재 그 개념은 점차 확장되고 구체화되어 결과적으로는 우리 삶의 방향을 보다 발전적인 방향으로 이끄는 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특히나 공공디자인 분야에서 도시 재생이라는 측면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연구는 활발해지고 있으며 이는 쇠퇴한 지역 경제, 사회, 문화적 회복과 쇄신을 모색하는 방안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에서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 공공디자인 분야에서 지속가능성을 나타내는 사례를 분석하여 공공디자인 분야에서 지속가능성이 발전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문헌 연구와 사회.문화, 산업.경제, 물리.환경의 세 분야의 사례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지속가능한 공공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사회.문화 측면에서는 정체성을 강화시키고 공공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확산하고 참여증대를 이루어야한다. 산업.경제 측면에서는 지역활성화를 위한 도시경제 부흥 방안을 마련하고, 균형개발 및 도시안전 및 방재개선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물리.환경 측면은 가장 직접적인 요소로 작용하는데 지속가능한 토지 이용을 활성화하고 지속가능한 자원 및 에너지 이용을 고려하며, 지속가능한 교통 시스템 발전을 통해 공공디자인의 지속가능성을 추구할 수 있다. 향후 공공디자인 분야에서 지속가능디자인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에 대한 연구와 실행이 더욱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통합적 안전디자인을 위한 융복합적 가이드라인 연구

        안혜신,박동명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2 조형디자인연구 Vol.25 No.1

        As interest in safety design increases, many design trials and results are visible in disaster, safety, and firefighting in developed countries. However, in Korea, the establishment of safety design is still insufficient due to the absence of various laws, lack of budgets, and lack of guidelines. In order to develop into a developed country with safety issu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hysical safety of society (safety in design and design) and the psychological (safety awareness) level of the people. By creating a safe living environment, the safety level of people's lives can be raised, and the psychological safety level of the people can be naturally raised through the fundamental safety accident prevention effect.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safety design concept and propose guidelines by examining the definition and scope of safety design, and analyzing safety design concepts, elements, and guidelines in Japan, Hong Kong, and Australia. Through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studies, the concept, components, and scope of safety design were examined.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elements, principles, and those guidelines of safety design in Korea, Japan, Singapore, Hong Kong, and Australia, the principles to be observed in safety design are discussed, and guidelines for safety design are suggested. By establishing safety design,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fundamentally by securing the safety of products, facilities, and spaces that humans come into contact within the living environment-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a safe and comfortable society. 전 세계적으로 재난, 안전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선진국에서는 재난, 안전, 소방 등에 대해 많은 디자인 시도와 결과들을 가시적으로 보이고 있으며 생활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있는 가운데 아직 우리나라는 각종 법의 부재, 편성 예산의 부족, 가이드라인의 부재 등으로 안전디자인의 확립이 미흡한 실정이다. 안전 선진국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사회의 물리적 안전(안전한 디자인과 설계)과 국민의 심리적(안전의식)수준 두 가지 요인의 향상이 필요한데, 국민의 생활과 직결된 제품, 시설, 공간 등이 디자인을 통해 안전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게 되면 이는 결국 국민 생활의 안전수준을 높일 수 있고, 근본적인 안전사고 예방 효과를 통해 자연스럽게 국민들의 심리적 안전수준이 높아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안전디자인의 정의와 범위를 살펴보고, 일본, 홍콩, 호주의 안전디자인 개념과 요소, 가이드라인의 분석을 통하여 안전디자인의 개념 정립과 함께 안전디자인 가이드라인 제안을 목표로 한다. 국내외 문헌연구 분석을 통해 안전디자인 개념과 구성요소, 범위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 일본, 싱가폴, 홍콩, 호주의 안전디자인의 요소, 원칙 및 안전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안전디자인에서 지켜져야 할 원칙에 대해 논의하고, 안전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을 제안함으로 본 연구가 안전디자인의 확립에 도움이 되고자 했다. 안전디자인의 확립을 통하여 인간이 생활환경 속에서 접하게 되는 제품, 시설, 공간 등의 안전성을 사전에 확보하여 안전사고를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사회 전 분야에서 안전디자인을 촉진하고 확산함으로써 근원적으로 안전하고 쾌적한 사회를 조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사용자 맞춤형 사무용 클립 디자인 개발 연구

        안혜신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2 조형디자인연구 Vol.25 No.4

        사무용 클립시장은 문구류의 시장 규모 증가와 함께 증가세에 있으나 한국 클립시장의 경우 대형문구업체나 금속 가공업체가 주로 클립을 생산하고 있어 기존의 대중적인 클립으로는 신규업체가 클립시장에 뛰어들기 어려운 상황이다. 소규모의 클립 업체 또는 신규업체의 경우 클립 사용자의 특성과 클립 사용 환경을 분석하고 이를 클립에 반영하여 기능적 또는 심미적으로 차별화된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P사의 원터치 다목적 클립 개발을 위해 사무용 클립의 특성과 사용자 행태 분석 등을 바탕으로 P사의 클립 디자인을 개발하고 클립 디자인의 활용방안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P사의 사무용 클립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디자인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 사용자 조사를 위한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시제품을 활용하여 사무용 클립 사용자의 특성 분석을 위해 사용 행태, 사용 상황 등을 컨텍스츄얼 인쿼리 방법으로 조사 분석했다. 연구 결과로 사용자 조사 분석 결과를 종합해 P사의 사무용 클립 디자인 개발 방향을 도출하고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P사는 시장 및 사용자 조사를 통한 상품개발을 통해 차별화된 전략을 수립할 수 있으며 이는 시장에서의 성공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일 수 있다.

      • KCI등재

        도시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트램 디자인 전략

        안혜신,박동명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2 조형디자인연구 Vol.25 No.1

        Trams are being re-evaluated due to their eco-friendliness, economy, and scenery. Since trams have almost no restrictions on installing of stops, they are excellent at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scenery, and disaster resilience. Through its operation, the urban environment can be improved due to the effect of reducing vehicle numbers, creating a human-centered and pleasant urban environment full of culture and humanity. Furthermore, adding the image of a tram turns the city’s image from a rigid to a lively place. At first, this research examines the role of trams, which enhance the image of a city and directly help establish an urban identity in the composition. It further analyzes, then suggests elements of design necessary for trams to reflect the urban identity and, ultimately, tram design strategies. Secondly, it describes the concepts and components of urban identity, the elements and composition of tram design as one of the urban constitutions. These are looked at through literature reviews. Furthermore, three elements of harmony, identity, and accessibility were derived by reinterpreting tram design elements as urban elements were examined through the prior research. Based on this, European tram design cases focused on Germany and France were analyzed. In conclusion, a tram design strategy that reflects the urban identity was proposed based on the analysis obtained through a case study. The tram can symbolize the image of the city, have tourism elements, and be expected to enhance the city's competitiveness by increasing its aesthetics through the tram’s movement on the road surface. 친환경성, 경제성, 경관성 등의 특징을 이유로 그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는 트램은 정류장 설치의 제한이 거의 없어 다른 교통수단과의 연계성, 접근성, 경관성, 재해 대응력이 우수하다. 또한 트램의 운용을 통하여 차량감소 등의 효과로 인하여 도시환경을 개선하여 문화와 인간미가 넘치는 인간중심적인 쾌적한 도시환경을 만들 수 있으며 도시의 딱딱한 이미지에 트램의 이미지를 더하여 생기 넘치는 도시로 탈바꿈시키는 효과가 나타나기도 한다. 본 연구는 도시 이미지를 제고하고 도시 아이덴티티 확립에 도움을 주는 트램이 도시 구성에 미치는 역할을 살펴보고 트램이 도시 아이덴티티를 반영하기 위해 필요한 디자인의 요소에 대해 분석, 제안하고 최종적으로는 트램 디자인 전략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도시 아이덴티티의 개념과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고 도시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트램 디자인의 요소와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본 도시 구성요소로서의 트램 디자인 요소를 재해석하여 조화성, 정체성, 접근성, 세 가지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이를 기준으로 독일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유럽의 트램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결론에서는 사례연구를 통해 얻은 분석을 바탕으로 도시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트램 디자인 전략에 대해 제안하였다. 트램은 도시의 이미지를 상징하고 관광적 요소를 지닐 수 있으며, 노면 이동에 따라 도시 미관을 증대하여 도시경쟁력을 제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중국 유학생이 인식한 심리상담의 접근 및 회피요인

        안혜신,장유진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23 다문화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유학생의 상담 경험을 바탕으로 상담에 대한 접근 및 회피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 유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진술문을 도출한 후, 진술문에 대한 유사성 분류 및 중요도를 평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개념도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상담의 접근 및 회피요인의 차원은 모두 2차원의 개인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문화적 요인이 상담과 같은 전문적 도움 추구에 핵심적 요인이 됨을 나타낸다. 또한 접근요인과 회피요인의 8개 군집을 통해 중국 유학생들이 한국 내에서도 상당한 문화적 차이와 차별을 경험하고 있어 상담을 찾게 되었으며, 상담과 같은 공식적, 전문적 서비스를 선호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go-zone 그래프를 통해 연구 참여자 중 상담자와 내담자 집단 간 중요도 인식을 비교한 결과, 내담자 집단은 자신과 사회적인 관계가 없는 전문가를 통한 문제해결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유학생들이 심리적 도움을 찾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돕고, 문화적으로 적절한 상담 서비스 제공의 중요성을 보여주었으며, 정부와 대학 차원의 정책과 실행과제를 제언하여 중국 유학생 심리지원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패키지 디자인 감소요소를 중심으로 한 친환경 디자인

        안혜신,박채은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3 조형디자인연구 Vol.26 No.1

        Recently, environmental problems have emerged as serious social problems, and the demand for sustainable package design considering the environment has increased. Accordingly, package designers must combine research on environmentally friendly package design with attractive graphic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pecific action plans focusing on reducing weight, which is emphasized as a common approach in eco-friendly design, to revitalize sustainable package design.To this end, package design for the environment was examin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actical methods were rearranged and classified by focusing on reduction measures. The reduction measures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light weight, simple packaging, space reduction, and energy and cost reduction, and related package design case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xisting organized practice method could be further embodied and a new method could be proposed. Lightening is aimed at reducing the weight of a package by minimizing the length and thickness of the package, and simple packaging has practical measures such as reducing unnecessary packaging and unifying packaging for the purpose of minimizing packaging. Space reduction is a proper design practice by considering the minimum package to protect the product, and energy and cost reduction is a practice method such as minimizing printing and coating and simplifying post-processing to save resources and costs in the entire production and disposal process.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study on reduction among sustainable package design methods, and future studies are expected to activate specific studies for sustainable package design such as recycling and reuse. 최근 환경 문제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며 환경을 고려한 지속가능 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증가했다. 이에 따라 패키지 디자이너는 매력적인 그래픽 작업과 더불어 환경친화적인 패키지 디자인에 연구를 필수적으로 병행해야 한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패키지 디자인의 활성화를 위해 친환경 디자인에서 공통적인 접근 방법으로 강조되는 감량화를 중심으로 하여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친환경 패키지 디자인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감량화 방안에 초점을 맞춰 실천 방법을 재정리하고 분류하였다. 감량화 방안은 경량화, 간이포장화, 공간 축소, 에너지·비용 절감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관련된 패키지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에 정리된 실천 방법을 더욱 구체화함과 동시에 새로운 방법을 제안할 수 있었다. 경량화는 패키지의 길이와 두께를 최소화하는 등의 방법으로 패키지의 중량을 감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간이포장화는 포장을 최소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불필요한 포장을 줄이고 포장을 단일화하는 등의 실천 방안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간 축소는 제품을 보호할 수 있는 최소한의 패키지에 대해 고민하여 적정설계를 실천하는 것이며 에너지·비용 절감은 생산 및 폐기 전 과정에서의 자원과 비용 절약을 목적으로 인쇄 및 코팅을 최소화하는 것과 후가공 처리를 단순화하는 등의 실천 방법이 있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패키지 디자인의 방법 중 감량화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재활용 방안, 재사용 방안 등의 지속가능한 패키지 디자인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