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타이어 분말과 재생PP로 제조한 열가소성 고무 플라스틱(TPV)의 물성평가

        안주영,박종문,방대석,김봉석,오명훈,An, Ju-Young,Park, Jong-Moon,Bang, DaeSuk,Kim, Bong-Suk,Oh, Myung-Hoo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4 資源 리싸이클링 Vol.23 No.4

        자동차 산업의 발달과 함께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연간 300,000톤 이상 발생하는 폐타이어의 재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타이어 재활용을 목적으로 40, 80, 140 mesh 크기의 폐타이어 분말을 선별한 후, 입도 분석을 통하여 크기를 확인하고 그 형상을 SEM을 통해 관찰하였다. 또한 각각의 폐타이어 분말을 Virgin PP와 혼합하고 Intermeshing Corotating Twin 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TPV를 제조하고 특성 분석을 하였다. 이 중 효과가 좋은 140 mesh의 폐타이어 분말과 Virgin PP, Waste PP, PP-g-MA 세 가지 종류의 매트릭스를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여 TPV를 제조한 후 UTM을 통한 인장강도, 연신율과 Izod impact로 충격강도 등을 측정하였고 TGA로 열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SEM을 통하여 폐타이어 분말의 분산정도 및 파단면을 확인하였다. 300,000 tons of waste tires are annually being produced with development of the automotive industry in Korea. Landfill and incineration treatment system are causing the economic problem through secondary environmental pollution and waste. Therefore, as one of the ways to take advantage of this, Thermo-Plastic Vulcanized (TPV) composite was prepared by the ground waste tire and plastic powders. The waste tire powder was gained by mechanical fracturing through crushers. The waste tire powder was ground by a shear crushing method and a 2-stage disk mill method instead of cutting crushing one. The waste tire powder of 50 mesh was mixed with Polypropylene(PP) in various proportions. TPVs were prepared by an extrusion, and tensile and impact tests were performed. In addition, the same experiments were repeated in 40, 80, 140 mesh conditions in order to observe size effect of waste tire powders.

      • KCI등재후보

        일부지역 대학생들의 VSI(Video Self-Instruction) 심폐소생술과 기본심폐소생술 교육 효과 비교

        안주영,박상섭,An, Ju-Yeong,Park, Sang-Sub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2009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Vol.10 No.1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perform comparative analysis of educational effects between video self-instruction (VSI) and bas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mong college students in some area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57 college students (28 for control group and 29 for experimental group) in U Metropolitan City from September 27 to October 5, 2007, and SPSS 14.0 Version was used for analysis. Results: As for differences in attitudes before and aft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the experimental group (1.48)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91), which was significant (p<.001). The experimental group (9.56) also showed higher knowledge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7.79)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p<.05). The former (3.93) also showed higher concrete self-efficacy than the latter (2.17).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p<.05). The experimental group (43.24) showed higher practical performance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34.48),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former (30.93) also showed higher accuracy in chest compression skill than the control group (20.25).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 KCI등재

        폐타이어 고무분말 재활용을 위한 화학적 탈황과 기계적 물성 평가

        안주영,박종문,방대석,김봉석,오명훈,An, Ju-Young,Park, Jong-Moon,Bang, Daesuk,Kim, Bong-seok,Oh, Myung-Hoo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5 資源 리싸이클링 Vol.24 No.3

        세계적으로 폐타이어를 포함한 가황고무제품의 재활용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수요량이 증대됨에 따라 발생하는 폐타이어는 매립이나 소각 시 가교결합 된 황 성분에 의해 2차 환경오염을 일으킨다. 또한 재생고무로 이용 시 가교 결합된 황에 의해 원료 고무와의 결합을 방해하여 적절한 물성을 가지지 못한다. 따라서 폐타이어 고무분말 재활용을 위해서 탈황 처리와 관련된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탈황 처리 공정을 거쳐 재생된 폐타이어는 원료 고무와 혼합된 후 가황공정을 통하여 용도에 맞는 제품으로 제조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 탈황법을 이용해 폐타이어를 탈황하여 탈황 정도를 분석하였다. 2-butanol 용액을 이용하여 온도, 탈황처리시간 등의 변수에 따른 탈황 효과를 살펴보았다. 고무시료를 유기용매에 팽윤한 후 100, 150, $200^{\circ}C$에서 1~5hr 동안 탈황처리 하였다. 그 후 평행팽윤법을 이용해서 수평균분자량과 가교밀도를 계산하여 정량적으로 탈황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Hot press를 이용하여 인장시편을 제조한 후 기계적 물성도 평가하였다. Recycling of vulcanized rubber products is a serious problem in the world. A quantity of generated waste tires becomes much more and more because of increasing demands on automobiles, resulted in the cause of serious secondary pollution by sulfur component that is crosslinked to incineration or landfill. In addition, crosslinked surfur is used to interfere with the binding of the raw material rubb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egree of devulcanization by the chemical devulcanization. Devulcanization ratio of the samples were systematically analysed by variables such as time and temperature. In addition, the effect of swelling method as a pre-treatment process was also measured. A rubber specimen was deepened in a organic 2-buthanol solutions during various times of 1 ~ 5 hrs at 100, 150, $200^{\circ}C$ respectively, then to calculate the crosslink density and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by using a parallel expansion process, which showed devulcanization degree of analyzed samples quantitatively. Also, the mechan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with the samples prepared by using a hot press.

      • KCI등재

        시장의 장소성과 노점상에 관한 연구

        안주영(An, Ju-Young)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07 서울학연구 Vol.- No.28

        Cheonggyecheon(stream) restoration project in 2003-2004 caused numerous social and physical changes in the inner city of Seoul. One of the drastic changes was the improvement of the physical condition of Hwanghak-dong market. This triggered the mobilization of Hwanghak-dong market’s street-vendors, as they were moved to Dongdaemun stadium. The municipal government and the street-vendors have made a new flea market in that old sports stadium. This study intends to trace the structural change of Hwanghak-dong market and to find the street-vendors’ efforts of making place identity of their new flea market in Dongdaemun stadium. Hwanghak-dong market was, at first, a spontaneously generated local convenience market dealing with vegetables, fruits, and oil until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times. However, the new wholesale market, Seongdong market, of grains and vegetables was installed near Hwanghak-dong market and antique dealers, junk shop dealers and street-vendors crowded into Hwanghak-dong market. Thanks to these changes, Hwanghak-dong market had the nickname, a ‘bric-a-brac market’ or a ‘general secondhand article market’ until 1960’s. In the late 1960’s, there were big changes - covering up Cheonggyecheon (stream) and building an elevated highway - near the market. Because of this change, the place identity of Hwanghak-dong market was slowly changed to that of an antique market. 1970-80’s saw Hwanghak-dong market’s concretized image as a antique market or a ‘demon’ market. Late 1990’s onward, most of the antique shops moved to Janganpyeong market and the remnants were mainly normal secondary article shops. So people said “Except foods and people, there aren’t any brand new things in this market”. Street-vendors also swarmed this market and they became the symbol of the market. However, in 2003, there was an announcement of the restoration of Cheonggyecheon(stream) and accordingly the municipal government promoted the migration of street-vendors to the un-used Dongdaemun stadium. Conflicts between the shoppers and street-vendors in Hwanghak-dong market came up to the surface at this point. The shoppers tried to reconstruct their prosperity by getting rid of street-vendors. However, the street-vendors didn’t want to move to Dongdaemun stadium and tried to consol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oppers and street-vendors and reinforce the market value as most famous market of secondhand items. Anyway, most of the street-vendors moved to the stadium. After the migration, street-vendors have intended to make new place image of the stadium as brand new ‘flea market’ by arranging vendors’ shops more innovatively in the stadium. They have installed semi-permanent facilities, for example, electric powers, watering and sewage, and ceiling tent, and these facilities enable them to be more hygienic and weatherproof. By adding a hygiene and an order to their physical environment, the street-vendors try to establish new place identity - variety in items and exotic experiences.

      • KCI등재

        일제강점기 국가 역법과 이데올로기적 시간체계 - 국가축제일과 국가기념일을 중심으로 -

        안주영(An, Ju Young) 한국민속학회 2020 韓國民俗學 Vol.72 No.-

        개항 이후 1896년, 서구의 태양력인 그레고리력이 도입되며 국가의 시간체계는 전통적인 태음태양력과 서구의 태양력이라는 이중적인 시간의 구조를 형성하게 되었다. 1897년 대한제국기에 들어서며 국가경축·의례일은 역서에 공식적으로 표기된 중요한 국가의 시간으로 더욱 부각되었으며, 매년 발행되는 국가 역서의 시간은 도시민의 일상을 새롭게 규정하기 시작하였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는 1911년부터 1936년까지는 『조선민력』이라는 이름으로, 1937년부터 1945년까지는 『약력』이라는 이름으로 해마다 역서를 발행하여 배포하였다.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식민통치는 국가의 시간에 의한 규제로서 더욱 강화되었다. 조선총독부는 서구 근대 양력의 도입과 더불어 황국신민화 정책과 결합된 이데올로기적 시간체계로서 식민지 국가의 역법체계를 형성함으로써 새로운 국가 시간의 질서를 대중화·일상화 시키고자 하였다. 조선총독부가 편찬·반포한 일제의 양력 역서에서는 ‘황국신민’을 위한 국가축제일과 국가기념일이 전면에 가장 강조되어 표기되었다. 일제강점기 전반의 국가 시간을 규정한 『조선민력』은 전통과 근대가 혼재된 달력이자 과도기적인 달력이었고, 태양력과 함께 일요일과 일제의 국가축제일을 전면에 내세운 식민지 국가의 공식적인 달력이었다. 『조선민력』에서는 기존의 태음태양력을 ‘구력(舊曆)’으로 규정 지으면서도 양력과 병기하여 기재함으로써 이중적인 시간의 구조를 유지시키고 있었다. 이러한 일제의 국가 역법체계는 일제강점기 후반인 1937년에 『조선민력』에서 『약력』으로 전환되며 크게 변동되었다. 『약력』에서 태음태양력의 날짜는 축소·삭제된 반면, 기존의 국가축제일에 더해 새로운 국가기념일들을 대거 추가시켰으며, 일제가 내세운 황국신민화 정책, 국가 의례와 관련된 각종 부록들을 새로 추가시키기에 이르렀다. 조선총독부는 해마다 조금씩 역서의 내용과 구성을 수정해나가며 일제의 황국신민을 중심으로 한 국가 이데올로기를 역법 체계에 직접적으로 반영시키고자 하였다. 조선의 전통적인 태음태양력과 근대의 새로운 역법인 태양력의 이중적인 시간 구조는 『조선민력』에서 두 개의 시간체계로서 공존하고 있었으며, 새롭게 등장한 일제의 국가축제일은 새로운 국가 시간의 리듬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후 새롭게 재편된 역서인 『약력』에서는 일제의 ‘황국신민’이라는 국가 이데올로기가 더욱 직접적으로 반영된 태양력의 시간으로 일원화되었으며, 그 중심에는 국가의 표상으로서 일제의 국가축제일과 국가기념일이 새로운 시간의 리듬을 형성하고 있었다. In 1896 with the port opening, the Gregorian calendar (the Western solar calendar) was introduced, and the national time system came to have a dual time structure: the traditional lunar-solar calendar and the Western solar calendar. In 1897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Empire, the national ritual days became more prominent as an important national time officially marked in the almanac. The time of the national almanac published every year has begun to define the daily life of city dwellers agai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Joseon published and distributed the almanac every year under the name of “The Joseon People’s Calendar(朝鮮民曆)”(1911~1936) and “The Simple Calendar(略曆)”(1937~1945).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Joseon tried to promote the new order of popular and ordinary national time by forming a calendar system of the colonial state as an ideological time system combined with the imperial deification policy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modern Western calendar. In the Japanese colonial calendar compiled and promulga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Joseon, the national festival days and national anniversaries for the “subjects of the Japanese empire(皇國臣民)” were mostly emphasized and marked on the front. 『The Joseon People’s Calendar』, which regulated the national time of the first half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a transitional calendar where traditional and modern calendars are mixed. It was the official calendar of the colonial state that emphasized the solar calendar, Sundays and the Japanese national festival days. In 『The Joseon People’s Calendar』, the existing lunar-solar calendar was defined as ‘the old calendar’. However, it maintained a dual structure of time by marking the old calendar together with the solar calendar. Such a national calendar system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changed greatly in 1937,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Simple Calendar』, the lunar-solar calendar dates were reduced or deleted. On the other hand, new national anniversaries were adde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national festival days. Furthermore, various annexes related to colonial policies of subjecting to Japan and national rites were newly added.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Joseon attempted to directly reflect the national ideology centered on “subjects of the Japanese empire” in the calendar system by revising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of the almanac little by little each year. The dual temporal structure of the lunar-solar calendar and the solar calendar in 『The Joseon People’s Calendar』 became a unified time that more directly reflected the national ideology of “subjects of the Japanese empire” in 『The Simple Calendar』. At the center of the ideological time system of the colonial state, the national festival days and national anniversaries of Japanese imperialism, which were defined as the modern solar calendar, were positioned as national representations.

      • 일제강점기 경성의 음력 추석과 양력 마츠리

        안주영(An, Ju Young) 서울민속학회 2020 서울민속학 Vol.- No.7

        근대도시로 변모해가는 수도 도시 경성에서 추석은 전통적인 세시의례와 놀이가 공존하는 것과 더불어 근대 도시의 새로운 여가문화가 결합된 새로운 형태의 가을 도시 축제로 재창조되었다. 일제강점기 경성에서 추석 명절은 조선인의 전통적인 세시놀이와 근대의 스포츠, 놀이·여가로서의 각종 행사와 유희가 충만한 도시의 세시축제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특히 추석의 "영화 감상"은 근대 도시의 새로운 여가문화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른 한 편, 경성신사의 마츠리는 경성의 일본인들에게 국가 제의의 시간을 형성하며 축제화되어갔다. 경성신사의 마츠리는 1944년까지 매년 반복되며 "일본인의 가을 축제의 시간", "국가 양력의 세시 시간"으로서 경성 일본인의 새로운 도시 축제문화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로써 경성의 가을 세시는 조선인의 "음력 전통 명절의 시간"으로서의 "추석", 일본인의 "국가 양력의 시간"으로서의 "마츠리"라는 이원화된 도시 세시문화를 형성하며 대조적인 도시 축제문화가 중첩되어 나타나게 되었다. 이같은 도시의 가을 축제문화는 일제 말기로 갈수록 조선인의 전통 세시에 대한 일제의 제재나 감시가 강화되면서 변동될 수밖에 없었다. 1944년까지 경성신사 마츠리는 지속적으로 수행된 반면, 1930년대 이후의 전시체제하에서 추석 명절에 대한 경계와 감시, 제재가 강화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일제 말기에 제재를 가할 정도로 음력 추석의 시간이 조선인들의 중요한 가을 세시의 시간으로서 지속·전승되고 있었다는 것을 함의한다. In Keijyo[京城, Seoul], the capital city of Korea that was transforming into a modern city, Chuseok was recreated as a new form of city festival in fall that combined the new leisure culture of the modern city with the coexistence of traditional seasonal customs ceremonial rites and gam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Chuseok holiday in Keijyo formed a seasonal customs festival in a city full of Korean traditional seasonal customs games, modern sports, various events as play and leisure, and entertainment. In particular, "Going to Movies" in the Chuseok holiday became a new leisure culture in the modern city. On the other hand, the Masturi[fest] of Keijyo Shrine became a big fest to Japanese, forming a time of national ritual for the Japanese people in Keijyo. The Matsuri of Keijyo Shrine repeated every year until 1944, forming a new urban festival culture for the Japanese people in Keijyo as "the time of the Japanese fall festival" and "the seasonal customs of the national solar calendar". In this way, the fall seasonal customs in Keijyo formed a dualized fests such as the "Chuseok" as a "time of traditional lunar holiday" for the Koreans and the "Matsuri" as a time of the national solar calendar for the Japanese, and the contrasting urban festival cultures were superimposed. The fall festival culture in the city was inevitably changed as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nt toward the end, as sanctions and surveillance on the traditional festivals of the Koreans were strengthened. Whide the Keijyo Shrine Matsuri continued until 1944, under the war system after the 1930s, caution, surveillance, and sanctions began to appear on the Chuseok holiday. However, this implies that the lunar Chuseok was still kept as an important festival in fall as seasonal customs among Koreans so that sanctions were imposed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KCI등재
      • 일본의 영 케어러 현황과 대책

        안주영 ( An Juyo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국제사회보장리뷰 Vol.23 No.-

        이 글에서는 일본의 영 케어러 현황과 대책을 살펴보고 한국에 대한 시사점을 정리한다. 일본에서는 10년 전부터 시민단체와 연구자가 영 케어러에 주목하기 시작해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조례 제정 등을 통해 대책을 마련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중앙정부가 전국의 중고생을 대상으로 영 케어러 현황을 조사하고 대책 수립에 나섰다. 그런데 일본 정부의 정책은 영 케어러를 홍보해 사회 인지도를 높이고 이들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제도를 확충하는 데 집중되어 있다. 결국 기존의 가족 중심 복지 체제에서 비롯되는 영 케어러 문제에 구조적으로 접근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일본의 사례는 유사한 복지 체제를 가지고 있는 한국 역시 영 케어러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 고찰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기한다.

      • KCI등재

        또래칭찬 프로그램이 만 5세 유아의 자기 효능감 및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안주영 ( Ju Young An ),최영미 ( Young Mi Choi ),이희영 ( Hee Yeong Le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또래칭찬 프로그램이 만 5세 유아의 자기 효능감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시에 소재한 W유치원의 만 5세반 학급의 유아 33명을 대상으로 실험·비교집단으로 나누어 또래칭찬 프로그램의 실시 전후 유아의 자기 효능감과 사회적 유능감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만 5세 유아에게 적용한 또래칭찬 프로그램이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는 인지적 영역을 제외한 신체적 영역, 사회·정서적 영역, 자기 효능감 전체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비록 인지적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지는 않았지만 실험 집단의 사후검사 점수는 높았다. 따라서 또래칭찬 프로그램은 만 5세 유아의 자기 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둘째, 만 5세 유아에게 적용한 또래칭찬 프로그램이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는 정서조절, 정서성, 또래관계기술, 사회적 규범 이해, 사회적 유능감 전체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또래칭찬 프로그램은 만 5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er praise program on 5-year-old children’s self efficacy and social competency. The sample group was consisted of 33, 5-year-old children(17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6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attending kindergarten located in Busan. Self Efficacy Inventory developed by Jeon(1996) and Social Competency Inventory developed by Lee(2005) were employed to measure participants’s self-efficacy level and social competency leve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5-year-old children who had completed a peer praise program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elf efficacy scores than those who had no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econd, 5-year-old children who had completed a peer praise program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ocial competency scores than those who had no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n conclusion, a peer praise program developed by researchers is effective for improving self efficacy and social compet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