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 일기 텍스트의 접속 표지 연구

        안정아 ( An Jeong-a ),남경완 ( Nam Kyoung Woan ) 민족어문학회 2016 어문논집 Vol.- No.77

        본고에서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일기 텍스트를 대상으로 텍스트 구조 형성에관여하는 주요 수단 중 하나인 접속 구조의 사용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텍스트구성 능력이 완전히 갖추어지지 않은 초등학생들의 일기에서 텍스트의 결속성을위한 치밀한 결속 구조를 발견하기는 어렵지만, 하나의 ‘이야기’가 포함하고 있는시간적 질서와 인과적 규칙을 보여주고자 하는 결속 장치들이 발견되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접속 표지라 할 수 있다. 초등학생의 일기 텍스트에서 발견되는 접속표지의 유형에는 접속 부사, 준 접속 표현 그리고 문두에 출현하는 기타 부사어들이 있다. 그 가운데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것은 접속 부사로서 1학년의 경우약 88%를 차지한다. 그러나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그 비중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5학년이 되면 약 65% 정도로 줄어든다. 전체 접속 표지의 출현 빈도 역시전체 문장 수 대비 1학년 때에는 약 38%, 3학년 때에는 34%, 5학년 때에는 27% 정도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다음으로 접속의 의미적 유형은 크게 나열, 전환, 인과, 대립의 네 가지 범주로 나뉘며, 이들은 일기 텍스트의 위계적 구조와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나열 구조와 인과 구조는 구체적 사건이 전개되는 <일화> 를 형성하는 주요 수단이었으며, 전환 구조는 <배경>→<일화>로, 혹은 <일화>→ <논평>으로 이어지는 부분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립 구조는 <일화>→<논평>으로의 전환 부분, 혹은 <논평> 내에 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using aspect of conjunctive structure that is one of the main factors to make text structure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ary text. Sin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not enough writing skills, it is hardly difficult to find a delicate text coherence in their diary, but there are some markers that show a chronological order or causal link of events, i.e. conjunctive markers such as and, but, by the way, so etc. The conjunctive markers founded in diary text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of conjunctive adverb, pseudo-conjunctive expression and adjunct. Among them conjunctive adverbs show the highest frequency about 88% in first grade, but the frequency of conjunctive adverb has decreased consistently. When they are fifth grade, the rate is decreased to about 65%. The total frequency of conjunctive markers per total number of sentences is also has a tendency to decrease from 38% in first grade to 27% in fifth grade. This result means that writ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improved gradually, so they can choice alternative methods instead of simple conjunctive markers. The meaning category of conjunction is enumeration, conversion, cause-and-effect, opposition. These four categories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diary text. Enumeration structure and cause-and-effect structure are appeared mainly in the <Episode> that develops concrete events. Conversion structure is appeared mainly in connecting positions between <Background> and <Episode> or <Episode> and <Comments>, and opposition structure is appeared mainly in <Comments>

      • KCI등재

        초등학생 일기 텍스트에 나타나는 제목의 특성

        안정아 ( Jeong A An ),남경완 ( Kyoung Woan Nam ) 민족어문학회 2015 어문논집 Vol.- No.75

        본고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에서 5학년 학생들의 일기 텍스트에 나타난 제목의 형식적, 내용적 특성을 살펴보고,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어떠한 변화 양상을 보이는지 고찰하였다. 형식적 측면의 분석에서는 초등학생의 일기 제목이 단어, 구절, 문장 가운데 어떤 형식으로 가장 많이 나타나는지를 살피고,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어떤 변화 양상이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초등 일기 텍스트의 제목은 단어,구절, 문장 등의 형식이 모두 나타나는데, 단어형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구형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단어형의 제목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확장형으로 변형되는 예가 많이 발견되었고, 단순 구 형식과 갖춘형 문장 형식의 제목은 점차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초등학생들이 일기의 제목을 붙이는 방식이 단일 명사나 사건 요약형의 구 형태에서 점차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내용적 측면에서 초등 일기 텍스트의 제목은 주로 주제 제시의 기능을 하며, 명제 형식으로 환언되어 본문에서 재수용되는 양상이 관찰된다. 이때 재수용되는 위치는 본문 텍스트의 구성 성분인 < 배경 >, < 일화 >, < 논평 >의 기능과 명제 내용이 부합하는 곳에 배치되는 특징이 있다. 이를 통해 제목 붙이기는 텍스트 유형에 대한 이해, 일기 텍스트의 구조에 대한 이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목의 내용을 의미적으로 분류해보면, 객관적 사실을 바탕으로 그날의 사건을 요약하는 경우, 사건이 일어나는 시·공간적 배경이나 행위의 주체 및 대상을 제시하는 경우, 사실에 대한 필자의 주관적 감정이나 평가를 나타내는 경우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haracteristics of form and content of title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ary text, and to examine the aspect of transit of four students from first grade to five grade. In analysis of formal features, the tit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ary text are appeared in form of words, phrase, sentence. In the type of word titles, an extended word form that is consist of above two nouns are increased as students advance through school. In the type of phrase titles, phrases that are finished by noun ``day`` or gerund phrase are decreased consistently and titles of complete sentence form are also decreased. These results mean the way of deciding on tit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ary text is changing from a simple method that is choosing a noun or summary phrase to a complex, various method. In analysis of textual features, the titles of diary text have a function to show the theme of diary for that day, and this title is reaccepted in the body of text. The location of reacceptance is related to the body text``s components that are < background >, < episode >, < comment >. Usually, a title is reaccepted in the most referential part of body text. Through these results, the way of deciding on the title of diary is connected to the comprehension about the structure of diary text. In semantically, titles of diary text can be classified into some categories, case of summary of daily schedule or case of presenting time and space background or case of commenting writer``s subjective feelings.

      • KCI등재

        부사 기원 담화 표지의 담화 기능 비교 연구 -"그냥", "막", "좀"을 중심으로-

        안정아 ( Jeong A An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5 언어와 정보 사회 Vol.2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course functions of ‘kunyang’, ‘mak’, ‘jom’ and to investigate common and distinct properties of the discourse markers derived from adverb. As a result, the common properties of ‘kunyang’, ‘mak’, ‘jom’ as a discourse maker are analyzed three functions, i.e. 1) maintenance of utterance, 2)focusing and 3)emphasizing. The distinct properties of discourse marker ‘kunyang’, ‘mak’, ‘jom’ are 〈mitigating〉 and 〈intensifying〉 broadly. At first, the opposition between 〈mitigating〉 and 〈intensifying〉 is a main feature to distinguish ‘kunyang’, ‘jom’ from ‘mak’ and in sequence ‘kunyang’ and ‘jom’ are distinguished in [degree] property.

      • KCI등재

        근대국어학 시기 문법서에 나타난 의존성 단어들의 범주 상관성 연구 -의존명사를 중심으로-

        안정아 ( An¸ Jeong-a ) 우리어문학회 2021 우리어문연구 Vol.71 No.-

        본고에서는 근대국어학 시기 문법서에 나타난 의존명사의 범주 변천 양상을 살펴보고, 범주 변화에 따라 인접 범주인 조사, 어미, 접사 등과의 관련성을 당대 문법가들이 어떤 방식으로 기술하였는지 비교, 분석해보았다. 근대국어학 시기 문법서에서 의존명사는 주로 대명사 범주에서 다루어졌다. 초기에는 서구 문법의 관계대명사와 같은 구실을 하는 것으로 보았으나, 주시경(1910)에서 이들 부류의 의존적 특성을 제시한 이후, 의존명사는 통사적으로 의존적인 성격을 지닌 대명사로 기술되었다. 그러나 대명사의 범주 특성으로는 의존적 쓰임을 보이는 다양한 형태들을 포괄하기에 적합하지 않아서, 의존명사의 의존성을 바탕으로 관련 범주와의 관계 인식에 따라 접미사로 보기도 하고, 불완전명사로 보기도 하는 등 새로운 범주로 접근하려는 시도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의존명사를 접사로 인식한 관점에서는 단어형성에 참여하는 접미사처럼 의존명사도 ‘이, 그, 저’ 등의 선행 성분과 결합하여 대명사를 형성하거나, 통사론적 단위를 형성하는 접미사로 보았다. 또한 의존명사의 의존성은 조사 범주와도 관련되는데, 현대국어에서 의존명사, 보조사 통용의 방식으로 설명되는 단어들이 당시에는 조사 범주에서 통합적으로 기술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조사의 범위에 어미까지 포함한 문법서들에서 많이 나타나는 방식인데, 이후 조사, 어미의 분석 방식에 따라 조사 범주의 변화가 나타나면서 동사나 형용사 뒤에 연결되는 의존명사적 쓰임을 보이는 조사들이 불완전명사에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의존명사는 조동사로서 용언의 활용부에 있는 어미들과도 함께 기술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의존명사를 ‘하다’, ‘이다’ 등과 결합하여 서술부에 양태적 의미를 덧보태는 표지로 이해한 것인데, 이후 이들 구성에서 양태 표현의 핵심 의미부인 의존명사를 분리하여 불완전명사에 포함시켰다. 따라서 근대국어학 시기 불완전 명사는 선행 성분을 명사로 기능하게 하거나 선행 성분에 관계적 의미, 양태적 의미를 덧붙이는 등 여러 문법 기능이 복합적으로 중첩된 범주를 이루게 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the category of Bound nouns in the period of modern Korean linguistics and analyzes how contemporary grammarians described the relationship between Bound nouns and adjacent categories. In the period of modern Korean linguistics, Bound nouns were mainly recognized as pronouns. In the early days of modern Korean linguistics, it was viewed as playing the same role as a relative pronoun in Western grammar. However, since Ju Si-gyeong (1910) suggested dependence as a categorical characteristic, Bound nouns were recognized as pronouns with a syntactically dependent character. However, the categorical characteristics of pronouns are not suitable to encompass various forms showing Bound nouns. Therefore, based on the dependence of Bound nouns, attempts have been made to approach new categories, such as suffixes and incomplete nouns, depending on the recognition of their relationship with related categories. From the viewpoint of recognizing Bound nouns as suffixes, Bound nouns were also viewed as suffixes that combine with preceding components to form pronouns or to form syntactic units. In addition, the dependent characteristics of Bound nouns were also related to particles. Later, as the scope of the particles changed, dependent forms connected after verbs or adjectives were included in incomplete nouns. In addition, as an auxiliary verb, it can be seen that Bound nouns ar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endings in the conjugation part of the verb. For example, it is understood as a word that adds a modal meaning to the predicate by combining Bound nouns with ‘hada’ and ‘Ida’. Afterwards, in these configurations, Bound nouns, which are the core semantic parts of the modal expression, were separated and included in the incomplete nouns. Therefore, in the period of modern Korean linguistics, incomplete nouns formed a category in which several grammatical functions were complexly overlapped, such as allowing the preceding component to function as a noun or adding relational and modal meanings to the preceding component.

      • KCI등재

        2019년 남・북한 신년사 비교 분석

        안정아(An, Jeong-A),남경완(Nam, Kyoung-Woan) 한국사회언어학회 2020 사회언어학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discours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a 2019 New Year Message. To this end, 13we analyzed the text structure of the New Year Message and looked at strategies to persuade the audience in each stage of construction. The text structure of the New Year message is basically a form of persuasive text. However, the persuasion strategies shown in the two texts hav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at the same. Both texts commonly take an emotional approach in the introductory and closing sections, but persuade the audience in a rational approach in the main section. However, as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way of defining the speaker s position, there are differences in overall tone, paragraph composition, and vocabulary usage. In President Moon’s New Year Message, he defines the president as a supporter of the people, and accordingly maintains the tone of treating people with high honors. In addition, it was an easy-to-understand expression that aimed to win people s hearts through simple but sometimes firm sentences. In contrast, Kim s New Year Message reflects the vertical hierarchy of North Korean society, and the speaker maintains an authoritative tone by defining himself as the highest leader that the people believe and follow. This attitude contributes internally to concretely dictate the tasks to be undertaken by the people and externally to the declaration of the will and position of North Korea.

      •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일기 텍스트에 나타난 접속 현상 연구 -그리고, 그래서, 그런데를 중심으로-

        안정아 ( Jeong A An ),남경완 ( Kyoung Woan Nam )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using aspect of conjunctive adverb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ary text. As a beginner of writing a text, the first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have a tendency to overuse the conjunctive adverbs when they connect the sentences. Especially, they use the geurigo(and), geuraeseo(so), geureonde(by the way) very much as a connective marker in text. These conjunctive adverb are not only used as sentences connecting device in micro-structure but also used as paragraph connecting device in macro-structure in text. The first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re not familiar to write a text and are wanting in ability to express the logical relation among the separate events, so they overuse the conjunctive adverb just to maintain the textuality. One another special feature of their diary text is that there can be found the characters of spoken language, for instance the conjunctive adverb geureonde(by the way) is used as a discourse marker to make their narration constantly.

      • KCI등재

        초등학교 학생들의 일기 텍스트에 나타나는 정보 보충 방식 연구 -[{의문사}+V-냐면] 구문을 중심으로-

        안정아 ( Jeong A An ),남경완 ( Kyoung Woan Nam )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usage and function of [{interrogative}+V-nyamyeon] clause founded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ary text and also to examine the aspect of transition phase by grade. These clauses are frequently appeared to add information that are omitted in preceding sentence because of the elementary schoolchildren’s unskilled ability or intention to emphasize. At First, we survey the structure of [{interrogative}+V-nyamyeon] clause and types of information supplement in chapter 2. All 5W1H interrogatives are appeared and repeated predicates are also appeared in various type. The several types of information supplement can be founded such as paraphrase, specification, exemplification and explanatory notes. In chapter 3, according to the semantic category of information, we divided [{interrogative}+V-nyamyeon] clause into six categories these are who, what, how, why, where, when and examine the specific features microscopically. The final analysis subject is how the appearance frequency of these clause are changed by type of interrogative and elementary grade.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type of interrogative, WHAT and WHY types show the highest frequency. And from 1st grade to 3rd grade, frequency shows decreasing trend and almost disappeared in 4th grade to all students.

      • KCI등재

        국어교육 :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텍스트 구성 능력 연구-일기 텍스트를 중심으로

        안정아 ( Jeong A An ) 배달말학회 2013 배달말 Vol.53 No.-

        이 연구에서는 학령기에 들어서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일기 텍스트를 중심으로 텍스트 생성 원리와 구성 방식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이 시기 학생들은 구어 문법에는 익숙하지만, 텍스트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문어 문법에는 아직 익숙지 않아서 맞춤법, 띄어쓰기는 물론이고, 어휘의 선택이나 문장 쓰기, 나아가 텍스트 층위의 의미 내용과 구조를 구성하는 모든 일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 시기 학생들은 아직까지 글의 목적과 의도에 맞게 의미 내용을 조직하는 방법을 학습하지 않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기 텍스트를 완성할 수 있었던 것은 일기의 기술 방식이 이들에게 너무나 익숙한 ‘이야기’와 닮아 있기 때문이다. 즉 학생들은 이야기 구조를 활용하여 일기 텍스트를 생성해내는데, 이 이야기 구조를 문어 텍스트(written text) 형식으로 구성하는 과정에서 텍스트성이 점차 발달하면서 일기 텍스트의 전형적인 구조인 <배경-일화-논평> 구조가 확립되었다. 즉, 텍스트 구성 능력이 미숙한 시기에는 일기 텍스트의 구성 요소인 <배경>, <일화>, <논평>이 모두 출현하지 못하고 결여된 구조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는데, 초기에는 구성 요소들 간에 특별한 관계를 부여하지 못하고 <일화> 범주로만 텍스트를 구성하다가, 사건과 사건을 나열하는 데 인과적 연결에 집중하면서 <배경-일화> 구조로, 다시 이 구조에 필자의 주관적인 견해를 덧붙임으로써 일기를 마무리하는 방식인 <배경-일화-논평> 구조로 발달해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텍스트 구성 능력에 따라 1단 구성에서 3단 구성으로 발전하는 양상을 띠지만, 한편으로는 아직까지 <배경>, <일화>, <논평>의 순서를 뒤바꾸어 배열하기도 하고 다른 구성 요소 중간에 삽입시키기도 하며, 어느 한 범주를 생략하거나 지나치게 단순하게 기술하는 등 의미적 결속성을 위배하는 현상들도 자주 관찰되었다. 이야기를 구성하는 능력은 일기뿐만 아니라 모든 장르의 글쓰기에 적용될 수 있는 기본적인 원리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관찰되는 텍스트 구성 방식의 다양한 유형과 결속성을 위배하는 오류 양상들은 다른 장르의 텍스트 구성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xt organization ability of 1st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In chapter2, we investigated the generative principal in their diary text. As a result, the first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completed the diary text using the story structure. They showed gradual improvement on the text organization ability, so they organized <setting-episode-comment> structure. In chapter3, we investigated the unique structure of the diary, i.e. <setting-episode-comment> structure. According to development of text organization ability, they produced various types derived from <setting-episode-comment> structure. As a result, three types are induced : <episode> type, <setting-episode> type, <setting-episode-comment> type. Although they can organized <setting-episode-comment> structure, they can`t handle this structure skillfully because they made mistake occasionally in sequencing relationships among the episodes or events, or reversing the constituent of <setting-episode-commen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