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의 운전변수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모사와 실험치와의 비교

        안영주,정귀영,주재백,남석우,오인환,임태훈,홍성안 ( Young Joo Ahn,Gui Yung Chung,Jae Back Ju,Suk Woo Nam,In Hwan Oh,Tae Hoon Lim,Seong Ahn Hong ) 한국화학공학회 1995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33 No.4

        A mathematical model is proposed to simulate the effect of variables on cell performances of molten carbonate unit fuel cell at the constant temperature. Values of the total cell resistance calculated with twice of the Arrhenius constant in the equation of anode resistance, presented in the reference, agreed well with experimental data.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numerical calculations of the effects of current density, the gas utilization(i.e. flow rate), gas compositions, and cell temperature on the cell performances we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1]. At the constant temperature, numerical calculations of the effects of operating variables on the cell performances, such as voltage and power, were agreed well with experimental data.

      • SCOPUSKCI등재

        용융탄산염 단위 연료전지 내의 에너지와 물질수지에 의한 온도분포의 예측과 운전변수의 영향

        안영주,정귀영,주재백,남석우,오인환,임태훈,홍성안 ( Young Joo Ahn,Gui Yung Chung,Jae Back Ju,Suk Woo Nam,In Hwan Oh,Tae Hoon Lim,Seong Ahn Hong ) 한국화학공학회 1994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32 No.6

        A mathematical model is proposed to simulate the current density and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molten carbonate unit fuel cell. In this model, conversion of gases, heat transfer by conduction, convection, and radiation, and heat generation by reaction were considered for the cross and the parallel flow type fuel cell. Additionally, the effects of the gas flow rate and the ratio of the flow rate of the cathode gas to that of the anode gas were studied. It was seen that the current density distribution was affected by the anode gas, while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by the cathode gas. It was also found that, in order to get an uniform temperature distribution, the ratio of the flow rate of the cathode gas to that of the anode gas should be around 0.25.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빅 데이터의 효용성 검토와 향후 발전 가능성에 대한 제고

        안영주(Ahn, Young Joo),김승인(Kim, Seung I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3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업과 국가 할 것 없이 ‘빅 데이터’를 혁신적인 전략적 모델로써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특히, 공공부문에서의 빅 데이터 활용은 국민의 질을 높이고, 정부 운영에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부가가치를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주요 선진국은 오픈정부를 선포하여 국가차원에서 선도적으로 공공데이터 추진 운동을 실시하고 관련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그에 비해 한국은 공공데이터 추진운동의 초기단계이고, 그와 관련된 전문가와 인프라가 턱 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국민들 간의 정보격차가 심해 공공데이터를 이해하고 활성화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공공데이터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그 활용성과 가치를 이해하기 위해서 대표적인 사례에 대해서 연구하고, 공공데이터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려 일으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더 나아가, 공공데이터의 특징과 주요 이슈에 대해서 고찰하여, 향후 공공 데이터가 어떠한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에 대해서 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빅 데이터의 공공부문 활용이 좀 더 의미 있는 방향을 가기 위해서는 공공재적인 성격을 가진다는 것을 이해하고 많은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효과적인 비주얼라이제이션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Recently, using ‘big data’ as a innovative and strategic model is getting widespread in companies and government. In particular, big data in the public sector is valua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and appli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Therefore, declaring ‘open government’ developed countries try to apply open data and lead to educate data science. However, South Korea is in the early stage of open data, need to foster data scientists and build infrastructure related to big data. Also, using open data is challenging because of the gap of information among people. After researching case studies, this study discussed the potential value of open data to raise social interests of open data and how to actively utilize open data in the future. Furthermore, this study researches the feature and major issues related to open data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open data. To make the application of big data meaningful, people should understand that open data is the public property, and the efficient visualization is need to understand easily.

      • 빅 데이터의 효용성 검토와 향후 발전 가능성에 대한 재고

        안영주(Ahn, Young Joo),김승인(Kim, Seung I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사)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conference Vol.2014 No.5

        Although there is a lot of debate about how to use big data, it is generally acknowledged that big data is the most valuable area in the aspect of effectiveness and potential development. Especially, with new innovative ways of solution for an administrative matter or environment matter as well as new business values, the world is actively trying to use big data in the public sector. However, most recent movements for applying big data are concentrated i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or business models in the private sector. This paper is a study about the efficiency of big data and an examination on the future development of big data in the public sector named ‘open data’.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모던디자인의 젠더 관념과 페미니스트 디자인사 기록으로서의 전시

        안영주 ( Ahn Young-joo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9 전시디자인연구 Vol.16 No.2

        본 논문은 모던디자인의 산실이라 할 수 있는 바우하우스 미학에 나타난 젠더 관념을 살펴보고 모던디자인이 지향했던 기능주의가 디자인 담론과 실천에 있어 성적 편향성에 근거한 질서를 만들어냈다는 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모던디자인은 수공예, 장식, 형태, 표면 등의 가치를 기계 생산, 기하학, 기능, 구조 등에 대립되는 타도의 대상으로 보았다. 과거 수공예와 장식은 여성에게 부과된 것이었으며, 기계적이고 기능적인 형태는 남성적 특성이 부과된 영역이었다. 따라서 그 특성상 모던디자인은 남성적 가치를 중시하며 그 외의 가치들을 억압하였다. 그러나 스튜어트 유웬은 역설적이게도 모던 디자인의 수학적 엄격성은 대량생산 기계에 의해 쉽게 제조될 수 있는 것이 아니었으며, 오히려 그것을 효과적으로 집행하기 위해서는 수공업자들의 기술이 필요했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모던 디자인의 주류 역사 어디에도 이러한 사실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구조를 변화시키기 위해 디자인사가인 셰릴 버클리는 디자인사 서술에 있어서 페미니즘적 접근을 제안하는데, 먼저, ‘여성스러운’, ‘섬세한’, 그리고 ‘장식적인’과 같은 용어들의 이데올로기적인 본질과 함의를 재고해야 하며, 두 번째, 생물학적 특성에 근거한 노동의 성적 분업이 가부장적 편향임을 인식해야 하고, 세 번째, 디자인사가들이 디자인의 역사에서 여성과 남성의 구조적 역할을 깨달아야 한다는 것, 마지막으로, 역사가들은 사용가치보다 우월한 것으로서 교환가치에 특권을 주는 가치 체계를 주목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페미니스트 디자인사 서술의 실천적 사례로《W쇼-그래픽 디자이너 리스트》전을 제시하였는데, 이 전시는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한국의 여성그래픽 디자이너들을 조사하고 발굴함으로써 페미니스트 디자인사의 한 장을 구성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고 하겠다. 이는 향후 다양한 여성디자인 관련 전시의 기획과 행사들로 확대될 것이라 기대되며, 이러한 시도를 통해 우리는 디자인과 여성의 관계에 대한 편향된 이해와 역사를 넘어서 새로운 의미와 역사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gender ideology of the Bauhaus aesthetics that gave birth to modern design and the functionalism that modern design aimed to create an order based on sexual bias in design discourse and practice. Modern design rejected the value of handicraft, decoration, form and surface as opposed to machine production, geometry, function and structure. In the past, handicrafts and decorations were imposed on women, while mechanical and functional forms were imposed on masculine traits. Therefore, modern design valued male value and suppressed other values due to its characteristics. But Stuart Euwen, paradoxically, points out that the mathematical rigor of modern design was not something that could be easily manufactured by mass-produced machines, but rather that the skills of craftsmen were needed to execute it effectively. But this is not recorded in the mainstream history of modern design. This hybrid process has been concealed. To change this structure, sheryl buckley, a design historian, proposed a feminist approach to the narrative of design history, first to reconsider the ideological nature and implications of terms such as ‘feminine’, ‘detailed’ and ‘decorative’. Second,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sexual division of labor based on biological characteristics is patriarchal bias, and third, that design historians should realize the structural role of women and men in the history of design, and finally, historians should note the value system that privileges exchange value as superior to value in use. Based on this discussion, I presented ‘The W Show: A List of Graphic Designers’ as a practical example of feminist design history, which is meaningful in that it formed a chapter in feminist design history by investigating and discovering Korean female graphic designers, who have not been well known so far. It is expected to expand into various exhibitions and events related to women's design in the future, and through these attempts, we will be able to build a new meaning and history beyond our biased understanding of design and women's relationships.

      • KCI등재

        저성장 시대, 질적 성장을 위한 디자인 담론과 방향성 고찰 ; 공공성 회복을 위한 디자인 개념 확장

        안영주 ( Ahn Young Joo ),나건 ( Ken Nah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 2016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0 No.4

        Contemporary Design have tried to expand the value and concept in Design Study field beyond conventional design as machine aesthetics. This means that it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designers who are required their design qualification or ability as well. Contemporary design is required to ha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ocial, economic, ecological, cultural environment in which we live and is also asked further understand psychological needs in society. This study firstly explores the economic system we live in now, and then discuss the concept of design how to expand the means in design study field. Now, our society experiences ‘New Normal’ that means we have to prepare qualitative growth rather than quantitative one. To be sure, it is desperately needed to recover of publicness. After studying design discourse to find out the relation of design and publicness, I finally reached conclusion: 1)cooperation for public interests, 2)ecological thinking, and 3)exploration of human nature.

      • KCI등재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본 버내큘러의 문화적 위상

        안영주(Ahn, Young J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4

        본 논문은 버내큘러에 대한 역사적 인식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그러한 비판을 통해 버내큘러의 새로운 위상을 고찰하고자 한 연구이다. 그동안 버내큘러는 모던 문화의 프레임 안에서 전통과 현대, 제도와 일상, 중심과 주변이라는 대립구조로 분리되었으며, 그 안에서 지엽적이고 저급한 것으로 사유되어 왔다. 그러나 버내큘러는 포스트모던 문화가 등장함에 따라 디자인의 새로운 대안으로 귀환하였으며, 나아가 ‘지역 문화’의 부상과 함께 글로컬리즘의 중요한 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이 버내큘러의 위상이 승격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문화적 다양성’이라는 상대주의적 전략을 구축하면서 차이를 속박하고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연구자는 탈식민주의 담론을 이론적 배경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호미 바바의 ‘문화적 차이’ 개념을 포스트 모던 문화의 키워드인 ‘다양성’이라는 프레임과 비교하여 고찰함으로써 버내큘러의 새로운 위상을 설정해 보고자 하였다. ‘문화적 다양성’이란 용어는 다양한 문화를 반영한다는 매우 이상적인 이데올로기를 담고 있지만, 그것은 지배 문화가 허용하는 그리드 내에서만 가능한 일이며, 반면, ‘문화적 차이’는 문화적 이해와 판단의 과정에서 하나로 통합될 수 없는 의미와 가치들을 충돌시킴으로써, 동일시의 전략을 재설정하게 만든다. 또한 연구자는 이러한 논의를 끌어내기 위해 20세기 포스트모던 시대의 버내큘러에 대한 관점을 로버트 벤추리(Robert Venturi)나 할 포스터(Hal Foster) 등의 건축 이론과 디자인 저술가 엘렌 럽튼(Ellen Lupton)의 관점을 배경으로 하여 전개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버내큘러가 기존의 관점으로부터 벗어나 현재 우리의 삶속에서 재고되어야 함을 논하고자 하였다. 우리가 버내큘러를 동시대 삶 속에 내재한 ‘문화적 차이’로 인식할 수 있다면, 버내큘러는 지배문화를 공고히 하는 다양한 전략 중 하나가 아니라, ‘새로운 틈’을 창출해 내는 것으로 재분할 될 수 있으며, 그러한 과정을 통해 버내큘러는 권력의 공간이나 관계를 비판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인식의 틀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ould critically examine historical recognition on vernacular and discuss a new phase of vernacular based on those concerns. Vernacular has been regarded as the marginal and the lowbrow that could not obtain universality in the confrontational structures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and between system and everyday life along with the birth of modern culture. However, vernacular returned to new elements of design along with the appearance of postmodernism, and furthermore, in the geography of glocalism, attention is paid to that, along with the rise of ‘local culture.’ Yet, this phenomenon does not mean the changed phase of vernacular. It may rather function as a device to restrict and limit the difference, constructing a relativist frame of ‘cultural diversity’. For this discussion, I applied post-colonial theory as a theoretical background. Especially, Homi K. Bhabha’s concept of ‘cultural difference’ was discussed in comparison with the frame ‘diversity,’ a keyword of post-modern culture, to set up a new phase of the vernacular. The term, ‘cultural diversity’ contains an ideal ideology that reflects numerous cultures, but it is possible only in the grid that mainstream society or governance culture allows. On the other hand, the ‘cultural difference’ makes the strategy of identification reset by making meanings and values collide, which cannot be combined into one, in the process of cultural understanding and judgment. In addition, the discussion of the vernacular in the post-modern era was conducted through architectural theorists like Robert Venturi or Hal Foster etc. and studies by design writer Ellen Lupton from a critical position.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would discuss that the vernacular should be reconsidered in our present life escaping from the existing viewpoint. We can recognize the vernacular as a ‘cultural difference’ inherent in contemporary life, it will be subdivided into something that creates a ‘new gap’ not one of various strategies that solidify the dominant culture, and through such a process, vernacular may act as a cognitive framework by which we can critically think the space or relation of 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