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본분위수와 표본분위의 관계

        안성진,Ahn, Sung-Jin 한국통계학회 2011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 Vol.18 No.6

        분위수와 분위(또는 타점위치)는 학계에서나 산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통계 소프트웨어에 구현되어 있는 표본 분위수 계산방법들과 표본 분위 계산방법들은 각각 적어도 일곱 가지가 있다. 분위수들이나 분위들을 정의하는 방법들 간의 사소해 보이는 차이가 그 값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결정의 큰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경험적 누적확률을 사용한 기본 타점위치 방법과 Blom (1958)의 제안을 토대로 파생된 여섯 가지 타점위치 방법의 특징과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또 통계소프트웨어에 구현되어 있는 일곱 가지 표본분위수 계산방법들의 특징과 차이점들을 논의한 후 이들을 망라하는 하나의 일반식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이 일반식으로부터 얻어지는 통찰을 토대로 표본분위수에 대응되는 표본분위를 구하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이 제안을 각 표본분위수 방법에 적용하여 대응되는 표본분위 방법을 도출하였다. 이런 대응관계는 표본분위수와 표본분위에 대한 종합적 이해와 적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Quantiles and quantile ranks(or plotting positions) are widely used in academia and industry. Sample quantile methods and sample quantile methods implemented in some major statistical software are at least seven, respectively. Small looking differences between the methods can make big differences in outcomes that result from decisions based on them. We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the basic plotting position using the empirical cumulative probability and the six plotting positions derived from the suggestion of Blom (1958). After discussing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seven quantile methods used in the some major statistical software, we suggested a general expression covering all seven quantile methods. Using the insight obtained from the general expression, we proposed four propositions that make it possible to find the plotting position method that correspond to each of the seven quantile methods. These correspondences may help us to understand and apply quantile methodology.

      • KCI등재

        교량공사 제3자 피해 손실에 의한 리스크 분석 연구

        안성진,남경용,Ahn, Sung-Jin,Nam, Kyung-Yong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20 No.2

        최근 교량은 장대화, 신공법의 도입에 따른 위험요인의 증가로 교량공사에서의 철저한 안전 및 리스크 관리 체계가 필요하다. 공사 현장 주변에 있는 발주자 건설공사 관련자 및 공사와 관련이 없는 제 3자의 기존 재산에 손해를 발생시킬 수 있어 제3자 피해 손실로 인한 리스크가 명확히 분석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교량건설 사업에 대한 국내 주요 보험사의 과거 보험료 지급 실적을 토대로 실제 교량 건설에서 제3자 피해 손실로 인한 손실에 대한 교량건설 특성에 따른 리스크 요인을 분석하고, 정량화된 예측 손실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정량적 교량건설 손실모형 개발을 위해 사고 건당 보험지급액을 총공사비로 나눈 손실비율을 종속변수로 선정하였고, 상부구조, 하부구조, 홍수 및 도급순위가 교량건설 중 제3자 피해에 의한 손실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로 나타났다. 도출된 결과는 건설프로젝트에 대한 손실 평가 모델 개발에 기존의 프로젝트 내부에서 발생한 손실과 더불어 제3자 피해손실을 고려함으로써 더불어 균형 있는 리스크 평가에 필수적인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다. The recent bridge construction projects demand thorough and systematic safety and risk management, due to the increase of risk factor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new and complex construction methods and technologies. Among many types of damages that can occur in bridge construction projects, the damages to third parties who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existing property of the contractor construction project can also bring about critical loss in the project in order to compensate the damages. Therefore, risks that could be caused by the loss occurred to indemnify the third party damages should be clearly analyzed, although there are not subsequent amount of studies focusing on the issue. Based on the past record of insurance payment from domestic insurance companies for bridge construction project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isk factors of bridge construction for loss caused to compensate the third-party damages happened in actual bridge construction projects and to develop a quantified and numerical predictive loss model. In order to develop the model, the loss ratio was selected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among many analyzed independent variables, the superstructure, foundation, flood, and ranking of contractors were the four significant risk factor variables that affect the loss ratio. The results produced can be used as an essential guidance for balanced risk assessment, supplementing the existing analysis on material losses in bridge construction projects by taking into account the third-party damage and losses.

      • 움직임 이력 영상을 이용한 소 수정적기 시스템

        안성진 ( Sung-jin Ahn ),고동민 ( Dong-min Ko ),최강선 ( Kang-sun Choi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3 No.1

        본 논문에서는 영상처리기술을 이용하여 축산농가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소의 움직임량을 측정하여 수정적기를 파악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에서는 움직임 이력 영상 기법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움직임량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정확한 소의 발정 상태를 검출하게 된다.

      • KCI등재

        오순절 교육신학에서의 교육현장 이해

        안성진(Sung Jin Ahn)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6 기독교교육논총 Vol.12 No.-

        오순절 교육신학의 현장은 현대 기독교 교육학자들이 주장해 온 가정, 교회, 학교, 사회를 넘어서서 하나님의 말씀이 선포되어지는 선교의 현장이라고 정의하고, 이러한 선교의 현장은 선교의 차원을 넘어선 선교 공동체, 증인공동체로의 전환이다. 그리고 이러한 선교공동체, 증인공동체는 크리스토 프락시스이어야 한다. 이러한 관계 속에서 오순절 교육신학의 현장을 구체적으로 치유와 희망, 용서와 자유, 해방과 능력주심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여섯 가지 현장을 기술하였다. 즉, 용서의 현장, 권위(勸慰)의 현장, 화해의 현장, 해방의 현장, 성화의 현장, 능력주심의 현장이다. 이것은 결국 오순절 교육신학의 현장이 그동안 교회학교에만 관심을 가져온 것을 넘어서 하나님의 말씀이 선포되는 선교의 현장과 선교 공동체의 지향을 주장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선교공동체는 예수 그리스도의 프락시스가 실행되어지는 크리스토 프락시스의 공동체가 되어 크리스토 페다고지가 수행되어 가는 역동적인 현장임을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교육현장에 대한 인식 변화는 그동안 오순절 신학이 비판받아왔던 개인주의적이고 기복적이며, 역사 도피적인 신학에서 이제 개인과 사회 모두를 긍정하고 포용하는 교육신학으로의 모색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quire into pentecostal theology and to present theology of education in order to make pentecostal theology into theology of education. Theology of education is a new scientific suggestion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Christian Education. In general pedagogy, philosophy of education belongs to the scientific field covering a metaphysical understanding, an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 establishing values, an human understanding and language issues supporting all the educational activities, while theology of education is a scientific term covering all the issues including the translation based on the Bible, a understanding of God, an understanding of humanity, the purpose and methods of education and the spot, where Christian Education is proceeded, supporting Christian Education and all the Christian activities. Relations between pentecostal theology and pentecostal theology of education are following:First, theology determines Christian Education. Second, education chooses theology. Third, education and theology are combined each other scientifically. This research is to make pentecostal theology into theology of education assu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 Education and theology as the third type. As part of the process in a theological self­examination, this scientific activity is to study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 Education and theology but also its relevance to cultural circumstances, church life and human thinking and to self­examine critically contents, the pertinence and the legality in the Christian Education which is accepted and delivered traditionally. Accordingly, in this research I would consider the foundation of church history in pentecostal theology, which is the basis of pentecostal theology, the creed in the Korea Assemblies of God and the context named ‘the church of the Korea Assemblies of God’, which is the spot to practice pentecostal education. We have already known that pentecostal theology of education is needed immediately in the church of the Korea Assemblies of God. As of the Year of Jubilee, the 5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order, some say that it is needed to establish theology of education urgently to grow the order fully, though it is not discussed actively. Considering the suggestion that it is needed to make dogmas into theology to let people recognize and to educate dogmas of one order, on which theology of education in the order is established, if pentecostal theology of education were not established, the theological foundation in Christian Education in this order would not be formed, which is the same with becoming Christian Education in the order without education philosoph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pentecostal theology and theology of education in order to make pentecostal theology into theology of education from modern Christian educational scholars’ perspective and to establish contents to make pentecostal theology into theology of education in new millenium, which is why I have studied the the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