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노자(老子)의 "설득논리(說得論理)" 시탐(試探)

        안성재 중국어문학회 2010 中國語文學誌 Vol.33 No.-

        梁啓超與胡適都曾經主張過中國諸子百家當中只有墨子才有邏輯思維成分. 盡管如此, 目前我們觀看老子的《道德經》, 從中也可以發現有不少地方是以邏輯思維來展開其哲學思想. 本人著重於這一點, 試圖探討老子通過《道德經》如何展開他的邏輯思維. 據個人分析, 在《道德經》用邏輯思維來陳述其內容的可分爲八種方法, 而這些思維法與西方的邏輯思維有著一定的聯系. 因此, 本論文還用統計學來分析《道德經》之邏輯思維法裏蘊涵著什요特征, 最後考察《道德經》之邏輯思維與西方的邏輯思維(包括三段論法及辯證法)兩者之間有什요異同.

      • "顯"과 "隱" 比較論

        안성재 한국수사학회 2007 한국수사학회 학술대회 Vol.- No.-

        [詩經]의 “比, 興” 은 크게 “창작상의 비, 흥” 과 “응용상의 비, 흥” 으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작가의 입장에서 “비, 흥” 을 바라보는 관점 즉 “창작상의 비, 흥” 에 대한 연구는 최대한 배제하고, [毛詩傳]부터 [鄭箋]까지의 “비, 흥” 에 대한 관점 즉 “응용상의 비, 흥” 만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응용 상의 비, 흥” 에 있어 “비” 와 “흥” 을 구분할 수 있는 가장 큰 특징이자 단서가 될 수 있는 것이 바로 유협의 [文心雕龍ㆍ比興]篇에서 언급한 “顯” 과 “隱” 이라고 할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 과 “은” 의 개별적인 정의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文心雕龍]의 “현” 과 “은” 의 개별적 정의를 파악하기 위해서, 우리는 [문심조룡]이전의 “비, 흥” 다시 이야기해서 [모시전]과 [정전]에 있어서의 “비, 흥” 을 먼저 이해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文心雕龍ㆍ比興]篇에서 언급한 “顯” 과 “隱” 에 대한 정의가 바로 경학가들의 “비, 흥” 연구에 대한 결정체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문심조룡]의 “현” 과 “은” 의 底意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해보기로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노자와 공자 그리고 노회찬의 수사(修辭) 비교론 - 기버(Giver)의 전언(傳言) -

        안성재 한국수사학회 2022 수사학 Vol.- No.45

        노자는 ‘도가’사상의 비조가 아니고, 공자는 ‘유가’사상의 창시자가 아니다. 물론 노자는 대동 사회를 이끈 지도자 ‘성인(聖人)’의 리더십인 ‘하늘의 도(天道)’를 설파한 반면, 공자는 소강 사회를 이끈 지도자 ‘군자(君子)’의 리더십인 ‘사람의 도(人道)’를 강조했다는 약간의 차이점은 존재한다. 하지만 ‘사람의 도’가 ‘하늘의 도’를 원형으로 하여 확대 변형된 것임을 감안한다면, 노자와 공자의 공통점은 압도적으로 그 상이한 점을 능가한다. 한국의 전 국회의원 노회찬 역시 노자나 공자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발언이 일개인의 창의적인 생각과 가치관을 피력한 것이 아니라,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예로부터 내려오는 보편타당한 도리를 소개하고 널리 알리고자 노력한 인물이다. 따라서 노자와 공자 그리고 노회찬은 단지 시대를 달리했을 뿐, 그들에게는 태평성대를 이끈 참된 지도자들의 리더십인 ‘도(道)’에 대한 ‘기억 보유자’이자 ‘기억 전달자’로서의 책임을 다하고자 노력한 인물들이었다는 공통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民主主義를 爲한 孔子의 常 修辭學 考察 ― 변치 않는 初志一貫의 자세

        안성재 대한중국학회 2017 중국학 Vol.59 No.-

        The key to democracy is that the nation's master is the public. Looking at the records, however, one can find that the people of ancient China have made the hearts of the leaders in their hearts and the leader has also made the hearts of the people with their hearts. And it could be defined as the real communication between the leaders and the people who are paramount in modern politics. But who is going to have to step up first, in order to reach the point where the leaders and the peopl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order to fulfill the ideals of democracy, the leader must show such a figure. There is a reason why Oriental tradition ideas emphasize leading by example. Yet Confucius asked for another virtue besides the leadership of the leader, and it was an unchanging attitude. The reason is that if the leader does not lead a peaceful attitude, even if the leader leads the way, the situation can not last forever. 民主主義의 핵심은 나라의 주인이 국민이라는 점이다. 그런데 기록들을 살펴보면, 古代 中國의 태평성대에는 백성이 지도자의 마음을 자신의 마음으로 삼았고, 지도자는 또 백성의 마음을 자신의 마음으로 삼았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다름 아닌 현대 정치에 있어서 최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지도자와 백성간의 진정한 소통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지도자와 백성이 서로 소통하는 국면을 이루기 위해서는, 과연 누가 먼저 나서야할 것인가? 민주주의의 핵심은 나라의 주인인 백성이라는 뜻이고, 민주주의의 이념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누구보다도 지도자가 그러한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것이다. 동양 전통의 사상들이 이구동성으로 率先垂範을 강조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런데 孔子는 지도자의 솔선수범 이외에 또 하나의 덕목을 요구하고 있으니, 그것은 다름 아닌 常의 변치 않고 初志一貫하는 태도이다. 그 이유는 비록 지도자가 솔선수범하여 태평성대를 이루더라도, 초지일관의 태도를 지니지 못하면, 그 태평성대의 국면은 오래갈 수 없기 때문이다.

      • KCI등재

        Treatment of fibrous dysplasia of the zygomaticomaxillary complex with radical resection and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with autologous calvarial bone graft

        안성재,홍종원,김용욱,유대현,이원재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 2018 Archives of Craniofacial Surgery Vol.19 No.3

        Fibrous dysplasia (FD) is a rare, benign bone disease with abnormal bone maturation and fibroblastic proliferation. Optimal treatment of zone 1 craniofacial FD is radical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To achieve of structural, aesthetic, and functional goals, we use three-dimensionally designed calvarial bone graft for reconstruction of zygomatic defect after radical resection of FD. The authors used a rapid-prototyping model for simulation surgery for radical resection and immediate reconstruction. Donor site was selected from parietal bone reflect shape, contour, and size of defect. Then radical resection of lesion and immediate reconstruction was performed as planned. Outcomes were assessed using clinical photographs and computed tomography scans. Successful reconstruction after radical resection was achieved by three-dimensional calvarial bone graft without complications. After a 12-month follow-up, sufficient bone thickness and symmetric soft tissue contour was well-maintained. By considering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of zygomaticomaxillary complex, the authors achieved satisfactory structural, aesthetic and functional outcomes without complications.

      • KCI등재

        『論語』와 『禮記』를 통한 仁의 정의 고찰

        安性栽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5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44

        Fan chi once asked Ren, Confucius answered love. From here, we all think that the Ren has a mean - love. In spite of this, we changed the Ren to love to read the analects of Confucius is met a lot of contradictions. Therefore, the author tries to look at this discusses the real meaning of Ren, and found Ren had entered the social, choice conforming to the meaning of the monarch. Therefore, Confucius is not Ren is equivalent to the meaning of love, but the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Ren for love. From this point of view, we can doubt whether Ren asked us have to follow? In other words, said Ren can be said to obey, and obedience to have two kinds of meaning: one is the positive obedience, the other is the meaning of negative follow blindly. So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another disciple Zi lu and Zi gong attacked the Guan zhong not follow his monarch die together. However, Confucius did not agree with their opinion, instead of correcting the idea said “it is just the surface of the kernel.” Therefore, Ren of the real meaning is choice to comply with the monarch to settle the country and make people life safe.

      • KCI등재

        子産 발언을 통한 修辭의 본질 고찰 - 文言志 과정을 중심으로

        안성재 한국수사학회 2019 수사학 Vol.0 No.36

        Rhetoric is not merely a verbal skill or technique, but a series of processes that lead the listener to the right path by explaining the truth and further affirming the speaker's will in accordance with the written records handed down from ancient times. And with three case analyses from The book of right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demonstrate that Zi-chan was the one who tried to speak and go on to practice according to the truth written in ancient literature. In other words, I would like to say that Zi-chan was a person who followed the rhetoric's platform of sincerely believing and following the moral code of the old, and also a typical person who fulfilled the principle of rhetoric that he should express his will according to old records. 修辭學은 단순한 언어적 기교나 기술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文(문) 즉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기록에 의해 도리를 천명하고 나아가 자신의 의지를 피력함으로써 상대방을 바른길로 이끄는 일련의 과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좌전]의 세 가지 사례 분석을 통해서, 자산이 예로부터 내려오는 고문헌에 기록된 선조들이 전해준 도리에 따라서 발언하고 나아가 실천하려고 노력한 인물이었음을 증명해보고자 한다. 바꿔 말해서 자산은 예로부터 내려오는 도리를 진심으로 믿고 섬기며 따르는 어짊의 仁(인)을 실천하는 ‘修辭立其誠’을 따랐던 인물이었고, 또한 修辭를 위한 文(문)-言(언)-志(지) 과정을 충실히 이행한 전형적인 인물이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 KCI등재

        朱熹《詩集傳》의 ‘比’와 ‘興’ 특징 및 관계 고찰

        안성재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12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30

        Chu Hsi is the first to classified “FU, BI, XING” of 《the Book of Odes》 and 《CHU CI》. Especially, his analysis and resulting from research about 《the Book of Odes》 had been set great store by scholars of the time and after ages. Because his commentation about 《the Book of Odes》 synthesized poem of Han dynasty and Tang dynesty, so he made best record at study about “FU, BI, XING”, also had a strong influence on study of after ages. Chu Hsi has argued “XING is consignation!” in 《A variorum of CHU CI》, also has argued “BI is compare! XING is bring about one’s mind!”. Rely on the testimony of this point, Chu Hsi not only agreed basically the opinions that “contact cause emotion” and “emotion and scene” is matched, but also rendered clearly concept and differentia between “BI and XING” in logical consist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