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편한 문화유산(Inconvenient Heritage)’에 대한 복원의 정치 : 베트남 하노이 구시가의 ‘광동회관’ 복원사업을 중심으로

        심주형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2 중앙사론 Vol.- No.57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cultural heritage of ethnic Chinese and overseas Chinese in Vietnam from the perspective of ‘inconvenient heritage,’ focusing on the restoration of ‘the Guangdong Assembly Hall’ located in the ancient quarter of Hanoi, the capital of Vietnam. Firstly, it traces the change in the perspectives and policies of cultural heritage as a resource appropriated for the state-building, nationalism, and the governmentality of the party-state through Vietnam's historical trajectory of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Secondly, it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the concept of inconvenient heritage as an instrumental tool, and examines the ‘inconvenient’ historicity of Vietnamese ethnic Chinese, overseas Chinese and Hanoi as the capital city of Vietnam. In particular, it attempts to unravel how the complex history of the Chinese migration and the political vulnerabilities of ethnic Chinese and overseas Chinese unfold the horizon of interpretation of cultural intimacy formed through mutual exchange between Vietnamese and Chinese people. Finally, it tries to analyze the restoration project of the Guangdong Assembly Hall in the ancient quarter of Hanoi in terms of historicity and politics of memory. As a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politics of memory on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such as cultural heritage of a specific population, especially an ethnic minority and immigrant group, is eventually in line with how to secure a horizon of mutual understanding of inherent “inconvenience.” 본 논문은 베트남 수도 하노이의 구시가에 소재한 광동회관에 대한 복원을 중심으로 베트남의 화인 화교 문화유산을 불편한 문화유산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한다. 2장에서는 베트남의 문화유산 관리와 보존 및 복원의 역사를 통해, 국가건설과 민족주의 그리고 당-국가의 통치성을 구성하는 자원으로서 문화유산에 대한 관점과 정책의 변화과정을 추적해 보았다. 3장에서는 도구적 개념으로서 불편한 문화유산이라는 개념의 가능성을 논하고, 베트남 화인·화교와 수도 하노이의 ‘불편한’ 역사성을 검토하였다. 특별히 화인·화교의 복잡한 이주사와 그들의 역사·정치적 취약성이 상호교류를 통해 형성된 문화적 친밀성(cultural intimacy)에 대한 해석의 지평을 어떻게 열어내고 있는지를 추적해 보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2 장과 3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노이 구시가 광동회관 복원사업을 그 역사성과 기억의 정치라는 차원에서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동시대적 문화유산, 이주자 혹은 소수자 등 특정 인구집단의 문화유산에 관한 기억의 정치는 결국 그 내재적 ‘불편함’에 대한 상호 이해의 지평을 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 것인가와 맞닿아 있다.

      • KCI등재

        정처 없는 애도, 끝나지 않은 전쟁: 1968년 베트남 “후에 학살”을 중심으로

        심주형 ( Juhyung Shim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7 韓國文化人類學 Vol.50 No.2

        본 연구는 베트남전 종전 후 40여 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가장 첨예한 논쟁의 장이 되고 있는 “1968년 설 총진공과 봉기”와 그 기간 중 베트남의 중부도시 후에에서 벌어진 “학살”을 둘러싼 기억의 경합, 그리고 전쟁 중 발생한 민간인 희생자들 대한 애도의 문제화 과정을 문 화기술지적 연구를 통해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후에 학살”은 사건 자체의 사실성을 두고 공식사와 비공식사, 그리고 베트남 당-국가와 상당수 베트남 해외 교포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민감한 정치적 문제이다. 후에 학살에 관한 기억 및 애도의 정치 문제를 구성하고 있는 관련 자료의 비판적 해석 그리고 베트남 현지조사를 통해 애도의 정치가 지닌 현재적 한계상황과 가능성을 논하고자 하였다. 오랜 전쟁에서의 승리를 통해 건설된 베트남사회주의공화국에서는 당과 국가가 민족사 서술, 무엇보다 전쟁사 서술에 독점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베트남의 공식역사기술 내에 “1968년 후에 학살”은 사건사적으로 철저히 배제된 서사이다. 그러나 전쟁기간 동안 남 베트남 정부는 후에 학살을 공산세력의 대표적 만행으로 선전하였고, 오늘날에도 후에 학살 과 관련된 문제는 전쟁을 통해 건설된 베트남사회주의공화국의 정당성에 대한 뿌리 깊은 민족주의적 회의를 낳고 있다. 또한, 후에 학살과 관련된 논쟁들은 냉전적 분단체제 하에서 나 뉘어 전쟁을 경험한 이들의 화해 불가능한 전쟁기억의 표상이자, 수많은 희생자들에 대한 애도의 배제와 반목이 벌어지는 또 다른 전쟁의 지속으로 펼쳐지고 있다. 기존의 베트남 전쟁관련 연구들은 1968년 후에에서 벌어진 폭력에 대해서 전사서술의 관점에서 접근하거나 `베트남전 승전서사`의 대표적 사건으로 물신화하는 것 외에는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이러한 경향은, 상당수 베트남전쟁 관련 연구들이 베트남인들 사이에 벌어진 내전의 구체적 양상과 상호적 피해를 상대적으로 간과하고, “정당한 전쟁”이라는 신화를 통해 전쟁사를 서술하는 데 치우쳤기 때문이다. 전쟁과 폭력의 정당성에 집중하는 담론적 경합은 희생자에 대한 애도의 권리마저도 정당성의 문제로 만들고, 애도의 “장치 (dispositif)”들을 둘러싼 새로운 전쟁을 촉발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글은 먼저 오늘날 베트남의 전쟁기억 기억경관의 단층들을 살펴보고, 1968년 무신년 설날 후에에서 벌어진 “사건”의 역사기술과 기억의 정치를 두고 벌어지는 경합의 양상을 드러내 보이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40년이 지난 후에도, “1968년 후에”에서 벌어진 사건의 기억을 두고 해외 교포들과 베트남 당-국가가 서로 다른 기억술을 통해 맞서는 과정을 통해 정처 없는 애도와 기념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오늘날 후 에에서 “1968년 무신년 설”과 관련된 두 개의 상이한 기억서사가 지닌 의미를 해석해 보고 자 시도하였다. 전쟁의 원인 혹은 승전과 패전의 결과에만 주목하거나, 외부자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 전 쟁에 관한 이해는 전쟁을 일면화시키고 무수한 죽음들과 그 죽음에 대한 애도의 정치를 이 해할 가능성을 가로막는다. 다시 말해 내부자적 시선으로 전쟁을 다시 바라보고, 삶과 죽음 의 관계를 조명하며, 전쟁을 겪은 삶과 사회의 결들을 추적해 갈 때 비로소 전쟁의 유산들을 다면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시야가 확보될 수 있다. “1968년 후에 학살”과 같은 문제도 사건 사적 진실의 문제로만 접근하기보다는 전쟁 중 발생한 대규모 민간인 피해에 대한 현재적 상황에서의 해석의 문제이자, 공통의 애도 가능성에 관한 문제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또한 끊임없이 변주되는 `승전(勝戰)과 패전(敗戰)`의 권위적 전쟁사 서술에서 내부자적 관점에서 의 비판을 통해 “희생, 상실, 슬픔, 그리고 애도”의 문제를 복권하는 것이 필요하다. 오늘날 베트남에서 “후에 학살”에 대한 애도는 “정처 없이(uprooted)” 여전히 배회하고 있는 서사들과 관계하고 있다. 또한 애도와 추모의 대상을 정치적 이데올로기로 구분하려는 `냉전의 유산`이 여전히 국내외 베트남인들의 사고와 삶을 아우르고 있는 상황이다. 언젠가 베트남인들이 전쟁으로 깊이 패인 삶의 상처들을 치유하기 위해, “애도를 위한 머리띠”를 함께 동여맬 수 있게 될지는 모른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정당한 전쟁에 관한 신화 혹은 승전과 패전의 이분법은 전쟁으로 고통 받고 영속화된 상실의 슬픔과 민족적 우울을 치유할 수 없다는 것이다. “1968년 후에학살”의 기억과 애도에 관한 연구는 “냉전의 유산”을 구체적으로 해체하고, 전쟁에 대한 민족주의적이며 이데올로기적인 물신화에 대한 비판적 관점의 지평을 확장하며, 나아가 화해와 치유의 가능성을 애도의 정치를 통해 모색해 보는 것으로서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trace ethnographically the contested realm of memory and the problematization of mourning for the civilian war victims of so-called “Hue Massacre” during the “1968 Tet Offensive” in Vietnam. Although the Vietnam War ended more than 40 years ago, the Hue Massacre has been a crucial political matter for discovering the truth of the war`s history, which polarizes the narratives of the official and unofficial historiography as well as the memories of the Vietnamese Party-State and overseas Vietnamese communities. Through the critical interpretation of mnemonic references and by conducting anthropological fieldwork in Vietnam, in this article I will illuminate the deadlocks and potentialities of the politics of mourning on the Hue Massacre. Established through the series of war, the Party-State of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 (SRV) reserves its exclusive political authority over the Vietnamese national historiography and war historiography. In the official historiography of Vietnam, the 1968 Hue Massacre is completely eliminated. The former South Vietnamese government, however, clamorously propagandized the massacre as a vivid example of the communist`s unpardonable atrocities during the Vietnam War. Until today, the matter of the Hue Massacre continues to spawn deep-rooted nationalist sentiment and doubts about the legitimacy of SRV. In addition, the debates related to the massacre serve as a symbol of the impossible reconciliation of the war in memory, and a continuation of mourning which confronts the collective war victims. The previous studies on the Vietnam War did not pay much attention directly to the events in Hue, 1968, either taking on the perspectives of the military war historiography, or else fetishizing the events as the most important steppingstones for the ultimate triumph of Vietnamese communism. This tendency was derived from the interest in casting the history of the war as the myth of the “just war;” furthermore, it is based upon the scholars` ignorance of the detailed aspects and mutual destructions of “civil war.” The contested discourses around the rightfulness of war and violence put the rights of mourning for the victims into question, and bring about another conflict regarding the authority over the “dispositif” of mourning. In this regard, in this article I first illuminate the dislocation of the memory-scape of the contemporary memory of the Vietnam War. Second, I unravel the contested aspects of historiography and politics of memory on the events of the Tet Mau Than in Hue, 1968. Third, I tackle the matter of uprooted mourning and commemoration through the different mnemonics of the events in Hue, 1968, contrasting those of the overseas Vietnamese with those of the Party-State of SRV; Lastly, I interpret the implications of two different narratives of memory on the Tet Mau Than in contemporary Hue. To understand the politics of mourning for numerous war victims, it is necessary to keep a distance from the banality of questions on the origin or the result of the war, and the single-sided perspective of outsiders. In other words, for the enhancement of understanding multifaceted aspects of the legacies of the war, it is necessary to recover the views of insiders of the war, rethin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ad and the survivors, and to trace the complicated texture of lives and society which underwent war. For the Hue Massacre in 1968, it should be treated as a matter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large-scale civilian casualties at present and as a matter of the possibilities of common mourning. In addition, the narratives of the Vietnam War should incorporate the emotions of sacrifice, loss, sadness and mourning. In contemporary Vietnam, the mourning of the Hue Massacre is intermingled with uprooted narratives of the war. The legacies of the Cold War era still actively affect the way of thinking and living, as a result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appropriations. It could be possible that Vietnamese may wear the mourning headband in the near future. However, it is at least clear for now that the myth of the just war, and the dichotomy of winning and losing cannot alleviate the sufferings, sadness and melancholy of war. The study on the Hue Massacre in 1968, decomposes the legacies of the Cold War in a detailed manner, to extend the horizon of critical views on the nationalist and ideological fetishism of war, and moreover contemplates the potentialities of mourning as a way of reconciliation and healing.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NRF-362-2008-1-B00018).

      • KCI등재

        탈냉전(Post-Cold War) 시대 ‘전쟁 난민’ 재미(在美) 베트남인들의 문화정치 : 비엣 타인 응우옌의 저작들을 중심으로

        심주형(Shim, Juhyung)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0 동방학지 Vol.190 No.-

        이 글은 ‘베트남 전쟁’ 종전 이후 미국으로 이주한 ‘전쟁 난민’ 재미 베트남인들의 전쟁 기억과 문화정치를 비엣 타인 응우옌의 저작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이른바 ‘75년 세대’로 대표되는 재미 베트남인들은 전쟁의 패배자 혹은 피해자이며 동시에 ‘민족의 배반자’ 혹은 ‘미 제국주의의 꼭두각시’ 등으로 불리어 왔다. 재미 베트남인 최초로 퓰리처상을 수상한 비엣 타인 응우옌의 저작들은 탈냉전적 질서에서 ‘베트남전’ 기억주체로서 재미 베트남인들의 문화정치적 정체성의 변화와 ‘공정한 전쟁 기억’에 관한 문제를 사고하는데 유용한 시사점들을 제공한다. 이 글에서는 먼저 비엣 타인 응우옌과 그의 가족의 생애사를 통해 ‘전쟁 난민’으로서 재미 베트남인들의 삶과 기억경관을 검토하고, 다음으로 전쟁에 연루된 난민이자 전쟁의 ‘동조자’로서 재미 베트남인들에게 덧씌워진 중층적 정체성의 문제를 논하며, 마지막으로 탈냉전 시대에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는 재미 베트남인들의 문화정치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였다. 냉전 시대의 전쟁 경험에서 기인한 ‘전쟁 난민’의 삶과 기억은, 가해자와 피해자의 이분법을 넘어서고 자기중심적인 기억윤리를 탈피한 ‘공정한 기억’의 윤리에 대한 모색과 실천을 통해 전화 가능성을 획득한다는 것이 이 글의 주장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war memory and cultural politics of Vietnamese Americans as “the Vietnam war refugees,” mainly through the works of Viet Thanh Nguyen. The so-called “75ers” – a term used to designate the majority of the Vietnamese Americans – have been called both the victims and losers of the war, as well as “the betrayers of the nation” or “the puppets of the American imperialists.” The works of Viet Thanh Nguyen are considered a useful resource to trace the changes in the cultural politics of Vietnamese Americans in relation to the Vietnam war memory and to establish a “‘just memory of the war.”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life and memory-scape of the Vietnamese Americans through the life history of Viet Thanh Nguyen and his family. Second, it discusses the overdetermined identities attributed to Vietnamese Americans, both as war-involved refugees and as sympathizers with the war. Finally, it seeks to understand the cultural politics of the Vietnamese Americans in the era of the Post-Cold War, which rapidly changed the new horizons of political possibilities. To sum up, this paper suggests that establishing and practicing the ethics of “just memory”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dichotomy between perpetrator-hood and victim-hood and to break though the self-centered ethics of memory, which originated from the war-refugee life and memory of the war influenced by the order of the Cold War.

      • KCI등재

        “순망치한(脣亡齒寒; Môi Hở Răng Lạnh)”과 비대칭성의 구조 : 베트남·중국 관계와 국경의 역사경관(historyscapes)

        심주형(Juhyung Shim)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0 중앙사론 Vol.0 No.52

        This paper traces the trajectory of the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Vietnam and China through the historyscapes of the border in motion. In 2020, both countries celebrated the 7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bilateral relationship. As neighboring socialist countries facing the national border, Vietnam and China have shared the extraordinary history of anti-imperialist war and nation-state building, deeply inscribed in the border region since the beginning of the 1940s. After the Japanese troops conquered part of south China, they entered through the northern border of Vietnam in 1940. Since then, the discourse of “without the lips, the teeth feel the cold (脣亡齒寒),” once Hồ Chí Minh referenced in his poem for Sino-Viet anti-imperialist alliance, has long been appropriated for Viet-China Relationship. The Democratic Republic of Vietnam (DRV) was established in 1945,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PRC) was founded in 1949. While the DRV was in the middle of the First Indochina War against France and enclaved in its northern border with China, the PRC granted its official recognition as the first country ever in the world to the DRV in 1950. The so-called socialist fraternity seemed to burgeon and shape an exceptional relationship between Vietnam and China; however,the apparent difference in scale had constituted the asymmetric political structure in the Cold War era. While many scholars have examined the Vietnam - China relationship mainly focusing on the party-state level interactions, this paper attempts to problematize the historyscapes of the border as the vulnerable and legible place of the bilateral relations. The borderscapes between Vietnam and China had been constituted by the imagination of the socialist fraternity as well as been affected by the structure of asymmetry deeply embedded in the bilateral relations. The border had served as the memorable site of historical moments: the military cooperations until 1954, the safe-havens and the flows of aids during the Vietnam War, the war in 1979, and the normalization of the diplomatic relations in 1991. The historyscapes of the border have been not only reflected by but also mattered to the Viet-China relations. This paper also tries to focus on the Vietnamese perspective about China and the border, since the way Vietnam copes with China and governs the border reveals its political strategy to manage the normalcy of the asymmetric bilateral relations and how China responds to it. In sum, the Cold War historyscapes of the border between Vietnam and China have unraveled that the political strategy of intimate independence rather than dominance or dependence has kept being in question at the border region. The border between Vietnam and China has gradually been transformed from the symbol of the socialist fraternity to the place of encountering asymmetric national ‘geo-bodies’ of both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