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초국적 장의 경험과 초국적 정체성 연구

        심영희 ( Young Hee Shim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1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19 No.1

        This paper is aimed to reveal the family relationship and identities of women migrants in Korea focusing on the transnational field and transnational identity concepts. In order to do to, the author collected data using focus group and in-depth interview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ith the migration the women marriage migrants do not cut, but extend the relationship with their home family across the borders. Contrary to the earlier findings, the women marriage migrants did not go through a one-sided adaptation process, but their husbands also went through a mutual adaptation process. This mutual adaptation occurs through the experience of transnational field. The experience of transnational field includes remittance to home family in the economic domain, invitation of families from the home country and home visiting, which can be referred as social domains. Transculturation of migration melange is the transnational field experience in the cultural domain. It also turned out that the transnational fields become more rich and cumulated as time goes by, that is, as significant moments in their lives such as marriage migration, childbirth, and home visiting are unfolded. Second, these processes of adaptation and experience of transnational field slowly change the identity of women marriage migrants as the important moments in their lives are unfolded: first, with the migration, they are deterritorialized from their localities of origins: second, they are reterritorialized, that is, relocalized, as they adapt to Korean life: and then with home visiting, they rediscover their home country, utilize it as their strengths and are empowered, hoping to have a double identity or transnational identity, with their feet in both societies. This change occurs not only among the women marriage migrants but also among many of their husband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is that marriage migration is an example of second modern transformation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modernity, that is, the blurring of borders. Their experience of transnational field and emergence of transnational identity also show the blurring of national borders. However, we can see both individualizing and family-orientation among these women marriage migrants. This is what I termed family-oriented individualiz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individualization of the Wes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아내 구타자의 폭력과 통제 양식에 관한 연구

        심영희(Shim Yong-Hee),김혜선(Kim Hye-Seon) 한국여성연구소 2001 페미니즘 연구 Vol.- No.1

        이 글은 아내 구타자의 폭력과 통제 양식을 가부장적 테러리즘이라는 관점에서 가해자 연구를 통해 접근해 보려 하였다. 이를 위해 쉼터 내 담자의 남편과 보호관찰소 수강명령자 13명을 심층 면접하여 가해 남편의 폭력과 통제 양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해 남편들의 폭력과 통제 양식을 보면 이들은 신체적, 언어적 폭력, 경제적, 정서적 통제와 위협/협박 등 둘루쓰 모델(Pence and paymar, 1993)에서 밝히고 있는 여러 가지 유형의 폭력과 통제 양식을 다양하게 구사해 왔으며, 그 결과 단순한 부부싸움이기보다는 통제적 전략 행사에 더 가까운 행위를 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가해 남편들은 아내에게 가한 신체적 폭력도 축소 또는 부인할 뿐 아니라 다른 유형의 폭력과 통제에 대해서는 거의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 결과 자신과 아내 그리고 아이들간에 계속되어 온 관계의 분열에 대해 깨닫지 못했으며, 어느날 사소한 일로 자신이 고소당해 억울하다는 심정을 가지고 있을 뿐이었다. 둘째, 구타 학대의 원인과 맥락을 보았을 때 많은 경우가 사회적 사디마조히즘에서 지적하는 공식적 권력으로부터의 무권력으로 인해 일상적 권력에 더욱 집착하는, 즉 가해 남편이 가부장적 가족관계, 부부 관계를 통해 가장의 권위를 돌려받음으로써 사회적 무권력을 보상받고자 함이 드러났다. 또한 자신이 아내에게 폭력을 행사하면서도 헤어지지 못하는 이유 역시 가부장적 문화와 가족관계, 성역할에 묶여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내에 대한 정서적 의존도 헤어지지 못하는 이유 가운데 하나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가해 남편에 대한 교육이나 가정 폭력 예방책을 마련하기 위한 제언을 한다면 우선, 가해 남편이 사용하는 방식에는 신체적 폭력뿐만 아니라 경제적ㆍ정서적 통제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후자의 경우도 그 영향이 매우 심각함을 알리는 노력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이런 기반 위에 가해 남편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할 경우에 교육적 접근을 중심으로 하되 폭력의 사회적 학습에 대한 교육도 병행해야 하며, 동시에 법에 의한 공식적 제재가 이루어져야 가정 폭력 예방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pproach the problem of violence and control of wife-batterers or wife-abusers with a perspective of patriarchal terrorism and a theory of power of everyday life. In order to do this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of 13 wife-batterers who were either under probation order of Domestic Violence Prevention Act, or husbands of women who sought a shelter in Women’s Hotlin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modes of violence and control, it turned out that wife-batterers use various kinds of violence and control such as physical violence, verbal violence, economic control, emotional control, threats, etc., as suggested in the Duluth model, and in this sense their behavior can be considered as an exercise of control tactics rather than a simple common couple conflict. However, most of the interviewed wife-batterers not only deliberately denied or reduced their physical violence but also were not even aware of other forms of violence and control as violence. Thus they did not realize the schism between them and their wives. They only seemed to think that they were unfortunately brought to this situation due to very trivial things. Second, as to the factors and context of wife-battering, it turned out that the batterers do so as a pursuit for power in everyday life, or patriarchal power, and/or as a compensation for their relative powerlessness in official power. That is, they want their authority as the head of the family to recognized and respected. The reason they could not leave their wive even when they were beating or abusing them is also due to this, together with their emotional dependence on their wiv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can be made for the education of wife-barterers and prevention of domestic violence. First efforts should be made to let the women know that wife-batterers not only use physical violence but various other forms of control such as economic and emotional control and these latter controls also have serious impact on women victims. Second, measures to prevent wife-battering should include not only therapeutic and educational programs, but also legal sanction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글로벌 여성 리더십의 구성요소와 성장요인

        심영희(Shim Young-He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0 아시아여성연구 Vol.49 No.2

        이 연구는 글로벌 여성 리더십이 무엇인지 개념을 정립하고 구성요소가 무엇인지 밝히며 이의 성장요인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글로벌 여성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보다 구체적으로 글로벌 여성 리더십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둘째, 글로벌 여성 리더십은 어떻게 성장할 수 있나?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전문가 4명에 대한 심층면접과 활동가 25명에 대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글로벌 여성 리더십의 개념 및 구성요소와 관련해서는 선행연구와 전문가 심층면접을 분석한 결과 5가지 구성요소를 찾아내었다. 이는 비전, 일 추진능력, 문화적 이해능력, 사회적 관계능력, 개인적 성찰성이다. 둘째, 글로벌사업을 통한 여성 활동가들의 성장 경험을 보면 성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는 비전의 경우 사업에 대한 열정의 강도, 일 추진능력의 경우 사업내용에 대한 역할의 강도, 문화적 이해능력과 사회적 관계능력의 경우 참여기회의 지속성 등 상황적 요인, 개인적 성찰성의 경우 자기인식과 외부의 자극 및 지지 등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imed to reveal the components of global woman leadership and suggest its cultivating strategie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What is global leadershiop? What are its components? How can global woman leadership can be cultivated? In order to do this,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o 4 women professionals and to 25 women activists working for women's movement organization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components of global woman leadership, five components were discovered. They are vision, cultural literacy, social literacy, business literacy, and personal reflexivity. Second, as to the factors influencing the growth of global woman leadership it turned out to be the intensity of the passions one has toward the work for vision, the intensity of the role one is taking in the work for business literacy, situational factors such as the continuity of participation opportunity for cultural and social literacy, and support by others for personal reflexiv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