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상상력’ 연구 동향 탐색

        심승엽,한기순 대한사고개발학회 2020 사고개발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research trends on imagination; by applying to published domestic imagination papers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A total of 4,030 articles carrying the keyword ‘imagination’ were drawn from those published from 2010 to 2019 in the Korean Journal Citation Index (KCI), an academic search database. The network analyses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mong those domestic imagination studies 2,454 were for humanities (60.89%), 579 for arts and sports (14.37%), and 470 for educational studies (11.66%). Second, the word ‘image’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followed by the words, ‘literary imagination’, ‘Bachelard’, ‘mythological imagination’, ‘ecological imagination’, ‘creativity’, ‘storytelling’, ‘moral imagination’, and ‘imagination education’. Third, words such as ‘creativity’, ‘convergence education’, ‘imagination education’, ‘empathy’, ‘art education’, and ‘cognitive tools’ were found as keywords with high centrality and frequency. Fourth, analyzing 22 core keywords extracted for community analysis showed four research areas: the nature of science, Dewey's concept of imagination, creativit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philosophical though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s the trends of domestic imagination research objectively and visually.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상상력이라는 주제어를 중심으로 국내 교육학 분야의 연구동향을 정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 오른 등재(후보)학술지 중 ‘상상력’을 검색어로 하여 총 4,030편을 분류하였고, 연구문제에 따라 주제어를 추출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KCI 학술지 분류검색 별 국내 상상력 연구 수는 인문학 2,454편(60.89%), 예술체육학 579편(14.37%), 사회과학-교육학 470편(11.66%)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상상력 연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이미지’, ‘문학적 상상력’, ‘바슐라르’, ‘신화적 상상력’, ‘생태학적 상상력’, ‘창의성’, ‘스토리텔링’, ‘도덕적 상상력’, ‘상상력교육’과 같은 단어들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셋째, 교육학분야 상상력 연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창의성’, ‘창의융합교육’, ‘상상력교육’, ‘공감’, ‘예술교육’, ‘인지도구’와 같은 단어들이 출현빈도와 중심성이 높은 주제어로 확인되었다. 넷째, 커뮤니티 분석을 위해 추출한 22개의 핵심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과학의 본성, Dewey의 상상력 개념, 창의성 및 유아교육, 철학적 사조 등 네 개의 연구영역으로 구분되었다. 국내 상상력 연구물들의 네트워크 구성을 탐색해보고 그 특성들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된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상상력 연구의 동향을 객관적이고 시각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후보

        영재교육 질(Quality) 기준에 관한 국내외 현황 및 시사점 분석

        심승엽,박순흥,한기순 순천향대학교 SCH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9 특수·영재교육저널 Vol.6 No.1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present-day state and talking points of the quality of gifted education based on two of the leading countries on gifted education, the US and the UK. First, the present status of the quality standards of the gifted education is derived from the changes in the overseas quality standards. We explored how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CCSS) of the US, and government-managed standards, The Institutional Quality Standards (IQS), The Classroom Quality Standards (CQS), and The Authority Quality Standards (LAQS), of the UK affected the gifted education scene of each county. In addition, quality standards of Netherland, Wales, Saudi Arabia, and New Zealand were analyzed. Second, we extracted the implications for our gifted educa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gifted education quality standards The result of analysi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pplicability of gifted education on various layers based on the philosophical consensus, and appropriateness of the gifted education based on the level of learner and the subject. This study suggests some practical suggestions for positive effects of the quality standards of gifted education in Korea through the quality standards of gifted education abroad. 본 연구는 영재교육의 선도국가인 미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영재교육 질 기준에 관한 외국 현황과 시사점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질 기준의 변화에 따른 국외 영재교육 질 기준의 현황을 도출하였다. 미국의 오랜 영재교육 역사 속에서 질 기준에 입각한 핵심공통 교육과정(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CCSS)도입에 따른 변화의 모습을 탐색하였고, 영국 영재교육에서는 기관 질 기준(The Institutional Quality Standards: IQS), 교실 질 기준(The Classroom Quality Standards: CQS), 교육청 질 기준(The Authority Quality Standards: LAQS) 이라는 세 가지 국가 질 관리가 있음을 파악하고 해당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 외에 네덜란드, 웨일스, 사우디아라비아, 뉴질랜드의 질 기준 현황도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국외 영재교육 질 기준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영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영재교육 핵심 목적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철학적 합의와 다양한 계층(layer)에서의 적용성에 대한 고민, 그리고 영재교육과정이 각 과목의 특성 및 학습자에 따라 적절한 수준(levels)으로 반영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세 가지 시사점을 바탕으로 개인의 역량에 한정한 평가 및 개선 도구로서의 질 기준에서 머물기보다 영재교육 시스템 맥락에서 질 기준에 대한 보다 사용자 중심의 평가모형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외 영재교육의 질 기준을 통하여 국내 영재교육의 질 기준 제고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오기 위한 몇 가지 현실적 제언을 제시한다.

      • KCI등재

        온라인 원격수업시대 영재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대한 메타분석: 초등 vs. 고등 그리고 교실 vs. 온라인

        심승엽(Seungyeop Sim),한기순(Ki-Soon Han) 한국영재학회 2021 영재교육연구 Vol.31 No.1

        이 연구는 영재학생 및 일반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차이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Guglielmino(1977)가 개발한 자기주도학습능력 검사도구의 하위영역인 학습기회에 대한 개방성, 효율적인 학습자라는 자아개념, 학습에의 솔선수범 및 독립, 학습에 대한 책임감, 학습에 대한 애정과 열정, 미래지향성, 창의성, 기본학습능력과 문제해결기술 등의 변인을 중심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선정된 10편의 논문을 메타분석한 결과, I²의 통계량은 86.32%로 데이터들은 서로 이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랜덤(Random)효과 분석으로 도출된 전체 효과크기 값은 .679(CI 95% .514~.844, p<.001)로 나타났고, 하위영역 요인에 따라 평균효과크기는 .662~.913(p<.001)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연구대상에 따라 초등학생의 평균효과크기는 .785(CI 95% .608~.961, p<.001), 고등학생의 평균 효과크기는 .473(CI 95% .393~.552, p<.001)으로 초등학생이 고등학생보다 평균 효과크기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수업형태에 따라서 확인해 본 결과 교실수업의 형태가 온라인 수업형태에 비하여 평균효과크기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영재학생들은 일반학생에 비하여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현 코로나19 상황에서 영재교육대상자들이 특징으로 보이는 자기주도학습 하위요인 및 연령과 수업형태에 따른 차이를 바탕으로 영재교사와 영재교육기관들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meta-analysis was to synthesize the results studies in which self-directed learning Korean gifted and students were compared. For this purpose,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ub-area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est tool developed by Guglielmino (1977), which are openness to learning opportunities, the self-concept of an efficient learner, a leading example and independence in learning, responsibility for learning, and learning. affection and passion, future orientation, creativity, basic learn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skills. Meta-analysis of the 10 papers showed that the I² statistics were 86.32%, and the data heterogeneous. The overall effect size value derived from random effect analysis is .679 (CI 95% .514~.844, p<.001) and the average effect size was between .662 and .913 (p<.001) depending on the sub-group factors. In addition, the average effect siz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785 (CI 95% .608 ~ .961, p<.001), .473 (CI 95% .393 ~ .552, p<.001). The average effect size elementary gifted students online class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effective learning situations for Korean gifted students in the future pandemic situation through gifted and students.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초·중·고 원격수업에 대한 대중의 인식: 온라인뉴스 댓글 테마분석

        한기순,심승엽 한국교육개발원 2020 한국교육 Vol.47 No.4

        본 연구는 최근 코로나19에 따른 온라인개학 전면 시행 후 초·중·고 원격수업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2020년 4월 20일 원격수업 전면 시행에 대한 온라인 뉴스 및 9월 14일~17일 보도된 교육부의 쌍방향수업 확대시행에 대한 온라인 뉴스의 댓글을 선별하여 테마분석 방법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에 대한 연구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교육계에 대한 반감 및 부정적인 인식이 짙어졌다. 둘째, 쌍방향수업 플랫폼과 관련된 기술적인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기는 하나 서버폭주와 접속불가와 같은 문제는 해결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초등교육의 경우 돌봄의 문제와 매우 밀접하게 맞닿아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넷째, 원격수업에 따른 학습상황과 수업만족에 대한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 다섯째, 원격수업으로 인한 물리적 환경 변화로 학생-교사의 관계를 다시 한 번 제고해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원격수업 상황이 지속될수록 학생과 학부모 그리고 교사 모두 불안감이 심화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현 교육의 상황과 대중의 인식 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인지하고 향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한 미래교육 방향 설정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ublic percept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distance learning classes according to COVID-19. Design: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by selecting the online news on the full implementation of distance learning on April 20, 2020 and the online news on the expansion of synchronous online clas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reported on September 14-17. Results: First, as distance learning progresses, antipathy and negative perceptions of education have increased. Second, although the technical problems related to the synchronous online class platform still remain, the overall problem seems to have been resolved. Thir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in the case of elementary education, it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problem of care. Fourth, it is necessary to think deeply about the learning situation and clas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learning. Fifth, it is necessary to look again at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caused by online education. Lastly, it is worth noting that the anxiety of both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are increasing as distance learning continues. Value: Recognizing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evidence-based education and public perception, it will be able to provide implications for setting future education directions for the post-corona era.

      • KCI등재

        ChatGPT는 합의적 평정의 동료가 될 수 있는가? - 질문 유형 분류에서 ChatGPT의 활용 -

        김순근,심승엽,윤소영,한기순 한국영재학회 2023 영재교육연구 Vol.33 No.3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rubric for question typology, delegate the task of classifying individual questions according to this new rubric to ChatGPT, and validate its accuracy through a collaborative evaluation process with the researcher. A total of 262 questions asked by 17 high school students to the image-generating AI "wrtn" in the format "Draw ~ for me"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atGPT successfully created a new rubric in response to the students' questions based on complexity and detail, categorized into four request types: Simple, Detailed, Complex, and High-Order. Second, when ChatGPT classified individual questions over five repetitions, the consistency was notably high with a Fleiss' Kappa of .643. The final categorization by ChatGPT was in almost perfect agreement with the researcher's validation, exhibiting a Cohen's Kappa of .915 which indicatesvery high validity. Third, the type of questions posed by the students to the image-generating AI “wrtn” were predominantly classified by Detailed Request (50.0%), followed by Complex Request (24.0%), Simple Request (14.5%), and High-Order Request (11.5%).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ntroducing a new approach to leveraging ChatGPT's classification capabilities through a researcher-validated collaborative method.

      • KCI등재

        자유학기제 시행 후 진로성숙도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기순,심승엽 한국교육개발원 2020 한국교육 Vol.47 No.1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를 시행중인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자유학기제 진로성숙도와 관련된 논문들을 찾아 메타분석의 방법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계량화 하였다. 중복 연구, 주제와 관련되지 않은 연구, 통계 분석치를 포함하지 않은 연구 등을 제외하고 최종 29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총 165개의 개별효과 크기를 도출하였다. 모집단의 값이 86.67로 이질하여 랜덤효과 크기로 확인한 결과 진로성숙도의 총 효과 크기는 .507 이었고 평균값의 95% 신뢰구간은 .365에서 .603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도 하위영역의 효과 크기는 크게 태도, 능력, 행동 세 가지 영역으로 살펴보았으며, 행동영역 평균 효과 크기는 .424, 태도영역은 .439, 능력영역은 .575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자유학기제 운영모형에 따른 평균 효과 크기는 동아리활동 운영모형이 1.252로 가장 크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예술・체육활동 운영모형 .674, 선택프로그램 활동 운영모형 .538, 진로탐색 활동 운영모형은 .383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자유학기제는 진로성숙도의 능력영역 및 동아리활동 운영모형에서 상대적으로 큰 효과 크기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자유학기제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다양한 측면으로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현장의 자유학기제 개선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해보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organize the effects of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under the free learning semester system through meta-analysis. To understand this, the studies related to career maturity in free learning semester were statistically quantified using meta-analysis approach. Design: Researchers selected and analyzed 29 primary studies using meta-analysis which reported effects of career maturity. The effect size of the career maturity subcategory was divided into attitude area, ability area and behavior area. In addition, the effect size was confirmed according to the intensive operation model (career exploration, club activities, arts and sports activities, and student selection program)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Results: The average effect sizes of attitude, ability, and behavior areas were .439, .575, .424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operational model, the effect sizes were in the order of club activities(1.252), arts and sports activities(.674), student selection program(.538), and career exploration(.383). Valu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effect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system through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meta-analysis of the vast amount of related studies.

      • KCI등재

        메타분석의 내적타당성 확보를 위한 1차 연구의 질 평가에 대한 고찰

        한기순,윤소영,심승엽,김순근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3 교육혁신연구 Vol.33 No.3

        연구목적: 이 연구는 2001년부터 2023년까지 출판된 교육학 분야 메타분석 708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의 내적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1차 연구의 질 평가 실태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001년 이후 KCI에 발표된 국내 교육학 관련 메타분석 논문 708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이 중 1차 연구에 대한 질 평가를 실시한 80편을 선별하고 연도별, 세부 주제별, 질 평가 도구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아울러 대표적인 1차 연구 질 평가 도구인 RoB2와 ROBINS-I의 질 평가 사례도 보고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분석에서 1차 연구의 질 평가를 보고하는 비율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나 최근 3년간(2021~2023년) 16.2%로 전체 비율은 높지 않았다. 둘째, 주제별로 분석했을 때 특수교육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1차 연구 질 평가 보고 비율이 높았다. 셋째, 질 평가 결과가 기준에 부합하지 않음에도 분석 대상에서 제외한 경우는 1편에 불과하여, 질 평가 결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려는 노력이 부족하였다. 논의 및 결론: 교육학에서 메타분석 연구는 확고하게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투입될 1차 연구의 품질을 평가하려는 노력이 여전히 부족한 실정에서, 질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나아가 샘플 데이터를 사용하여 평가 결과를 보고하는 사례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atus of primary research quality assessments in educational meta-analysis, focusing on 708 meta-analyses published in the field of education from 2001 to 2023. Method: We selected and analyzed 708 meta-analysis papers related to education that were published in the KCI after 2001. Among them, we singled out 80 papers that conducted quality assessments of the primary studies, analyzing them according to year, specific topic, and type of quality assessment tool. In addition, we reported quality assessment cases using the representative quality assessment tools for primary studies, RoB2, and ROBINS-I. Results: Firstly, the reporting rate of primary research quality assessment in meta-analysi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yet the overall rate remains low, accounting for just 16.2% over the past three years (2021-2023). Secondly, when analyzed by topic,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showed a relatively higher rate of reporting for primary research quality assessments. Thirdly, there was only one case where a study was excluded from the analysis due to its quality assessment results not meeting the criteria, indicating a lack of efforts to actively reflect the results of quality assessments. Over 60 meta-analysis papers in the field of domestic education have been consistently published annually since 2018. Despite the solid presence of meta-analysis research in education, there is still a lack of efforts to assess the quality of the primary research to be incorporated.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quality assessments, and presenting cases of reporting assessment results using sample data in a situation where such efforts are still lacking.

      • KCI등재후보

        팀 프로젝트 참여 초·중·고 학생과 지도교사의 경험 사례 연구: 성공 요인의 관점으로 톺아보기

        김순근 ( Soon-geun Kim ),심승엽 ( Seungyeop Sim ),윤소영 ( Soyoung Yoon ),한기순 ( Ki-soon Han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4 사회과학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미래 인재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을 기르기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론으로 알려진 ‘팀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참여 학생과 지도교사가 발휘해야 할 핵심역량은 무엇인지, 지도교사의 역할과 비중은 어느 정도 발휘되어야 하는지, 최종산출물의 완성도가 전체 프로젝트의 성패 판정에 미치는 정도는 어떠한지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3주간 13시간에 걸쳐 실시한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팀 프로젝트 활동’에 참여한 초·중·고 학생 8명과 지도교사 3명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종료 후 개별 면담을 실시하고 이를 분석한 사례 연구이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 프로젝트를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에 대해 학생들은 ‘지식 정보처리 역량’보다는 대인관계 역량에 속하는 ‘협력적 의사 소통역량’을 많이 언급하였고, 지도교사는 ‘내용 지식(Content Knowledge)’보다는 ‘교수학적 지식(Pedagogical Knowledge)’을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둘째, 학생 주도의 팀 프로젝트 활동임에도 학생들은 지도교사의 비중을 50% 이상이라고 평가하여 지도교사의 역할을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프로젝트 참여 학생들은 자신들이 만든 산출물의 완성도에 대해 지도교사의 객관적인 평가보다 더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모든 학생이 자신의 팀 프로젝트는 ‘성공’이라고 평가하여 ‘실패’라고 언급한 사례는 없었다. 성공적인 팀 프로젝트 활동에 대해 지도교사와 참여 학생 간의 이러한 인식의 차이는 향후 팀 프로젝트를 기획할 때 주요 동기 이론에 속하는 ‘기대-가치 이론’, ‘자기결정성 이론’ 및 ‘자기효능감 이론’ 등을 준거로 학생들의 내재적, 실용적 가치를 충족시킬 수 있는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그렇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관심과 참여를 높이고 팀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ssential competencies that students and guiding teachers must exhibit when undertaking a ‘team project,’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known to foster the capabilities required for future talents. It also aimed to determine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the guiding teacher and the impact of the final product’s completeness on the overall success of the project. The research involved a case study that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after a 3-week, 13-hour ‘Green Smart Future School Team Project Activity’ with 8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3 guiding teach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core competencies necessary for leading a team project to success, students emphasized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kills,’ which fall under interpersonal competencies, over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In contrast, guiding teachers prioritized ‘Pedagogical Knowledge’ over ‘Content Knowledge.’ Second, despite the student-led nature of the team project activities, students regarded the role of guiding teachers as very important, evaluating their contribution to more than 50% of the project’s success. Third, students tended to rate the completeness of their output higher than the objective evaluations by their guiding teachers. Additionally, all students considered their team projects successful, with no instances of failure mentioned. The perception differences between guiding teachers and participating students on successful team project activities suggest the need to actively consider elements that can satisfy students’ intrinsic and practical values based on major motivation theories such as ‘Expectancy-Value Theory,’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Self-Efficacy Theory’ when planning future team projects. Doing so could significantly increase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and the likelihood of the team project’s succes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