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고등학교 학생의 월령효과 분석 연구

        김순근(Soon-Geun Kim),한기순(Ki-Soon Han) 한국영재교육학회 2018 영재와 영재교육 Vol.17 No.2

        본 연구는 과학고등학교 수준에서 입학-재학-졸업 이후 각 단계별 성취에서 월령효과가 발휘되는지 분석한 것이다. 수도권 소재 과학고등학교에서 발간한 20년사와 30년사에 수록된 졸업생 명부에 병기된 생년월일을 바탕으로 2,055명을 봄(3-6월), 여름(7-10월), 겨울(11-2월) 3집단으로 분류하고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과학고 입학 단계에서의 월령효과는 뚜렷하였다. 특히 서울, 경기, 인천, 강원까지 선발 지역이 확대되어 우수한 학생들의 입학 경쟁이 치열하였던 시기와 경시대회, 올림피아드 실적을 반영하였던 특별전형 시기에 월령효과는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는 영재교육원, 특목고의 학생 선발에서 월령효과가 뚜렷하였던 선행 연구의 결과를 지지한다. 둘째, 과학고 재학 중의 성취(올림피아드 수상, 창의적 산출물), 졸업 후 대학 진학, 박사학위 취득은 월령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과학고 재학 중 리더십 영역의 경우 월령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저학년일수록 월령에 따른 성숙도가 두드러지게 차이가 나는데 이 시기에 발휘된 ‘기회’ 요인이 과학고에까지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특목고 입시에서 고난도의 선발 시험과 높은 경쟁률은 월령효과를 현실화시키는 제도적 장치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특정 변인에 대해 편차(분산)가 큰 이질 집단일수록 해 당 변인에 대해 월령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으므로 월령효과를 분석할 때는 단순히 어떤 변인이 월령효과에 유의미하다 또는 유의미하지 않다고 해석하기에 앞서 집단의 특성이나 분포, 측정도구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nalyzes monthly age effect on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t three stages (entrance, undergraduate, postgraduate), based on their achievements during each stage. 2,055 of the last thirty years’ graduates of a science high school in capital area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birthdate, (spring[march-June], summer[July-October], winter[November-February]), then cross examina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examination, monthly age effect at the entrance stage was clearly visible. Monthly age effect was specially distinct during the period when they accepted applications from more areas including Seoul, Gyeonggi, Incheon, and Gangwon, or during special admission period when they considered students’ performance on academic competitions or Olympiads. This supports preceding studies that showed clear monthly age effect on dmission selec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s for the gifted or gifted education centers affiliated with universities. Second, the effect did not play a significant role at the undergraduate stage and the post graduate stage. This means the monthly age effect at the entrance stage lasts until the postgraduate stage. Third, at undergraduate stage, monthly age effect was significant on leadership ability. Being born earlier than other kids put them at a developmental advantage during their first years in elementary school, and increase of opportunity due to the advantage was shown to have a lasting effect. This research has shown that manifestation of monthly age effect in special-purpose high school admissions can be attributed to their challenging entrance exam and low admission rate. Furthermore, monthly age effect on a variable is likely to appear more significant in a group with a larger dispersion of the variable. Therefore, careful examination of a group’s distribution, dispersion, and measurement tools must be prioritized before the interpretation of a certain variable’s significance on monthly age effect.

      • KCI등재

        과학영재, 나는 왜 의대에 진학하였나?

        김순근(Soon-Geun Kim),한기순(Ki-Soon Han) 한국영재교육학회 2017 영재와 영재교육 Vol.16 No.2

        막대한 국가예산을 투입하여 양성한 과학영재들이 지난 8년간 영재학교 졸업생의 8.0%, 과학고 졸업생의 2.5%가 이공계 대신 의학계열로 진학하였다. 특정 영재학교의 경우 20%가 넘는 학생들이 의대로 진학하여 국정감사를 비롯하여 비판적인 사회 여론이 지속적으로 형성되어 왔으며, 급기야 교육부는 2017학년도부터 의학계열 진학시 불이익을 주도록 방침을 정했다. 과학영재들이 의학계열로 진학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공계열에서 의대로 편입(또는 졸업 후 의대 재입학)하거나 의학전문대학원을 선택하는 경우를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다. 그렇다면 과학영재들은 왜 의학계열로 진학하는 것일까? 단순히 보다 안정된 직장을 구하기 위해서인가? 이 물음에 대한 단서를 찾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제과학올림피아드에서 수상하였고, 과학영재학교를 거쳐 현재 서울 소재 의과대학 본과에 재학 중인 여학생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의과대학을 진학한 계기, 의대 진학에 대한 주변의 반응, 의과대학에서의 생활, 그리고 과학영재로서 의대 진학에 대한 본질적 물음의 네 가지 측면에서 그 해답을 구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영재학교가 자신들이 내세운 인재상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창의영재 보다는 학업영재들을 주로 선발하고 있으며, 교육과정 운영과 평가방식 또한 학업영재들에게 유리하게 적용됨으로써 결국 이들을 의과대학으로 이끄는 통로가 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공계로 진학했던 과학영재들이 이공계 처우 문제, 비민주적인 이공계 연구실 분위기 등으로 다시 의학계열로 유턴하는 사례도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영재학교들이 영재들에게 의과 대학 진학에 대한 불이익을 주기 이전에 영재학교가 과연 그 취지에 적합한 학생들을 적절하게 선발하고 또한 그 인재상에 걸맞도록 학생들을 교육하고 있는가에 대한 검토와 반성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A tremendous amount of national budget are spent o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every year, but 8.0% of gifted school graduates chose medical major over natural sciences or engineering major over the last 8 years. In a science gifted school, over 20% of its students chose to enter medical schools, which lead to government inspection and consistent negative public opinion. In 2017, Ministry of Education came to impose a rule that inflict several penalties on students who chose medical schools. In fact it is not hard to find out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round us who enter medical schools, transfer to medical schools, or re-enter medical schools or medical graduate schools. Then what’s the reason behind their derailment? Is it just for more job security? To answer this question we interviewed a student who was awarded in the International Science Olympiad, graduated a school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is currently enrolling a medical school in Seoul. We sought to find out the answer by finding out what made her want to go to medical school, how her friends and relatives reacted to her decision, what the life in the medical school is like, and finally why, as a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 she wanted a life as a doctor. The results are as follows: contrary to the schools’ claim that they are searching for creatively gifted students, their identification process seems to favor the schoolhouse gifted. And curriculum and evaluation system at school is optimized for the schoolhouse gifted. Also, it was found that many gifted students who chose natural science or engineering major transferred to medical school because of poor treatment and undemocratic atmosphere of their department. This research questions whether it is right to force disadvantages on students who enter medical schools before carefully examining whether science high schools and gifted schools are selecting and educating students in alignment with the purpose of their existence.

      • KCI등재

        과학영재학교 교사와 학생이 인식하는 박사급 전문교원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분석

        김순근(Soon Geun Kim),유미현(Mi Hyun Yoo) 한국영재교육학회 2016 영재와 영재교육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진흥법에 따라 교원자격증 없이 영재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이공계 박사학위 소지 전문교원의 역할기대와 역할수행에 대해 영재학교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설문지는 교과활동 등 5개 영역에 걸쳐 34문항을 개발하여 수도권 소재 K과학영재학교 학생 216명, 교사 4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박사급 전문교원에 대한 역할기대가 높은 반면 역할수행이 낮다고 인식하였으나, 학생은 역할기대가 낮고 기대만큼은 역할수행을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역할기대가 역할수행을 25.5% 결정하고 있어 역할기대가 역할수행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기대와 역할수행의 관계는 3차 다항식 형태의 추세선이 그려지는 것으로 나타나 긍정적인 역할수행이 다시 역할기대를 끌어 올리는 정적 피드백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역할기대가 높은 문항은 역할수행이 낮게 나타나고, 반대로 역할기대가 낮은 문항은 역할수행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기대불일치 이론으로 설명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수의 선행 연구들에서 역할기대에 비해 역할수행이 낮게 나타나고 있는 현상에 대한 합리적인 이론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역할기대에 비해 역할수행이 낮다고 하여 실제로 기대만큼 역할수행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결론을 내리는 것에는 보다 신중해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gifted science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role expectation and role performance of expert teachers with a doctoral degree who were working in gifted schools without a teaching certificate. For questionnaires, this study developed 34 items across five domains, including subject-related activities,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with 216 students and 46 teachers at K. Gifted Science School located in the capital area, securing validity through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had a high role expectation from the expert teachers with a doctoral degree but perceived a low role performance of them, while the students had a lower role expectation and perceived that they performed the role as expected. According to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since the role expectation determined 25.5% of the role performance, it had a relatively big impact on role performance. Second, it turned out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expectation and role performance, a trend line in a third-degree polynomial form was drawn, and a positive role performance acted as positive feedback, which raised role expectation again. In addition, role performance was lower in the items with high role expectation, while role performance was higher in the items with low role expectation, and this could be explained with the expectancy disconfirmation theory. Through this study, a reasonable theory on the phenomenon in which role performance was lower than role expectation in a number of preceding studies could be suggested. Moreover, it could be found that more caution should be paid to conclude that they did not actually perform the role as expected, even if role performance was lower than role expectation.

      • KCI등재후보

        팀 프로젝트 참여 초·중·고 학생과 지도교사의 경험 사례 연구: 성공 요인의 관점으로 톺아보기

        김순근 ( Soon-geun Kim ),심승엽 ( Seungyeop Sim ),윤소영 ( Soyoung Yoon ),한기순 ( Ki-soon Han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4 사회과학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미래 인재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을 기르기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론으로 알려진 ‘팀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참여 학생과 지도교사가 발휘해야 할 핵심역량은 무엇인지, 지도교사의 역할과 비중은 어느 정도 발휘되어야 하는지, 최종산출물의 완성도가 전체 프로젝트의 성패 판정에 미치는 정도는 어떠한지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3주간 13시간에 걸쳐 실시한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팀 프로젝트 활동’에 참여한 초·중·고 학생 8명과 지도교사 3명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종료 후 개별 면담을 실시하고 이를 분석한 사례 연구이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 프로젝트를 성공으로 이끌기 위해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에 대해 학생들은 ‘지식 정보처리 역량’보다는 대인관계 역량에 속하는 ‘협력적 의사 소통역량’을 많이 언급하였고, 지도교사는 ‘내용 지식(Content Knowledge)’보다는 ‘교수학적 지식(Pedagogical Knowledge)’을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둘째, 학생 주도의 팀 프로젝트 활동임에도 학생들은 지도교사의 비중을 50% 이상이라고 평가하여 지도교사의 역할을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프로젝트 참여 학생들은 자신들이 만든 산출물의 완성도에 대해 지도교사의 객관적인 평가보다 더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모든 학생이 자신의 팀 프로젝트는 ‘성공’이라고 평가하여 ‘실패’라고 언급한 사례는 없었다. 성공적인 팀 프로젝트 활동에 대해 지도교사와 참여 학생 간의 이러한 인식의 차이는 향후 팀 프로젝트를 기획할 때 주요 동기 이론에 속하는 ‘기대-가치 이론’, ‘자기결정성 이론’ 및 ‘자기효능감 이론’ 등을 준거로 학생들의 내재적, 실용적 가치를 충족시킬 수 있는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그렇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관심과 참여를 높이고 팀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ssential competencies that students and guiding teachers must exhibit when undertaking a ‘team project,’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known to foster the capabilities required for future talents. It also aimed to determine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the guiding teacher and the impact of the final product’s completeness on the overall success of the project. The research involved a case study that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after a 3-week, 13-hour ‘Green Smart Future School Team Project Activity’ with 8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3 guiding teach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core competencies necessary for leading a team project to success, students emphasized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kills,’ which fall under interpersonal competencies, over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In contrast, guiding teachers prioritized ‘Pedagogical Knowledge’ over ‘Content Knowledge.’ Second, despite the student-led nature of the team project activities, students regarded the role of guiding teachers as very important, evaluating their contribution to more than 50% of the project’s success. Third, students tended to rate the completeness of their output higher than the objective evaluations by their guiding teachers. Additionally, all students considered their team projects successful, with no instances of failure mentioned. The perception differences between guiding teachers and participating students on successful team project activities suggest the need to actively consider elements that can satisfy students’ intrinsic and practical values based on major motivation theories such as ‘Expectancy-Value Theory,’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Self-Efficacy Theory’ when planning future team projects. Doing so could significantly increase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and the likelihood of the team project’s success.

      • 고품질 다수확 원목 상황버섯 재배 경영사례 조사

        서규선,장현유,김순근,Suh, Gyu-Sun,Chang, Hyun-You,Kim, Soon-Geun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 교육개발센터 2008 현장농업연구지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al resear Vol.10 No.1

        High temperature and natural sun light are considered as the core conditions for high quality and large quantity of Phellinus baumii production. However still now on there has been a mistake of excessively cutting off the natural light by spreading the closing nets on the mushroom cultivating house. For an example there are many houses where the closing nets under the roofs be extended to cover the sides of the houses, which way prevents the mushrooms in the houses from receiving sufficient natural sun light and getting the temperature sufficiently to grow so that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produced mushrooms are lowered even though the mushrooms can grow in those conditions. In order to avoid this mistake, the closing nets must be placed on the roofs of the houses only without dropping them to cover the sides. Further more when the closing nets are placed triply at the beginning stage of Phellinus baumii's growth in the house, the nets restrai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ouse going up and intercept the natural bright light flowing into the house so that the growing tardiness occur to the Phellinus baumii. Therefore the roof only must have been covered by the closing net for 65% cutting off the light until May, and then covered by double folded the net for June, triple folded the net for July and August, double folded the net for September, and the single net for October. When the ventilation in the house has been maintained until the house tightly balloon out through controling lifting force of internal air, the Phellinus baumii can grow well while the bed logs themselves aren't dried out. Marketing is also very much important as well as increasing quality and quantity of Phellinus baumii production.

      • KCI등재
      • KCI등재

        소형방출챔버를 이용한 방향제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방출특성에 관한 연구

        정영림,박현희,오윤희,김순근,손종렬,김선화,유영재,배귀남,김만구,Jung, Young-Rim,Park, Hyun-Hee,Oh, Youn-Hee,Kim, Soon-Geun,Sohn, Jong-Ryeul,Kim, Sun-Hwa,Yu, Young-Jae,Bae, Gwi-Nam,Kim, Man-Goo 대한환경공학회 2011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3 No.3

        소형방출챔버를 이용하여 반응조건(시료량, 온도, 환기횟수)에 따라 방향제에서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배출특성을 조사하였다. 시료부하량($1.4{\sim}551.0g/m^2$)에 따라 방향제에서 방출되는 TVOC 방출량은 방출시험 5시간 후 $0.7{\sim}64.4mg/m^2{\cdot}hr$로 나타났다. Limonene, ${\alpha}$-pinene과 linalool 등 방향제에서 방출된 주요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온도와 환기횟수가 클수록 방출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연구결과는 방향제와 같은 생활용품의 오염물질 방출시험방법 및 방출기준을 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missions characteristics of air freshener using small emission chamber method. The emission of VOCs from air freshener were determined in the small chambers in the temperature (25, $30({\pm}1)^{\circ}C$), relative humidity ($50{\pm}5%$), ventilation rate (0.3, 0.5, ($0.8({\pm}0.005)/hr$), and sample loading factor ($1.4{\sim}551.0g/m^2$) in this study. The emission tests from air freshener for sample loading factor resulted in TVOC emission rates of $0.7{\sim}64.4mg/m^2{\cdot}h$ after 5 hours. For most target VOCs such as limonene, ${\alpha}$-pinene and linalool, higher temperature and ventilation rate levels exhibited increased emission r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