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양측 신장의 원발성 악성 림프종 1 예

        심기남(Ki Nam Shim),최규복(Kyu Bok Choi),유승기(Seung Ki Ryu),박사영(Sa Yong Park),박기령(Ki Ryung Park),남은미(Eun Mi Nam),최진혁(Jin Hyuk Choi),강덕희(Duck Hee Kang),윤견일(Kyun Il Yoon),성순희(Sun Hee Sung) 대한내과학회 1997 대한내과학회지 Vol.52 No.4

        Primary lymphoma of the kidney is rare, and in most cases is attributable to lymphomatous renal infilitration of systemic non-Hodgkin's lymphoma or an extension from an adjacent site of the disease. Since the renal parenchyma is not a lymphoid organ, the mechanism by which renal lymphoma occur remains poorly understood. We report here a case of primary bilateral B-cell renal lymphoma in 26-year- old man who was treated successfully with combination chemotherapy.

      • KCI등재

        최신 연구 소개 : 저용량 아스피린 사용 시에 위장관 출혈이 증가하는가?

        심기남 ( Ki Nam Shim ) 대한소화기학회 2012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9 No.4

        이 연구는 저용량의 acetylsalicylic acid (아스피린; 75-325 mg)을 단독 또는 병합으로 투여받은 환자에서 총 사망과 출혈(특히 위장관 출혈)의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된 메타분석이다. 2010년 10월까지 발표된 10개의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저용량 아스피린의 부작용에 관하여 아스피린 단독 사용(35개의 연구), 항응고제와 병용(18개의 연구), 클로피도그렐과 병용(5개의 연구), 프로톤펌프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 PPI)와 병용(3개의 연구)의 무작위대조군 연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저용량 아스피린 단독 사용은 총 사망률을 낮췄으며(RR, 0.93; 95% CI, 0.87-0.99), 이는 주로 2차적인 예방효과에 의한 것이었다. 중대한 위장관 출혈은 저용량 아스피린 사용군에서 높았으며(OR, 1.55; 95%CI, 1.27-1.90) 그 위험도는 아스피린 단독 사용보다 클로피도그렐과 병합한 경우(OR, 1.86; 95% CI, 1.49-2.31), 항응고제와 병합한 경우(OR, 1.93; 95% CI, 1.42-2.61), 이전에 위장관 출혈이 있었던 경우, 약제를 장기간 사용한 경우에 더 높았다. 또한, PPI의 사용은 저용량 아스피린을 사용한 환자에서 중대한 위장관 출혈의 위험도를 낮췄다(OR, 0.34; 95% CI, 0.21-0.57). 결론으로 이 메타분석에서는 저용량 아스피린이 위장관 출혈을 증가시키고 클로피도그렐과 항응고제를 병합한 경우 위험도가 더 증가하며, PPI를 같이 복용하는 환자에서는 위험이 감소함을 보여주었다. Low Doses of Acetylsalicylic Acid Increase Risk of Gastrointestinal Bleeding in a Meta-analysis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11;9:762-768)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소화성 궤양 출혈에서 노인군과 청장년군의 임상 특징과 경과의 후향 비교

        나윤주 ( Youn Ju Na ),심기남 ( Ki Nam Shim ),강민정 ( Min Jung Kang ),정지민 ( Ji Min Jung ),김성은 ( Seong Eun Kim ),정성애 ( Sung Ae Jung ),유권 ( Kwon Yoo ),문일환 ( Il Hwan Moon ) 대한소화기학회 2009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3 No.5

        목적: 소화성 궤양 출혈은 H. pylori 감염과 비스테로이드소염제가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노인 환자의 소화성 궤양에 대한 연구에서 H. pylori의 역할은 감소되고, 비스테로이드소염제 및 동반된 만성질환 등이 궤양의 형성에 더 기여하고 있다고 한다. 이에 이번 연구는 소화성 궤양 출혈을 동반한 환자들을 노인군과 청장년군으로 나누어 각각의 임상 특징과 임상 경과를 비교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상부위장관출혈로 내원하여 응급 상부위장관내시경검사를 시행하여 소화성 궤양 출혈로 진단되어 입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65세 이상의 노인군과 65세 미만의 청장년군의 두 군으로 나누어 의무기록을 후향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음주력, 흡연력, 만성질환, 궤양 유발성 약물의 복용력, 상부위장관내시경 소견 및 H. pylori의 유무 등을 조사하였고, 임상 경과인 수혈량, 재원기간, 중환자실 재원기간, 재출혈률, 수술률, 사망률 등을 알아보았다. 결과: 소화성 궤양 출혈로 진단된 88명 중에서 노인군은 34명, 청장년군은 54명이었다. 노인군에서 만성질환 특히 고혈압(52.9% vs. 24.1%), 심혈관계 질환(35.3% vs. 13.0%) 및 만성폐쇄폐질환(20.6% vs. 3.7%)이 유의하게 많았다(p<0.05). 궤양유발 약물의 복용력은 노인군에서 유의하게 많았으며(64.7% vs. 33.3%), 아스피린과 항혈전제인 클로피도그렐(Plavix(R))의 병합 사용군(17.0%)이 가장 많았다. H. pylori 음성 궤양 출혈(25.9% vs. 18.4%)의 빈도는 노인군과 청장년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노인군과 청장년군의 수혈량, 중환자실 재원기간, 재출혈률, 수술률, 사망률은 차이가 없었으나, 노인군에서 재원기간이 길었으며(12.3±10.6 vs. 7.2±5.9, p<0.05), 궤양유발성 약물과 만성질환의 위험인자를 보정하여도 65세 이상의 노인군에서 유의하게 재원기간이 길었다. 결론: 출혈성 소화성 궤양을 동반한 노인군은 청장년군에 비하여 재출혈률, 수술률, 사망률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재원기간이 유의하게 길었다. 출혈성 궤양의 위험인자가 될 수 있는 H. pylori의 제균 치료와 함께 동반된 만성질환의 유무와 궤양유발 약물의 복용력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Background/Aims: In geriatric patients with peptic ulcer, the use of NSAID and prevalence of chronic illness have been increased, but the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infected portion decreas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geriatric patients (aged 65 or older) with peptic ulcer bleeding and compare with non-geriatric patients (less than 65 years old).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f 88 patients with peptic ulcer bleeding treated with therapeutic endoscopy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06. We compar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geriatric patients (n=34, 38.6%) with those of non-geriatric patients (n=54, 61.4%). Results: Hypertension (52.9% vs. 24.1%), cardiovascular disease (35.3% vs. 13.0%),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20.6% vs. 3.7%) were more prevalent in the geriatric group, compared with the non-geriatric group (p<0.05). The geriatric group had taken more ulcerogenic drugs than the non-geriatric group (64.7% vs. 33.3%, p<0.05); aspirin plus clopidogrel (23.6% vs. 13.0%) and aspirin (20.6% vs. 11.0%). Sixteen (21.1%) of the 76 cases had H. pylori-negative ulcer.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H. pylori-negative ulcer (25.9% vs. 18.4%, p>0.05). The amount of transfusion length of ICU stay, rebleeding rate, operation rate and mortality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length of hospital stay in the geriatric patients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e non-geriatric group (12.3±10.6 vs. 7.2±5.9 days, p<0.05).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ld age wa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longer hospital stay (p<0.05). Conclusions: The geriatric patients with bleeding peptic ulcer had longer hospital stay than the non-geriatric patients in our study. The important emerging etiologies such as ulcerogenic drug and associated chronic illness should be checked and treated in these patients. (Korean J Gastroenterol 2009;53:297-304)

      • SCOPUSKCI등재

        위장관 ; 노인 위암 환자의 임상적 및 병리적 특징과 수술 시행에 따른 생존율 차이

        최주영 ( Ju Young Choi ),심기남 ( Ki Nam Shim ),노선희 ( Sun Hee Roh ),태정현 ( Chung Hyun Tae ),김성은 ( Seong Eun Kim ),정혜경 ( Hye Kyung Jung ),김태헌 ( Tae Hun Kim ),정성애 ( Sung Ae Jung ),유권 ( Kwon Yoo ),문일환 ( Il Whan 대한소화기학회 2011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8 No.1

        목적: 노인 위암 환자는 장년 환자에 비해 전신상태가 좋지 않고 동반질환의 비율이 높아 수술 시행률이 낮고 수술 후 예후가 좋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 노인 위암 환자에서 암의 특징을 알아보고 수술 시행에 따른 생존기간의 연장여부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부속목동병원에서 위암을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연령에 따라 65세 미만의 장년층과 65세 이상의 노년층으로 구분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두 군의 임상적 및 병리적 특징을 비교하였고 수술 시행에 따른 합병증 발생 여부와 생존기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선정기준에 합당한 370명 중 노년층이 44.6%, 장년층이 55.4%였다. 노년층은 장년층에 비하여 어지러움, 구역, 피로, 체중감소의 비전형적인 증상으로 위암을 진단받는 경우가 많았다. 기저 질환은 노년층에서 심장질환의 빈도가 높았으며 수술 시행률은 장년층에 비해 낮았다. 고분화암은 노년층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수술을 하는 경우 노년층과 장년층 간에 수술시간, 수술 후 입원기간, 합병증 발생률에서 차이가 없었다. 수술받은 위암환자에서 생존기간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tumor-node-metastasis (TNM) 병기였는데, 노년층과 장년층 간에 병기의 차이는 없었다. 노년층 환자에서 생존기간과 관련된 인자는 TNM 병기와 수술시행 여부였으며, 수술을 받으면 보존 치료를 받은 군에 비해 생존기간이 연장되었다. 결론: 노년층의 위암 환자에서 동반 질환의 비율은 장년층에 비해 높지만 수술 합병증 발생은 장년층과 차이가 없고, 수술을 시행한 군의 생존율은 보존 치료를 한 군보다 높다. 따라서 고령의 환자에서도 더 적극적으로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Background/Aims: It has been known that elderly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show worse general condition and higher comorbidities. Therefore, few elderly patients undergo surgery.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astric cancer in elderly patients and evaluate their survival improvements by the surgical treatment. Methods: Gastric cancer patients, diagnosed at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between 2000 to 2004,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aged ≥65 years vs. <65 years.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incid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survival time of patients in each group were analyzed. Results: Total 370 patients were subjected and divided into the elderly and the younger group (55.4% vs. 44.6%). The elderly group showed higher incidences of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Well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was more frequently found in the elderly group (19.0% vs. 10.0%, p=0.025).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operation time (242.6±70.7 vs. 257.3±83.8 min, p=0.115), postoperative hospital stays (15.8±10.6 vs. 14.7±9.8 days, p=0.361), and incidence of any complications (6.7% vs. 9.9%, p=0.309) between the two subgroups. Th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with the elderly patient`s survival were the tumor-node-metastasis (TNM) stage (stage I, hazard ratio [HR] 1.00; stage II, HR 1.28, 95% confidence interval [CI] 0.44-3.72; stage III, HR 4.06, 95% CI 2.08-7.92, stage IV, HR 9.78, 95% CI 4.97-19.26; p<0.001) and the treatment modality (laparoscopy, HR 1.00; open surgery, HR 3.90, 95% CI 2.43-6.26; p<0.001). The elderly patients who underwent gastric cancer surgery showed prolonged survival on TNM stage I, II, and III than those who were treated conservatively. Conclusions: In the elderly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those who had received surgical treatm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urvival rate than those who had treated conservatively. Therefore, aggressive surgical treatments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even for the elderly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Korean J Gastroenterol 2011;58:9-19)

      • KCI등재

        경피적 위루관 삽입술의 임상 경과: 단일 기관에서의 관찰 연구

        이지현 ( Jihyun Lee ),심기남 ( Ki-nam Shim ),이강훈 ( Kang Hoon Lee ),이고은 ( Ko Eun Lee ),장지영 ( Ji Young Chang ),태정현 ( Chung Hyun Tae ),문창모 ( Chang Mo Moon ),김성은 ( Seong-eun Kim ),정혜경 ( Hye-kyung Jung ),정성애 ( S 대한소화기학회 2018 대한소화기학회지 Vol.71 No.1

        목적: 경피적 위루관 삽입술은 장기적인 경관 영양을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경피적 위루관 삽입술을 시행받는 환자들의 임상적인 특징과 임상 경과에 대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에서 2002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위루관 삽입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환자들의 성별, 연령, 의식 상태, 기저 질환, 위루관 삽입술 시행 방법, 위루관 교체 여부 및 교체 방법, 교체 시기를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는 총 137명으로 남자가 86명(62.8%), 여자가 51명(37.2%)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67.85±16.97세였다. 위루관 삽입술이 필요한 기저 질환으로는 뇌출혈 및 뇌졸중을 포함한 뇌혈관 질환이 66명(48.2%)으로 가장 많았고, 두경부암(20명, 14.6%)과 파킨슨병(10명, 7.3%)이 그 뒤를 이었다. 133명(97.1%)이 내시경적 위루관 삽입을 받았고, 4명(2.9%)이 투시촬영 유도 위루관 삽입술을 시행받았다. 추적 기간 동안 1번이라도 위루관을 교체받은 90명의 환자 가운데 내시경적 교체를 시행받은 환자는 71명(78.9%), 투시촬영 유도 위루관 삽입술로 교체를 시행받은 환자는 4명(4.4%), 수기로 교체를 받은 환자는 15명(16.7%)이었으며 평균 교체 간격은 9.83±6.19개월이었다. 대상 환자 중 119명(86.9%)에서 위루관 삽입과 관련된 급성 합병증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9명(6.6%)의 환자에서 발생한 삽입 부위 감염이 가장 흔하게 발생한 합병증이었다. 지연 합병증은 25명(16.1%)의 환자에서 나타났으며, 가장 흔하게 발생한 합병증은 저절로 위루관이 제거된 것으로 21명(15.3%)의 환자에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경피적 위루관 삽입술은 장기적인 경관 영양을 위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방법으로, 저자들은 본 연구가 추후 경피적 위루관 삽입술을 시행받는 환자들의 관리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s/Aims: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PEG) is a widely used method for long-term tube feeding.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patients who utilized long-term feeding tube via PEG.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37 patients who underwent PEG tube insertion at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between January 2002 and December 2013 were reviewed. Results: PEG was indicated most frequently for cerebrovascular accidents (66 patients, 48.2%), followed by head and neck cancer (20 patients, 14.6%), and Parkinson’s disease (10 patients, 7.3%). The tubes were endoscopically inserted in 133 patients (97.1%); 4 patients (2.9%) underwent radiologic intervention. The tubes of 90 patients (65.7%) were exchanged at least once during the follow-up period. At the first exchange, 71 patients (78.9%) had their tubes exchanged by endoscopy, 24 patients (16.7%) by manually, and 4 patients (4.4%) by radiologic intervention. Of the 61 patients (44.5%) who had their tubes exchanged twice, 44 patients (72.1%) changed their tubes by endoscopic exchange, 13 patients (21.3%) by manually, and 4 patients (4.4%) via radiologic intervention. The mean time interval between the initial insertion and the first exchange was 9.83±6.19 months, and that between the initial insertion and the second exchange was 10.7±6.25 months. Of all the 137 patients, acute complications at initial insertion occurred in only 18 patients (13.1%), with insertion site infection (9 patients, 6.6%) being the most common acute complication. Conclusions: PEG appears to be a safe procedure for providing long-term tube feeding. Our results may help to develop strategies for further management of subjects receiving feeding tubes via PEG. (Korean J Gastroenterol 2018;71:24-30)

      • SCOPUSKCI등재

        위장관 ; 부식제로 인한 상부위장관 손상: 단일 3차 기관의 20년간의 후향적 분석

        송혜경 ( Hye Kyung Song ),심기남 ( Ki Nam Shim ),윤혜원 ( Hye Won Yun ),태정현 ( Chung Hyun Tae ),김성은 ( Seong Eun Kim ),정혜경 ( Hye Kyung Jung ),정성애 ( Sung Ae Jung ),유권 ( Kwon Yoo ) 대한소화기학회 2015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5 No.1

        목적: 부식제는 상부위장관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며 드물게는 사망까지 이르게 한다. 그러나 국내에서 부식제 음독에 관한 임상 양상 및 치료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단일 기관의 20년간 부식제 음독 환자를 분석하여 상부위장관의 내시경적 점막손상 정도를 포함한 임상 양상 및 치료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9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부식제 음독으로 이대목동병원을 방문한 140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1993년부터 2002년까지 병원을 방문한 환자를 조기군으로, 2003년부터 2012년까지 병원을 방문한 환자를 후기군으로 정의하여 두 군 간의 상부위장관 내시경상 점막손상을 포함한 임상 양상 및 치료를 비교하였다. 결과: 부식제 음독환자의 평균 연령은 43.7±17.4세(범위18-88세)이며, 남성이 40.7%였다. 부식제 음독의 연도별 발생건수는 줄지 않았다(연간 발생 건수 범위, 2-22건). 조기군은 50명, 후기군은 90명으로 후기군에서 염기성 부식제 음독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많았고(20% vs. 65.6%, p<0.001), grade 2b 이상 식도 점막손상의 빈도가 낮았다(41.3% vs. 20.7%, p=0.012). 두 군 간에 연령, 성별, 음독 동기(자살 또는 우발사고) 및 급성 합병증이나 협착의 발생은 차이가 없었다. 치료에 있어 후기군에서 위 세척(p<0.01), grade 2b 이하 점막손상 환자에서 광범위 항생제 사용(p=0.03)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줄었으나, 스테로이드 사용은 두 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국내에서 부식제 음독 발생은 지난 20년간 줄지 않았고 염기성 부식제 음독 비율이 증가하였다. 내시경적 식도 점막손상 정도는 감소하였으나 급성 합병증이나 협착은 줄지 않았다. 위 세척, 광범위 항생제 사용은 감소되었으나 스테로이드 사용은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부식제의 엄격한 안전 관리가 필요하며 효과적인 치료에 관한 숙지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Caustic ingestion can cause severe injury to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There were few studies about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s of caustic injury in Korea.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clinical features of caustic injury over the past 20 years including pattern of endoscopic mucosal injury and treatment modality. Method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from patients with caustic injury from September 1993 through December 2012.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year when caustic ingestion occurred: patients who visited the hospital from 1993 to 2002 (early group) and patients who visited the hospital from 2003 to 2012 (late group). Results: A total 140 patients were included (early group [n=50] vs. late group [n=90]). Annual number of caustic ingestions did not show decreasing tendency over the past 20 years. Alkali ingestion increased (20.0% vs. 65.6%, p<0.001) and cases with more than grade 2b of esophageal mucosal injury decreased (41.3% vs. 20.7%, p=0.012) in late 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sex, age, proportion of accidental ingestion, and systemic/gastrointestinal complications. Use of gastric lavage (p<0.01) and broad spectrum antibiotics (p=0.03) decreased in late group.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use of steroid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 In this study, overall caustic ingestion did not decrease and ingestion of alkali agents increased over the past 20 years. Tighter legislation on caustic agents is required and we need to be alert to the best management of caustic injury.

      • 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내시경 점막절제술로 치료한 바렛식도에서 발생한 고도 이형성증

        하창윤 ( Chang Yoon Ha ),심기남 ( Ki Nam Shim ),강민정 ( Min Jung Kang ),정지민 ( Ji Min Jung ),나윤주 ( Youn Ju Na ),정해선 ( Hae Sun Jung ),백수정 ( Su Jung Baik ),정성애 ( Sung Ae Jung ),유권 ( Kwon Yoo ),조민선 ( Min Sun Cho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8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4 No.1

        Esophageal adenocarcinoma develop in 0.5~0.8% of Barrett`s esophagus. Although the incidence of adenocarcinoma is low, annual endoscopic surveillance is needed because of poor outcome. Recently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is increasingly being used in the management of early esophageal cancer because of low morbidity and mortality rates. Herein, we report a case of high grade dysplasia arising from Barrett`s esophagus treated with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and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SCOPUSKCI등재

        진단 대장내시경 중 발생한 직장 천공을 내시경적 클립술로 치료한 1예

        송지현 ( Ji Hyun Song ),심기남 ( Ki Nam Shim ),김성은 ( Seong Eun Kim ),송현주 ( Hyun Joo Song ),오희정 ( Hee Jung Oh ),유금혜 ( Kum Hei Ryu ),염혜정 ( Hye Jung Yeom ),김태헌 ( Tae Hun Kim ),정혜경 ( Hye Kyung Jung ),정성애 ( Sung 대한장연구학회 2005 Intestinal Research Vol.3 No.2

        Colonoscopy has become the principal method for diagnosis, treatment, and follow-up of colorectal disease. However, colonoscopy is an invasive procedure with an associated risk of complications. Especially, perforation of the colon and rectum during colonoscopy is a rare but serious complication. The choice of conservative versus surgical treatment for this complication remains controversial. In general, conservative treatment is reserved for patient in good general health with good bowel preparation and absence of signs of peritonitis during 24 to 48 hours following the perforation. Conservative management consists of intestinal rest, intravenous fluids and antibiotics, nasogastric tube decompression, and frequent clinical examination. In case of iatrogenic perforation, if the wound is immediately closed with clips, contamination of the peritoneal cavity can be minimized. We report here a patient who sustained iatrogenic rectal perforation caused by diagnostic colonoscopy that was successfully treated by endoscopic clipping therapy. (Intestinal Research 2005;3:154-15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