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신 연구 소개 : 위 선종에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치료의 장기적인 효과는 무엇인가?

        태정현 ( Chung Hyun Tae ),심기남 ( Ki Nam Shim ) 대한소화기학회 2015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5 No.5

        Morphologic and Histologic Changes in Gastric Adenomas after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A Long-term Prospective Analysis (Helicobacter 2015. doi: 10.1111/hel.12218 [Epub ahead of print])

      • KCI등재

        파국적 항인지질항체증후군과 관련된 소장의 괴사 1예

        이현애 ( Hyun Ae Lee ),김성은 ( Seong-eun Kim ),정도영 ( Do Woung Jung ),변주란 ( Ju Ran Byeon ),최아름 ( A Reum Choe ),태정현 ( Chung Hyun Tae ),문창모 ( Chang Mo Moon ),정혜경 ( Hye Kyung Jung ),심기남 ( Ki Nam Shim ),정성애 ( S 대한소화기학회 2021 대한소화기학회지 Vol.77 No.6

        Catastrophic antiphospholipid syndrome is a highly fatal condition characterized by widespread thromboembolism subsequent to a triggering factor (e.g., infection, trauma, and neoplasia) in antiphospholipid antibody-positive patients. This paper reports a case of a 29-year-old male without the underlying disease who developed extensive mesenteric thromboembolism and jejunal necrosis during the treatment for acute enteritis. The patient’s condition was improved with low-molecular-weight heparin and an intravenous Ig treatment with emergency surgery. The serum antiphospholipid (anticardiolipin IgM) and lupus anticoagulant antibody tests showed positive results. Acute infectious enterocolitis is generally considered a mild disease. On the other hand, aggressive evaluation and treatment should be considered if the clinical conditions do not improve and deteriorate rapidly despite appropriate antibiotic treatment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acute immunological complications, such as catastrophic antiphospholipid syndrome. (Korean J Gastroenterol 2021;77:294-299)

      • KCI등재후보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임상 진료 지침 개정안 2020

        오정환 ( Jung Hwan Oh ),권중구 ( Joong Goo Kwon ),정혜경 ( Hye-kyung Jung ),태정현 ( Chung Hyun Tae ),송경호 ( Kyung Ho Song ),강승주 ( Seung Joo Kang ),김성은 ( Sung Eun Kim ),정경원 ( Kyoungwon Jung ),김준성 ( Joon Sung Kim ) 대한내과학회 2021 대한내과학회지 Vol.96 No.2

        목적: 소화불량은 흔하게 접하는 증상으로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 혈액 검사 또는 영상의학검사에서 기질적 원인이 없으며, 상복부에 발생하는 다양한 증상들의 복합체이다. 다양한 병태생리를 보이는 질병의 특성 때문에 기존의 치료 전략에 대한 효과는 크지 않다. 기능성 소화불량증에 관한 기존 지침을 최신 연구를 통하여 보완함으로 일선 진료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법: 개발위원회를 구성하여, 진단과 치료의 각 항목에 대한 초안을 작성하고 다양한 연구, 지침, 무작위 대조시험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와 메타분석을 통해 진단과 치료에 대한 각 항목을 완성하였다. 선정된 전문가에 의해 외부 검토가 수행되었다. 이번 기능성 소화불량증 임상 진료 지침은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가 2011년 발표한 기존의 임상 지침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그 개정판의 의미로 최근 발표된 여러 최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완성되었다. 결과: 이 임상 진료 지침은 만성 소화불량 증상이 있는 성인에게 적용되며 진단으로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의 역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스크리닝에 대해 다루었으며, 치료에서는 3가지 치료 방법(양성자펌프억제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치료와 삼환계 항우울제)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검토와 메타분석을 통해 최신 지견을 소개하였다. 특히,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하위 유형에 따른 치료 전략을 제시하였고, 위장관 운동촉진제에 대한 부작용을 소개하여 약물 치료의 주의사항을 강조하였다. 결론: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새로운 임상 진료 지침을 통하여 임상의사들과 의대생들이 이 병을 이해하므로, 이 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적절한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다. Background/Aims: Functional dyspepsia (FD) is a chronic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 complex that routine diagnostic work-up, such as endoscopy, blood laboratory analysis, or radiological examination, fails to identify a cause for. It is highly prevalent in the Korean population, and its response to the various available therapeutic strategies is only modest because of the heterogeneous nature of its pathogenesis. We constituted a guidelines development committee to review the existing guidelines on the management of FD. Methods: This committee drafted statements and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various studies, guidelines, and randomized control trials. External review was also conducted by selected experts. Thes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FD were developed based on evidence recently accumulated with the revised version of FD guidelines released in 2011 by the Korean Society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Results: These guidelines apply to adults with chronic symptoms of FD and include the diagnostic role of endoscopy, Helicobacter pylori screening, an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of the various treatment options for FD (proton pump inhibitors,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and tricyclic antidepressants), especially according to the FD subtype. Conclusions: The purpose of these new guidelines is to aid understanding, diagnosis, and treatment of FD, and the targets of the guidelines are clinicians, healthcare workers at the forefront of patient care, patients, and medical students. The guidelines will continue to be revised and updated periodically. (Korean J Med 2021;96:116-138)

      • SCOPUSKCI등재

        위장관 ; 부식제로 인한 상부위장관 손상: 단일 3차 기관의 20년간의 후향적 분석

        송혜경 ( Hye Kyung Song ),심기남 ( Ki Nam Shim ),윤혜원 ( Hye Won Yun ),태정현 ( Chung Hyun Tae ),김성은 ( Seong Eun Kim ),정혜경 ( Hye Kyung Jung ),정성애 ( Sung Ae Jung ),유권 ( Kwon Yoo ) 대한소화기학회 2015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5 No.1

        목적: 부식제는 상부위장관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며 드물게는 사망까지 이르게 한다. 그러나 국내에서 부식제 음독에 관한 임상 양상 및 치료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단일 기관의 20년간 부식제 음독 환자를 분석하여 상부위장관의 내시경적 점막손상 정도를 포함한 임상 양상 및 치료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9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부식제 음독으로 이대목동병원을 방문한 140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1993년부터 2002년까지 병원을 방문한 환자를 조기군으로, 2003년부터 2012년까지 병원을 방문한 환자를 후기군으로 정의하여 두 군 간의 상부위장관 내시경상 점막손상을 포함한 임상 양상 및 치료를 비교하였다. 결과: 부식제 음독환자의 평균 연령은 43.7±17.4세(범위18-88세)이며, 남성이 40.7%였다. 부식제 음독의 연도별 발생건수는 줄지 않았다(연간 발생 건수 범위, 2-22건). 조기군은 50명, 후기군은 90명으로 후기군에서 염기성 부식제 음독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많았고(20% vs. 65.6%, p<0.001), grade 2b 이상 식도 점막손상의 빈도가 낮았다(41.3% vs. 20.7%, p=0.012). 두 군 간에 연령, 성별, 음독 동기(자살 또는 우발사고) 및 급성 합병증이나 협착의 발생은 차이가 없었다. 치료에 있어 후기군에서 위 세척(p<0.01), grade 2b 이하 점막손상 환자에서 광범위 항생제 사용(p=0.03)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줄었으나, 스테로이드 사용은 두 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국내에서 부식제 음독 발생은 지난 20년간 줄지 않았고 염기성 부식제 음독 비율이 증가하였다. 내시경적 식도 점막손상 정도는 감소하였으나 급성 합병증이나 협착은 줄지 않았다. 위 세척, 광범위 항생제 사용은 감소되었으나 스테로이드 사용은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부식제의 엄격한 안전 관리가 필요하며 효과적인 치료에 관한 숙지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Caustic ingestion can cause severe injury to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There were few studies about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s of caustic injury in Korea.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clinical features of caustic injury over the past 20 years including pattern of endoscopic mucosal injury and treatment modality. Method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from patients with caustic injury from September 1993 through December 2012.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year when caustic ingestion occurred: patients who visited the hospital from 1993 to 2002 (early group) and patients who visited the hospital from 2003 to 2012 (late group). Results: A total 140 patients were included (early group [n=50] vs. late group [n=90]). Annual number of caustic ingestions did not show decreasing tendency over the past 20 years. Alkali ingestion increased (20.0% vs. 65.6%, p<0.001) and cases with more than grade 2b of esophageal mucosal injury decreased (41.3% vs. 20.7%, p=0.012) in late 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sex, age, proportion of accidental ingestion, and systemic/gastrointestinal complications. Use of gastric lavage (p<0.01) and broad spectrum antibiotics (p=0.03) decreased in late group.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use of steroid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 In this study, overall caustic ingestion did not decrease and ingestion of alkali agents increased over the past 20 years. Tighter legislation on caustic agents is required and we need to be alert to the best management of caustic injury.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준비를 위한 임상실습 교육 고찰

        정소미(So-Mi Jeong),고아라(Ara Ko),편욱범(Wook Bum Pyun),태정현(Chung Hyun T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는 COVID-19 시대 임상실습교육 점검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임상실습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 정보 마련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서울 소재 E-대학교 의과대학에서 2022년 12월 임상실습 교육 개선을 위하여 임상실습 과별로 진행한 ‘임상실습 선진화 회의’의 회의록과 각 임상 실습과에서 제출한 ‘2023학년도 임상실습 개선 계획서’를 대상으로 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방법을 차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COVID-19 시기, 임상실습 교육에 영향을 미친 요소를 살펴본 결과, 임상실습 교육의 긍정적 요소와 임상실습 교육의 부정적 요소 2개 영역에서 8개 범주, 17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준비를 위한 임상실습 개선 계획을 살펴본 결과, 임상실습 교육 실시 전 교육 개선 노력과 임상실습 중 교육 운영 개선 노력, 장기적 개선의 3개 영역에서 6개 범주, 23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셋째, 포스트 코로나 시대 임상실습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살펴본 결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 임상실습 교육을 위한 제언, 포스트 코로나 시대 임상실습 교육을 위해 필요한 지원의 2개 영역에서 6개 범주, 11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COVID-19 시기 이루어진 임상실습 교육을 점검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임상실습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임상실습 교육 개선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궁극적으로 임상실습 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in the COVID-19 era and gather fundamental information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in the post-COVID era. Methods This study focused on the minutes of the ‘Clinical clerkship Advancement Conference’ held in December 2022 and the ‘2023 Clinical clerkship Improvement Plans’ submitted by each clinical clerkship department at E-Medical School in Seoul. The study employed the Focused Group Interview analysis method. Results First, when examin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d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during the COVID-19 peri-od, a total of 8 categories and 17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in two domains: positive factors of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and negative factors of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Second, when examining the improvement plans for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VID era, a total of 6 categories and 23 sub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ree domains: efforts for pre-implementation education improvement, efforts for operational improvement of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and long-term improvement. Third, when exploring the requirements for clinical clerkship in the post-COVID era, a total of 6 categories and 11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in two do-mains: recommendations for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in the post-COVID era and necessary support for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in the post-COVID era. Conclusions This study examined the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conducted during the COVID-19 period and de-riv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clinical clerkship in the post-COVID er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improvements in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enhancing the quality of clinical clerkship education.

      • SCOPUSKCI등재

        위장관 ; 노인 위암 환자의 임상적 및 병리적 특징과 수술 시행에 따른 생존율 차이

        최주영 ( Ju Young Choi ),심기남 ( Ki Nam Shim ),노선희 ( Sun Hee Roh ),태정현 ( Chung Hyun Tae ),김성은 ( Seong Eun Kim ),정혜경 ( Hye Kyung Jung ),김태헌 ( Tae Hun Kim ),정성애 ( Sung Ae Jung ),유권 ( Kwon Yoo ),문일환 ( Il Whan 대한소화기학회 2011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8 No.1

        목적: 노인 위암 환자는 장년 환자에 비해 전신상태가 좋지 않고 동반질환의 비율이 높아 수술 시행률이 낮고 수술 후 예후가 좋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 노인 위암 환자에서 암의 특징을 알아보고 수술 시행에 따른 생존기간의 연장여부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부속목동병원에서 위암을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연령에 따라 65세 미만의 장년층과 65세 이상의 노년층으로 구분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두 군의 임상적 및 병리적 특징을 비교하였고 수술 시행에 따른 합병증 발생 여부와 생존기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선정기준에 합당한 370명 중 노년층이 44.6%, 장년층이 55.4%였다. 노년층은 장년층에 비하여 어지러움, 구역, 피로, 체중감소의 비전형적인 증상으로 위암을 진단받는 경우가 많았다. 기저 질환은 노년층에서 심장질환의 빈도가 높았으며 수술 시행률은 장년층에 비해 낮았다. 고분화암은 노년층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수술을 하는 경우 노년층과 장년층 간에 수술시간, 수술 후 입원기간, 합병증 발생률에서 차이가 없었다. 수술받은 위암환자에서 생존기간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tumor-node-metastasis (TNM) 병기였는데, 노년층과 장년층 간에 병기의 차이는 없었다. 노년층 환자에서 생존기간과 관련된 인자는 TNM 병기와 수술시행 여부였으며, 수술을 받으면 보존 치료를 받은 군에 비해 생존기간이 연장되었다. 결론: 노년층의 위암 환자에서 동반 질환의 비율은 장년층에 비해 높지만 수술 합병증 발생은 장년층과 차이가 없고, 수술을 시행한 군의 생존율은 보존 치료를 한 군보다 높다. 따라서 고령의 환자에서도 더 적극적으로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Background/Aims: It has been known that elderly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show worse general condition and higher comorbidities. Therefore, few elderly patients undergo surgery.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astric cancer in elderly patients and evaluate their survival improvements by the surgical treatment. Methods: Gastric cancer patients, diagnosed at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between 2000 to 2004,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aged ≥65 years vs. <65 years.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incid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survival time of patients in each group were analyzed. Results: Total 370 patients were subjected and divided into the elderly and the younger group (55.4% vs. 44.6%). The elderly group showed higher incidences of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Well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was more frequently found in the elderly group (19.0% vs. 10.0%, p=0.025).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operation time (242.6±70.7 vs. 257.3±83.8 min, p=0.115), postoperative hospital stays (15.8±10.6 vs. 14.7±9.8 days, p=0.361), and incidence of any complications (6.7% vs. 9.9%, p=0.309) between the two subgroups. Th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with the elderly patient`s survival were the tumor-node-metastasis (TNM) stage (stage I, hazard ratio [HR] 1.00; stage II, HR 1.28, 95% confidence interval [CI] 0.44-3.72; stage III, HR 4.06, 95% CI 2.08-7.92, stage IV, HR 9.78, 95% CI 4.97-19.26; p<0.001) and the treatment modality (laparoscopy, HR 1.00; open surgery, HR 3.90, 95% CI 2.43-6.26; p<0.001). The elderly patients who underwent gastric cancer surgery showed prolonged survival on TNM stage I, II, and III than those who were treated conservatively. Conclusions: In the elderly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those who had received surgical treatm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urvival rate than those who had treated conservatively. Therefore, aggressive surgical treatments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even for the elderly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Korean J Gastroenterol 2011;58:9-19)

      • KCI등재

        경피적 위루관 삽입술의 임상 경과: 단일 기관에서의 관찰 연구

        이지현 ( Jihyun Lee ),심기남 ( Ki-nam Shim ),이강훈 ( Kang Hoon Lee ),이고은 ( Ko Eun Lee ),장지영 ( Ji Young Chang ),태정현 ( Chung Hyun Tae ),문창모 ( Chang Mo Moon ),김성은 ( Seong-eun Kim ),정혜경 ( Hye-kyung Jung ),정성애 ( S 대한소화기학회 2018 대한소화기학회지 Vol.71 No.1

        목적: 경피적 위루관 삽입술은 장기적인 경관 영양을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경피적 위루관 삽입술을 시행받는 환자들의 임상적인 특징과 임상 경과에 대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에서 2002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위루관 삽입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환자들의 성별, 연령, 의식 상태, 기저 질환, 위루관 삽입술 시행 방법, 위루관 교체 여부 및 교체 방법, 교체 시기를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는 총 137명으로 남자가 86명(62.8%), 여자가 51명(37.2%)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67.85±16.97세였다. 위루관 삽입술이 필요한 기저 질환으로는 뇌출혈 및 뇌졸중을 포함한 뇌혈관 질환이 66명(48.2%)으로 가장 많았고, 두경부암(20명, 14.6%)과 파킨슨병(10명, 7.3%)이 그 뒤를 이었다. 133명(97.1%)이 내시경적 위루관 삽입을 받았고, 4명(2.9%)이 투시촬영 유도 위루관 삽입술을 시행받았다. 추적 기간 동안 1번이라도 위루관을 교체받은 90명의 환자 가운데 내시경적 교체를 시행받은 환자는 71명(78.9%), 투시촬영 유도 위루관 삽입술로 교체를 시행받은 환자는 4명(4.4%), 수기로 교체를 받은 환자는 15명(16.7%)이었으며 평균 교체 간격은 9.83±6.19개월이었다. 대상 환자 중 119명(86.9%)에서 위루관 삽입과 관련된 급성 합병증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9명(6.6%)의 환자에서 발생한 삽입 부위 감염이 가장 흔하게 발생한 합병증이었다. 지연 합병증은 25명(16.1%)의 환자에서 나타났으며, 가장 흔하게 발생한 합병증은 저절로 위루관이 제거된 것으로 21명(15.3%)의 환자에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경피적 위루관 삽입술은 장기적인 경관 영양을 위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방법으로, 저자들은 본 연구가 추후 경피적 위루관 삽입술을 시행받는 환자들의 관리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s/Aims: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PEG) is a widely used method for long-term tube feeding.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patients who utilized long-term feeding tube via PEG.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37 patients who underwent PEG tube insertion at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between January 2002 and December 2013 were reviewed. Results: PEG was indicated most frequently for cerebrovascular accidents (66 patients, 48.2%), followed by head and neck cancer (20 patients, 14.6%), and Parkinson’s disease (10 patients, 7.3%). The tubes were endoscopically inserted in 133 patients (97.1%); 4 patients (2.9%) underwent radiologic intervention. The tubes of 90 patients (65.7%) were exchanged at least once during the follow-up period. At the first exchange, 71 patients (78.9%) had their tubes exchanged by endoscopy, 24 patients (16.7%) by manually, and 4 patients (4.4%) by radiologic intervention. Of the 61 patients (44.5%) who had their tubes exchanged twice, 44 patients (72.1%) changed their tubes by endoscopic exchange, 13 patients (21.3%) by manually, and 4 patients (4.4%) via radiologic intervention. The mean time interval between the initial insertion and the first exchange was 9.83±6.19 months, and that between the initial insertion and the second exchange was 10.7±6.25 months. Of all the 137 patients, acute complications at initial insertion occurred in only 18 patients (13.1%), with insertion site infection (9 patients, 6.6%) being the most common acute complication. Conclusions: PEG appears to be a safe procedure for providing long-term tube feeding. Our results may help to develop strategies for further management of subjects receiving feeding tubes via PEG. (Korean J Gastroenterol 2018;71:24-30)

      • SCOPUSKCI등재

        폐색전증을 동반한 원발성 항인지질증후군

        이재범 ( Jae Beom Lee ),심윤수 ( Yun Su Sim ),노영욱 ( Young Wook Noh ),박혜성 ( Hye Sung Park ),태정현 ( Chung Hyun Tae ),임소연 ( So Yeon Lim ),전윤희 ( Yoon Hee Jun ),류연주 ( Yon Ju Ryu ),천은미 ( Eun Mi Chun ),이진화 ( Jin Hw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7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3 No.1

        Antiphospholipid syndrome (APS) causes recurrent thromboses and morbidity during pregnancy, including fetal loss. This malady is associated with the persistent presence of anticardiolipin antibody or lupus anticoagulant. The pulmonary manifestations of antiphospholipid syndrome include pulmonary thromboembolism, pulmonary hypertension,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etc. Pulmonary thromboembolism is often the initial manifestation of antiphospholipid syndrome and a timely diagnosis is critical due to the high mortality rate. We herein report on a 19-year-old man with pulmonary thromboembolism that was caused by primary antiphospholipid syndrome. He presented with blood-tinged sputum, fever and epigastric pain, and his chest computerized tomography showed pulmonary thromboembolism. The other possible causes of pulmonary thromboembolism were excluded and the diagnosis of primary antiphospholipid syndrome was confirmed by the lupus anticoagulant that was present on two occasions six weeks apart. We also discuss the nature and management of antiphospholipid syndrome, along with a brief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s. (Tuberc Respir Dis 2007; 63: 72-77)

      • KCI등재

        마우스의 급성 DSS 장염 모델에서 편도 유래 중간엽 줄기 세포의 치료 효과

        송은미 ( Eun Mi Song ),정성애 ( Sung-ae Jung ),이고은 ( Ko Eun Lee ),장지영 ( Ji Young Jang ),이강훈 ( Kang Hoon Lee ),태정현 ( Chung Hyun Tae ),문창모 ( Chang Mo Moon ),주양희 ( Yang-hee Joo ),김성은 ( Seong-eun Kim ),정혜경 ( Hy 대한소화기학회 201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9 No.2

        목적: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으로 대표되는 염증성 장질환은 만성적인 질환으로 재발과 악화를 반복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악화시킨다. 줄기 세포 치료는 최근 염증성 장질환을 비롯한 다양한 난치성 질환의 잠재적인 치료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새롭게 개발된 편도 유래 중간엽 줄기 세포(tonsi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T-MSC)는 줄기 세포 고유 기능을 모두 가지며 비교적 채취가 용이하고 여러 기증자로부터 받은 세포가 잘 융화되어 자란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T-MSC를 dextran sulfate sodium (DSS)로 유도된 만성 장염 마우스 모델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C57BL/6 마우스를 각각 정상 대조군, DSS 장염군(DSS+PBS), T-MSC 투여군 (DSS+T-MSC)으로 나눠서 급성장염을 유도하였다. T-MSC 투여군에서는 급성 장염 유도 3일째에 복강 내로 T-MSC 1×106을 투여하였다. 장염의 평가는 임상 증상과 장길이, 조직학적 호전 정도로 평가하였다. 대장조직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PKH26으로 표시된 T-MSC의 위치를 생체 내에서 추적하였다. 결과: T-MSC의 투여에 의하여 급성 장염 유도 마지막 날DAI가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11.3±1.5 vs. 8.3±1.9, p=0.015)장염 증상에 의한 체중의 감소도 완화된 소견을 보였다(-17.1±5.0% vs. -8.1±6.9%, p=0.049). 조직학적 소견을 비교하였을 때 T-MSC 투여군은 염증 세포 침투의 감소, 염증 범위의 감소 및 선와 손상의 완화 등 염증의 호전 소견이 관찰되었다 (22.6±3.8 vs. 17.0±3.4, p=0.039). 염증성 사이토카인인IL-6 and IL-1β 수치 또한 T-MSC 투여에 의하여 의미 있게 감소되었다. T-MSC의 위치를 생체 내에서 추적하였을 때 급성 장염이 유도된 대장 점막에서 T-MSC는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급성 장염 모델에서 T-MSC의 투여는 장염의 증상 및 조직학적인 염정 소견을 호전시켰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T-MSC의 생체 내 위치와는 무관한 소견으로 향후 T-MSC의 기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Mesenchymal stem cells (MSCs) are multipotent progenitor cells currently under investigation for its efficacy as the treatment f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tonsi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T-MSCs) as a novel source of mesenchymal stem cells and traced their localization in a murine model of acute colitis induced by dextran sulfate sodium (DSS). Methods: C57BL/6 mice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following three groups: the normal control group, DSS colitis group (DSS+phosphate buffered saline), and T-MSC group (DSS+T-MSCs, 1x10<sup>6</sup>). The severity of colitis was assessed by determining the severity of symptoms of colitis, colon length, histopathologic grade, and levels of inflammatory cytokines. T-MSCs labeled with PKH26 were traced in vivo. Results: The T-MSC group, compared with the DSS colitis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disease activity index (11.3±1.5 vs. 8.3±1.9, p=0.015) at sacrifice and less reduction of body weight (-17.1±5.0% vs. -8.1±6.9%, p=0.049). In the T-MSC group, the histologic colitis scor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DSS colitis group (22.6±3.8 vs. 17.0±3.4, p=0.039). IL-6 and IL-1β,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were also significantly reduced after a treatment with T-MSCs. In vivo tracking revealed no PKH26-labelled T-MSCs in the colonic tissue of mice with acute colitis. Conclusions: In the acute colitis model, we demonstrated that the administration of T-MSCs ameliorates inflammatory symptoms and histology. Moreover,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MSCs were independent of gut homing. (Korean J Gastroenterol 2017;69:119-128)

      • 부식성 식도염의 지연성 진행에 의한 사망 1예

        김혜인,심기남,조형원,최주영,이신아,이민진,오다연,노선희,태정현,김성은,정혜경,김태헌,정성애,이선영,유권,문일환 이화여자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10 EMJ (Ewha medical journal) Vol.33 No.2

        저자들은 부주의에 의해 강알칼리를 마신 후 초기에 내시경 검사에서 식도, 위, 십이지장의 점막에서 IIa-IIa-0 정도의 손상을 보였던 환자가, 발생 9주째에 부식성 손상에 의한 상부 위장관 괴사로 진행되어 사망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다. Ingestion of corrosive substances can produce severe injury to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can even result in death in the acute phase. The extent and degree of damage depends on the type and amount of substances. There are occasional reports of severe contiguous injury to the esophagus and stomach caused by strong alkali ingestion in the acute phase. Usually the deaths occur within a couple of days due to multi-organ failure after ingestion of relatively much amount of agent for a suicidal attempt. But death due to late progression is very rare. We have reported a case of 60-year-old female patient who was diagnosed as corrosive esophagitis after accidental ingestion of strong alkali. Initial endoscopic findings were compatible with IIa-IIa-0(according to Zargar’s classification) in the esophagus, stomach and duodenum, respectively. After several weeks of supportive care, her subjective symptoms were much improved during she had been wating for the operation of colon interposition due to esophageal stricture. Metabolic acidosis and thrombocytopenia developed abruptly probably due to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necrosis and she died when 60 days had passed after the occurrence of initial esophageal inj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