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수논문] 공개 소스 테스팅 도구를 활용한 하드웨어 의존도가 높은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단위 테스트 기법

        신희정(Hee-Jung Shin),JIN LONG,안소진(So-Jin An),이진호(Jean-Ho Lee),최진영(Jin-Young Choi) 한국정보과학회 201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9 No.1B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에서의 테스팅은 하드웨어에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일반적인 소프트웨어에서의 테스팅과 달리 다양한 테스트 기법과 도구를 활용한 기술 집약적 테스트가 미약하고, 다른 펌웨어에서 테스팅 할 경우 테스팅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하드웨어 의존도가 높은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모듈을 펌웨어가 다른 x86의 환경에서 테스팅 할 수 있도록, 레지스터, 포트 등을 참조하는 부분을 로그로 출력하고, 모듈끼리의 의존성이 없도록 소스 코드를 수정하여, 공개 소스 테스팅 도구를 활용하여 단위 테스트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초기불교의 인성교육적 함의

        신희정 ( Shin Hee-je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9 윤리교육연구 Vol.0 No.51

        본 연구는 초기불교의 붓다로부터 인성 개념과 인성교육의 혜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붓다는 기예나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이 아닌 사람됨을 최대로 향상시키는 인류의 스승이다. 붓다의 교육은 현대의 도덕교육이자 나아가 인성교육으로 볼 수 있다. 붓다의 인성 개념은 연기적 존재로서 무아(無我)이다. 고정불변의 실체가 있는 인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붓다는 인성을 나타내는 인간의 존엄과 인격의 기준을 오직 각 개인의 행위[業]에 의해 결정되고 스스로 실천 수행을 통해서 변화 가능하다고 가르친다. 앙굴리말라 대화편은 붓다의 구체적인 인성교육을 보여준다. 살인마를 고귀한 성품의 붓다로 변화시킨 인성교육은 ‘붓다 대화법’이다. 붓다 대화법은 실천적이고 교육적 대화이다. 그러나 붓다 대화법은 미완성된 깨달음일 뿐이다. 그것은 스승에게 의지해서 도달하는 진리가 아닌 계정혜의 삼학(三學) 공부와 수행을 통해서 완성되고 실현되는 깨달음이다.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concept of character and the prescience of character education from the Buddha of Early Buddhism. Buddha is a human teacher who maximizes his character, not his skill or technique. Buddha's education can be seen as a modern moral education, and further as a character education. The concept of Buddha's character is non-self(無 我). There is no character with a fixed substance. Buddha teaches that the standards of human dignity and character representing humanity are solely determined by each individual's actions[業] and are subject to change through practices. Angulimalla’s Dialogue shows Buddha’s specific character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which has turned a killer into a great character like the Buddha, is a ‘Buddha’s Dialogue’. ‘Buddha’s Dialogue’ is practical educational. But it is just incomplete teaching. It is not a truth that reaches upon one’s teacher, but the teaching that is completed and realized through the study and performance of the three traditional practices(三學).

      • KCI등재

        윤리상담을 활용한 `윤리와 사상` 수업연구

        신희정 ( Shin Hee-je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7 윤리교육연구 Vol.0 No.43

        본 연구는 `교사들에 의한 윤리와 사상` 수업에서 벗어나 `학생들의(of the student) 윤리와 사상`수업을 구현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배움의 기꺼움과 주체성을 되찾아주고 학생들의 삶에서 직면하는 실존적 고민을 해결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덕과 교수학습방법의 한 모형으로서 윤리상담을 활용한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수업을 제안하였다. 특히, 통합적 윤리교육을 지향하는 윤리상담을 위해 학교상담의 한 형태인 `또래상담`을 활용하여 `윤리와 사상`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목표를 성취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학생들에게 윤리와 사상에 대한 배움의 필요와 흥미의 매개로서 `화두적 접근`을 이용하여 실존적 문제에 대하여 긍정적 혼란을 일으켜 배움의 주체와 마주하는 시간을 제공한다. 또래상담형 윤리상담이 다른 상담과 구별되게 하는 학생들의 한국 및 동·서양의 주요 윤리사상학습은 연구자가 개발한 `윤리지식시장`이라는 교실 수업 아이디어로 이루어진다.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restoring students` willingness and subjectivity of learning and solving the actual problems faced in their lives by carrying out not the lessons of "`ethics and thought` by teachers" but the lessons of "`ethics and thought` by students". For this reason, this study was presented to a class of `ethics and thought` in high school using ethics counseling as a model of the moral educational methods. Particularly, this suggestion aims to achieve the goal presented in the curriculum of "Ethics and Thought" by using `Peer-counseling`, a form of consultation with schools, for ethics consultation aimed at integrated ethical education. In this process, the teacher gives the students a time to confront the subject of learning by positively confusing the existential problem , using `the ethical subject matters approach` as a medium of learning need and interest in `ethics and thought`. The students` learning of the main Western and Oriental ethical philosophy distinguishing the ethics counseling of the peer-counseling type from other counselings is carried out in the instructional strategy of the "ethics knowledge market" developed by researchers.

      • KCI등재

        가르침과 배움의 불이적(不二的) 도덕교육

        신희정(Shin Hee Jeo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47

        본 논문은 플라톤의 대화편 중『프로타고라스』와『메논』을 중심으로 도덕교육에서 ‘배 움’의 문제에 대해 성찰하고, 소크라테스가 주장한 덕의 가르침 가능성을 기반으로 도덕교육 에서 배움과 가르침의 본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배움과 가르침에 대한 이론적 근거 를 토대로 오늘날 도덕교육 현장에서 요청되는 바람직한 도덕교육론을 모색하여 이를 ‘가르 침과 배움의 불이적 만남’의 도덕교육으로 주장하였다. 나아가 본 논문은 도덕교육에서 이론 과 실제의 접합을 시도한 글로서 일반적으로 결론에서 현대적 도덕교육의 의미나 방향에 대하 여 이론적인 제언을 제시하는 논문의 틀에서 벗어나 현장 교사로서 실천과 경험을 드러내었 다. This paper reflects on the issue of "learning" in moral education while focusing on Protagoras and Meno from Plato's dialogues and tried to find the essence of learning and teaching in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possibility of teaching virtues claimed by Socrates. Based on the rationale of this learning and teaching, it explored a desirable moral education theory that is requested in the field of moral education of today and claimed non-dual moral education that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and it is one, not two. Furthermore this paper tried to escape from usual framework of paper that generally concludes with recommendation towards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contemporary moral education, and to reveal the practice and experience as a teacher at the chalkface.

      • KCI등재

        《교과교육학》 : 원융무애(圓融無碍)의 도덕교육론

        신희정 ( Hee Jeong Shi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4 윤리교육연구 Vol.0 No.34

        우리 도덕과 교육은 그 동안 서양의 도덕교육론의 비주체적 수용으로 유교와 불교의 배경 속에서 정착한 동아시아의 도덕교육적 접근인 전통 도덕교육론과 융합되지 못한 채 이루어져 왔다. 본고는 서양 도덕교육사상의 토대가 되는 플라톤의 사유와 동아시아의 도덕교육 사상의 하나인 원효의 사유 비교를 통해서 균형 잡힌 도덕교육론을 제시한다. 플라톤의 『국가론『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그의 핵심 사상인 이데아론이 우리의 교육에서 제대로 이해되지 않은 채 의견(doxa)을 사랑하는 사람들을 키우는 교육을 해왔음을 성찰할 수 있었다. 본고를 통해 플라톤의 사유를 올바로 이해하고 도덕과 교육론에서 서양과 동양의 사유를 조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원효의 기신론적 사유라 보았으며, 이것을 ``원융무애의 도덕교육론`` 이라는 실천적 표현으로 제시한다. 이것은 ``창의·융합인재 양성``이라는 시대적 요청에 우리 도덕과 교육이 나아가야 할 융합교육형에 대한 제안에 해당되며, 전통적 사유와 서구적 사유를 함께 길러주는 균형잡힌 도덕교육의 시도라 할 수 있다. Moral subject in Korea has established in the way of non-subjective acceptance of the Western Moral Education Theory without conflation of the traditional moral education theory which is the approach to moral education in East Asia, developing in Buddhism and Confucianism. This thesis suggests that integrated moral education theory comparing Plato`s thoughts which is the foundation of Western Moral Education Theory with Wonhyo`s thoughts which is the foundation of East Asia Moral Education. We could reflect that Plato`s Theory of Forms was not fully understood when we analyzed Plato`s 『Republic『. As a result, we has taught someone who gives their opinion[doxa], not the truth. This thesis contains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Plato`s thoughts and the Kisinron`s way of thought by Wonhyo which is the harmony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in moral subject education theory. That presents "Wonyungmooye [圓融無碍]`s Moral Education Theory". This thesis presents how moral subject education should proceed for recently training the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and it is the try at teaching in well-balanced education between traditional thoughts and western thoughts.

      • KCI등재

        교육복지정책 및 법제화 논의 분석을 통한 교육복지의 발전 방향

        신희정 ( Hee Jung Shin ) 대한교육법학회 2013 敎育 法學 硏究 Vol.25 No.2

        오늘날 교육은 사회적 불평등의 심화내지 계급재생산이 나타나게 되는 주된 원인임과 동시에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접근되기도 한다. 즉, 교육과 복지가 더 이상개별적 차원이 아닌 교차영역으로서 교육복지가 다뤄져야 한다. 본 연구는 교육복지의 필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으나 여러 정부를 거치면서 아직까지도 자리를 잡고 있지 못한 교육복지 정책의 안정적 수행을 위해서는 다시금 교육복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데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관련문헌·정책자료 등을 토대로 지금까지의 교육복지 개념 및 논의, 지난 정부 교육복지 정책들의 한계점, 교육복지 관련 법제정 논의의 한계점 등을 검토하였고, 사회복지의 한계를 넘어선 교육복지 개념 정립과 이를 뒷받침할 법제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This paper tried to present needs for the legislation of education welfare in Korea. It presented the status of the education welfare in Korea through examining the welfare related laws and polices. Today, education is main cause of the deepening of social inequality or class reproduction at the same time as a way to relieve this is approach sometimes. In other words, it is quite settled that the education and welfare should be treated individual approach more than cross-domain approach. It still didn`t take place discussing education welfare policy and legislation in spite of that Education welfare needs are increasing day by da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 Welfare. To this end, the leading research and policy materials on the basis of the relevant literature, so far, the concept of education and welfare, discuss the limitations of the past government education welfare, education and welfare legislation, and by reviewing the limitations discussed, beyond the limits of social work education advocacy for the welfare and would like to emphasize the need for legislation.

      • KCI등재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민관협력 경험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 연구

        신희정 ( Heejung Shi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에서는 민관협력의 대표 사례인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운영과 성과에 대한 참여자들의 주관적 인식유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관련 활동에 참여한 사람들의 FGI와 선행연구 탐색을 통해 Q 모집단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최종 27개의 Q 표본을 선정하고, 44명의 P 샘플에게 조사한 자료를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가지 인식유형으로 구분되었는데, 제1유형은 “민간의 적극적인 역량강화 지향형”, 제2유형은 “민관협력 체계에 대한 긍정적 인식형”, 제3유형은 “과도기적 민관협력 인식형”, 제4유형은 “전반적인 변혁 추구형”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참여자들의 인식을 반영하여 실질적인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ubjective perception types of participants on the operation and performance of the community security council, which is a representative case of public private cooperation. To this end, the Q population was established through the FGI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related to the community security council and the search for previous studies. And the final 27 Q samples were selected and the data surveyed on 44 P samples were analyzed using the QUANL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divided into 4 types of perception. Type 1 was “an active private capacity building orientation”, Type 2 was “a positive perception on the public private cooperation system”, Type 3 was “a transitional public private cooperation perception”, and Type 4 was “overall transformation seek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 basic data was prepared for the activation of substantial community security council by reflecting the awareness of various participants.

      • KCI등재

        장애노인의 커뮤니티 케어 실현을 위한 탐색적 연구

        신희정(Hee-Jung Shin) 한국보건복지학회 2020 보건과 복지 Vol.22 No.2

        본 연구는 장애노인의 지역사회에서의 삶을 지원하는 커뮤니티 케어 실현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에서 장애노인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의 사회복지사 13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를 시행하였다. 인터뷰에 사용된 질문은 Krueger와 Casey가 제시한 4가지 질문방식에 기반을 두었고, 수집된 자료에 대해 주제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4개의 주제와 10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주요주제는 ‘사각지대의 장애노인’, ‘장애노인에 대한 서비스 경험과 인식’, ‘일상적 삶을 위한 서비스에 대한 인식’, ‘커뮤니티 케어를 위한 제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에서의 장애노인을 위한 커뮤니티 케어에 대한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체계 확립, 지역사회 돌봄 체계 구축을 위한 기능 및 역할 논의, 지역사회 복지공동체의 역량 강화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basic data for the realization of community care that supports the life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in their communities. To this e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for 13 social workers at the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 the Elderly Welfare Center, and the Disabled Welfare Center, who are in charge of the work related to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The questions used in the interviews were based on the four questions presented by Krueger and Casey, and subjec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4 Topics and 10 Sub topics were drawn. Topics were ‘elderly with disabilities in Blind Spots’, ‘Service experiences and awareness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Awareness of services for the Ordinary Life’, ‘Suggestions for Community Car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suggested establishing a system based on the identity of community care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discussing functions and roles for the establishment of a community care system, and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community welfare community.

      • KCI등재

        ‘인문학으로서 불교’의 교육 가능성 탐색

        신희정 ( Shin Hee-jeo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1

        본 연구의 목적은 종교 인구의 감소현상에 직면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인문학으로서 불교라는 접근방안으로써 청소년과 불교의 만남을 제안하고, 인문학으로서 불교의 공교육 접근 방안을 마련해보는 것이다. 먼저 종교로서 불교가 아닌 청소년과 불교의 만남을 모색해보고자 현대사회와 청소년의 상황을 진단해보았다. 현대사회는 청소년들에게 불안과 불만족이라는 심리적 요인을 안겨준다. 청소년들이 괴로움[苦, dukkha]이라는 심리적 기제에 직면할 때, 불교는 이것을 마음공부 과정으로 삼을 수 있도록 돕는다. 연구자는 이와 같은 불교의 교육적 강점을 인문학의 관점을 통해 살펴보고 인문학으로서의 불교의 의미와 역할을 제안해보았다. 종교로서 불교라는 협소한 관점을 넘어서는 인문학으로서 불교는 공교육과정에서 청소년들의 진정한 배움과 성장을 돕는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인문학으로서 불교의 공교육 접근 방안은 도덕교육과 진로교육 등과 연계한 적극적인 대안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eting between adolescents and Buddhism by a way of approaching Buddhism as a humanities in modern society which is facing the decline of the religious population, and to devise an approach to public education of Buddhism as a humanities. First of all, This study tried to diagnose the situation of modern society and adolescents to seek another meeting of Buddhism, not Buddhism as a religion. Modern society gives adolescents psychological factors of anxiety and dissatisfaction. When adolescents face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suffering[苦, dukkha], Buddhism helps them make it a process of mind study. I examined the educational strengths of Buddhism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ities and suggested the meaning and role of Buddhism as a humanities. As a humanities that goes beyond the narrow view of Buddhism as a religion, Buddhism can play an active role in helping adolescents learn and grow in the public education process. In particular, the approach of public education in Buddhism proposed by this study is an active alternative in connection with moral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 KCI등재

        「통합사회」의 정의교육에 대한 도덕·윤리과 교육방안 - 호네트(A. Honneth)의 인정이론을 토대로 -

        신희정(shin, Heejeo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7

        본 연구는 정의에 대한 학습 경험이 일상에서 정의 실현을 위한 실천으로 이어지지 않는 문제점에 주목하여, 고등학교「통합사회」를 중심으로 정의교육 현황을 고찰하였다. 나아가 호네트의 인정이론에 기반한 정의교육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밝히고, 이에 근거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여 「통합사회」의 정의교육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행 「통합사회」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의 정의교육은 정의에 대한 지식과 이론을 제시하고, 학생들에게 불평등 해소를 위한 노력의 필요성을 당위적으로 요청하는 방안으로 운영된다. 교과내용은 분배정의의 측면에만 배타적으로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강하다. 또한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정의관이 이분법적 구도로 설정되어 제시됨으로써 학생들이 개인과 공동체를 분리시켜 이해하고, 개인의 능력만을 공정한 분배의 기준으로 여길 수 있어서 시민적 연대나 배려를 정의교육을 통해서 함양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호네트의 인정이론에 기반한 정의교육은 이런 부분을 보완할 수 있으며, 개인과 공동체의 상호성의 관점을 강조함으로써 정의의 외연을 분배정의를 넘어서 정의 일반의 문제로 확장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이다. 더불어 정의교육에 감정적인 요소를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은 불의경험에서 정의에 대한 학습이 가능하다. 나아가 존엄한 존재로서 개인의 가치를 인정하는 정서적 행위인 상호인정을 통해 무시와 차별, 사회적 배제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관점을 넓히고 정의로운 행동을 실천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blem that the learning of justice does not lead to practice for realizing justice in everyday life, and considered the current state of justice education focusing on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high school. Furthermore,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justice education based on Honneths Recognition Theory was revealed, and education plans were proposed based on this to supplement justice education in an integrated society. Justice education in the current integrated society curriculum and textbooks is operated as a way to present knowledge and theories of justice and to impose to ask students for the necessity of making efforts for inequality. There is a strong tendency to focus exclusively on the aspect of distributive justice. As the conception of justice of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is set and presented in a dichotomous structure, students understand the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separately and regard only the individual’s ability as the standard for fair distribution. It is difficult to cultivate civic solidarity and consideration through this justice education. Justice education based on Honneth’s theory of recognition can supplement this. This is an educational method that can expand the scope of justice to the issue of justice in general beyond the emphasis on the point of view of reciprocity between individuals and communities and distributive justice. Above all, it is possible to learn about justice from students experiences of injustice by using emotions in justice education. In addition, as an emotional act that recognizes the value of an individual as a dignified being, through mutual recognition, righteous behavior that solves problems such as neglect, discrimination, and social exclusion can be practi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