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펄스전압에 대한 N<sub>2</sub>가스의 절연파괴특성

        신희경,김동규,이복희,Shin, Hee-Kyoung,Kim, Dong-Kyu,Lee, Bok-Hee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1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5 No.2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us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N_2$ as an alternative gas to $SF_6$. For this purpose, we have investigated breakdown characteristics of $N_2$ under impulse voltages in a quasi-uniform electric field gap. The 1.2/50[${\mu}s$] lightning impulse voltage, switching impulse voltages and oscillatory impulse voltages were applied at the test gap. The electric field utilization factor ranges from 0.5 to 0.8. The experimental data of $SF_6$ and $N_2$ acquired in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 are presented in parallel for comparison. As a result, the breakdown voltages in $SF_6$ and $N_2$ are linearly increased with the gas pressure, also the breakdown voltages in $N_2$ a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gap distance and electric field utilization factor. The positive breakdown voltages are higher than the negative breakdown voltages. The nagative basic lightning impulse withstand level of 150[kV] in $N_2$ of about 0.5[MPa] is nearly equal to that in $SF_6$ of 0.15[MPa]. It is seen fro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work that $N_2$ can be used as an eco-friendly alternative gas to $SF_6$ in distribution power equipment.

      • KCI등재

        길상 디자인의 근원과 현대적 활용 연구

        신희경(주저자) ( Shin Hee Kyoung(주저자) ),신희경(교신저자) ( Shin Hee Kyoung(교신저자) ) 디자인융복합학회 2023 디자인융복합연구 Vol.22 No.1

        길상(吉祥)이란 ‘좋은 일이 일어날 징조’를 뜻하며, 좋은 상징을 주변에 두어 좋은 일이 일어나는 것을 바라는 모든 행위를 뜻한다. 이제까지의 길상연구는 조선 시대 길상 문양에 국한해서 양식을 계승하는 응용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이제 길상을 근본에서 고찰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길상을 인류 공통의 상징기호로 바라보고, 선사시대 상징으로의 길상 기호와 그 확산 및 계승을 연구하였다. 이어서 본인이 제작한 현대적 길상 작품과 주요 길상 소재를 고찰하고, 길상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길상은 인류의 본질적 심리에서 유래한 선사시대 상징기호에서 시작된 그래피즘이다. 따라서 조선 시대 전통만이 길상 연구영역은 아니다. 길상은 한 개인의 희망과 바람을 넘어 그 시대, 그 지역민의 집단적 사상이 형성된 것이기에, 연구에서는 조형, 기호, 의미론적으로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고 시대별, 지역별 바람을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제작에 있어 조선 시대의 답습이 아닌 오늘날의 바람을 함축하여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다양한 디자인 또는 스토리텔링 제작이 가능하다. We examine the source and modern application of Auspicious Pattern, also known as ‘Gilsang’. This symbol, which represents good things to come, has been a part of human history for thousands of years.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patterns of Gilsang in Joseon Dynasty and its connection, However, there is now a need for research that examines Gilsang at a fundamental level. This study takes a closer look at Gilsang as a common symbol of humanity and considers its prehistoric origins, its spread, and its evolution. We review the modern works on Gilsang designed by the author of this research, as well as major subjects related to the symbol, and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Gilsang is a form of graphism that originated from prehistoric symbols that reflect the essential psychology of mankind. Therefore, research on Gilsang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traditions of Joseon Dynasty. It represents the collective thoughts and desires of a particular time and place, rather than the wishes of an individual. As such, research on Gilsang can reveal various interpretations in terms of form, symbol, and meaning, and shed light on the desires of different eras and regions. In addition, the production of Gilsang designs and stories can be reinterpreted in modern ways, reflecting current wishes rather than simply following the traditions of Joseon Dynasty.

      • KCI등재

        디자인일반교육의 현황 및 정책 제안

        신희경 ( Keek Young Sh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2

        디자인일반교육은 디자인 직업교육의 상대적인 개념으로, 보통 사람 누구에게나 필요한 일반교양을 습득하는 디자인교육을 의미한다. 이는 장차 디자인을 제작하는 디자이너를 양성하는 교육이 아닌, 디자인을 향유하고 수용하는 수용자를 기르는 교육부분이다. 기존 디자인 교육이 전문계 고교, 대학 이상의 전문가 교육이 중심을 이루어져 왔으나, 오늘날 디자인은 일상생활의 영역으로 확대되어 전 국민의 관심대상이 되었으며, 소비자 안목의 향상에 따른 디자인 시장 확대를 위해서라도 디자인 수용자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디자인에 대한 인식이 일상생활의 미적 스타일 형성 개념에서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하고 창의력 증진 개념으로 디자인에 대한 인식 패러다임이 바뀌면서 디자인일반교육의 중요성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디자인일반교육 연구가 초등학교의 디자인 교육에 한정되었던 것에서 벗어나 생애주기에 맞추어 초·중·고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디자인 교육과 함께, 대학교의 교양 교육까지로 범위를 확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자는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의 2013년 디자인현황보고서에서 디자인일반교육을 집필하였으며, 이때 취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논문을 작성하였다. 디자인은 이제 생활의 일부이기에, 디자인 교육 또한 제작자뿐 아니라, 수용자까지를 포함한 디자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general education in design is a relative concept of vocational education in design; and this type of education in design translates into a process, where any person may acquire the necessary subjects of general education. The general education in design does not necessarily educate designers that will engage in creating designs in the future because this type of education also accommodates people that enjoy and embrace designs as consumers. In the past, design education centered o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college students, or students seeking a higher degree in education. Today, the concept of design has expanded to our daily lives, becoming an interest of the general public. Moreover, the expansion of design market fosters future design consumers. Design education creates practical designs, nurtures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and increases creativity in daily lives; therefore, the weight of design education has increased as well as in general education. The author of this paper has studied the general education in design as a design present condition report researcher of Korea Craft and Design Foundation in 2013. This paper is based on the data that the author conducted. The scope of this study includes general education in design provided by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s general education. Because design has become a part of our daily lives, design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from creating designs to educating consumers.

      • KCI등재
      • KCI등재

        『三說記』에 나타난 異界 양상 연구

        신희경(Shin Hee-kyung) 돈암어문학회 2003 돈암어문학 Vol.- No.16

        본 논문은 최초의 국문 단편 소설집인 『삼설기』의 성격과 그 편제의 근거가 무엇인지를 밝혀는 과정으로서 작품에 나타난 이계 방문 모티프가 어떻게 전개되며 그 특징와 의의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br/> 『삼설기』에는 「三士橫入黃泉記」, 「五虎大將記」, 「西楚覇王記」, 「三子願從記」, 「黃州牧使戒子記」, 「노처녀가」, 「황새 決訟」, 「塵處士宴會」, 「老蟾上坐記」 등의 작품이 살려 있는데 이 중에서 「황새」, 「녹처」, 「노섬」은 동물이 주인공이며 나머지 여섯 작품은 인간이 주인공이다. 또한 인간이 주인공인 작품들 중 「삼사」, 「서초」, 「삼자」에는 異界가 등장하며 「오호」, 「황주」, 「노처녀가」에는 異界가 등장하지 않고 인간계에서만 사건이 전개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인간이 주인공이면서 異界에서의 이야기가 서술되는 작품인 「삼사」, 「서초」, 「삼자」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br/> 인간계와 구분되는 異界로는 외부적 이계인 天上과 水府가 있고 내부적 이계인 冥府 , 仙界 그리고 초월 공간이 존재한다고 파악되는데 이 중에서 『삼설기』에는 冥府, 仙界, 초월 공간 등 내부적 이계가 나타난다.<br/> 『삼설기』 세 작품에 나타난 주인공들의 공통점은 글을 알아 학문을 한다는 것으로 이는 자신이 말하고자하는 바에 대해 구체적으로 발의하고 이에 타당성을 가질 수 있는 조건이다. 주인공들은 특별한 장치나 충격 없이 걸어서 이계에 진입하는데 이는 주인공들의 이계 체험이 주인공들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진행되었다는 것을 말해 준다. 또한 이들이 경험하는 이계는 일반적으로는 진입하기 어렵지만 인간계와 가까운 이계 즉 내부적 이계라는 공통점이 있다.<br/> 『삼설기』에 나타나는 이계는 설화나 야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양상과 닮아 있다. 이렇게 볼 때 『삼설기』는 당시에 유행하던 설화에 당대의 가치관을 적용하여 새로운 작품으로 만들어 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삼설기』의 이계는 인간계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br/> 그럼에도 『삼설기』에 나타나 이계는 인간계에 대한 비판이 발화되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삼사」에서는 근심없이 세상은 살아가는 것이 어려운 당대 사회를 비판하고 있으며 「서초」에서는 힘과 권력, 권위를 가진 인물이 횡포를 부리는 양태를 비판하고 「삼자」에서는 물질적 부를 탐하는 사회로의 전환을 비판하는데 이계 설정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바우하우스 기초과정의 신화에 대한 검토와 오늘날의 의의 - 그로피우스, 클레, 울름의 교육 구성도를 통하여

        신희경 ( Shin Hee Kyo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6

        바우하우스 기초과정은 이전까지의 아카데믹한 미술교육의 기존 개념을 부정하여, 자유롭고 종합적인 창조력을 촉발하는 다양한 시도를 하여 조형교육 전반에 영향을 주었다. 또 이텐, 클레, 칸딘스키, 모호이너지, 앨버스의 교육모델은 바우하우스 총서 제2권 클레의 『교육적 스케치북』, 제9권 칸딘스키의 『점선면』, 제14권 모호이너지의 『재료에서 건축으로』로 출간되어 바우하우스 교육 엣센스를 드러내고, 하나의 조형이론으로 정착하였다. 그 결과 오늘날 거의 대부분의 디자인학과에서는 이 바우하우스의 기초과정을 1학년과정에서 실시하고 있다. 바우하우스는 최초의 교육을 통한 디자인운동이라는 의의를 지녔으면서도, 15년간에 걸친 기간 중, 3명의 교장, 그리고 국립대학, 시립대학, 사립대학, 연구소 등의 다양한 존재형태 등, 다양한 면이 많아서 일률적으로 말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로피우스가 교장을 맡았던 데사우 시립대학 시기의 제품디자인은 “바우하우스 스타일”로 하나의 신화가 되었고, 마찬가지로 이 시기의 기초과정이 각 디자인교육의 전단계로서의 Basic design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이 또한 형태교육에 집중되어 오늘날 각 교육기관에서 답습되고 있다. 이러한 신격화되어버린 기초과정에 대하여 그로피우스, 클레, 그리고 바우하우스를 롤모델로 창립된 울름조형대학교의 교육모형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신격화되어 버린 사항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교육모형도를 통하여 바우하우스 기초조형의 본질과 의미성을 재검토해보면, 일상과 비일상, 디자인과 아트, 그리고 디자인의 전체성과 양의성, 다의성을 함축하고 있었다. 또한 오늘날 바우하우스의 의의는 그 교육학의 내용이 아니라, 진보적이고 독창적인 행동양식과 교육이념임을 알 수 있었다. 즉 바우하우스는 오늘날 디자인학교의 모범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나아갈 방향성을 가르키는 이념이다. The Bauhauss’ basic process denies the previous concept of academic art education in order for students to encourage free and comprehensive creativity, which affected the overall sculpture education from elementary school to professional institution all around the world. Also, the education model of Itten, Klee, Kandinsky, Moholy-Nagy, Albers was published by No.2 『Pedagogical Sketchbook』, No.9 『Point And Line To Plane』, No.14 『From Material to Architecture』 in general book of Bauhauss, which showed the essence of Bauhauss education, and it settled as one of sculputre theory. As a result, nearly all department of design lectures this Bauhauss basic process in their first year. Although Bauhauss had a meaning as “Design Movement” through the first education, it could not be told uniformly because there were various aspects such as 3 headmaster, national university, municipal university, private institue, etc. throughout 15 years. However, the product design of the University of Dessau, where Gropius was the headmaster, became one of myth called “Bauhauss Style”. Likewise, the basic curriculum this period has been recognized as basic design in each design education’s previous stage. It is also focused on formative education and is being studied in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these days. On this deified basic process, through Otl Aicher education model in Hochschule fur Gestaltung in Ulm, which has been established as a role model of Gropius, Klee, and Bauhauss, we identified the whole picture, had an objective understanding, and verified for deified cases. When examining Bauhass framework’s essentials and significance, it implied everyday and non-day-to-day life, as well as the overall, quantitative and multivalence of design. As said, the link between different opinions was < Construction Philosophy >. This denied Bauhauss, which had been deified as one image and recognized Bauhauss’ diversity. Also, the significance of Bauhauss today is not the content of its pedagogy, but the progressive and original patterns of behavior and educational concepts, and should be inherited. In other words, Bauhauss does not set an example for today’s design school, but rather teaches the direction to move on.

      • KCI등재

        <심생전〉 이해의 새로운 시각

        신희경(Shin, Hee-kyu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장서각 Vol.0 No.37

        이 글은 〈심생전〉이 문체반정 이전에 창작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여 문체반정과 충군 이전의 이옥 작품들을 통해 〈심생전〉 창작 당시 이옥의 의식 지향을 살펴봄으로써 〈심생전〉의 창작 배경과 주제 의식을 새롭게 규명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Ⅱ장에서는 매화외사의 평에 주목하여 〈심생전〉의 성격과 『情史』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서당 선생이 겪은 동창의 이야기를 이옥이 듣고 작품화했다는 것이 지금까지 〈심생전〉 창작 배경과 동기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이다. 서당 선생의 이야기에 대해 이옥은 “새로운 이야기”이며 “『情史』와 비슷한”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사대부가의 여성이 아닌 소민이 자각에 의해 정절을 지킨 것은 자체가 기이한 것이었으므로 서당 선생이 들려준 심생의 이야기를 이옥은 ‘新說’이라고 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옥은 『情史』가 정이 천지 만물의 근원이며 유대를 맺어 나가는 핵심 인자라는 생각을 바탕으로 편찬된 책인 것을 인식하고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보유를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 이옥은 『情史』의 지향과 의식면에서 유사성을 말하고 있으며 기이한 남녀의 진정을 소재로 〈심생전〉을 창작하였고 이를 근거로 매화외사의 평에서 “『情史』의 보유”를 말한 것이다. Ⅲ장에서는 이옥이 성균관 유생으로 입신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음을 전제로 하여 〈심생전〉 창작 이전 이옥의 행적과 글들을 통해 입신에 대한 이옥의 생각을 추론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심생전〉에 나타나는 이옥의 창작의도와 지향을 살펴보았다. 〈심생전〉은 양반 남성과 중인 여성의 비극적인 사랑을 통해 봉건적 신분관계의 비인간적 폭력성을 보여준다고 이해되어 왔다. 이옥은 문체반정 이전에 과거를 통해 입신하려는 의지를 가진 인물이었다는 점에서 궐녀를 향한 심생의 열정은 이옥이 가진 과거와 문장에 대한 열정으로 읽힐 수 있다. 또한, 논찬부가 가진 일반적인 기능을 고려할 때 서당 선생의 교훈은 학동에게 주는 권면의 의도를 가지고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심생전〉은 있는 세계의 모순을 거부하고 있어야 할 신분 해방의 세계를 지향하고 있는 작품이라는 평가는 재고되어야 한다. 그간의 논의는 이옥이 출사를 꿈꾼 사대부로서 유가적 이념에 충실한 인물이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자신의 처지에도 불구하고 오랜 시간동안 입신을 꿈꾸며 경서를 공부한 이옥이 신분해방의 세계를 지향하는 작품을 창작하였다는 것은 어불성설이기 때문이다. 〈심생전〉에 나타난 비극은 이옥이 가진 생래적 의식이 구현된 것이며 이 것은 자신의 처지를 투영하면서 작품화한데서 온 것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옥은 출신과 정파가 열악한 자신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정조의 인선 정책에 기대를 걸고 있었기에 지속적으로 과거에 응시하면서 입신을 희망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태생적 한계와 성향으로 인해 좌절에 대한 두려움도 가지고 있었다. 〈심생전〉은 진실로 이루고자 하는 뜻을 세우겠다는 욕망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패할 수 있다는 좌절에 대한 두려움이 나타나는 작품으로 입신 욕망에 대한 이옥의 분열된 자아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The thesis noted that 〈sim-saeng-jeon〉 was created prior to Munchebanjeong(文體反正) and explores the orientation of Lee Ok during the creative period through his works prior to Munchebanjeong. The thesis aims to establish a new version of the creative background and theme consciousness of 〈sim-saengjeon〉. In Chapter 2, I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 〈sim-saengjeon〉 and 〈Jeong-sa (情史)〉. It is extraordinary that somin (小民), who is not a woman of sadeabu (士大夫), is chastity personified.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teacher mentioned the story of Simsaeng was called “新說” Also, Lee Ok was aware that 〈Jeong-sa〉 is a book compiled on the basis of the idea that Jeong is the core of the universe and is the core builder of the world. Based on this, he mentioned 補遺. Chapter 3 suggests that Lee Ok was trying to achieve himself as a student of sung-kyun-kwan. And examines the movements and works of Lee Ok before the invention of 〈sim-saeng-jeon〉. Prior to Munchebanjeong, Lee Ok was a man who was willing to advancement through the 科擧. In this sense, simsaeng’s passion for 厥女 can be read with passion for the advancement of Lee Ok. Considering the general functionality of nonchanbu (論贊部),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teacher’s moral intention is to have the intent of hard work. The evaluation that 〈sim-saeng-jeon〉 aims to be a quest for social status should be reconsidered. So far, the debate is overlooking that he was a loyal figure in the study of Confucianism. Nevertheless, he had fears of frustration, due to his own inherent limitations and tendencies. However, he also had fears of frustration due to his own inherent limitations and tendencies. 〈sim-saeng-jeon〉 is a work that shows the divided ego of for his craving for fame.

      • KCI등재

        임펄스전압에 대한 N₂가스의 절연파괴특성

        신희경(Hee-Kyoung Shin),김동규(Dong-Kyu Kim),이복희(Bok-Hee Lee)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1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5 No.2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us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N₂ as an alternative gas to SF?. For this purpose, we have investigated breakdown characteristics of N₂ under impulse voltages in a quasi-uniform electric field gap. The 1.2/50[㎲] lightning impulse voltage, switching impulse voltages and oscillatory impulse voltages were applied at the test gap. The electric field utilization factor ranges from 0.5 to 0.8. The experimental data of SF6 and N₂ acquired in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 are presented in parallel for comparison. As a result, the breakdown voltages in SF? and N₂ are linearly increased with the gas pressure, also the breakdown voltages in N₂ a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gap distance and electric field utilization factor. The positive breakdown voltages are higher than the negative breakdown voltages. The nagative basic lightning impulse withstand level of 150[㎸] in N₂ of about 0.5[㎫] is nearly equal to that in SF? of 0.15[㎫]. It is seen fro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work that N₂ can be used as an eco-friendly alternative gas to SF? in distribution power equi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