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東齋感事〉와 〈陶山雜詠〉의 空間을 통해 본 退溪의 讀書 生活

        辛泰洙(Shin Tae-Soo) 동아인문학회 2009 동아인문학 Vol.16 No.-

        Most of researchers have an opinion that Toegye thinks Dosanseodang(陶山書堂) as an perfect place for self-cultivation. When paying attention to Toegye's poetry closely, we can find out that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opinion that Toegye recognizes Dosanseodang as an ideal hermitage place for self-cultivation. This assertion is grounded on the lots of lines in Dongjaegamsa(洞齋感事) and Dosanjabyeong(陶山雜詠), in which shows that Dosanseodang is not an optimal place for self-cultivation. The In-going consciousness in his works becomes more intensive by the order of Dongjaegamsa, 7-syllabic poems of Dosanjabyeong, 5-syllabic poems of Dosanjabyeong. As there is no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siveness of the in-going consciousness and the actual physical space, it is reasonable to approach to that by way of a concept of layer. In view of the concept, the layer of 7-syllabic poems of Dosanjabyeong is higher than that of Dongjaegamsa, and the layer of 5-syllabic poems of Dosanjabyeong is higher than that of 7-syllabic poems of Dosanjabyeong. Though the layer of 5-syllabic poems of Dosanjabyeong is highest, Toegye does not have a sense of self-contentment. He thinks that by way of reading life, and an outlook of Cheoninhabil(天人合一) and Murailche(物我一體), 'life of spontaneity' can not be accomplished. Toegye tries to change the recognition on the limitation of the hermitage space. It is shown clearly in intention to reduce the sense of out-going consciousness. However, it can not be said that trial guarantees a success. He considers that his out-going consciousness is not fully reduced in Dosan, and then as an alternative plan for that he comes to take a reading life which is accomplished in the course of 'life of spontaneity'. But, the effectiveness of the reading does not last for a long time. As he has to return to the incomplete hermitage space after the reading, he can not help leading the reading life consecutively. Due to that reason, he can not stop the reading.

      • KCI등재

        『삼국유사(三國遺事)』 보양이목설화(寶壤梨木說話)의 서술층위와 인물층위

        신태수 ( Tae Soo Shin ) 한민족어문학회 2014 韓民族語文學 Vol.0 No.66

        보양이목설화의 서사층위는 두 가지이다. 서술층위와 인물층위가 그것이다. 서술층위에서는 ‘璃目’의 위상이 보양에 비해 낮고 인물층위에서는 ‘이목’의 위상이 보양과 대등하거나 오히려 높다. 인물층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인물 특히 ‘이목’을 주목해야 한다. 이목이 중심이 되는 사건은 네 가지이므로, 이 네 가지가 인물층위를 형성한다고 보면 된다. 인물층위에는 대칭적 세계관과 공동체 의식이 나타난다. 이목만이 지닌 특징이 인물층위를 지배하므로, 인물층위가 신화시대의 대칭적 세계관과 전설시대의 공동체 의식을 내장한다고 해도 좋을 것 같다. 인물층위의 자양분은 민간설화이다. 민간설화로는 세 가지 유형을 들 수 있는데, 보양이목설화는 이 중에서 전설시대의 의식이 담긴 보양이 목설화 유형을 수용했으리라 본다. 보양이목설화의 인물층위는 보양이목설화 유형의 거울이다. 인물층위가 시대를 비추고 유형을 가늠하게 하며 화자의식을 되짚어보게 한다. The Boyangimok tale has two narrative layers, that is, the story-telling layer and the character layer. In the story-telling layer, the status of ``Imok`` is lower than that of Boyang. In the character layer, the status of ``Imok`` is equal to that of Boyang, or rather higher than that of Boyang.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 layer,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character, Imok`. The events in which Imok is the main character are four. Therefore, these four events form the character layers. The symmetric outlook on world and the communal spirit appear in the character layers. Imok`s own features rule the character layer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character layers contain the symmetric outlook on world of the mythological age and the communal spirit of the legendary age. The nutritive elements of the character layers are folktales, which have three types. Among them, the Boyangimok tale accepts the type of the Boyangimok tale in which the spirit of the legendary age is contained. The character layer of the Boyangimok tale is a mirror of the type of the Boyangimok tales. The character layer mirrors the period in question, gauges the types, and helps to trace back the speaker`s consciousness.

      • KCI등재

        유일본 『슈육문답』에 나타난 필사자의 용궁 인식

        신태수 ( Shin Tae-soo ) 택민국학연구원 2017 국학연구론총 Vol.0 No.19

        『슈육문답』 필사자는 여타 이본의 필사자와는 다르다. `슈육문답`이라는 제명에 活物論的 思考가 함유되었고, 용궁과 육지의 거리가 가깝게 설정되었고, 자라와 토끼 간에 용궁과 육지의 특징을 놓고 길게 문답한다는 점이 그것이다. `슈육문답`이라는 제명에서 드러나듯, 필사자는 용궁을 육지보다 앞세우기 때문에 작품의 주안점은 용궁이라고 할 수 있다. 용궁은 화려하기 그지없는 이상향이지만, `토끼 간의 부재`라는 흠결을 지닌다. 흠결은 의도적인 장치다. 흠결로 인해 용궁과 육지가 소통하고 대칭적 세계관이 작동하기 때문에, 흠결이야말로 水陸 兩界를 긴밀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용궁의 위상을 통해 본 필사자의 지향가치는 두 가지다. 환상계를 통해 현실주의를 확장시키고자 한다는 점이 그 한 가지이고, 용궁에 활물성을 부여하고 우주적 기능을 강화하고자 한다는 점이 그 다른 한 가지이다. 두 가지의 지향가치를 종합할 때, 『슈육문답』 필사자는 환상적 분위기와 현실적 분위기를 모두 확보하면서 낭만주의와 현실주의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쫓는다고 할 수 있다. The transcriber of Syuyukmundap is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different versions, defining Tokijeon as a novel of questions and answers between the underwater palace of Dragon King and the land and giving the title of "Syuyukmundap" to his version. Since he put the underwater palace of Dragon King before the land, his understanding of the former was vital. Even though the underwater palace of Dragon King was such a splendid Utopia, it had a single deficiency that was the "absence of rabbit liver." The terrapin volunteered to remove the deficiency only to make no achievement and move out to the land again. The deficiency initiated communication between the underwater palace of Dragon King and the land and operated a symmetrical world view, in which sense the transcriber tried to reinforce a symmetrical world view by adding a deficiency to the underwater palace of Dragon King and making its solution impossible. The status of underwater palace of Dragon King shows two values to which he was oriented: he expanded realism through the fantasy world on the one hand and tried to grant vitality to the underwater palace of Dragon King and reinforce its cosmic functions on the other hand. By combining those two values, he ensured both fantastic and realistic atmospheres and sought after both romanticism and realism.

      • KCI등재

        『삼국유사(三國遺事)』의 용왕(龍王)과 용궁(龍宮) 형상(形象)

        신태수 ( Shin Tae-soo ) 한민족어문학회 2016 韓民族語文學 Vol.0 No.74

        『三國遺事』에서는 용왕을 神人이라고 하기도 하고 畜生이라고 하기도 한다. 용왕을 축생이라고 하는 까닭은 부처나 高僧의 권능을 강조하고 용왕을 불교세계의 질서에 편입 시키기 위함이다. 용왕의 거주지인 용궁 또한 불교세계의 질서에서 예외가 아니다. 그 근거를 고승의 역할에서 찾을 수 있다. 고승만이 용궁 출입을 하고 고승만이 용궁을 우주 질서에 편입시킨다고 하면서, 고승이야말로 불교적 우주 그물망을 형성하는 주역이라고 한다. 불교적 우주 그물망 속에 들어간 용왕은 독자성이 없으며, 오로지 고승에게 기대어야 野蠻 狀態를 벗어날 수 있다. 정황이 이렇다면 고승에 의해 龍宮 風情이 나타나야 하겠지만, 그렇지는 않다. 용궁의 위용을 숨기느라고 용궁 풍정을 드러낼 수가 없었다. 용왕과 용궁 형상을 총괄해보면, 두 가지의 사상적 특징이 포착된다. 對稱的 世界觀이 불교신앙의 수단으로 활용된다는 점과 `중생-부처` 구도의 공효가 우주적으로 확장된다는 점이 그것이다. In Samgukyusa, the Dragon King is depicted as a man-god or beast. The Dragon King is called a beast to emphasize the authority of Buddha or high priest and include the Dragon King in the order of Buddhist world. The underwater palace of Dragon King is no exception to the order of Buddhist world, either, and the grounds can be found in the roles of high priests. It is said that only high priests can enter the underwater palace of Dragon King and bring the palace in the order of universe as the leading figure to establish the Buddhist cosmic network, in which the Dragon King has no independence and has to depend on a high priest to escape his current situation. Given those circumstances, it feels natural that the landscape of the palace should be revealed by a high priest, but it is not the case. The landscape of the palace cannot be shown because the dignity of the palace should be hidden. There are two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Dragon King and his underwater palace in terms of form: the symmetrical world view is used as a means of Buddhist faith, and the virtue of "people-Buddha" structure is expanded in a cosmic fashion.

      • KCI등재

        전통 독서법에 대한 퇴계의 인식

        신태수(Shin, Tae-soo) 우리말글학회 2013 우리말 글 Vol.57 No.-

        퇴계 독서법에는 儒家諸說이 많이 담겨 있다. 퇴계가 독서법에 유가제설을 수렴했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 퇴계는 공맹으로부터 讀書之樂과 樂의 실천 방안과 독서법의 이치를 추출하고, 이정자와 장자로부터 仁이라는 독서의 목적을 추출한다. 다른 어느 성현보다도 주자로부터 받은 영향은 크다. 주자 논설로부터 수양법, 독서법, 독서목적을 추출하고, 통합적인 독서법 체계를 구상한데서 이 점이 드러난다. 물론, 주자 독서법을 수용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理發을 인정하지 않는 주자와는 달리, 心을 살아 있게 하는 天德이라고 하며 理發을 인정한다. 이 점에서 퇴계는 의리학의 시각에서 사회적 차원의 共同善을 확립하려 했다고 할 수 있다. 의리학으로 전통 독서법을 수용하기도 하고 창조하기도 하면서 사회적 차원의 공동선을 확립하고자 했으니, 퇴계는 주자학도이기보다는 의리학의 구현자이다. Toegye"s reading method contains various Confucian theories because he gathered the Confucian theories in his theory on reading method. Especially, he extracted the pleasure of reading and its practical plan, and the principles of reading method from Gongmeng. From Lee Jung-Ja and Jangja, he extracted the purpose of reading, that is, In(仁). Among a lot of Confucian scholars, he was strongly influenced by Juja. Thus he extracted a cultivating method, a reading method, and a purpose of reading in originating a unified system of reading method. However, he did not meant to accept Juja"s reading method unconditionally. Unlike Juja who did not admit Yibal(理發), Toegye admitted Yibal, mentioning that it is Virtue of nature that makes the mind alive. In this respect, it is possible to say that he tried to establish the common good in social dimension from the perspective of Uirihak(義理學). Accepting and traditional reading methods with Uirihak and creating new reading method, he tried to establish the common good in social dimension. Therefore, Toegye is a scholar who realized Uirihak, rather than a follower of Juja.

      • KCI등재

        사랑은 어떻게 여성의 신분과 정절이데올로기를 극복했나

        신태수(Shin, Tae-soo) 한국비평문학회 2016 批評文學 Vol.- No.59

        본고는 여성의 신분한계와 정절이데올로기를 극복하고 사랑을 성취한 서사들을 고찰한 것이다. 우선, 애정을 다룬 고전소설에서 사랑을 가로막는 주요한 갈등 소재로 여성의 신분과 정절을 꼽을 수 있음을 가장 대중적 작품인 「춘향전」과 대표적 비극소설인 「운영전」, 「심생전」 등을 통해 밝혔다. 다음으로는 신분한계를 극복하고 사랑을 성취한 기녀의 사랑이야기를 두 유형으로 나누어 살폈다. 조선사회에서 기녀는 신분적 특수성을 지니고 있었는데, 기녀의 사랑이야기에서 기녀가 신분적 장벽을 극복하고 사랑을 성취하는 현실적인 방식은 두 가지, 즉 경제력을 이용하여 남자를 출세시키는 방법과 정절이데올로기를 전략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소설인 규옥소선」류는 사랑을 방해하는 신분의 굴레를 경제력을 통해서 극복하였고, 「춘향전」류는 여성이 신분한계를 극복하고 사랑을 성취하기 위해 정절이데올로기를 전략적으로 사용하였음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정절이데올로기를 극복하고 사랑을 성취한 서사로 「홍도의 반생」(1940)을 살폈다. 오랜 세월 여성은 물론이거니와 남성에게도 진정한 사랑을 방해하는 강박으로 작용한 정절이데올로기의 극복 문제가 근대 이후의 이 작품에서야 비로소 구체적으로 다뤄지고 있는데 그 완고한 굴레에서 벗어나려는 몸부림이 세밀하게 묘사되어 있는 이 작품의 분석을 통해 정절 이데올로기의 극복 양상을 밝혔다. This paper reviewed the narratives where the constraints resulting from a woman’s social status and the ideology of a woman’s fidelity were the theme. First, tragic love stories that were the result of a difference in social status and the ideology of fidelity were surveyed. 「Unyoung-jeon」 and 「Simsaeng-jeon」 are two of the representative tragic novels in Korean classical culture. They address tragic love stories between a man and a woman and portrays realistically the barriers created by social statuses. The reality of how such constraints deter pure love between younger men and women is raised as a sad reality. These works showcase how, despite love being a natural emotion, the strict social class system made it impossible to manifest such love and instead led to the two characters’ death. Next, the love stories of keishas who had overcome the limits of a social class system and achieved love were reviewed. During the Joseon Dynasty, keishas had a specific social class. The realistic way for them to overcome the constraints of their social class and achieve were through two methods: first, she could use her economic means to help her man achieve success in the world; and second, she could strategically leverage the ideology on fidelity. The types of 「So-seol-in-gyu-oksoseon」 saw women overcome the limits of their social class through economic means, while the types of 「Chunhyang-jeon」 saw a woman strategically using the ideology on fidelity to overcome her social class and achieve love. Lastly, 「The Half Life of Hongdo」 (1940) was reviewed as an example of a narrative where the ideology of fidelity was overcome and love was achieved. For a long time, the ideology of fidelity deterred not only women but also men in achieving true love. But only in works after the modern area is overcoming this ideology addressed in specific terms. This paper analyzed works where the struggle to break away from the constraints is described in detail, to review the pattern of overcoming the ideology of fidelity.

      • KCI등재

        지산(芝山) 도학시(道學詩)에 나타난 일리론(一理論)과 공간(空間)의 관계(關係)

        신태수 ( Shin Tae Soo ) 택민국학연구원 2021 국학연구론총 Vol.- No.28

        芝山 道學詩에는 一理論이 아주 강하게 나타난다. ‘삼라만상의 이치는 하나이다’라는 명제가 나타나기 때문에 이렇게 볼 수 있다. 일리론을 유발하는 동인은 관조적 천품과 주리적 학풍과 불가항력적 질곡이다. 불가항력적 질곡은 지산에게 인간의 주체적 위상을 부여하는 관조적 천품과 주리적 학풍의 경우와는 다르다. 지산에게 인간의 주체적 위상을 빼앗아가기 때문이다. 주체적 위상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일리론을 장착해야 하는 바이니, 불가항력적 질곡의 반작용으로 일리론이 생겨났다고 할 수 있다. 일리론에 입각한 공간 대응 방법은 격물과 치지의 구현 방법과 우주 善意志의 체인 방법과 부정적 요소의 극복 방법이고, 그 결과는 ‘화자 그 자신의 변화를 통한 自家 治癒 行爲’이다. 도학시의 공간이 대부분 유배지이어서 자가 치유 행위가 불가능할 것 같으나, 心與理一이 공간 대응 방법을 지배하면서 자가 치유 행위가 가능해졌다. 요컨대, 공간 대응 방법의 도학적 특징이 만만치 않다. 故鄕을 지순의 공간으로 形象化하게 한다는 점과 分殊의 공간을 거쳐 理一의 공간을 지향하게 한다는 점이 도학적 특징이다. Jisan Jo Ho-Sik reflected his perception,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you and me and between in and outside,” in his Dohak poems. One can call this perception Il-Ri Ron. Since Il-Ri Ron is reflected in Dohak poem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Il-Ri Ron to deal with Dohak poems. The supporting elements of Il-Ri Ron include contemplative Cheonpum, Ju-Ri academic tradition, and uncontrollable fetters. Any of these elements are expressed through space, and the speaker makes sensitive reactions to such a space. There are three ways to react to a space: embodiment of Indo and Cheondo, profound recognition of cosmic Seon will, and conquest of negative elements. Whatever methods of reacting to a space are employed, a space in Dohak poems becomes a space for self-healing for the speaker. It is surprising since most spaces in Dohak poems are places of exile. As the speaker’s independent awareness and Simhak-based premise toward self-complacency or Simyeoriil dominate his methods of reacting to a space, places of exile are converted into spaces of self-healing. These discussions helped to sort out the Dohak characteristics of methods of reacting to a space. Dohak characteristics include the embodiment of a hometown into a space of supreme gentleness and the orientation toward the space of Ri-Il through the space of Bunsu.

      • KCI등재

        탁영(濯纓) <속두류록(續頭流錄)>의 산수담론(山水談論)과 그 도학적(道學的) 성격(性格)

        신태수 ( Shin¸ Tae-soo ) 택민국학연구원 2020 국학연구론총 Vol.0 No.26

        濯纓의 賦와 記와 跋을 들여다보면, 山水에 대한 화자의 조망 방식과 일체화 방식을 발견할 수 있다. 화자의 조망 방식과 일체화 방식은 <續頭流錄>에서도 발견된다. 창작 연대로 보아, <속두류록>이 賦와 記와 跋에 영향을 받지는 않았다. <遊頭流錄>으로부터는 화자의 조망 방식을 수용했고 <智異山日課>로부터는 화자의 일체화 방식을 수용했다고 보아야 옳다. 先行 山水遊記의 두 방식을 수용한 까닭은 새로운 산수담론을 구축하기 위함이다. 새로운 산수담론이란 ‘인간이 주체가 되어 산수 본성을 체인해야 하는가, 산수가 인간에게 본성을 체인하도록 해야 하는가?’라고 하는 문제제기이다. 이 산수담론은 그야말로 거대 담론이다. 후대 여러 선비들이 참여하여 각자의 견해를 피력할 정도로 넓고 깊은 문제의식을 갖추었기 때문이다. 탁영의 산수담론은 도학적 측면이 강하다. 도학적 측면은 두 가지다. 人文地理탐색과 治人의 논리가 그 한 가지요, 인간과 산수의 우주적 성격 탐색이 그 다른 한 가지다. One can discover the ways that the speaker viewed Sansu (= literally mountains and water) and identified himself with it by looking into Takyeong's Bu, Gi, and Bal works. These ways of the speaker are also found in Sokduryurok, which was not influenced by Bu, Gi, and Bal, given the year of its creation. The author accepted the ways that the speaker viewed things from Yuduryurok and the ways that he identified with them from Jirisanilgwa. He accepted these two ways from old Sansuyugi in order to establish a new discourse about Sansu, which was to raise questions such as, "Should man be the subject and recognize the nature of Sansu profoundly or Should Sansu make man recognize its nature profoundly?" This discourse about Sansu was a meta-discourse itself, as it had problematic consciousness wide and deep enough for many different later generational classical scholars to join and express their individual opinions. There is a strong Dohak aspect to Takyeong's Sansu discourse. He took two approaches to the Dohak aspect: one was his logic for his inquiry into human geography and Chi-in, and the other was his exploration into the cosmic nature of man and Sansu.

      • KCI등재

        『龍宮赴宴錄』의 空間體系와 龍宮形象

        신태수(Shin, Tae-soo)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71 No.-

        『용궁부연록』은 주인공의 공간 이동에 주안점이 높여 있다. 공간 이동이 타율적이기 때문에, ‘주인공이 용궁에서 무엇을 체험했는가?’라는 設問보다는 ‘용궁이 어떻게 해서 주인공을 이끌고 갔는가?’라는 설문이 더 유효하다. 『용궁부연록』에는 求心的 空間이 나타나지 않는다. 다시 말해, 遠心的 空間만 나타났다가 구멍이 뚫리면서 해체되고 말기 때문에 원심적 공간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원심적 공간에 구멍이 생긴다고 할 때, 구멍은 저절로 생기지 않으며 인위적인 힘에 의해 생겨난다. 그 주역은 한생이다. 한생은 깨달음으로 원심적 공간에 구멍을 내고 공간의 위력을 압도했다. 깨달음이 원심적 공간을 근본적으로 무너뜨렸느냐 하면, 그렇지는 않다. 깨달음의 수준이 그 정도에까지는 이르지 못했다. 공간체계의 차원에서 볼 때, 용궁 형상의 특징은 두 가지다. 화자가 지상계 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反現實 投射機制로 표출한다는 점과 海中 空間에 토속신앙과 仙界 形象이 덧입혀지면서 원심적 공간이 해체되고 만다는 점이 그것이다. The focus of Yonggungbuyeonrok is on relations between characters and spaces. It will be more valid to ask “How did the underwater palace of the Dragon King lead the main character?” than “What did the main character experience at the underwater palace of the Dragon King?” when the focus is on characters and spaces. There is no centripetal space in the novel. In other words, it has only centrifugal space since only the space emerges and then disappears after a hole happens. When a hole happens in centrifugal space, it is by artificial force rather than natural force. The driving force is Hansaeng, who drills a hole in centrifugal space after awakening and overwhelms the force of space. It is not that his awakening does not topple down centrifugal space fundamentally since the level of his consciousness does not reach the point. There are two features of underwater palace of the Dragon King in terms of form in the domain of spatial system: first, the speaker expresses his critical viewpoint of earthly reality with an anti-reality projection mechanism; and secondly, centrifugal space collapses as folk beliefs and fairyland forms are added to the underwater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