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뇌파와 두뇌활용능력의 차이 분석

        신재한 ( Shin Jae Ha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음악 전공자와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뇌파와 두뇌활용능력의 차이를 검증함으로써 음악의 교육적 의의를 탐색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D대학교 4학년 재학생 중에서 음악 악기 연주 경험이 있고 음악을 전공한 대학생을 기준으로 비확률적 표집(non-probability sampling)의 하나인 목적 표집법(purposeful sampling)을 적용하였다. 그 중에서도 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16명을 선정하여 음악 전공자 8명과 비전공자 8명을 선정하였다. 음악 전공자(실험집단)와 음악 비전공자(비교집단)의 뇌파와 두뇌활용능력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뇌과학적인 측면에서 음악이 학교교육에 주는 교육적 시사점을 결론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음악 활동이 안정상태의 Theta파 향상에 기여하기 때문에, 학습자 자신의 자가 치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성장과 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뇌과학 기반 음악명상을 활용한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 및 보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음악 활동이 각성상태의 SMR파와 Alpha파 향상에 기여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자기주도적인 학습력을 향상시키고 신체 및 심리적 이완, 스트레스 감소 등 정신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뇌과학 기반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개발 및 보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음악 활동이 좌뇌와 우뇌의 SMR파와 Alpha파 향상에 기여하기 때문에, 뇌과학 기반 음악 프로그램을 통해서 전뇌(Whole brain)교육을 전개함으로써 인지와 정서가 통합된 전인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value of music education by verifying the differences in brainwave and brain utilization capability between music major and non-music major students. Target sample was senior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the D university with experience in playing musical instrument or majoring in music. I used the purposeful sampling method, which is one of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Among target sample students, I selected 16 students (i.e., 8 music major students and 8 non-music major students), who agreed with the objective of the study. I examined the differences in brainwave and brain utilization capability between music major group (treatment) and non-music major group (control). When the value of music education at the aspect of the brain science to the school education was showed a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the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usic activities improved the stable status Theta wa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tribute a counseling program utilizing meditation music based on the brain science, which facilitates self-healing as well as contributes to personal growth and unification. Secondly, music activities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in SMR wave and Alpha wave. Consequently, it is needed to develop and distribute a music-healing program based on the brain science, which improves self-driven learning and psychological health (e.g.,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laxation, and stress reduction). Thirdly, music activities improved the SMR wave and Alpha wave of both left and right brain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whole person education combining both cognitional and emotional education by employing whole brain education through the brain science based music program.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supplementing the weakness of less utilized brain, so left and right brains can make music activities in the unified fashion.

      • KCI등재

        뇌과학적 고찰을 통한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 방향 탐색

        신재한 ( Jae Han Shi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철학적· 윤리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기존의 인성교육과 달리, 뇌과학적 관점에서 인성교육을 고찰함으로써 뇌교육에 기반한 인성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삼위일체 뇌’라는 수직적 통합의 특징을 반영하고 학생의 두 뇌 발달 단계 및 특성을 고려하여 개별 맞춤형 인성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도덕적 판단력 및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서 및 감정 조절 활동이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학생들에게 부정적인 정보를 제공하기보다는 긍정적인 정보를 지속적, 장기적으로 반복하여 제공해 줌으로써 학생들의 신념, 태도, 행동이 통합된 좋은 습관 형성은 물론, 올바른 가치관 및 자 아정체성을 확립시켜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뇌교육에 기반한 인성교육은 인지적 측면이나 정 서적 측면의 단편적 인성 변화, 일상생활과 동떨어진 일시적 인성 변화 등 기존의 인성교육과는 달리, 신체· 인지· 정서의 통합적 관점에서의 인성교육을 실천함으로써 학생들 삶 속에서의 근본적인 의식 변화는 물론, 몸· 마음· 정신이 삼위일체 된 인격 형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explore implications of humanistic education based on brain-scientific aspect, not philosophical ethical perspective. We set the purpose of study: the direction of humanistic education based on brain-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umanistic education should be individualized in consideration of adolescent brain developmental stage and brain vertical feature called ‘the Trinity brain’. Second, the emotional regulation should precede for improvement of moral judgment ability and thinking skill. Third, to have sense of right value and to establish one’s identity we should provide positive information consistently in the long term. This study have a significance that the brain-education based humanistic education that focuses on physical·cognitive·mental integration, can bring changes in fundamental recognition, unlike existing education that brings transitory change, and form personality in integration of the Trinity of body·mind·sprit.

      • KCI등재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이 아동·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신재한(Jae-Han Shin),김혜선(Hye-Seon Kim),김진아(Jin-A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3

        본 연구는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두뇌 특성을 파악하여 아동 및 청소년의 흥미 및 적성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물론, 진로성숙도를 함양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등학생 59명, 중학생 76명 등 135명을 대상으로 2016년 6월 4일부터 5일까지 1박 2일 동안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은 단순한 진로 탐색 및 체험위주의 프로그램이 아니라, 진로성숙도와 같이 직업의식을 함양하기 때문에, 아동 및 청소년의 건전한 직업관을 형성하는데 효과적이다. 둘째,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을 통해서 아동 및 청소년 자신의 흥미 및 적성에 적합한 맞춤형 진로를 탐색하는 것은 물론, 진로역량을 개발할 수 있다. 본 연구에 대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은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학교급별 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뇌교육 기반 진로캠프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진로성숙도 외에 다양한 진로 관련 변인들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계속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rains and to identify the students" aptitude and interests by developing and applying the program for recognizing students" desired future careers. A total of 135 students (59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76 middle school adolescents) were surveyed for 2 days and 1 night. The study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proved effective in forming the constructive recognition for their future jobs because they could explore careers in the future and because they could raise their consciousness of perspectives on careers. Second, the program makes it possible to explore future jobs that are appropriate to them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and to enhance their career competencie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because more consideration is needed. First, the present research applied the same program to all student participants despite the differences in developmental levels. Therefore, future research needs to involve elements that reflect their distinct psychological proficiency levels. Second, to show the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further studies need to focus on diverse dependent variables that may influence the results other than their distinct psychological proficiency levels.

      • KCI등재후보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명화감상 활동 프로그램 개발

        신재한(Shin, Jae-Han)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교육연구 Vol.53 No.-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명화감상 활동 프로그램과는 달리, 특정한 관점에서 바라보는 미술감상 활동이 아니라 다양한 활동을 통한 지식의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명화감상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명화감상 활동 프로그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단편적이고 분과적인 미술 감상 교육에 벗어나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음악, 미술, 체육 등 교육과정에서 경험할 수 없는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발달 단계 및 흥미, 적성 등에 적합한 통합적 미술감상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미술감상 활동 프로그램은 다양한 한국화를 읽고, 한국화로부터 배우는 시각적 학습(Visual learning), 시각적 사고력(visual thinking)과 시각적 의사소통(Visual communication) 등 시각적 문해력(Visual literacy)을 발달시킬 수 있다. 셋째, 한국화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분별력 있고 비판적으로 수용하며, 적절하고 의미있게 활용함으로써 창의적인 새로운 창작활동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develop an appreciation activities program for famous paintings using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hat would allow for the expansion of the students' knowledge through diverse activities. The intended program would differ from the existing programs of the same kind, which usually offered art appreciation activities from a certain perspective. The program developed in the study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 first, it dismisses the conventional fragmentary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at divides the disciplines and provides integrated art appreciation activities proper for the students' developmental stages, interests, and aptitudes so that they can engage in various activities that are not possible in the Korean, Math, Social Studies, Science, Music,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dividually. Secondly, the program of art appreciation activities using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develops visual literacy of the students. Visual literacy involves the students reading and learning from a range of Korean paintings and includes visual learning, visual thinking, and visual communication. Finally, the program gives the students a chance to develop a right understanding of Korean paintings, accept them in a discreet and critical manner, and utilize them in an appropriate and meaningful fashion, thus engaging in new and original creative activities.

      • KCI등재

        중앙교수학습센터 지식교류 서비스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수업컨설팅 지원 방안 탐색

        신재한(Shin Jae Han)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교육연구 Vol.68 No.-

        본 연구는 중앙교수학습센터의 지식교류 서비스의 질의응답을 분석함으로써 학교 현장의 교사들이 궁금해 하는 수업과 관련된 정보 교환 내용의 경향성을 파악하고 수업 컨설팅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5년 4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전국 규모의 중앙교수학습센터(http://www.edunet4u.net)의 지식교류 서비스의 ‘묻고답하기’ 게시판에 탑재된 2,252개의 글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탑재된 질의응답 중에서 불성실하거나 관련없는 질의응답 12개를 제외한 2,240개를 대상으로 빈도 분석을 실시하여 백분율(%)로 환산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 교과 및 수학 교과에 대한 집중적인 수업 컨설팅 지원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둘째, 고등학교 1학년에 대한 집중적인 수업 컨설팅 지원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셋째, ‘교사들에게 수업 실행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교사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 교원 양성 기관에서도 수업 실행을 중점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설계해야 한다. 넷째, 국어 교과와 영어 교과는 ‘수업 설계’ 영역을 중점적으로 지원하는 수업 컨설팅을 실시하고 수학 교과, 사회 교과, 과학 교과는 ‘지식’ 영역을 중점적으로 지원하는 수업 컨설팅을 실시하는 교과별 맞춤형 수업 컨설팅 모형을 개발해야 한다. 다섯째, 효과적으로 교수 자료 개발 및 선정을 위한 체계적인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교수 자료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해야 한다. 여섯째, 과학 교과는 교과 내용 지식(PCK)에 대한 수업 컨설팅을 강화하고, 다른 교과는 ‘수업기술’의 다양한 방법에 대한 수업 컨설팅을 강화해야 한다. This study is about the knowledge of Central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Its purpose is to answer questions by analyzing the flow of services of school teachers who are intrigued by the exchange of information related to teaching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and tendencie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onsulting and teaching. The presentation of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anguage and math course intensive consulting support for the plan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the high school for one year of support and intensive consultation should be established. Third, teachers organize classes to perform efficiently and effectively by developing a teacher training program, as well as in teacher education classes by practice focused on running training courses. Fourth, Education and English languag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design focuses on the area to support teaching and consulting, implementation and mathematics, social studies, science, education and knowledge focusing on areas to conduct a project to support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Instructional Consulting by developing a custom. Fifth, the effective development and selection of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s to take advantage of efficient teaching materials database (DB) should be built. Sixth, the science curriculum and curriculum content knowledge (PCK) to strengthen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other subjects teaching skills classes in a variety of ways of consulting should be strengthened.

      • KCI등재

        인형극을 통한 예술중심 STEAM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신재한(Shin Jae Han),남궁정도(Nam gung Jeong Do),김유(Kim You),박성수(Park Seong Su),조준범(Jo Jun Beom),이영미(Lee Young Mi),한주연(Han Ju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감성을 기반으로 융합적인 문제해결 과정을 통하여 창의성을 발현할 수 있도록 인형극을 활용한 예술중심 STEAM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형극을 통하여 예술중심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한다. 둘째, 융합교육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초등학생의 융합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신장한다. 셋째, 개발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을 통해 융합교육을 일반화시킨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인형극을 활용한 예술 중심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할 때에는 융합적 발문을 효과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둘째, 인형극을 활용한 예술 중심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수업할 때에는 차시 중심이 아니라, 단원 중심의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상황 제시, 창의적 설계, 감성적 체험 등의 수업 단계를 거쳐야 한다. 셋째, 인형극을 활용한 예술 중심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할 때에는 교사 중심(1수준 융합), 교사와 학생의 연계(2수준 융합), 학생 중심(3수준 융합) 등 학생 능력 및 특성 등에 적합한 수준별 STEAM 융합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 STEAM converged education program and adapt it by using toy-drama for the purpose of manifesting creativeness through emotional basis converged problem solving methods. Specific study program is below. First, develop and adapt art-oriented converged education programs through toy-drama. Second, by adapting converged education programs, enlarge converged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of primary school students. Third, generalize converged education through adapting developed program at the school. The result of this study is below. First, For adaptation of art-oriented converged education program through toy-drama use effectively converged epilogue. Second, take procedure step when educate art-oriented converged education program not by time base but by unit base program design which contained status indication, creative design, emotional experience. Third, when using art-oriented converged education program, STEAM converged education must be done at a suitable to level and ability of students, such as, teacher- centered(1st class convergence), teacher-student relayed(2nd class convergence), student-centered(3rd class convergence).

      • KCI등재
      • KCI등재

        SWOT분석을 활용한 사이버가정학습 활성화 방안 탐색

        신재한(Shin Jae-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에서는 SWOT 분석법을 활용하여 사이버가정학습 내부 역량의 강점 요인과 약점 요인, 외부 환경의 기회와 위협 요인을 분석하고 SWOT 분석 매트릭스 (matrix)를 활용함으로써 사이버가정학습 활성화 전략 및 방안을 탐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내부 역량 요인의 강점/약점 요인과 외부 역량 요인의 기회/위협 요인을 잘 분석해야 한다. 둘째, 사이버가정학습을 실제적 운영하는 튜터의 성별, 튜터 지원 동기, 튜터 담당 교과 등 튜터 배경변인별로 차별화된 사이버가정학습 활성 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내부 및 외부 역량 요인 외에 사이버가정학습을 활성화하기 위해 필요한 내부 및 외부 역량 요인을 좀 더 탐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이버가정학습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확하게 탐색하기 위해서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통계 방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strategies and methods of using the SWOT analysis matrix and to analyze the internal factors (strength and weakness) and external factors (opportunity and threat) o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through SWOT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nal factors (strength and weakness) and external factors (opportunity and threat) of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should be analyzed to activate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Second, differentiating methods of using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should be explored according to the tutor s background variables (sex, application motive, subject, etc.) The suggestions based on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ther internal factors (strength and weakness) and external factors (opportunity and threat) offer cyber home learning system, except factors in this study, need to be explored. Second, regression analysis is needed to explore which factors exactly influence the revitalization o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 KCI등재

        학습자 성격 유형별 집단 구성에 따른 초등학생의 온라인 토론 참여 양상에 대한 연구

        신재한 ( Jae Han Shi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9 초등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특성 중 학습자 성격 유형별(외향성 집단, 내향성 집단, 혼합 집단)로 구성된 소집단이 웹 기반 토론학습에 참여할 경우 학습자 성격 유형별 집단구성에 따라 토론 메시지 유형과 토론 메시지 내용을 분석한 결과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학습자 성격 유형별 집단 구성에 따른 토론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결론은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온라인 토론 참여 과정에서 학습자 특성 가운데 학습자 성격 유형에 따른 집단 구성 방법은 주메시지보다 반응메시지가 더 많이 요구되는 토론 주제에 적합하다. 둘째, 온라인 토론 참여 과정에서 필요한 토론 메시지 내용의 차원(사회적, 상호작용적, 인지적, 메타인지적)에 따라 학습자 성격 유형을 달리하여 토론 집단을 구성해야 한다. 셋째, 학습자 성격 유형에 따라 집단 구성 방법이 온라인 토론 참여 과정에서 토론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토론 집단 구성할 경우, 학습자 성격 유형을 신중히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types and contents of discussion messages according to the grouping methods based on the types of learners` personality when small groups participated in web-based discussion study which were formed according to the types of learners` personality(extravert, introvert, and combinational group), which were part of the learner characteristics. It also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ir satisfaction with discussion according to the grouping methods based on the types of learners` personality.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grouping methods according to the types of learners` personality among the learner characteristics were proper for the subjects that would require more response messages than main ones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online discussions. Secondly, it`s critical to form discussion groups based on the types of learners` personality according to the dimensions(social, interactive, cognitive, and meta-cognitive dimension) of the contents of discussion messages required for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online discussion. And finally, given that the grouping methods according to the types of learners` personality affected their satisfaction with discussions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online discussions, it`s required to carefully take into account the personality types when forming discussion groups.

      • KCI등재

        장애 유형별 특수학교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신재한 ( Jae Han Shin ),권택환 ( Taeg Hwan Kw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3

        본 연구에서는 ``KADO-WAH 3.0``이라는 웹 접근성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전국의 특수학교 및 장애 유형별로 웹 접근성 지침 준수 여부를 평가함으로써, 장애 유형별 웹 접근성 준수율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연구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 특수학교 중에서 장애 유형별로 시각 장애 6개 학교, 청각 장애 9개 학교, 정신 지체 장애 8개 학교, 지체부자유 장애 8개 학교, 발달 장애 18개 학교, 중복 장애 6개 학교 등 총 55개 특수학교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한국형 웹 접근성 지침((KWCAG 1.0) 총 4개 영역 18개 항목 중에서 자동적으로 평가 가능한 9개 항목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평가 방법은 ``KADO-WAH 3.0``의 평가마법사를 이용하여 국내 특수학교 홈페이지를 한국형 웹 접근성 지침을 적용하여 깊이 제한 10, 최대 페이지 수 100으로 설정하여 웹 접근성 준수 여부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특수학교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준수율을 높이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장애 유형별 특수학교에 따라 웹 접근성 영역 및 항목별로 준수율에서 많은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낮은 웹 접근성 준수율을 보이는 영역 및 항목을 우선적이고 집중적인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 유형별로 특수학교의 웹 접근성의 평균 준수율은 다른 장애 유형 특수학교에 비해, 시각 장애 학교, 청각 장애 학교, 지체부자유 장애 학교에서 웹 접근성 준수율이 낮게 나타났기 때문에, 장애 유형별 특수학교에 따른 맞춤형 웹 접근성 지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장애인 등이 비장애인 등과 동등하게 특수학교 홈페이지에 접근하여 자유롭게 이용하도록 연 1회 이상 특수학교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준수율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확인하는 행 ? 재정적인 지원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넷째, 홈페이지를 설계하고 운영하는 설계자 및 운영자, 웹 콘텐츠를 개발하는 개발자에게 반드시 필요한 특수학교 홈페이지에 관한 웹 접근성 향상 국가표준 기술 가이드라인 및 매뉴얼을 개발하고 안내해 주어야 한다. In this study, ``KADO-WAH 3.0`` using a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tool, special schools across the country, by type of disability can assess compliance with web accessibility guidelines. The issue of web accessibility compliance rate by disability type should be derived as well as suggestion of concrete ways to improve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hieve national special schools by types of disability among the following: six schools for the blind, nine schools for the deaf, eight schools for those with handicap, eight schools for those with physical disabilities. 18 schools for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ix for those with multiple disabilities. A total of 55 special education school on the home page of 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KWCAG 1.0). A total of 18 entries from four regions sentence fragment automatically rate and were available only for nine items. Specific evaluation methods ``KADO-WAH 3.0`` which is the wizard of the ratings using the local special school for the Korean web site accessibility guidelines limit the depth of ten. The maximum number of pages to 100 were to assess compliance with web accessibility. hi conclusion, this study of a special school site improvement plan for improving web accessibility compliance when present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web accessibility disability in special schools by type and by topic area, because they had much of a difference in compliance, compliance with web accessibility seems to lower the priority areas and topics, and require intensive modification and supplements. Second, the failure of the special schools by type of Web access to a special school, the average compliance rate compared to other types of disability, blind schools, deaf schools, and school failure in handicapped appeared lower because of compliance with web accessibility, disability type customized according to a special school.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web accessibility guideline. Third, regardless of the handicapped or not, they are equally free to access to the site and constantly checking the web accessibility compliance once a year and to identify the row. Financial support measures must be taken. Fourth, the web site is designed and operated by designers and operators, developers of Web content to the site required a special school o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and the Manual of Standards and Technology to enhance national development that should guide yo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