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통합교육 환경에서 장애영역 추이 변화에 따른 시사점과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과제

        권택환 ( Kwon Taeg Hwa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0 인성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통합교육을 받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이 계속 증가하고 교육현장 구성원들의 공동체 의식이 더욱 강조되는 시점에서 전체 특수교육대상학생 수는 어떤 변화 추이를 나타내고 있는지, 장애영역별 추이 변화는 어떠한지 등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전문가 면담을 거쳐 시사점과 과제를 도출하였고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기 학생의 수는 감소하고 있지만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수는 계속 늘어나는 추세이므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권 보장을 위해 중·장기적 계획을 장애 영역별로 세밀하게 준비하여야 한다. 둘째 통합교육의 비율은 2020년 처음으로 72% 수준이 되면서 양적인 통합교육은 거의 이루어지고 있다. 향후에는 질 높은 통합교육을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자폐성장애을 가진 특수교육대상학생이 급증하고 있는 것에 대한 세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하고, 이러한 장애를 가진 학생의 지도를 위한 교사양성 및 연수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넷째 2017년부터 발달지체 영역의 특수교육대상학생이 급증하고 있으므로 장애영·유아 및 초등학교 저학년을 위한 조기교육에 대한 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 다섯째 통합교육의 질을 높이고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공동체 의식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행정기관에서 수립한 정책도 필요하지만 교육현장 모든 구성원들의 자발성과 동료성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문화적 풍토가 조성되어야 한다. This study analyzed how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is changing, and the trend changes by disability area shows in the educational field where the proportion of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who receive integrated education continues to increas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rough the analysis of special education experts, implications and tasks were derived, and the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Although the number of school-age students is declining, the number of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continues to increase, so mid- and long-term plans must be prepared in detail for each disability area to guarantee the right to education of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With the ratio of integrated education reaching 72 percent for the first time in 2020, quantitative integrated education is almost taking place. In the future, efforts for high-quality integrated education should precede. A detailed analysis of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with autistic disorders should be conducted, and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fostering and training of teachers for the guidance of students with such disorders. Since 2017, the number of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in the area of developmental retardation has been increasing rapidly, so support for early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fants and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hould be expand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integrated education and achieve practical effects, a community spirit among members is important. For this, a policy established by an administrative agency is also necessary, but a cultural climate should be created in which all members of the education field can exhibit their willingness and fellowship.

      • KCI등재

        초중등교원의 맨발걷기 체험에 대한 질적 연구

        권택환 ( Kwon Taeg-hwa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6

        본 연구에서는 맨발걷기 체험을 실시한 교원들이 경험한 사례를 연구하여 맨발걷기가 향후 교원의 건강관리, 스트레스 감소, 자기효능감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학교현장의 교육환경 개선에 어떻게 활용될 것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맨발걷기 체험을 하루 1시간 이상, 100일 실시한 대구, 경북에 근무하고 있는 교원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명의 연구 참여자에게 100일 간의 맨발걷기 경험을 통해 자신의 변화 경험을 기록하게 하고 분석한 결과 신체적 변화 경험이 가장 많았다. 즉, 하지정맥, 불면증, 무좀, 만성대장염 등 다양한 질환이 사라지고, 시력회복, 체력 향상, 두뇌기능 활성화 등 긍정적인 신체 변화가 일어났다. 둘째, 심리적 경험의 변화로는 심리적 안정, 자신감 향상 등 정서적인 변화가 많았다. 셋째, 맨발걷기 지도를 받은 학생의 변화로는 ADHD 학생의 변화,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한 학생과의 소통 및 공감 능력이 향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barefoot walking, and how barefoot walking will affect the healthcare management, stress reduction, and self-efficacy improvement of teachers in the future and how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o get some implications. In this study, qualitative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teachers who worked in Daegu and Kyungbuk where the barefoot walking experience was conducted over one hour a day for 100 day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physical change was the most experienced by 20 participants to record their experience of change through 100 bare walking experience. In other words, various diseases such as lower back veins, insomnia, athlete's foot, and chronic colitis have disappeared, and positive body changes such as vision recovery, physical fitness, and brain function activation have occurred. Second, emotional changes such as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elf - improvement were more frequent in the change of psychological experience. Third, it is the change of the student who is instructed to walk barefoot.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such as ADHD students, improved their communication and empathy with students in classroom activities using creative hands-on activities.

      • 효과적인 뇌기반 수업 설계 및 적용 방안 탐색 -초등학교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권택환 ( Taeg Hwan Kw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4 뇌교육연구 Vol.13 No.-

        본 연구에서는 뇌의 구조와 발달 등 이론적인 특징을 살펴 본 후, 뇌기반 관련 학습 환경 및 교수-학습 방법 등 뇌교육적인 방향성을 정립하고 구체적인 뇌기반 수업 설계 및 적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좌뇌와 우뇌가 가지고 있는 구조적 특성을 토대로 각급학교 좌뇌형 및 우뇌형 교사들이 실천 가능한 수업 방법과 좌뇌형 및 우뇌형 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학습 방법을 도출 하였다. 둘째, 뇌기반 학습환경 분석, 뇌기반 단원 목표 설정, 뇌기반 한습내용 선정 및 조직, 뇌기반 교수-학습 전략, 뇌기반 단원 평가 계획 수립 등 5단계를 거침으로써 과학적으로 뇌기반 수업을 설계활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셋째, 좌뇌·우뇌·전뇌 등 뇌 특성에 적절한 맞춤형 뇌기반 수업를 설계함으로써 한쪽에 치우친 편향적인 뇌기반 수입이 아닌, 좌뇌·우뇌·전뇌 등이 균형 잡힌 뇌기반 수업을 가능해 질 수 있다. 그러나, 좀 더 발전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사 배경 변인, 교육과정 특성 변인, 학생 개별 특성 변인 등을 고려하여 실제 학교급별 특성이 반영된 뇌기반 교육과정 개발은 물론,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하여 효과적인 뇌기반 수업을 설계·적용할 수 있는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oretical features like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brain to establish direction of brain-based science such as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o seek ways of design and application of brain-based sc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ing methods that were available for right-brained and left-brained teacher based on structure features of right and left brain and specific learning that would work for right-brained and left-brained students were created. Second, this study prepared the ground for brain-based science class design through five steps, which were analysis of learning environment of brain-based science, brian-based unit goal setting, selection and organizing brain-based contents. brian-based teaching-learning strategy and establishment of brain-based unit assessment plan. Third, by designing customized class suitable for brain characteristic, well balanced brain-based class could be possible not one-sided brain-based class. However, follow-up studies would be necessary for more effective brain-based classes considering various variable such as teachers`` background, nature of curriculum,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 etc.

      • KCI등재

        출근길 지하철 시위 사건 전후로 언론에 나타난 장애인 이슈 탐색을 통한 인성교육 방향 탐색

        권택환 ( Kwon Taeg-hwa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3 인성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출근길 지하철 시위 사건을 전후로 하여 언론에서 장애인 관련 기사에서 어떠한 키워드를 주로 활용하는지를 살펴보았다. 2020년 12월 3일부터 2022년 12월 2일까지 ‘장애인’이라는 단어를 제목으로 포함하는 5,093개의 기사들을 활용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론에 나타난 장애인 관련 기사들은 ‘지원’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보도되었다. 둘째, 지하철 시위 사건 전에는 ‘지원’ 키워드가 모든 키워드들 사이에서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으나, 사건 발생 시점부터 1년 후까지는 ‘시위’, ‘지하철’ 키워드가 중심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특히, 장애인을 바라보는 관점 및 인식 개선을 위한 인성교육 방향을 제시하면 첫째, 장애인을 바라보는 포용적이고 통합적인 차원에서 공동체의식 역량을 강조하는 인성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장애인과 비장애인은 서로 연결되어서 소통과 공감할 수 있는 역량을 강조하는 인성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16개의 신문사 및 방송사의 기사만을 대상으로 하여 장애 관련 전문 언론 등 모든 언론보도를 대변하지 못하지만 특정한 사건 발생에 따른 장애인 관련 언론에 나타나는 키워드를 탐색하고 그에 상응하는 이슈를 간접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In this study, we studied what keywords were mainly used in articles related to the disabled in the media before and after the interference of the electric train operation. From December 3, 2020 to December 2, 2022, a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5,093 articles containing the word ‘disabl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ticles related to the disabled that appeared in the media were reported centered on the keyword ‘support’. Second, the keyword “support” played the most central role among all keywords before the interference of the train operation, but until a year after the incident, the keywords “protest” and “subway” played a central role.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aims to fin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n that it did not represent all media reports, including specialized media related to disability, but it was able to explore keywords appearing in the media related to the disabled and indirectly identify corresponding issues according to a specific incident.

      • KCI등재
      • KCI등재

        코로나19 전후 특수교육대상자 수 추이 변화에 따른 특수교육 정책의 과제와 전망

        권택환 ( Kwon Taeg-hwa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3 지적장애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최근 3년간 지속된 코로나19 상황과 그 이전 10년간의 특수교육대상자 수 추이 변화를 분석해봄으로써 향후 특수교육 정책 방향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전체 특수교육대상자 수는 코로나19 상황 10년 전부터 증가추세를 보였고, 특히 코로나19 상황에서는 그 이전보다 좀더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둘째, 학교급별 특수교육대상자 수의 추이 변화를 보면, 전체 학생 수는 모든 학교급별에서 지속적인 감소추세가 강하게 나타나는 데 반해, 특수교육대상자 수는 고등학교 과정을 제외한 모든 학교급별에서 증가 추세를 보였고, 특히 코로나19 상황에서 그 증가율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학교급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대상자 수의 변화 추이를 면밀하게 분석하여 그에 적합한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교육환경별 특수교육대상자 배치 현황을 분석한 결과, 분리된 교육환경인 특수학교 및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배치된 특수교육대상자는 조금씩 감소하는 반면, 특수학급이나 일반학급 등 일반학교에 통합된 특수교육대상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였다. 실효성 있는 통합교육 추진을 위해 일반교육정책과 연계하고,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공동 책임하에 통합교육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 추진이 요구되며, 장애나 학습 능력 등으로 분리되지 않는 유연하면서도 포괄적인 정책을 총체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전체 학생 수가 감소하는데도 통합된 특수교육대상자 수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이유를 면밀하게 분석하고 그에 따른 대책을 종합적으로 마련할 수 있는 관련 연구를 통해 선제적인 교육시스템이 정착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implications for future special education policy directions by analyzing the COVID-19 situation that has lasted for the past three years and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special education subjects over the previous decade. First, the total number of special education subjects has been on the rise since 10 years before the COVID-19 situation, especially in the COVID-19 situation, showing a higher increase rate than before. Second, looking at the change in the number of special education subjects by school level,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continued to decline in all school levels, while the number of special education subjects increased in all school levels except for high school courses, especially in the COVID-19 situation. In this way, it is necessary to closely analyze the trend of changes in the number of subjects that appear differently for each school level and prepare appropriate polici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special education targets by educational environment, the number of special education targets assigned to special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which are separate educational environments, gradually decreased. In order to promote effective integrated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omote policies that allow integrated education under the joint responsibility of general and special teachers, and to manage flexible and comprehensive policies that are not separated by disabilities or learning skills. In particular, a preemptive education system needs to be established through related research that can closely analyze the reason why the number of integrated special education subjects continues to increase despite the decrease in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 KCI등재

        뇌교육 기반 대안학교 청소년의 성장경험 및 성장요인 탐색: 2014-2016년 신문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권택환 ( Kwon Taeg Hwa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1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growth experiences and growth factors of youth of Benjamin Character Genius School which is a brain education alternative school. For the study, newspaper articles from 2014 to October 2016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growth experience of the youth of Benjamin School was to know their value, to bump into the world, to raise their character, to have a heart-beating dream, and to expand that dream into a dream for the world. The growth factors were the curriculum, the mentor and the teacher, who supported the brain as a master of the brai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whether the timing and period of the free school term of the middle school meet the basic purpose, and the experiential learning of the public education should be operated in a practical direction for a long period together with the communi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brain education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opportunities so that teachers can apply brain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뇌교육 기반 대안학교인 벤자민인성영재학교의 청소년들이 겪는 성장 경험과 성장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2014년부터 2016년 10월까지의 신문기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벤자민인성영재학교에서 체험한 청소년들의 성장경험은 자신의 가치를 알고, 세상과 부딪치며 성품을 기르고, 가슴 뛰는 꿈을 갖고, 그 꿈이 세상을 위한 꿈으로 확장되는 것이었다. 특히, 성장요인은 날 것 그대로의 삶의 현장을 겪게 하는 교육과정, 변화와 성장에 대한 열망과 선택, 뇌의 주인으로서 뇌를 잘 활용하는 뇌교육, 든든한 지원군인 멘토와 선생님이었다. 따라서 현재 중학교 자유학기제의 시기와 기간이 근본 취지에 맞는지 제고해보아야 하며, 공교육의 체험학습이 지역사회와 함께 장기간 실질적인 방향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또한 뇌교육 기반 교사연수 프로그램과 기회를 늘려 학교 현장 교사들이 적용할 수 역량을 길러주어야 한다.

      • KCI등재

        뇌기반 읽기 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읽기 부진 초등학생의 뇌파 및 두뇌활용능력과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권택환(Kwon Taeg Hwan),신재한(Shin Jae 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에서는 읽기 능력이 부진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뇌파 및 두뇌활용능력 진단을 통해서 뇌기반 읽기 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읽기 부진 학생의 읽기 기술 및 전략 향상은 물론, 읽기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및 읽기 동기 향상 등 정의적 영역도 향상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D광역시 A초등학교 3학년, 4학년 중에서 학년 초 진단평가를 실시한 결과 읽기 능력이 부족한 학생으로 판명되거나 담임교사가 관찰한 결과 읽기 능력이 부진 학생 중에서 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10명을 선정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 9월 2일부터 2018년 1월 15일까지 뇌기반 읽기 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한 후, 뇌파 및 두뇌활용능력 검사, 읽기 태도 등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특히, 읽기 능력 부진 학생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결론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능력 부진 학생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뇌과학적인 특성을 고려한 읽기 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읽기 능력 부진 학생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읽기 기술 및 전략 등 인지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읽기 태도 및 동기 등 정의적인 측면까지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읽기 능력 부진 학생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정서 상태가 안정되고 편안한 읽기 준비 상태를 만들어 줌으로써 두뇌 친화적인 읽기 환경을 만들어줄 필요가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verify effectiveness of Brain-based Reading ability Enhancement Program, which is developed based on the diagnose of brainwave and brain utilization capability for low-achieving elementary students in reading. Not only the improvement of reading ability and strategy, but also the affective domains including positive attitude and motivation toward reading can be expected to be improved through this study. We chose 10 grade 3-4 elementary students in D city, who agree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brain - based reading ability improvement program from September 2, 2017 to January 15, 2018,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Brainwave and Brain Utilization Capability test and reading attitude. The following is conclusions for the improvement of reading ability for low-achieving elementary students in reading. First, to increase reading ability of underachievers in reading, Reading Ability Enhancement Program considering neuroscience is needed to be developed and applied. Second, to increase reading ability of underachievers in reading, the affective domains such as an attitude and a motivation toward reading as well as the cognitive side such as reading ability and strategy needs to be considered. Third, to increase reading ability of underachievers in reading, brain-friendly reading environment needs to be created by providing emotional stability and comfortable prepared state for the children. The following are the recommendation of the follow-up study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First, The differences between brainwave and brain utilization capability need to be verified by expanding the study participants because of small number of people in the study. Second, custom counseling program and coaching for reading skill need to be developed considering the perception intensity, the recognition spee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rain activity.

      • KCI등재

        “에너지 집중력 스톤(Stone)”을 활용한 자석놀이가 초등학생의 집중력과 두뇌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권택환 ( Taeg Hwan Kwon ),신재한 ( Jae Han Sh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5 선도문화 Vol.18 No.-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집중력 스톤(stone)’을 활용한 자석 놀이가 초등학생들의 집중력과 두뇌활용능력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연구 대상자는 S시 S대학교 부속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연구의 취지에 동의한 60명을 선정하여 30명씩 실험집단(남학생 16명, 여학생 14명)과 통제집단(남학생 15명, 여학생15명)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또한, 2013년 4월 3주간 주 5회씩(월, 화, 수, 목, 금) 총 15회의 ‘에너지 집중력 스톤(stone)’을 활용한 자석 놀이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에너지 집중력 스톤(stone)’을 활용한 자석 놀이는 교사들이 교실에서 학생들에게 짧은 시간 내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집중력 향상 놀이로서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둘째, ‘에너지 집중력 스톤(stone)’을 활용한 자석 놀이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뇌체조, 명상 등과 병행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에너지 집중력 스톤(stone)’을 활용한 자석 놀이를 통해서 집중력, 학습 효율성 등 인지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자신감, 스트레스 조절등 정서적인 측면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agnet play using ‘Energy concentration stone’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entration and brain utilization ability. For the purpose, 60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rolled in an elementary school affiliated to S university, S city,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hey divided in half randomly, experiment group(male student : 16, female student : 14), controlled group(male student : 15, female student : 15). This study started in April 2013. The magnet play that using ‘Energy concentration stone’ applied 5 times a week(Mon, Tue, Wed, Thu, Fri), total 15ti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gnet play using ‘Energy concentration stone’ have the possibility as the effective way to improve students` concentration. Second, to maximize its effectiveness, the parallel program(meditation, brain gymnastics) will be needed. Third, through the magnet play using ‘Energy concentration stone’, the students improves concentration skill and learning efficiency, moreover emotional aspect like stress regulation, confid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