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Dietary Aloe Improves Insulin Sensitivity via the Suppression of Obesity-induced Inflammation in Obese Mice

        신은주,이종길,심규석,공현석,이성원,신슬미,권정학,주태형,박영인,김경제 대한면역학회 2011 Immune Network Vol.11 No.1

        Background: Insulin resistance is an integral feature of metabolic syndromes, including obesity, hyperglycemia, and hyperlipidemia. In this study, we evaluated whether the aloe component could reduce obesity-induced inflammation and the occurrence of metabolic disorders such as blood glucose and insulin resistance. Methods: Male C57BL/6 obese mice fed a high-fat diet for 54 days received a supplement of aloe formula (PAG, ALS, Aloe QDM, and Aloe QDM complex) or pioglitazone (PGZ) and were compared with unsupplemented controls (high-fat diet; HFD) or mice fed a regular diet (RD). RT-PCR and western blot analysis were used to quantify the expression of obesity-induced inflammation. Results:Aloe QDM lowered fasting blood glucose and plasma insulin compared with HFD. Obesity-induced inflammatory cytokine (IL-1β, -6, -12, TNF-α) and chemokine (CX3CL1, CCL5)mRNA and protein were decreased markedly, as was macrophage infiltration and hepatic triglycerides by Aloe QDM. At the same time, Aloe QDM decreased the mRNA and protein of PPARγ/LXRα and 11β-HSD1 both in the liver and WAT. Conclusion: Dietary aloe formula reduces obesity-induced glucose tolerance not only by suppressing inflammatory responses but also by inducing anti-inflammatory cytokines in the WAT and liver, both of which are important peripheral tissues affecting insulin resistance. The effect of Aloe QDM complex in the WAT and liver are related to its dual action on PPARγ and 11β-HSD1 expression and its use as a nutritional intervention against T2D and obesity-related inflammation is suggested.

      • KCI등재

        전북의 소리꾼 이기권 연구

        신은주 판소리학회 2020 판소리연구 Vol.49 No.-

        Lee Ki-gwon, the Pansori singer, who lived in the early 20th century, learned from Jeong Jeong-ryeol. In addition to Pansori, he had versatile excellence in Geomungo, Gayageum, Buk and Daegeum. Around the liberation period, he stood out in fostering disciples throughout Iksan, Gusan, Jeongeup and Gimje. His disciples include Hong Jeong-taek, Kim Yoo-aeing, Kang Jong-cheol, Kim Won-sul, Choi Nan-su, Seong Un-seon, Lee Il-ju, Hong Yong-ho, Lee Un-hak and Yang Jong-an. In particular, Hong Jeong-taek, Choi Nan-su, Seong Un-seon and Lee Il-ju were representative Pansori singer of Jeollabuk-do during the mid and late 20th century, who were acknowledged as the Second Pansori singer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Jeollabukdo. According to general record, Lee Ki-gwon was born in 1905 and passed away in 1954. However, his disciples testify that his year of birth can be a bit earlier than 1905. Regarding his birthplace as Yeongchangri, Impimyeon of Okgugun, no official grounds have been prov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another information on his birthplace as Hamlamyeon, Ongpomyeon of Iksan. It is known that, in the late 1920s, Lee Ki-gwon learned from Jeong Jeong-ryeol, Heungbuga, Simcheongga, Chunhyangga, Sugunga, Jeokbyeokga and Suk-yeong Nangjajeon together with Kim Yeo-ran. In addition to these, he also learned Danga(short song) “Jeokbyeokbu”. Referring Danga “Jeokbyeokbu” of Hong Jeong-taek, the disciple of Lee Ki-gwon,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same style of Jeong Jeong-ryeol was faithfully transferred. Considering that he was invited to a radio program of Gyeongseong Broadcasting System in two occasions in 1940, it is assumed that he was living in Seoul for his artistic activities. Since 1941, he started to foster his disciples in earnest focused on Iksan throughout Gunsan, Jeongeup and Gimje. He mainly taught Shimcheongga and Chunhyangga, in addition to some other Pansori such as Sugungga and Danga “Jeokbyeokbu.” Even though the Pansori of Lee Ki-gwon is not properly handed down to the present, his teaching contributed to producing many Pansori singers in Jeollabukdo leading this region to be the hub of Pansori culture. This is the reason for which this study intends to shed light on Lee Ki-gwon again today. 이기권(李起權)은 20세기 전반을 살다간 판소리 창자로, 정정렬에게 소리를 배웠으며, 판소리 이외에 거문고ㆍ가야금ㆍ북ㆍ대금에도 두루 능하였다. 그는 해방을 전후하여 익산ㆍ군산ㆍ정읍ㆍ김제 등지에서 제자 양성에 두각을 나타내었는데, 그의 제자로는 홍정택ㆍ김유앵ㆍ강종철ㆍ김원술ㆍ최난수ㆍ성운선ㆍ이일주ㆍ홍용호ㆍ이운학ㆍ양종안 등이 있고, 홍정택ㆍ최난수ㆍ성운선ㆍ이일주는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2호 판소리 보유자로 인정되었던, 20세기 중후반 전라북도의 대표적인 소리꾼이다. 이기권의 생몰년은 흔히 1905~1954년으로 기록하고 있으나, 그의 제자들의 증언을 살펴보면 출생년도가 1905년보다 조금 앞당겨질 수 있다. 옥구군 임피면 영창리 출신이라는 기록 역시 뚜렷한 근거가 밝혀져 있지 않으므로, 익산 웅포면과 함라면 출신설에 대해서도 검토가 필요하다. 이기권은 1920년대 후반 김여란과 함께 정정렬에게 판소리 다섯 바탕과 숙영낭자전을 배운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 외에 단가 <적벽부>도 학습하였는데, 이기권의 제자 홍정택의 단가 <적벽부>를 참고하여보면, 정정렬의 소리를 온전히 전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1940년 5월과 7월 두 차례 경성방송국에 출연하여 단가 <적벽부>와 숙영낭자전, 그리고 단가 <백발가>와 춘향가 중 <어사출도> 대목을 부른 것으로 확인되어, 이 시기 서울에 거주하며 활동하기도 한 것으로 생각되나, 그 이외의 활동 기록은 찾을 수 없고, 1940년 후반기에 군산으로 이주하였다. 제자 양성은 1941년 무렵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는데, 익산을 중심으로 군산ㆍ정읍ㆍ김제 등지를 두루 오가며 제자들을 가르쳤다. 주로 가르친 소리는 심청가와 춘향가이며, 그 외에 수궁가와 단가 <적벽부> 등 다른 바탕소리도 가르친 것으로 보인다. 창극이 흥행을 주도하던 시기 창극에 관심을 두지 않았고, 다수가 서울에 상경하여 활동을 이어가던 시기 고향에 머물렀으며, 묵묵히 자신의 소리를 전승하고자 노력하였던 이기권. 비록 그의 소리가 현재까지 제대로 전승되고 있지는 않으나, 그의 가르침으로 인하여 전북 지역에 많은 소리꾼들이 배출되었으며, 오늘날 여전히 전북 지역이 판소리 문화의 중심지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이것이 이제와 새삼 이기권을 조명하고자 하는 이유이다.

      • KCI등재

        20세기 전반 SP음반의 여류명창 박소춘

        신은주 한국국악학회 2015 한국음악연구 Vol.58 No.-

        20세기 전반은 우리나라에서 음반 산업이 시작된 첫 시기로, 다수의 음반 회사에 의해 다양한 장르의 음반이 제작되었다. 이 시기 전통 음악 가운데 가장 많은 음반이 제작된 장르는 단연 판소리로, 주로 당시 서울에서 활동하던 남녀 소리꾼들이 음반에 녹음을 남겼으며, 권번에 소속되어 활동하던 젊은 기생들도 다수 녹음을 남겼다. 그러나 이들 중 잘 알려진 몇몇 창자들을 제외하고 대다수의 창자들은 오늘날 음원만 전할 뿐 그의 인적사항이나 활동 및 음악 특징에 대해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본고의 대상이 되는 박소춘 역시 음원 자료 이외에 그간 알려진 바가 없었다. 박소춘은 대구 달성권번 출신으로 1934년과 35년 대구 지역뿐 아니라 서울 중앙 무대까지 진출하며 활동한 소녀명창이다. 1910년대 후반 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1934년 Regal 음반회사에서 6면의 음반을 발매하였고, 동년 10월 한 차례 경성방송국 방송 기록이 있으며, 1935년에는 박녹주와 함께 대구공회당에서 공연한 기록이 발견된다. 남겨진 음원을 통해 그녀의 소리 특징을 살펴보면, 주로 동편 계보의 소리와 유사하나 유파와 관계없이 당시 유행하던 소리를 도막소리로 학습하였다. 모흥갑 더늠 <이별가>와 같은 고제 더늠을 보유하고, 강산제․경드름․추천목 등의 악조를 활용하는 점에서도 고제적 측면이 보인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큰 폭의 도약 진행과 간음의 사용 및 엇붙임과 촘촘히 사설을 엮어가는 리듬을 통하여 화려하면서도 다채로운 선율을 구사하고 있어, 소리 스타일은 고제가 아닌 당시 유행하던 형태를 학습하였다고 하겠다. 이와 같이 다양한 소리 양상을 보이는 점은, 그녀가 하나의 소리 계보에 국한되지 않고, 당시 유행하던 소리를 도막소리로 학습한 결과이고, 이는 20세기 전반 권번 출신 여류 창자들의 소리 경향을 대변한다.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s the first time the recording industry started in this country. Various genres of records were produced by many record companies, and so many pansori records were issued. Male and female singers working in Seoul and young gisaengs belonging to Gwonbeon left many pansori records. However, except for well-known some singers among them, most singers are little-known today. Very little is known of Park Sochun, the subject of this study besides music resources in the meantime. Park Sochun came from Dalseong Gwonbeon in Daegu, and might be born in the late 1910s. In 1934, she issued 6 sides of record in Regal Record Company, and it is documented that she appeared on Gyeongsung Broadcasting Station in October that same year. In 1935, it is also documented that she performed with Park Nokju in Daegu. She learned a current pansori at the time partially, focusing on Dongpyeonje Pansori. She possessed old pansori like <Ibyeolga> Mo Heunggap composed, and using a mode like Gyoungdeureum Chuchunmok is also an old style. However, her pansori uses wide skip and natural note generally. In addition, her pansori uses a lot of Eotppuchim that beat cycle and prose cycle are dislocated, and weaves a prose closely. Therefore, her rhythm is highly complicated and fancy. Such her style may be a result that she learned a current singing style at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rather than an old sty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