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하이데거 철학에 대한 실용주의적 해석의 의미와 한계

        신승환(Shin Syng-hwa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07 인간연구 Vol.- No.12

        인간은 도구를 사용하면서 문화와 문명을 이룩하고, 이를 통해 세계를 새롭게 구성하고 해석하는 작업을 시작하였다. 인간을 ‘도구적 존재’(Homo faber)로 규정하는 오랜 전통은 분명 타당하다. 그럼에도 철학의 전통은 이러한 인간의 도구성(Instrumentality)을 다만 인식론적이거나 자연과학적으로 이해하는 데 머물러 있었다. 이 말은 인간의 도구성이 객관적 사물성에 제한되어 이해되었다는 의미이다. 인간 실존(existence)을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인간이 이룩한 체계, 문화와 사회는 물론이고, 그를 둘러싼 외적이며 내적인 조건성, 자연과 세계와 함께 역사와 학문 일반에 대한 반성과 해석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그를 위한 해명의 출발은 인간 실존을 그의 근본 조건 가운데 하나인 “도구 사용성”(M.Heidegger: 도구성)에서 해명하는 작업이 선결되어야만 할 것이다. 그러한 관점에서 이 글은 인간의 실존성(existentiality)을 해명하기 위해 도구성에 대한 철학적 견해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되 다만 인식론적이거나 자연과학적으로 설명하는 단계를 넘어, 도구 사용성을 인간의 원초적 실존성이란 관점에서 해명하는 하이데 거의 철학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는다. 나아가 이러한 하이데거의 철학적 견해를 수용하여 전통 형이상학의 체계를 해체하려 시도한 (신) 실용주의(Neopragmatism) 철학, 특히 로티(Richard Rorty)의 철학의 공통점과 차이를 해명한다. 왜냐하면 이 두 철학은 전통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을 도구성 이해란 관점에서 사유와 논의의 과정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구성 해명에 있어 이 두 철학적 견해는 분명 인간 이해를 위한 귀중한 사유 동인을 제공하고 있다. 그럼에도 로티를 비롯한 신실용주의 철학은 인간의 도구성을 다만 사용의 관점에서만 보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 글은 전반부에서 ??존재와 시간??(1927)을 중심으로 전개된 하이데거 철학의 “도구 존재성”(손안의 존재성: Zuhandenheit)을 해명함으로써, 도구성과 연관된 인간의 실존성을 존재론적으로 해명한다. 이어 후반부에서 이를 수용한 (신)실용주의 철학의 맥락과 한계를 밝히고 있다. 이를 통해 도구를 사용하는 존재라는 인간 실존성을 이차적인 학(學)적 체계가 아닌 근원적인 관점에서 해명할 것이다. 이로써 인간 실존성이 그의 근원적 존재성에서 해명되는 실마리를 제시하게 될 것이다. Man has made up culture and civilization using instruments, through which it has begun to newly construct and interpret the world. The long tradition that defines man as ‘Homo Faber’ is clearly adequate. Nevertheless, the tradition of philosophy has understood such instrumentality of man only epistemologically or in the sense of natural science. This recognition means that the instrumentality of man has been understood limited to objective materiality. In order for us to understand man’s existence, not only the systems, cultures, and societies that man has founded, but also the reflec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history and scholarship at large along with the conditions, nature, and the world that surround it externally and internally. The resolution to this problem should start from the work that explains man’s existence based on his ability to use instruments, one of the basic conditions on man’s existence.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tries to analyze philosophical opinions about the instrumentality in order to explain man’s existence. While performing this work, I do not stay at the stage of explaining man’s existence epistemologically or in the sense of natural science, but takes Heidegger’s philosophy as its starting point of discussion that explains the human’s ability to use instruments from the viewpoint of the man’s basic existentiality. Furthermore, I try to explicate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between Heidegger’s philosophy and Richard Rorty’s; the latter belongs to (Neo)pragmatism, which has tried to deconstruct the system of the traditional metaphysics while accommodating Heidegger’s philosophical viewpoint. This is because the two philosophies share the processes of speculation and discussion about the criticism of the traditional metaphysics from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the instrumentality. The two philosophical viewpoints clearly provide important motives of the speculation for the understanding of man in explaining the instrumentality. Nonetheless, Neopragmatist philosophy, including Rorty’s, has a limitation in viewing the man’s instrumentality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use. In the first half of this paper, I explain the man’s existentiality related to the instrumentality ontologically by explicating “Zuhandenheit” of Heidegger’s philosophy, which has been developed based on Sein und Zeit(1927), and then in the second half, I shed light on the context and limitations of Neopragmatism, which has adopted Heidegger’s philosophy. Through this, this paper will explain the existentiality of the human Being, i.e. existence using instruments, not in a secondary scholarly system, but from a fundamental perspective. With this, it will present a clue to the explication of the man’s existentiality based on his fundamental Beingness.

      • KCI등재

        생명철학과 생명정치학의 함의

        신승환 ( Shin¸ Syng-hwa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9 가톨릭철학 Vol.0 No.32

        이 논문은 생명철학과 생명정치학의 함의와 그 관계를 해명하려는 글이다. 생명에 대한 존재자적 탐구가 생명의 의미를 망각한다면 생명철학은 그 존재론적 의미를 밝히는 형이상학적 작업이다. 그에 비해 생명정치학은 생명체의 타당한 존재론적 터전을 정립하는 실천 철학의 영역에 속한다. 현대의 사회문화적 상황은 생명을 실용주의적 관점에 따라 대상화함으로써 생명이 생명으로 자리할 터전을 박탈한다. 이런 현대 사회의 생명성 망각과 생명 소외 현상을 넘어설 길을 생명철학의 존재론과 생명정치학의 실천철학에서 찾으려는 노력이 이 글에 담긴 근본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이 두 학문을 포괄하는 맥락에서 설정한 생명학의 범위와 내용을 해명한다. 이어 생명철학의 내용을 설명한 뒤, 이를 바탕으로 생명정치학의 내용을 소개한다. 여기에는 F. 푸코의 생명관리정치와 G. 아감벤의 생명정치학이 포함된다. 이어 현대 사회에서 생명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전유하면서 이를 자본주의적 맥락으로 몰아가는 생명자본의 정치경제학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이런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우리의 실존과 존재를 생명성으로 연결지어 해명하는 철학적 사유가 필요함을 말하면서 정당하게 이해하는 생명철학적 학문을 주장할 것이다. 그에 따라 생명과 올바른 관계맺음을 가능하게 하는 생명정치학이 정초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mean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ophilosophy and biopolitics. The biophilosophy is a metaphysical work that reveals its ontological meaning if the quest for existence of life forgets the meaning of life. On the other hand, the biopolitics belongs to the field of a practical philosophy that establishes the valid ontological place of life. The contemporary socio-cultural situations deprive life as a place of life by targeting life according to a pragmatic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ry to find a way to overcome the life-forgetting and life alienation phenomenon of modern society from the ontology of life philosophy and the philosophy of life politic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will account for the scope and contents of the study of life set out in the context of these two disciplines. After explaining the contents of the biophilosophy, the contents of biopolitics will be explained based on this. This includes F. Foucault’s life-management politics and G. Agamben’s biopolitics. Then, we critically analyze the political economics of biocapital which appropriates the scientific knowledge of life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drives it into the capitalist context.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conclusion will insist on the life-ness that we understand justly, saying that we need a philosophical reason to link our existence and existence to life and explain it. Thus, it is possible to make to the primacy of biopolitics, which enables life to have a proper relationship with it.

      • KCI등재

        인문학의 특성과 그 미래

        신승환 ( Shin Syng-hwan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17 한국언어문화 Vol.0 No.64

        인문학의 위기 담론은 반복해서 거론되었지만, 여전히 이 주제를 해명한 사유는 새롭게 재현되지 못하고 있다. 그 까닭은 우리의 현재를 사유하지 못하는 인문학의 불임성 때문일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인문학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미래의 인문학을 해명해보고자 한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인문학의 존재론적 특성을 논의한 뒤, 자기이해라는 특성에서 인문학을 살펴보고 구원과 해방의 인문학적 특성을 해명한다. 그것은 “인간의 상황(conditio humana)”에 대한 성찰을 의미한다. 이런 이유에서 인문학은 포스트휴머니즘적 관심사에서 논의되기에 이른다. 이러한 인문학의 미래는 탈형이상학적 사고에 근거한다. 이 논문의 결론이 포스트(post)적 사고에 근거한 미래 인문학의 특성에 대한 해명으로 이어지는 까닭은 여기에 있다. Even if the discourse “the crisis of humanities” has been repeatedly in our society, the new thought for this subject is even not represented, cause of the sterility of our humanities, that could not reflect our present. The article will explain the characteristic of the humanities and argue that point for the future of humanities. In this regard this paper will discuss the ontological meaning of the humanities, the self-understanding, and the character of the emancipation and rescue. The studies of the humanity has oriented the philosophical character, i.e. to reflect the “conditio humana”. For this reason the humanities has to concern the posthumanism. This future humanities will be grounded in the postmetaphysical thought. In conclusion this article explain the character of the future humanities in the relation with the post-thought.

      • KCI등재후보

        동서 사유의 생명철학적 계기

        신승환(Shin, Syng-Hwan)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동서인문학 Vol.0 No.53

        현대철학의 논의지평에서 철학의 종말 담론은 일상적인 주제가 되다시피 했다. 그 까닭은 철학 자체에서 기인한 측면도 있지만 과학주의가 범람하면서 변화된 문화적, 학문적 지형 때문이기도 하다. 그에 따라 이렇게 변화된 철학적 맥락을 해명할 새로운 형이상학적 사유에 대한 요구가 급격히 증대하고 있다. 현대 철학이 직면하는 이런 상황은 이 땅의 철학에게는 이중의 과제로 다가오고 있다. 그것은 한편으로는 철학의 본성에 따른 보편적 과제와 함께 다른 한편 우리에게 고유한 철학적 사유 과제에 따른 것이다. 철학의 사유는 보편성과 개별성, 동일성과 차이 사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 사이를 밝히는 작업을 여기서는 동아시아의 철학과 유럽철학의 관계를 통해 해명하려는 것이다. 이글은 이러한 철학적 과제를 달성하는 계기를 생명철학적 사유를 통해 찾아보려 시도한다. 이러한 시도의 근거는 무엇보다 먼저 동아시아 철학은 그 시작에서부터 생명철학적 사유 동기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그와 함께 보편적인 해석학적 지평에서 제시되는 탈형이상학적 사유 근거 역시 생명철학적 사유를 통해 정초하려 한다. 이런 이중의 과제를 이 글에서는 동과 서의 철학에 담긴 생명철학적 계기를 통해 논의하고 있다. In the modern philosophy the discourse of the end of philosophy is a usual topic. The cause of this phenomenon is immanently due to not only the philosophy itself but because of the scientism from that the cultural and academical topography has sharply changed. Accordingly there is a recent upsurge in demand for a new metaphysical thought that the changed philosophical context will be explained. This philosophical situation appears to be a dual task for our philosophy. On the one hand the reason of the task is from the universal characteristic of the philosophy, but on the other, the uniqueness of the philosophical thought. The philosophical thought is founded on the universality and the individuality, by the same token is composed of the identification and the difference. This betweenness of the philosophical feature will be analysed in our task that explains through the thought of the relationship of east and west philosophy. In the article I will attempt to search the momentum that the philosophical task will be analysed from the bio-philosophy. The reason of this attempt is most of all the eastern philosophy in the beginning stemmed from the momentum of the bio-philosophical thought. On this account this article will be tried the ground for the postmetaphysical thought from the universal hermeneutical horizon on the bio-philosophical thinking. This task, that has assigned to our philosophical constellation, will be discussed in the article based on the bio-philosophical momentum of the east-west philosophy.

      • KCI등재

        현대 철학에서의 진리 이해 가능성

        신승환(Shin, Syng-Hwa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5 神學展望 Vol.- No.191

        인간은 자신의 본성에서부터 진리(眞理: veritas)를 추구하는 존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사회에서 진리 담론은 감추어지거나 소홀히 다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본고는 과연 현대 사회에서 진리를 이해할 가능성이 있는 것인지, 있다면 그것은 어떤 해석학적 지평일지를 논의한다. 이를 위한 논의는 진리에 대한 전통적 견해인 대응설과 정합설, 실용주의적 진리 이해를 넘어선다. 현대 사회에서 진리 개념을 이해할 가능성을 논의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존재자의 존재와 존재 의미에 따라 진리 문제를 논의하는 하이데거의 존재론을 고찰할 것이다. 이 진리(aletheia) 개념은 하이데거에 따르면 존재자의 존재 의미가 은폐된 데서 존재지평으로 열어 밝혀지는 데 자리한다. 이를 그는 존재의 열어 밝혀져 있음(Erschlossenheit)이라고 표현한다. 이러한 존재 의미의 진리론은 진리가 드러나는 터전인 현존재(Dasein)의 실존성과 함께 자유, 초월(transcendence) 문제와 연결된다. 존재론적 진리는 존재자에 대한 대상적 지식을 넘어 존재자의 존재지평을 문제 삼는다. 하이데거는 이러한 존재론적 진리 이해를 통해 전통 형이상학이 망각해온 존재론적 차이에 주목하며, 이를 통해 근대 학문의 일면성을 극복하려 한다. 자연과학적 근대 학문은 존재론적 차이는 물론, 존재자의 존재 의미를 보지 못한다. 이로써 진리를 다만 객체적 사실에 대한 지식으로 축소시키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이러한 오류를 넘어설 해석학적 지평이 존재 드러남의 진리 지평인 것이다. 이런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현대 사회에서 진리 논의가 어려워진 까닭을 학문의 변화와 무(無)를 보지 못하는 문화적 특성에서 고찰한다. 진리이해는 학문의 패러다임과 밀접히 연관된다. 그러기에 존재론적 진리 이해는 결국 근대과학의 패러다임을 넘어서는 학문론의 변형과 연결된다. 본고는 그런 관점에서 존재론적 진리 이해를 위한 철학적 사유의 학문으로 해석학을 거론한다. 이와 함께 본고는 진리를 존재론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인간의 초월적 특성과 연결된 영성(spirituality) 논의의 단초를 언급한다. 그 사유는 초기 그리스 철학의 로고스(logos)론과 연결된 그리스도교적 로고스 이해에 자리한다. Human beings pursue truth from their nature. Yet, the discussion of truth has been ridiculed and ignored in modern society. This article shows how to understand truth and its hermeneutic. The article begins by looking at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truth, such as correspondence theory, coherence theory, and the pragmatical understanding of truth. Then the article looks at Heidegger’s Ontology in order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truth in modern culture. Heidegger’s concept of truth is ontological, that is, it is about the meaning of being. His argument for truth is linked to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and the concepts of freedom and transcendence. Based on the above, this article then looks at why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ruth in modern culture, that is, why it is hard to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s of nothingness as well as transformation in knowledge. Finally, this article looks at spirituality based on the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truth. This particular issue is closely related to one characteristic of human beings, that of transcendence.

      • 특집 : 존재와 해석 ; M.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해석학

        신승환 ( Syng Hwan Shin ) 한국해석학회 2012 해석학연구 Vol.29 No.-

        In this article M. Heidegger`s hermeneutics will be explained in terms of ontology, that is beyond such a concept of philological or textual hermeneutics. Heidegger is defined his hermeneutics as ontological, that is not such hermeneutics since F. Scheleiermacher and W. Dilthey was developed. For this purpose this paper will be explained Heidegger/s hermeneutics in concept of "hermeneutics of facticity". That is an interpretation for the character of being of Dasein. Heidegger performs this tasks in the name of "existentiale." After that he considers "present", that the horizon of time for the character of Dasein, and the path to the language of Being. In conclusion this paper explains hermeneutical clues on the basis of the ontological Interpretation, that opens the path of late Heidegger`s thought to relative the "Seinsgeschick". This path of thought is developed a philosophy of overcoming to the modern metaphysics in the contemporary philosophy. At this point Heidegger`s philosophy has a present significance. Thus his hermeneutics is eventually a metaphysical thought process, therefore his philosophy leads postmetaphysical thought. This paper explains such path of philosophical thought through the hermeneutics.

      • KCI등재

        포스트휴먼 시대의 인간 이해와 예술 교육

        신승환(Syng-Hwan Shin)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1 미술과 교육 Vol.22 No.1

        현대 문화의 여러 징후는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을 쟁점화 시키고 있다. 이 담론은 현대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변화된 시대상에서 필요한 새로운 인간 이해를 논의한다. 이 글은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의 인간이해를 바탕으로 예술의 본질과 예술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모색하려 한다.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은 전통적 인간 이해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인식을 공유하지만 주장하는 사람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고 있다. 그런 까닭에 이 글은 먼저 포스트휴머니즘이 논의되는 문제 지형과 문화적 상황을 소개하면서 이 담론의 일반적 내용을 소개한다. 이런 논의를 바탕으로 예술작품의 본질과 실존적 성격을 해명한다. 그 논의는 예술을 작품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을 위한 과정과 길로 이해하려는 담론이다. 이런 논의를 바탕으로 예술 교육의 본질적 특성을 살펴본 후, 새로운 인간 이해와 예술 교육의 토대를 예술적 감수성에서 찾으려 한다. 이러한 감수성을 여기서는 생명과 생태감수성을 바탕으로한 심미적 감수성으로 개념화한다. 포스트휴먼 시대의 예술은 인간 이해의 전환을 통해 이 감수성을 새롭게 이해하고 재현하는 그 길 위에서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은 이러한 새로운 이해를 지향하기에 이 글은 그 논의를 토대로 예술과 예술 교육의 새로움을 논의하려 하는 것이다. Various symptoms of modern culture have raised the issue of posthumanism discourse. This discourse has based on the new human understanding needed in times that have changed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This article seeks a new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art and art education based on human understanding in the posthumanism era. Posthumanism discourse shares the perception that traditional human understanding is no longer valid, but it is presented in a wide variety of forms depending on who claims it. Therefore, this article first introduces the general contents of this discourse, introducing the problem terrain and cultural situation where posthumanism is discussed. In the context of this discussion, the essence and existential nature of the artwork are explained. The debate is not about understanding art as a work, but rather about understanding it as a process and path for art. Based on these discussions, we look at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art education and try to find the foundation for new human understanding and art education in artistic sensitivity. This sensitivity is conceptualized here as aesthetic sensitivity based on life and ecological sensitivity. This is because the art of the posthuman era will be possible on the way to a new understanding and reproduction of this sensibility through the transition of human understanding. Posthumanism discourse is aimed at this new understanding, so this article is based on that discussion to discuss the novelty of art and art education.

      • KCI등재

        탈형이상학적 사유동인과 이성개념의 전환

        신승환 ( Syng Hwan Shin ) 동양철학연구회 2009 東洋哲學硏究 Vol.57 No.-

        현대의 세계체계와 문화일반은 16세기 이래 유럽에서 형성된 근대와 근대의 시대정신(근대성)에 따라 형성되었다. 이 근대성(近代性)이 19세기 이래 동아시아의 세계와 체계 일반은 물론, 나아가 우리의 존재 자체에도 엄청난 충격으로 다가왔다. 그 이후 근대화는 동아시아 세계의 운명이 되었다. 우리의 철학은 이러한 근대화와 근대성이라는 거대한 물결을 해명하고 성찰해야할 시대적 과제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과제는 우리의 세계와 존재를 새롭게 해석하고 이를 위한 사유의 틀을 정립하는 철학적 작업일 것이다. 현대철학에 주어진 이러한 근원적 과제는 형이상학의 전환을 요구한다. 근대는 그 이전 시대와는 다른 형이상학적 틀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형이상학의 변용(變容)은 이성 이해의 전환에 근거하기에, 여기서 이성 이해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이해의 틀을 정립하는 작업 역시 동일한 관점에서 요구되는 근원적 과제임에는 틀림이 없다. 이 논문은 이러한 근대의 형이상학과 이성 이해의 전환을 위한 해석학적 작업을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근대를 넘어서는 형이상학을 여기서는 탈형이상학이라 이름하며, 그 근거가 되는 이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모색하고 있다. 그것은 하버마스적 의사소통적 이성을 넘어 내재적 초월성을 지향하는 이성 이해이며, 그에 근거하여 정립되는 형이상학을 지향한다. 이 글은 이를 위해 탈근대의 문제를 제기한 뒤, 근대의 형이상학 개념과 이성의 문제를 해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해명과 근거를 바탕으로 하여 탈근대의 형이상학과 이성 이해에 대해 논구하고 있다. Das gegenwartige Weltsystem und die Kultur uberhaupt werden von der Moderne und dem Zeitgeist der Moderne begrundet, die seit 16. Jh. in Europa entwickelt. Seit 19. Jh. hat diese Modernitat nicht nur im ostasiatischen Weltraum und System uberhaupt, sondern zu unserem Wesen selbst einen gewaltigen Anstoβ gegeben. Seitdem ist die Modernization unseres Schicksal in der ostasiatischen Lebenswelt geworden. Von daher hat die Philosophie in unserer Lebenswelt die zeitgenossische Aufgabe, solche ungeheuere Welle, namlich die Modernization und Modernitat zu erklaren und zu uberwinden. Diese Aufgabe ist ein philosophisches Werk, unseren Weltraum und das Sein wieder zu erhellen und den dafur bestimmten Denkansatz zu begrunden. Die wesentliche Aufgabe der gegenwartigen Philosophie nimmt die Transformation der Metaphysik in Anspruch. Die Moderne ist ebenso einen neuen metaphysischen Grund gegen das fruhere Zeitalter begrundet werden. Im Hinblick darauf fordert diese Transformation der Metaphysik zu einem neuen Vernunftverstandnis. Die beiden Aufgaben sind der Hauptsatz der gegenwartigen Philosophie. In dem Artikel handelt es darum das hermeneutische Werk fur die Transformation der Metaphysik und den Vernunftbegriff. Voh daher wird die nach der Moderne entwickelt Metaphysik als "Postmetaphysik" genannt. Die Begrundung fur das neue Verstandnis des Vernunftbegriffs ist eine immanente Transzendental. Diese immanente Transzendental richtet sich uber den die Kommunikativen Vernunft fur das postmetaphysische Paradigma.

      • KCI등재

        자본주의 체제에서 대학의 현재와 미래

        신승환(Shin, Syng-Hwan) 사회와철학연구회 2012 사회와 철학 Vol.0 No.24

        오늘날 한국 대학은 급격히 기업화에 대한 요구에 직면해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여러 다양한 정책을 통해 대학의 연구와 학문이 기업적 근거를 창출하도록 강요하고 있다. 대학은 적극적으로 또는 소극적으로 이런 요구를 추종하고 있다. 그 가운데 대학인은 학문과 교육의 자율성을 지키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 것일까. 이 논문은 한국 대학이 당면하는 기업화의 요구와 그 뒤에 자리한 자본주의 체계에서의 대학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성찰을 담고 있다. 이런 시대적 흐름에 대해 대학은 어떻게 맞서야 하는 것일까. 이런 질문에 답하기 위해 이 글은 먼저 대학의 목적과 존재 이유에 대해 고찰할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 역사에 대한 간략한 보고와 함께, 근대 대학의 목적에 대해 논의한다. 그 뒤 현재 한국의 대학이 처해진 현실에 대해 기업화와 정책적 통제라는 문제를 통해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거쳐 과연 대학과 대학인은 자신의 학문과 연구, 교육의 목적과 자율성을 지키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질문한다. 그 질문은 대학의 종말과 학문의 자율 사이에 선 존재론적 결단의 문제이다. Nowadays the Korean universities will be forced to form into commercial society. The Education Ministry demand various plans and policies for the produce on commercial basis of researches and studies to universities. The Universities also follow active or passive such policies. In this paper I will reflect on such demands for commercialization and the present and future of university in the capital society. How can face scholarship and university this stream of times. To answer this question the article considers first of all the reason of being and the purpose of university. For this point to understand this paper will report on the brief history of university, after that discuss the system and meaning of modern university. We have to reflect on the concrete actualities of Korean universities, above all on the issues through commercialization and political control from government. Then this article asks to scholars and universities what to do for the freedom and autonomy of scholarship, research, and education. This question is a matter of ontological decision between death of university or autonomy for schola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