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동자의 삶의 질

        신승배 ( Shin Seung Ba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1

        이 연구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동자의 삶의 질이 삶의 주관적 목표와 객관적 환경과의 일치 정도를 반영하고 있는 삶의 특정 하위 영역에 대한 만족의 결과임을 밝혀보고자 했다. 분석에 의하면, 비정규직 노동자의 삶의 질이 정규직보다 낮게 나타났고, 임금노동자들의 삶의 질은 시간당 임금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고, 강원/제주에 비해 경상과 충청지역 거주자들의 삶의 질이 낮고, 가족의 수입, 여가활동, 주거환경, 가족관계, 친인척 관계, 사회적 친분관계, 주관적 건강상태의 7개 삶의 영역별 만족도가 높을수록 전반적 삶의 질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당 임금은 임금노동자에게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모든 삶의 영역별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지만 비정규직에서는 가족의 수입에 대한 만족에만 영향을 미쳤고, 삶의 영역별 만족도와 함께 평가된 비정규직의 전반적인 삶의 만족에는 그 영향력이 사라졌다. 이 연구에서는 삶의 각 영역별 만족에 관한 변인을 추가한 분석모형이 객관적 지표로만 구성된 모형보다 한국 노동자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더 잘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도출하려 했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at the quality of life of regular and irregular workers is the result of the satisfaction of the specific domain of life which reflects the degree of coincidence of the subjective goal and the objective environment of lif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quality of life of irregular workers was lower than that of regular workers. The quality of life of wage workers was higher as the hourly wage was higher, and the quality of life of wage workers who were living in Gyeongsang and Chungcheong area was lower.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even life domains of family income, leisure activities, residential environment, family relationship, kinship relation, social relationship,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the higher overall quality of life was. Wage influenced satisfaction with all domains of life as an important influential factor for wage workers, but it affected only the satisfaction of family income in irregular workers, and its influence disappeared in the overall satisfaction of life of irregular workers. In addition, the analytical model with added variables related to the domain satisfaction of life can explain the overall quality of life better than the model consisting of objective indicator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승배 ( Shin Seungba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4

        이 연구는 2016년에 생산된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1차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독립변인인 사회인구학적 특성, 사회경제적 지위인 교육, 소득, 직업, 주관적 계층의식, 삶의 영역별 만족도인 가족, 친구, 거주지, 건강, 수입, 여가활동, 하는 일에 대한 만족도와 종속변인인 장애인의 전반적 삶의 질에 대한 기술통계를 살펴보았고, 각독립변인별 평균차이 검증을 실시하여 삶의 질을 비교분석하였으며, 장애인의 전반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한국 장애인들은 기혼자에 비해 미혼 장애인이 삶의 질이 높고, 소득이 많고 주관적 계층의식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삶의 하위 영역에서는 가족, 친구, 거주지, 건강, 수입, 여가활동, 하는 일에 만족할수록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은 하는 일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크며, 다음으로 수입, 가족, 거주지, 건강, 친구, 여가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장애인이든 비장애인이든 삶의 질에 있어 객관적 측면보다는 주관적 측면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장애인의 삶에 있어 일의 중요성이 다시 한 번 강조되었다. Using the first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2nd Wave 2016,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overall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Specially, it tried to find out how socio-demographic, socio-economic status,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domain satisfaction(relationship with family, relationship with friend, residence, health, income, leisure activities, and job) factors influence on their level of quality of life. It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F-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quality of life of unmarried and disabled people with high incomes was higher. the effect of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on the quality of lif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casual effect in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Korean disabled people`s quality of life was better explained by domain satisfaction, which means that overall quality of life is the net outcome of satisfaction with all of the major domains of life.

      • KCI등재

        동아시아의 가족가치관과 행복감 비교: 한국, 중국, 일본 비교

        신승배 ( Seung-bae Shin ),이정환 ( Jung-whan Lee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지역과 세계 Vol.39 No.3

        이 연구는 2012년에 수행된 국제사회조사프로그램(ISSP: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me) 자료를 사용하여 동아시아 3개국(한국, 중국, 일본)의 가족가치관과 행복감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분석결과 먼저 세 국가의 행복감은 일본, 중국, 한국 순으로 일본이 가장 행복한 국가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족가치관별 비교 결과를 살펴보면, 결혼에 대한 가치관은 한국, 중국, 일본 순으로 한국이 가장 보수적이었으며, 동거에 대한 가치관은 일본, 한국, 중국 순으로 일본인들이 가장 개방적 태도를 보였다. 이혼에 대한 가치관에서는 중국, 일본, 한국 순으로 중국인들이 가장 개방적 태도를 보였고, 성역할에 대한 가치관에서는 중국, 한국, 일본 순으로 중국이 가장 보수적이었으며, 일본이 가장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다. 가정생활만족도는 중국, 일본, 한국 순으로 중국인들이 가정생활에 가장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중국, 일본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면, 한국, 중국, 일본 세 국가 모두 주관적 계층의식이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결혼에 대한 가치관과 가정생활만족도가 행복감을 더 잘 설명하는 요인이었으며, 중국은 소득, 결혼에 대한 가치관, 그리고 가정생활만족도였고, 일본은 가정생활만족도가 행복감을 더 잘 설명하는 요인이었으며, 가족가치관은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family values and determinants of the happiness in Korea, China, and Japan. For this research, family modules from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ISSP) 2012 are us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happiness was higher in the order of Japan, China, and Korea, while the satisfaction of family life were higher in the order of China, Japan, and Korea. And also marriage value was higher in the order of Korea, China, and Japan. Cohabitation value was higher in the order of Japan, Korea, and China. But divorce value was higher in the order of China, Japan, and Korea, while gender role value was higher in the order of China, Korea, and Japan. These results showed that traditional and conservative values were coexisted in Korea. Second, the differences of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socioeconomic status, family values, satisfaction of family life, and the happiness of the three countries are that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and satisfaction of family life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asual effect on the happiness in all those three countries. But family values were found to have a casual effect only in Korea and China. This means that Japanese were less family value-centered compared with Korean and Chinese.

      • KCI등재

        한국 동성애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승배 ( Shin Seungba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保健社會硏究 Vol.33 No.1

        이 연구는 동성애자들 스스로 인지하고 평가한 건강관련 삶의 질에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하여,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으로 구성되는 `건강관련 삶의 질`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자기효능감, 동성애 혐오감, 스트레스, 동성애자 확신기간 등의 개인적 요인에 관한 변인과 사회적 지지감 및 사회적 낙인감 변인, 사회인구학적 특성 요인인 연령, 파트너유무, 교육수준 등의 환경적 요인에 관한 변인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인과적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동성애자 전체에서 사회적 지지감에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기효능감, 동성애 혐오감, 스트레스였으며, 사회적 낙인감에 대해서는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가 유의미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요인으로는 동성애 혐오감과 스트레스였으며,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요인으로는 스트레스와 교육수준이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사회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요인으로는 사회적 지지감,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파트너 변인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스트레스는 신체적ㆍ정신적ㆍ사회적 건강뿐만 아니라 건강 관련 삶의 질에도 직접적이고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관련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과요인은 스트레스, 연령, 교육이었으며, 게이의 경우는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동성애 확신기간, 파트너였고, 레즈비언의 경우는 사회적지지, 동성에 혐오감, 스트레스, 교육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perceived social stigma, and self-esteem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gay men and lesbians in korea. To achieve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and this sample was based on 237 gay men and lesbians. A sampling method was the snowball sampling using face to face interview. The main results testifi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function of perceived social support effected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gay men and lesbians. Second, perceived social stigma turned out not to be any effect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Third, self-esteem influenced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Fourth, homophobia proved to be positive effect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lesbians. Fifth,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asual effect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gay men and lesbians. In conclusion, It`s necessary for future studies to more systematically investigate any other variable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quality of life of gay men and lesbians.

      • KCI등재

        홈리스의 생활양식과 자아정체성에 관한 연구

        신승배(Shin Seungbae) 한국공공사회학회 2011 공공사회연구 Vol.1 No.2

        이 연구는 홈리스들이 갖는 문화적 특성과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홈리스의 일상생활을 심층면접을 통하여 살펴본 것이다. 홈리스 집단은 일반사회와는 구별되는 그들만의 생활양식을 가지고 있으며, 빈곤문화와 마찬가지로 사회의 지배적인 계층과 구별되는 홈리스들만의 태도와 가치를 갖는 독립된 하위문화의 형태로 탈노숙에 대한 낮은 열망 수준과 개체 간 사회화를 통해 독특한 계층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노숙 전의 교육과 취업기회의 결여는 노숙 진입에 영향을 주며, 경제력 상실과 일반사회와의 관계 약화는 홈리스 사회로의 진입을 촉진한다. 노숙생활 중 일일경제 패턴과 홈리스 집단의 독특한 문화는 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친다. 홈리스는 홈리스 집단의 일상생활을 통하여 홈리스 문화를 체험하고 홈리스 집단의 하위문화를 받아들이게 됨으로써 홈리스로서의 자아정체성을 확립해 나간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노숙생활 중의 생존을 위한 적응전략으로 홈리스 문화를 선택해 나감으로써 이루어진다. 특히 빈민들이 주요한 사회제도와 통합되지 못하고 이탈되는 특징은 빈곤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이기도 하며, 홈리스가 생존을 위하여 일반사회와의 관계 단절이라는 생존전략을 선택한 때문이기도 하다. 홈리스 문화는 기회의 결여를 기반으로 생산되고 빈곤문화와 같은 홈리스 문화의 영향으로 지속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describe subculture of homeless people in urban Korea. especially by focusing on their lifestyles and self-identitie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Homeless people have their own lifestyles and unique sub-culture that include their own attitudes and values. Homeless culture was based on the lack of education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sustainable under the influences of poverty culture. They embraced a sub-culture of homeless through the daily lives and established their own self-identities as their functional survival strategy. So, they accept their life experiences on the streets as a way of life and they have low self-esteem and little respect for themselve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help explain why homeless people have a difficult struggle to get out of the state of homelessness.

      • KCI등재

        HIV 감염인 및 AIDS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승배 ( Shin Seungba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保健社會硏究 Vol.31 No.4

        이 연구는 눈덩이 표집(snowball sampling)방법을 활용하여 선정된 HIV 감염 확진 후 최소 3개월 이상 된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중 이 연구에 참여의사를 밝힌 자 251명을 대상으로 HIV 감염인 및 AIDS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HIV 감염인 및 AIDS 환자의 건강관련 삶 의 질에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사회적 지지, 사회적 낙인, 자기효능감, 질병인 지, 스트레스, 연령, 미혼, 소득 등이었으며,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각수준이 높으면 건강관련 삶의 질적 수준이 높고, 사회적 낙인감이 심할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적 수준이 낮으며,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적 수준이 높고, 질병을 분명히 인지 하고 있는 감염인들이 건강관련 삶의 질적 수준이 높으며,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적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미혼자일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적 수준이 낮으며, 소득이 높은 감염인들은 건강관련 삶의 질적 수준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HIV/AIDS에 관한 치료법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어 HIV/AIDS는 치료를 받으면 누구나 건강하게 살 수 있는 만성질환이 되었음에도 불구 하고 여전히 감염인들을 `적극적인 감시와 격리`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가시질 않았다. 이는 사회적 소수자 및 사회적 약자에 대한 사회적 차원의 보이지 않는 폭력이 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HIV/AIDS의 예방과 근절에 있어서 가장 우선적이면서 중요한 선결과제는 사회적 차별과 편견의 시선을 걷어내는 것임을 이 연구에서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social stigma, self-esteem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eople living with HIV/AIDS in korea. To achieve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and this sample was based on 251 people living with HIV/AIDS. A sampling method was the snowball sampling using face to face interview.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he positive function of social support effect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eople living with HIV/AIDS. Second, social stigma turns out to be negative effect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Third, self-esteem influenced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Fourth, knowing their illness proves to be positive effect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Fifth, stress has a significant negative casual effect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eople living with HIV/AIDS. It is necessary for future research studies to investigate more variables systematical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people living with HIV/AIDS and their quality of life.

      • KCI등재

        한국 청소년 삶의 질 결정요인

        신승배(Seungbae Shin)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사회과학연구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in Korean Adolescents. Specifically, we tried to find out how the various socio-demographic, stress,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domain satisfaction (health, safety, participation, activities, economics, environment) factors influence their level of quality of life. This study used the Youth Happiness Indicator Survey conducted in 2015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of South Korea. A secondary data analysis of 10,800 cases (3,264 for 4th to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3,449 for middle school students, 4,087 for high school students) was also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the t-test, F-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lthough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ed their level of quality of life, gender, grade, economic status, religion, level of stress, self-esteem, social support, health, safety,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were found to be the key determinants of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in the Korean Adolescents.

      • KCI등재

        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신승배(Shin, Seungbae),박지연(Park, Jiyeo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5 아시아여성연구 Vol.54 No.2

        이 연구는 제4차 고령화연구패널(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자료를 이용하여 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반적 삶의 질과 영역별 만족도인 건강상태, 경제상태, 배우자와의 관계, 자녀와의 관계만족도를 고려하여 영역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우선 살펴보고, 전반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밝히고자 했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여성노인들의 전반적 삶의 질 점수는 54.70점으로 안심할 수 없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영역별 만족도를 측정한 점수에서는 자녀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65.8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배우자와의 관계는 61.36점, 건강상태와 경제상태는 각각 47.18점을 나타냈다. 또한, 우리나라의 여성노인들은 동년배에 비해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만족할수록, 경제상태에 만족할수록, 자녀와의 관계에 만족할수록 전반적인 삶의 질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 가운데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Using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201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overall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Elderly women"s quality of life was better explained by domain satisfaction (health status, financial status, relationship with spouse, and relationship with children), which means that overall quality of life is the net outcome of satisfaction with all of the major domains of life. Satisfaction score for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was the highest at 65.81 points, followed by 61.36 points for the relationship with spouse, and health status and financial status showed 47.18 points. In addition, the overall quality of life score of elderly women was 54.70 points. The effects of health status, financial status, and relationships with children on the overall quality of life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asual effect on elderly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