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락 유통과정의 미생물적 품질관리를 위한 연구

        신성원,류경,곽동경,Shin, Sung-Won,Rew, Kyung,Kwak, Tong-Kyung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1990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5 No.3

        서울, 경기지역 에 위치한 도시락 제조업체 중 규모별로 대, 중, 소규모 1개 업체씩 총 3개 업체를 대상으로 하여 도시락 유통과정 중에서 음식의 미생물적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소요시간 및 온도 요인, 인적, 환경적 요인, 시설 구비에 의한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도시락이 조리된 이후 급식까지의 전단계, 즉, 냉장, 포장, 보관, 운반 및 급식까지의 보관단계에서 온도상태 및 소요시간이 품질이 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한 실정이어서 도시락 유통과정 중의 소요시간 및 온도의 통제문제가 매우 심각하다. 조사대상 업체에서 생산한 도시락이 현재의 유통시간대에서 여름철에 냉장 시설없이 유통된다면 급식 시 미생물적 품질이 크게 저하될 것이다. 도시락이 슈퍼마켓에서 열장고에서 진열되었다가 판매되는 경우 열장고의 온도가 위험온도 범주내에 있기 때문에 보관시간이 지연됨에 따라 미생물 수치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Microbiological quality of packaged meals (Dosirak) was assessed in three operations under the both conditions of actual food processing and simulated time-temperature. Time and temperature data indicated that all the phases after cooking were critical for microbiological quality control. Microbiological test results by simulated time-temperature conditions revealed that microbiological quality of packaged meals decreased as the storage time and temperature increase. Delivery practices without refrigeration in summer and hot-holding below $60^{\circ}C$ in supermarket were crucial in microbiological quality control.

      • KCI등재후보

        무심기공 누운자세 도인법이 인체 자율신경계와 근골격계에 미치는 영향

        신성원 ( Seong Won Shin ),김진형 ( Jin Hyung Kim ),최성렬 ( Sung Youl Choi ),김대현 ( Dae Hyun Kim ),이충식 ( Chung Sik Lee ),김태헌 ( Tae Heon Kim ),류영수 ( Yeong Soo Lyu ),강형원 ( Hyung Won Gang )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006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Vol.17 No.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the effects of Musimgigong supine position Doyin-therapy (MGSDT) on the autonomous nervous system (ANS) and musculoskeletal system (MSS), and to know how much MGSDT is useful for relaxing the human body. Methods : Eight oriental medical docto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who have trained Musimgigong for 6 years or more. Before and after applying MGSDT, we measured BVP/HR, respiration rate, peripheral temperatures, skin conductance, and EMG, using Procomp Infinity and Biograph Infinity of Thought Technology Ltd. Results and Conclusions : 1. After the treatment, the participants in MGSDT group reported that they felt refreshed and relaxed. 2. By analyzing the measured data, we observed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iration rate(p=.026<.05) and SC(p=.013<.05) before and after applying MGSDT. We also observed relaxing effect in BVP/HR, EMG, but was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emp was stressed but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is that MGSDT can be considered to have an effect on relaxing ANS. Therefore MGSDT could have useful clinical effect to autonomic imbalance.

      • KCI등재

        향상된 의료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고통과 통증에 대한 이해

        신성원 ( Sung Won Shin )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의료커뮤니케이션 Vol.16 No.2

        Background: There is a Korean expression for ‘painful’ such as suffering and p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wo Korean concepts: “Go-tong(suffering)” and “Tong-jeung(pain)”. Method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considerations on the whole-person in the humanities. Then, the two commonly used terms, “Go-tong” and “Tong-jeung”, were humanistically and contextually. Furthermore, a distinction between the two concepts was attempted for improved communication by health care provider and non-medical practitioner. Conclusion: There is an intersecting element between Go-tong and Tong-jeung. Both of them also their own conceptually distinctive features. The term, Go-tong, focuses on causing damage and impairing physical discomfort, whereas Tong-jeung focuses more on damage to the integrity of the soul or mind. Through the way of using these two terms, i.e., these two conceptions, more improved communication can be achieved between health care provider and non-medical practitioner.

      • 멜키올 카노의 신학의 장소들 중 ‘성전’에 대한 본문 분석과 그 의의에 대한 연구

        신성원(Sung-Won SHIN)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22 가톨릭사상 Vol.- No.65

        그리스도인에게는 그들만의 고유한 요소가 있다. 성전에 바탕을 둔 것들은 교회의 고유성을 잘 드러내주지만 때로는 교회의 밖에 있는 이들에게 배타적으로 비치는 경우도 있다. 교회 밖에서 비치는 모습과는 달리 성전은 성경과 함께 초대교회 때부터 잘못 이해하고 받아들이기 쉬운 여러 어려움들로부터 올바른 가르침이 무엇인지 드러내주는 역할을 하였다. 성경과 성전, 그리스도교의 역사 속에서 이 두 핵심적인 토대는 늘 긍정받았던 것은 아니다. 루터가 제기한 오직 성경이라는 명제는 성경과 마주하고 있는 성전의 존재를 오직 성경 안으로 포함시키려는 시도를 가져왔다. 이러한 시대적인 상황 아래 멜키올 카노는 교회의 올바른 가르침, 즉 교의가 형성되기 위해서 교회의 중요한 전통, 즉 사도적 전승의 특징과 위치에 대해서 자신의 저서인 De Locis theologicis를 통해서 신학적으로 정리해서 제시한다. 특히 카노는 사도적 전승이 지니는 특징을 네 가지로 정리해서 그 전승을 접하는 사람들이 이것이 사도적 전승에 속하는지 그렇지 않은지 판단하는 기준점을 제시하고 교회의 역사 안에 드러난 그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였다. 그는 나아가 사도적 전승을 신학이 이루어지는 장소이자 신학의 토대가 되는 장소로서 제시한다. 카노가 제시한 이 사도적 전승을 분석하는 방법과 사도적 전승을 신학이 이루어지는 장소이자 신학의 토대가 되는 장소로서의 파악하는 모습은 오늘날 성경과 성전을 토대로 하는 교의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문자로 우리에게 전해지는 성경의 기쁜 소식과 함께 신앙의 선배들이 예수 그리고 사도들과 함께 살았던 경험을 바탕으로 삶에서 삶으로 우리에게 전달된 전통, 즉 사도적 전통에 대한 세밀한 연구를 통해서 오늘날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전통 속에서 보다 많은 보화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Christians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The traditions of the Church are a reflection of the characteristics, but sometimes appear exclusively to those outside the Church. The traditions was often conceived differently within and outside the Church. Tradition served as a compass on how to properly understand the Bible in the church. Without the tradition as compass, there is a great risk of being misunderstood. The Lutheran proposition, sola scriptura, led to an attempt to incorporate tradition into the Bible. Under these circumstances, In his book, De Locis theologicis, Melchor Cano presents a theologically organized study of the tradition of the church. In particular, he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ostolic tradition into four categories. When Christians encounter a certain tradition, these four categories provided a reference point for distinguishing whether it belongs to the apostolic tradtion or not. And he presented specific examples of the apostolic tradition revealed in the history of the church. He further presents the apostolic tradition as both a place of theology and a place of foundation for theology. Cano’s study grasps the deep meaning of apostolic tra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raditions through categories and laid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theology based on the apostolic tradition. Through the study of the apostolic tradition with these two characteristics, we Christians today will be able to discover more treasures in the tradition and Bible.

      • 멜키올 카노(Melchior Cano)의 사상의 배경과 그의 사상인 “신학의 장소들(loci theologici)”의 신학적인 의미에 대한 연구

        신성원(Sung-Won SHIN)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21 가톨릭사상 Vol.- No.62

        멜키올 카노(Melchior Cano, 1509-1560)는 중세의 신학자이다. 그의 주저는 “신학의 장소(De Locis theologicis)”인데, 여기에는 당시의 사회적 사상적 환경과 함께 그러한 다양성을 대하는 그의 생각이 녹아들어 있다. 즉, 이 저서에는 신학의 전통과 토미즘을 바탕으로 정치적인 변화와 인본주의 그리고 종교개혁과 마주한 당시의 가톨릭 신학과 결을 같이 했던 그의 통찰을 살펴볼 수 있다. 카노는 이러한 다양한 기조들과 마주하며 선을 긋기보다는, 신학이 다른 논리들과 함께 어떻게 논리성과 합리성 위에 자신의 자리를 찾을 수 있을지 연구하였다. 그 결과로 두 부류의 열 가지 장소를 찾게 된다. 카노가 정리한 이 장소들은 신학이 참된 진리를 찾아나가기 위한 장소이며, 신학의 논리를 뒷받침할 수 있는 권위의 장소이며, 동시에 각각의 장소가 폐쇄적인 장소가 아니라 토의와 논쟁이 이루어지는 토론의 장소이다. 정리하자면, 이 장소들은 논증하는 방법을 통해 진리로 나아갈 수 있는 토대이다. 이렇게 카노가 자신의 저서를 통해서 제시한 신학의 장소들(loci theologici)은 다양성이 강조되는 우리 시대에 다양한 논리와 마주한 신학이 어떻게 자신의 정당성과 객관성 그리고 논리성을 확보할지 하나의 좋은 틀을 제시하고 있다. Melchior Cano(1509-1560) was a theologian in the Middle Ages. His writing well known is “Theological Locations(De Locis theologicis)” that contains his thought on the diversity in relation with social and ideological environment in the era. The book shows his insight along with the Catholic theology on the theological tradition, political change and humanism based on Thomism, and the Reformation. Cano did not draw a line, rather he explored the various trend in positioning of theology with other logical ideas on locality and rationality. As a result, the ten locations in two categories were found. The locations Cano organized are the place of theology to pursue truth, the place of authority to support theological logics, and the place of discussion for open debate and dispute. In other words, the locations are the foundation to move to truth through methodical demonstration. Therefore Cano’s theological locations(loci theologici) through his writing offer a good tool for theology faced with various ideas to secure its legitimacy, objectivity and locality in the time of d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