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멀티미디어 댄스 리터러시 개발의 영상인류학적 접근 문화기술지적 무용영화 분석을 중심으로

        신상미 ( Shin Sang Mi ) 대한무용학회 2017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5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developmental methods of multi-media dance literacy through a visual anthropological approach. The study discussed field study as the root and ethnographic dance film as the flower of visual anthropology. The study then analyzed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five ethno-graphic dance fil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study proposed ways to develop multi-media dance literacy for the creators and users of the ethno-graphic dance films as follows: discovery and experience in the fields, inducing practice into knowledge, integrated thinking and multimedia communication in tune with the times.

      • KCI등재
      • KCI등재

        Environmental Globalization and its Dynamics - The Case of Japan’s International Environmental Politics

        SHIN Sangbum(신상범)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7 신아세아 Vol.14 No.4

          많은 문헌들이 일본의 국내환경정책과 국제환경정책의 불일치에 관해 지적해 왔다. 일본은 국내적으로는 매우 빠른 시기에 산업공해를 감소시키는 등 놀라운 성과를 보였지만 국제환경정책에 있어서는 매우 나쁜 평판을 받아 왔다. 왜 일본은 국내적으로는 매우 효율적인 환경정책을 지속시켜 왔으면서도 국제환경정책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후진적인가? 본 논문은 이 질문에 대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은 이론적으로는 한 나라의 국제환경정책을 환경 수준에서의 세계화(Environmental Globalization)와 그에 대한 대응전략(Coping Strategies) 이라는 틀 속에서 이해하려고 하였다. 구체적인 사례로는 포경에 관한 국제협약, 멸종위기에 놓인 동식물 협약, 그리고 열대우림에 관한 국제협약 등의 세 사례에서 일본의 국제환경정책이 어떠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이 조약들에서의 일본의 정책은 환경의 세계화에 대한 일본의 대응전략이며, 이 대응전략들은 일본이 가진 자원 및 정책 그리고 문화적 특성에서 기인하였다는 점을 주 발견으로 한다.   Although much literature on Japan’s environmental performance has emphasized the discrepancy between the country’s remarkable achievement in domestic environmental policy and extremely negative reputation on its inter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in many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nventions, systematic research on Japan’s inter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has been a void of academic interest in the discipline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is paper attempts to fill this void by examining three cases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nventions where Japan has participated in-whaling, endangered species and tropical timber. In order to explain why Japan has been less-cooperative in these conventions, this paper develops a framework of environmental globalization and a country’s coping strategy to it. It finds that Japan’s attitude and behavior i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nventions is explained by its coping strategy to environmental globalization in order to maximize benefits and minimize cost. Also it finds that there are some cognitive as well as material factors that aHect a country’s coping strategies, typically in the case of China, the country’s cultural preference.

      • KCI등재

        Another Ways to Philosophize?

        신상형 ( Sang Hyong Shin ) 한국동서철학회 2011 동서철학연구 Vol.62 No.-

        철학은 세계 지성의 역사에서 주도적 기능을 담당해 왔다. 그리하여 철학자들은 시초로부터 지적 격전장에서 지도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그런 기능과 역할의 수행은 원활하지 않는데, 이는 외적 한계보다는 자체 내의 한계에서 기인된다. 즉, 철학의 활동영역이 전통적인 방법인 기록 문서인 책을 통한 방법에만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문화의 전개와 소통방법이 다원화한 현대 사회에서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철학은 기존의 텍스트 중심의 소통방식만을 고집하기 보다는 다원화한 방법을 찾아 나서야 본래의 기능과 역할의 수월성을 회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것의 시론적 성격으로 대안을 제시해 보려는 생산적 연구이다. 철학적 논변은 반드시 논리, 그것도 ``언어를 통한 논리적 변증을 표현한다``라는 기본 전제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철학이 고전적 텍스트, 즉 책에 적힌 글만을 취급한다는 전통적 방식을 거부한다는 의미이다. 그렇다면 책과는 다른 매체들의 내용을 어떻게 같은 의미로 읽을 낼 수 있을까? 여기서는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말놀이``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다양한 방법론의 정당성을 확보하려고 한다. 놀이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러나 그것은 하나로 통일된 기준을 갖고 있지는 않고, 다양한 맥락을 제 나름대로 읽어내는 특징을 <놀이> 이론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철학적 논변이 표현되거나 표현하는 것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서 이뤄진다. 여기서는 인터넷, 영화, 음악 및 미술이라는 4가지를 예시하면서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우선, 우리 삶의 필수 요소로 자리잡은 기기는 인터넷이다. 그것은 최근 불과 20년 사이에 컴퓨터의 발달을 통해 급속도로 퍼진 의사소통 수단이다. 이것은 동시성과 개방성 그리고 상호성을 바탕으로 급속히 전 세계의 모든 유통체계를 정복해버렸다. 단순한 의사소통 체계를 넘어 이제는 모든 사물의 작동원리를 지배한 구동조직으로 철학적 의미와 전달의 메커니즘을 헤아려 볼 필요가 있다. 예컨대 영화, 음악, 미술은 오랜 세월 속에서 우리의 삶의 정보를 실어 나르는 기제이다. 이것들을 살핌으로써 철학은 보다 다양한 얼굴로 수행되어진다는 것을 여기에서 실험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Philosophy has ever been approached by many professional intellectuals in the long history of the world. It has also played a leading part in the arena of intelligent competitions since it began. In contemporary societies, however, such a role seems to be lesser played; not because of its limit without, but because of its own within. Philosophy has been keeping its own tradition by showing the same approach to the problems: mainly through books which are written. Nowadays, many different cultures and styles of life coexist so that we need to have the proper, various points of view to understand them as indeed. According to Wittgenstein, there are so many language-games in the world, just as many tools in a toolbox. Each tool has its own role and function; every game has its own rule for players to follow, and this rule does not apply to that one so that what this rule means is not the same as that one does. He says that there is anything in common between this and that, except saying that it must be something different between the two. This methodology is accepted in this essay to explain further task. This is the later Wittgensteinean point of view. Philosophy has been in this essay developed from many different fields; and the writer seeks to show that in different ways philosophy has been put forward, and understood: books, discussions, dramas, movies, advertisements, novels, musics, paintings, and anything else where it has been differently given. The writer challenges here to explain and interpret philosophical meanings from such various points of view, according to its own contexts, very much articulately. By doing so, he believes that he would pinpoint its proper essence as necessary.

      • 지엠대우 Z20S 고성능 디젤엔진 개발

        신상연(Sangyeon Shin),임경현(Kyunghyun Lim),이중구(Choonggoo Lee),문성채(Sungchae Moon),김승철(Seungcheol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07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This paper describes high performance 2.0L inline 4 cylinder diesel engine which GMDAT (GM Daewoo Auto & Technology) has developed for the installation of SUV Winstorm as well as Passenger Cars, Toscar and Lacetti since 2006. It introduced to Korea, Europe and other Markets. This paper will present special features and various technologies for high performance, NVH improvement, low emission, reliability and compact. And it also can comply with EURO4 emission regulation.

      • KCI등재
      • KCI등재

        태안지역(泰安地域) 무속인(巫俗人)들의 종이 오리기 공예(工藝)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신상구 ( Sang Koo Sh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0 선도문화 Vol.8 No.-

        무구(巫具)는 신성한 신(神)을 상징하거나, 신의 의도 및 행동을 표현하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한국무속의 관념과 상징체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한 요소가 되고 있다. 충청지역의 앉은굿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무구는 경청(經廳)을 장식하는 종이무구이다. 그런데 서산, 태안, 홍성, 보령 등 충남 서북부 지역에서는 종이무구를 주로 설위(設位), 설경(設經), 설위설경(設位說經), 그리고 서류로 부르고 있다. 종이무구로는 위목(位目), 이문(泥文), 철망(鐵網), 접신(接神)을 위한 대, 부적(符籍), 고깔, 그리고 지화(紙花) 등을 들 수 있는데, 그 중 가장 아름다운 것은 철망(鐵網)으로 예술적 특성이 가장 강한 편이다. 그리고 종이무구는 종이 가닥의 크기와 모양, 사회·경제적 배경, 신관, 종이무구 제작자의 스승과 기능, 무경의 종류, 그리고 지역의 특성 등에 의해 차별화되고 있다. 충청지역에서 앉은굿을 하는 법사나 보살들은 설위를 제작하여 경청을 꾸미고, 종이를 가닥 내어서 만든 여러 신대를 통해 신을 강림시켜서 인간의 문제를 해결한다. 경청을 종이무구로 아름답게 꾸며놓고 송경(誦經)을 하는 목적은 잡신(雜神) 또는 잠재적으로 해로운 신령들을 위협하여 구축하는 데에 있다. 그래서 나는 모든 설위가 잡신(雜神)을 억압하는 무경(巫經)의 시각적인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아무튼 앉은굿을 하는 무속인들이 설진에 사용하는 종이 오리기 공예 작품은 무구(巫具)의 일종에 지나지 않으나 예술성이 매우 높은 편이다. 실제로 무속인들의 종이 오리기 공예 작품은 그 자체만으로도 독립된 예술로 인정받을 수 있을 만큼 아주 세밀하고, 정교하고, 섬세하고, 복잡하고, 신기하고, 독특하고, 모양(문형)과 색상이 다양하여 아주 아름답게 보인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앉은굿을 하는 무속인들의 종이 오리기 공예는 전국적으로 분포했으나 지금은 충남 서해안의 내포지역인 태안·서산·보령·서천 지역에서만 일부 행해지고 있다. 게다가 종이 오리기 공예를 배우려는 40대 이하의 젊은이들이 거의 없고, 전수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종이 오리기 공예 기술의 전승이 잘 안되고 있다. 그리하여 최근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무속인들 중에서 종이 오리기 공예 기능이 뛰어난 사람을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고 매월 90만 원씩 지원하여 종이 오리기 공예 기능을 후세에 전수하도록 하고 있다. 현재 설위설경보존회 회장인 장세일(張世壹) 법사는 특히 양각방식(陽刻方式)의 종이 오리기 공예 기능이 뛰어나 1998년 7월 25일 충청남도로부터 무형문화재 제24호 설위설경 기능보유자로 지정 받았다. 그는 지금 종이 오리기 공예 작품 50여 종류와 부적 100여 종류를 시현하면서 설위설경보존회 회원들을 대상으로 설위설경(設位說經) 전수에 힘쓰고 있다. 그런데 장세일 법사의 증언에 의하면, 설위설경 전수자들마저도 돈벌이에 혈안이 되어 무업에 전념하는 바람에 종이 오리기 공예 기능 연마를 소홀히 해 작품 수준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고 한다. 실제로 2009년 11월 16일 현재 설위설경보존회 회원은 64명인데, 그들 중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회원은 50여 명에 불과하다고 한다. 그리고 정식으로 설위설경보존회에 가입해 장세일 법사로부터 체계적으로 종이 무구 제작 기술을 전수받고 있는 무속인은 정해남(丁海南) 법사·김종일(金鍾一) 법사·조부원(趙富元) 법사·황옥순(黃玉淳) 보살 등 4명에 불과한데, 이들 중 남자 법사 3명은 공사다망한데다가 회장과의 인간관계가 원만하지 못해 이미 오래 전부터 설위설경보존회 사무실에 거의 나오지 않아 설위설경의 교육과 전수가 잘 안되고 있다고 한다. 게다가 요즈음은 굿이 간소화되어 설진을 해놓고 굿을 하는 경우는 아주 드물어 무속인들의 종이 오리기 공예 작품 수가 해마다 줄고 있고, 설진(設陣)에 쓰이는 종이 오리기 공예 작품은 굿이 끝나면 바로 소각해 버리는 경향이 있으며, 무속인들의 종이 오리기 공예 작품을 전시해 놓을 공간이 부족해 종이 오리기 공예 기능의 계승 발전이 잘 안되고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충청남도와 태안군청에서는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4호 설위설경 기능보유자인 장세일(張世壹) 법사가 적어도 30-40명의 설위설경보존회 회원들을 대상으로 동시에 설위설경의 전수교육이 가능하고 설위설경 관련 각종 종이 오리기 공예 작품과 부적 작품 및 각종 사료와 무속 도구의 전시와 보존이 가능하도록 방부 처리가 잘 되는 최소한 연건평 200평 정도의 가칭 태안군 설위설경보존회관을 접근성이 높은 곳에 어서 빨리 건립하고 태안마애삼존불, 패총박물관 등과 연계하여 관광자원으로 개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태안군청과 태안문화원에서는 예술적 감각과 기능이 뛰어나고 상상력과 창의성이 풍부한 젊은 무속인들이 긍지와 자신감을 가지고 설위설경 전수에 매진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incentive)를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설위설경보존회 회원들 모두가 주인의식을 가지고 설위설경보존회 사무실에 자주 나와 모임을 갖고 상호간에 친목을 도모하여 회원들 간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의사소통을 원만히 하여 아무런 불평불만이 없이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설위설경(設位說經)의 교육과 전수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전의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A shaman gear is an important factor for expressing idea and symbol system in Korean shamanism. Because a shaman gear symbolizes the divine god and believed to be used as its tool to express an intention and conduct of god. The paper shaman gear(종이 巫具) is an essential factor in Anjoon-kut(앉은굿) of Chungcheong province. The paper shaman gear consists of wimok(位目), imun(泥文), cheormang(鐵網), bamboo for meeting with god(接神을 위한 대), amulet(符籍), peaked hat(고깔), and paper flower(紙花) etc. The cheormang is the most beautiful of them. So I studied the artistic character(藝術性) of cheormang in this paper. In case of Anjoon-kut in Seosan and Taean area of Northwestern Chungnam, the paper shaman gear which is most widely used to embellish a decorated room to read shaman scripture(Kyungcheong, 經廳) is named as Sulwi(設位), Sulkyung(設經), SulwiSulkyung(設位說經), and Soryu(서류). The main purpose of scripture chanting(誦經) with decorating a paper shaman gear beautifully in Kyungcheong(經廳) is to threat and drive away miscellaneous or potentially harmful spirits. So I think that all sulwi are the visual presentation of a shaman scripture(巫經) which oppress miscellaneous spirits(雜神). The paper shaman gear is differentiated by the sizes and shapes of paper strands, the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 the viewpoint of god, the teacher and skill of maker, the kind of shaman scriptures, and the trait of region etc. When a shaman performs a Kut, a paper shaman gears are easy to make and burn. Most of paper shaman gear is burnt at the end of Kut(scripture chanting). So there are not many paper shaman gears which a shaman is preserving. By the way, the trait of paper shaman gear in Taean region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aper shaman gear is exquisite and delicate. It`s shape and color is diverse. So that is seen beautifully. 2. The paper shaman gear has strong magical character(呪術的 性格). 3. The paper shaman gear has strong durability because that is made from durable materials such as window paper(窓戶紙) and Kyungmeonjusa(鏡面朱砂). 4. The paper shaman gears are easy to make and burn. In case of Taean, the society for preserving SulwiSulkyung(設位說經保存會) is composed of 64 members. By the way, the Taean SulwiSulkyung is handed down mainly by the 5 shamans such as Jeong hae nam(丁海南)ㆍKim jong il(金鍾一)·Cho Bu Won(趙富元) beopsa, Kim Yeon hee(金蓮姬)·Hwang ok sun(黃玉淳) bosal. Specially Jang Se il(張世壹) Beopsa have the most wonderful skill of making paper shaman gear by embossed carving techniqe(陽刻技法) in Korea. Really he can make 50 kinds of paper shaman gears, 100 kinds of amulets(符籍). And he can chanting 30 kinds of shaman scriptures(巫經) such as chuksagyeongmun(逐邪經文), chugwonmun(祝願文), gasingyeongmun (家神經文), gasinpuri(家神푸리), haewonpuri(解寃푸리), seongjupuri(성주푸리) etc. So he was designated with the number 24th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by chungcheongnamdo on July 25, 1998 years. Jang Se il(張世壹) Beopsa is teaching his disciples systematically how to make paper shaman gear in assembly hall for preserving SulwiSulkyung. However, only Hwang ok sun(黃玉淳) bosal is taking part in SulwiSulkyung lecture opened Jang Se il(張世壹) Beopsa almost every day. So nowadays Taean SulwiSulkyung is not passed down well to his disciples. For that reason, unfortunately paper shaman gear is disappearing gradually. Therefore, I think Taeangun have to construct the assembly hall for preserving SulwiSulkyung more broader than 200pyeong(坪) which 30 shamans can teach and learn how to make paper shaman gear in the near future. Especially because paper shaman gear is to easy to decay, the spoil prevention facilities must be installed in the assembly hall for preserving SulwiSulkyung. Moreover I think Taeangun have to develope SulwiSulkyung into experience-based tourist goods connected to Korea floritopia(安眠島國際꽃博覽會) and activate local econo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