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일개 도시 보건소 이용자들의 혈청 HBsAg 및 Anti-HBs 양성률

        신말숙,황태윤,김창윤,Shin, Mal-Sook,Hwang, Tae-Yoon,Kim, Chang-Yoon 대한예방의학회 1997 예방의학회지 Vol.30 No.3

        1996년 5월에서 10월 사이에 대구광역시 서구보건소 이용자들 중 간염검사를 받고 설문조사에 성실히 응답한 1,160명을 연구 대상으로, 이들의 B형 간염의 위험요인 및 예방접종 유무에 따른 HBsAg 및 anti-HBs 양성률을 조사하였다. 혈청 HBsAg과 anti-HBs 검사는 EIA(Enzyme Immunoassay)법으로 하였으며, 미리 고안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개인 면접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항목은 개인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것과 예방접종력, 과거병력 그리고 B형 간염에 대한 위험요인 등을 설문조사 하였다. 혈액검사 결과 및 설문조사 결과는 개인용 컴퓨터로 정리하여, spss/pc+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hi^2$-검정, fisher's exact 검정, 다중 로짓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들 전체의 HBsAg 양성률은 5.2%였고, anti-HBs 양성률은 62.4%였다. 남자에서 HBsAg 양성률은 6.6%, 여자에서는 4.3%였고, anti-HBs 양성률은 남자에서는 66.7%, 여자에서는 63.5%였다. 연령을 15세 이하와 16세 이상으로 구분한 경우 15세 이하에서는 HBsAg과 anti-HBs 양성률이 각각 2.6%, 67.2%였고, 16세 이상에서는 각각 6.5%, 60.0%였으며, 두 연령군 사이에 HBsAg과 anti-HBs 양성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p<0.01). 15세 이하에서 B형 간염 예방접접을 한 군에서는 HBsAg 양성률이 2.2%, anti-HBs 앙성률이 70.1%였고, B형 간염을 않은 경우에는 HBsAg 양성률이 20.0%, anti-HBs 양성률이 40.0%였다. 16세 이상에서는 B형 간염 예방접종을 한 경우 HBsAg 양성률이 3.5%, anti-HBs 양성률이 71.7%였고, B형 간염을 앓은 경우에 HBsAg 양성률은 57.1%, B형 간염 이외의 간질환을 앓은 경우에 HBsAg 양성률이 1l.1%였다. B형 간염 위험요인에 따른 HBsAg 양성률은 15세 이하와 16세 이상에서 공통적으로 가족내에 B형 간염보유자가 있는 경우에 없는 경우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p<0.01). 혈청내 HBsAg 유무에 기여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B형 간염의 위험 요인과 개인의 B형 간염에 대한 과거력을 독립변수로하여 로짓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15세 이하와 16세 이상에서 공통적으로 개인의 B형 간염력과 가족내 B형 간염 보유자가 유의하게 대상자의 혈청내 HBsAg 양성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혈청내 anti-HBs의 유무에는 15세 이하와 16세 이상에서 공통적으로 B형 간염 예방접종이 유의한 변수였다. 최근에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한 B형 간염 감염수준에 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에서 B형 간염 예방접종이 활발히 시행된 후 지역사회 주민들의 B형 간염 감염에 대해 조사를 한 것은 의미있는 연구라 생각되며 앞으로 B형 간염에 대한 대책수립을 위 한 체계적이고 광범위한 형태의 감염수준 파악을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Hepatitis B virus(HBV) infection is one of the major health problems in Korea and HBsAg positive rate was known to be about $5\sim15%$ in general popul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ositive rates of serum HBsAg and anti-HBs among community population regarded as having hish HBV vaccination rate than in previous decade, using EIA(Enzyme immunoassay) method, in Seo-Gu, Taegu, Korea. The study subjects were 1,160 who visited Seo-Gu Health Center for check-up serologic markers of hepatitis 3.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serologic test for hepatitis markers an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vaccination history, past history of hepatitis and other liver disease, and exposure history to risk factors of hepatitis of the study subjects. The positive rates of HBsAg and anti-HBs were 5.2% and 62.4% respectively. The positive rates of HBsAg for male and female were 6.6% and 4.3% respectively. The age was divided into two groups as group I (less than 15 years old), group II (more than 16 years old) according to the hypothesis that these two groups might be different in HBV vaccination rate. HBV vaccination rates for group I and II were 83.1% and 52.3%. The positive rates of HBsAg for group I and II were 2.6% and 6.5%. The positive rates of HBsAg for the vaccinated people of the group I and II were 2.2% and 3.5%, the positive rates of anti-HBs for the vaccinated people of the group I and II were 70.1% and 71.1% respectively.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positive rate of HBsAg was 'hepatitis carrier in famil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hepatitis history' and 'hepatitis carrier in family' were significant variables for positivity of HBsAg, and 'hepatitis B vaccination' was only a significant variable for positivity of anti-HBs.

      • KCI등재

        중년여성의 부모화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신말숙,심혜원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2

        The present phenomenological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parentification of Korean married mid-aged women, concerning their experiences of parentification and its meanings to their living. Six married mid-aged women with the experiences of parentificatio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and data analysis and writing were proceeded. As results, parentification of the Korean mid-aged women was characterized by the conclusion that the care of family becomes wholly their portion by accepting the tacit requirements of family as their responsibility. Also, they have endured alone their churning emotions, experiencing identity crisis by perceiving “My non-existence, and dealt with their own livings by themselves”. For counseling intervention for the mid-aged women suffering from the identity crisis due to their experiences of parentifica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help them accept themselves as they face themselves and convert their lives to more independent by the efforts searching for their own expectations and desires, and let them experience the adaptive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by proper separation. 본 연구는 기혼 중년 여성의 부모화 경험에 대한 본질적 구조를 탐색하고자 중년여성들의 부모화 경험이 어떠하며,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시행된 현상학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부모화를 경험한 기혼 중년 여성 6명을 선정하여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자료 분석 및 글쓰기의 절차로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 중년여성들의 부모화 경험에서 “가족 내 무언의 요구를 나의 것으로 받아들임”으로 해서 “돌보는 역할이 온전히 나의 몫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홀로 감당해야하는 어려움으로 인해 “요동치는 감정의 파도를 홀로 버텨냄”과 동시에 내가 없다는 정체성 위기와 혼란을 거치며 “삶의 자리를 스스로 일구어 감”이라는 주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부모화 경험과 이로 인한 정체성의 위기를 겪는 중년여성들의 상담적 개입을 위해서는, 그들 자신과의 대면을 통해 자신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스스로의 기대와 욕구를 찾는 등의 노력을 통해 주체적인 삶으로의 변환을 돕고, 가족들과의 관계에서도 건강한 분리를 통해 적응적인 관계를 경험하도록 돕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SCOPUS

        전자 학술지가 전문도서관 운영에 미치는 영향 분석 : KIST 사례를 중심으로

        강대신,신용수,신말숙,윤혜정,Kang, Dae-Shin,Shin, Yong-Su,Shin, Mal-Suk,Yoon, Hyea-Jeong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03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34 No.3

        본 연구는 정부출연연구소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사례를 통해 전자 학술지가 전문도서관 운영 전반 즉, 예산, 정보 이용, 업무, 시설, 공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전문도서관 운영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 있다. 첫째, 전자 학술지 도입은 전문도서관 운영 전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직무별로 접근하지 말고 큰 틀에서 접근하여야 한다. 둘째, 현재 전자 학술지는 대부분 콘소시엄을 통해 구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정보 제공 기관들과 정보 공유를 위한 협력망 구축 및 구독 방법을 다양화하여야 한다. 셋째, 전자 정보 운영 환경에 맞게 직무 분석을 통해 업무가 재설계되어야 한다. 넷째, 물리적 규모가 아닌 원하는 전자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서고 및 장비를 재구성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전문도서관처럼 자료의 보존 보다는 시의 적절한 정보 활용을 중요시 하는 기관의 요구에 따른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This case study analyzed how electronic journal subscription had an effect on special library management including budget, information behavior, library operations, facilities, space et al. in KIST.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1) Since electronic journals has an effect on overall operations of special libraries, draw big pictures not by functions. 2) Though the most method for subscription is consortium, it is necessary to build cooperation network for information sharing and vary cost architecture of information use. 3) Through job analysis, redesign jobs. 4) Reconstruct stacks and facilities. 5) It is necessary paradigm shift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use than preserve materials in the special libraries.

      • KCI등재후보

        면접 및 컴퓨터 신경행동검사의 신뢰도평가

        사공준,정종학,전만중,신말숙 大韓産業醫學會 2000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2 No.4

        목적 : 신경독성물질에 폭로되는 근로자들의 중추신경계장애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도구로서 우리 나라 근로자들의 특성과 산업보건제도에 적합한 신경행동검사를 선택하기 위하여 면접과 컴퓨터 신경행동검사의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방법 : 의과대학생 85명과 병원근무자 35명을 대상으로 SPES중 단순반응시간, 숫자더하기, 부호숫자 짝짓기, 숫자외우기 및 손가락 두드리기를, 면접식 신경행동검사 중 숫자부호 짝짓기, 숫자외우기, 목적점찍기, 핀꽃기 및 trenton 시각기억검사의 신뢰도를 검사-재검사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 컴퓨터 신경행동검사 중 숫자더하기 평균반응속도의 신뢰도(재검사 신뢰도계수 0.90)가 가장 높았으며 손가락 두드리기(재검사 신뢰도계수 열수 0.89, 우수 0.85), 부호숫자 짝짓기(재검사 신뢰도 계수 0.82) 및 숫자외우기(재검사 신뢰도계수 0.74)의 순서로 신뢰도가 감소하였다 면접식 신경행동검사 중 숫자부호 짝짓기의 재검사 신뢰도계수가 0.86, 목적점찍기의 재검사 신뢰도계수가 0.72로서 trenton 시각기억검사(재검사 신뢰도계수 0.64), 핀꽃기(재검사 신뢰도계수 0.64) 및 숫자외우기의 총점(재검사 신뢰도계수 0.60)에 비해 다소 높았다. 결론 : 신경행동검사의 신뢰도를 검사-재검사를 통하여 평가한 결과 인지기능영역에서는 컴퓨터 부호숫자 짝짓기, 숫자외우기와 면접식 숫자부호 짝짓기가, 운동기능영역에서는 손가락 두드리기의 신뢰도가 다른 검사항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신경행동검사의 선택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Thl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more reliable neurobehavioral tests that are compatible with the characteristlcs of Korean workers and their health management system. Methods : To compare the reliability of neurobehavioral tests, test and retest of five computerized and five traditional neurobehavioral tests administered to 85 medical school students and 35 hospital workers. The computerized tests include Simple reaction time, Addition, Symbol digit, Digit span, and Finger tapping speed, while the traditional tests include the trenton visual retention test, Digit symbol, Digit span, Pursuit aiming, and Pegboard. Results : Computerized Addition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test-retest reliability (0.90) of and followed by Finger tapping speed (nondominant hand, 0.89, dominant hand, 0.85), Symbol digit(0.82), and Digit span(0.74). Only two traditional tests, Digit symbol(0.86), and Pursuit aiming(0.72), showed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 greater than 0.70.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puterized Additions, Symbol digit, Fingel tapping speed, and traditional Digit symbol are more satisfactory for our purposes. These results may allow a reasonable selection of the most appropriate tests for periodical evaluation of central nervous system of workers exposed to neurotoxic substances in Korea.

      • KCI등재후보

        조직지능 측정을 위한 동태적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측정요인의 개념화와 인과지도를 중심으로-

        김상욱 ( Sang Wook Kim ),김종태 ( Jong Tae Kim ),박상현 ( Sang Hyun Park ),신말숙 ( Mal Sook Shin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06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Vol.7 No.1

        Ever increasing dependence of organization on information technology stimulates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in the process of knowledge creation, which overall impies that a reciprocal mechanism lies within the structure of the growth of group intelligence. Individual`s intelligence may affect the group intelligence, and vise versa. However, the level of group intelligence is not necessarily determined by the sum of individual`s intelligence but the quality of the interactions among the individuals. This study thus aims to conceptually identify the dynamic structure of interactions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group intelligence level, which is believed to be used as a tool to measure the difference of intelligence between groups. To achieve this goal several attempts were made. First, determinants of intelligence at indiviual level and group level a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wteen individual`s and group intelligence were identified from the previous research. Second, causal loop diagrams were developed, which show how individual`s intelligence influences group intelligence and vise versa. Third, it was attempted to identify and interpret which feedback loops are most influential in either improving or hapering group intelligence as a whole. Since this study remains only at exploratory level, a more detailed and workable model for field applications ha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