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의 원리』의 이중 기획과 고안된 논리 ― 조지훈의 베르그손 철학 전유 양상을 중심으로

        송현지 ( Song Hyun-ji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84

        이 글은 조지훈의 『시의 원리』가 해방기 시단에서 보편 시론의 역할뿐만 아니라 대항 담론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아 기획되었음에 주목하고, 이 이중의 기획을 수행하기 위해 조지훈이 사용한 방법론을 고찰하였다. 등단 초기부터 시와 시인을 생명이 있는 유기체로 바라보았던 조지훈은 『시의 원리』에 이르러 새로운 논리 전개 방식과 개념을 사용하여 자신의 기존 사유체계를 보강한다. 먼저, 그는 시와 시인을 생명으로 설정하되 자연과학을 근거로 삼아 논의를 전개함으로써 시론의 보편성과 객관성을 확보한다. 이는 해방기 이후 집중적으로 발간되던 문학 개론서의 글쓰기 방식을 따른 것이자 과학에 기반을 두지 않은 형이상학 시론을 신비한 것으로 치부한 비판들에 대응하기 위한 그의 전략이었다. 그러나 이처럼 시 창조의 제반 조건들을 실증적으로 이론화하면서도 그는 정신이 작용하는 시의 창조 과정에 대해서는 여전히 관념적인 서술로 일관하며 과학의 일반 법칙으로 설명할 수 없는 시의 고유한 영역이 있음을 드러낸다. 또한, 이러한 관점에서 그는 물질과 정신, 지성과 직관, 과학과 시를 구분한 후 생명의 표현이자 생명 그 자체인 시는 물질의 질서에 속하지 않을 뿐 아니라 지성이 아닌 ‘직관’이라는 의식 작용을 통해 창조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이를 구분하지 않는 유물론적 예술사관과 모더니즘 시관을 시의 독자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비판한다. 조지훈이 『시의 원리』에서 보여준 이러한 서술 방식과 대항의 논리는 실증적 형이상학을 통해 새로운 생명 창조론을 주장함으로써 유물론과 기계론을 비판한 베르그손의 철학과 공명하는 부분이 많다. 이는 조지훈이 1941년, 베르그손의 저서를 읽고 베르그손의 사상에서 주요 논리와 개념들을 가져와 시론의 보편성을 확보함은 물론, 해방기 시단에 대항할 수 있는 논리를 강화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글은 이를 논증함으로써 동·서양의 유기체 시론의 영향 관계에서 『시의 원리』를 살펴보는 통상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그의 유기체 시론의 고유성이 그가 베르그손의 논리와 사상을 전유하여 이 이중의 기획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음을 밝혔다.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point that The Principles of Poetry by Cho Ji-hoon was written to perform not only the role of universality discourse in the post-liberation poetry circle but also the role of opposition discourse and looked into his corresponding methodology. Cho Ji-hoon, who looked at poetry and poet as living organisms ever since the beginning of his literary career, strengthened his own existing poetic thinking system by using new logic development method and concept from The Principles of Poetry. First and foremost, he expressed his opinions based on biology in the process of putting life into poetry and poet. It was his strategy of responding to criticisms in the post-liberation situation of regarding metaphysical poetics not based on science in materialistic poetics and modernism poetics as something mysterious. In addition, he divided order of materials and order of life based on the facts derived from scientific phenomena and emphasized the point that poetry is situated within order of life once its spirit becomes foundation of life. This is how he stood up against materialistic poetics which asserted that poetry is reflection of materialistic life. Lastly, he planned and argued poetics confronting modernism poetics which put emphasis on intelligence by insisting that order of life in which poetry belongs form a connection with not intelligence but intuition. Such narration method and logic in The Principles of Poetry established metaphysics based on science and share a number of resonating aspects with the philosophy by Henri Bergson who criticized materialism and mechanism by arguing new life creation theory. This implies the possibility that Cho Ji-hoon strengthened the logic of confronting the post-liberation poetry circle by adopting major logic and concepts after reading the works by Bergson in the early 1940s. This study aimed to deviate from the conventional discussion arguing that the inherent features of Cho Ji-hoon’s organism poetics resulted from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of the organism poetics of East and West and identify that his poetics was formed in the process of exclusively possessing Bergson’s logic and thoughts.

      • KCI등재

        조지훈과 혜화전문학교 ―식민지 고등교육 이원 구조와 조선학 학술장을 중심으로―

        송현지 ( Song Hyun-ji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0 No.-

        이 글은 조지훈 연구에서 늘 논의의 바깥에 위치해 있었던 조지훈의 혜화전문 수학 이력이 그의 학문적 관점 및 방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 학술사적 맥락에서 그 상관관계를 논증하고자 한다. 조지훈이 근대 교육기관인 혜화전문에서 학업을 수행하였다는 사실은 ‘전통적 지식인’으로서 그를 규정해온 담론의 논리와 상충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축소·배제되어왔다. 그러나 조지훈이 그의 한국학 논고들에서 과학적인 방법을 강구하는 가운데 전통적 학문 방법을 비판하였다는 점에서 그는 ‘전통적 지식인’이란 틀에 가두어지지 않으며 그의 학문 방법의 기원은 새로이 궁구되어야 한다. 혜화전문은 조지훈이 본격적으로 근대 학제를 경험한 거점으로서 그가 학제 연구라는 방법론을 갖추고 전통과 근대, 민족과 세계 사이의 균형감각을 갖게 된 바탕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일본의 고등교육 이원화 정책으로 인해 단과(單科)로 구성된 혜화전문의 학제는 그가 여러 학문을 넘나들면서도 분과학문들의 전문성을 심화하는 방식의 연구를 하게 하였으며, 종교, 철학, 예술을 중심으로 개설된 이곳의 교과 편제는 그가 이를 세 기둥으로 삼아 민족문화의 체계를 세우는 기틀이 되었다. 한편, 경성제대를 중심으로 한 관학 아카데미즘과 연희전문을 중심으로 한 민간 아카데미즘이 경합하였던 1930년대 조선학 학술장에서 혜화전문이 놓인 주변부적 위치는 변증법적 글쓰기라는 그의 특징적인 논리 전개 방식을 낳게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 주변부의 자리에서 그는 두 진영 모두와 거리를 두면서도 그들을 의식하고 연구를 수행할 수밖에 없었으며 각 진영에서 벗어나는 독자적인 연구 방법과 관점을 고심하였다. 혜화전문 졸업 후 그가 서양철학에 탐독한 것은 그러한 방편에 대한 모색의 행보로 이해되며 그는 이를 통해 민족과 세계 사이의 균형을 꾀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validate the correlation between Cho Ji-hoon’s attending Hyehwa College, which had been left out from the arguments regarding his studies, and his academic perspectives and methods after seeing that the two sides are closely related. The meaning that he studied at Hyehwa College―a modern educational institute―has been reduced and excluded in the sense that it contradicts the logic of the discourse which had defined him as ‘Sun-bi (classical scholar)’ and ‘traditional intellectual’. However, when seeing that he sought scientific methods and systematic rationality and criticized traditional academic methods, he is not bound by the frame ‘traditional intellectual’ and the origin of his academic attitude and methods have to be examined in a new manner. Hyehwa College, a foothold where he experienced modern school system, is noteworthy in the sense that it is the background where he equipped with the methodology ‘school system study’ and found a balance between tradition and modern, ethnic group and world, and special and universal. The curriculum of Hyehwa College which had neither major system nor subject system due to Japan’s higher education dualization policy led him to continue the study of intensifying professionalism of academic fields while merging with other fields and the school’s subject system focused on religion, philosophy, and art became the foundation for him to establish the system of national culture. Meanwhile, the peripheral position which Hyehwa College was in during the 1930s Joseon studies academic arena in which the Gwanhak academism based on Keijo Imperial University and the private academism based on Yonhee College competed gave birth to dialectical writing―his unique style of logic development. In such a peripheral position, he had no other choice but to keep distance from not only the Gwanhak academism and academism as ‘science’ but also the private academism, conduct studies while being aware of them, and rack his brains on distinctive study method and perspective. Avidly reading Western philosophy after graduating from Hyewha College is deemed to be taking the path of seeking corresponding measures. When taking into account the dynamism between colonial higher education dual structure and the Joseon studies academic arena, Hyehwa College was the starting point for Cho Ji-hoon who had become ‘traditional intellectual’ to transform into ‘modern intellectual’ and the foothold for him to ultimately become ‘universal nationalist’.

      • KCI등재

        박인환 시에 나타난 연대 의식 연구

        송현지 ( Hyun Ji Song )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2 No.-

        The work of Park, In-hwan has been unfairly underestimated in the earlier studies. The main logic of their comments was Park``s work had ended up having no sense of realism after the Korean war. This paper starts with this question if Park has lost his awareness of reality. To figure it out, this study tracks his consciousness especially his feeling of solidarity. His passion about solidarity has been secured, but the range and the goal of it has been adjusted. Since Park was arrested for violation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and experienced the Korean war, he began to concern about the way of unity realistically and did not draw an optimistic conclusion. Instead of that he values the emotional union and contemplate his poetic vocation. These variations are resulted from his perception of reality. It shows us Park faces up more to the reality after all. Therefore, the hasty conclusion about his awareness of reality should be reconsidered.

      • 스마트폰 사용패턴 분석을 위한 원격 로그데이터 수집 시스템 구현

        송현지 ( Hyun-ji Song ),이민경 ( Min-kyung Lee ),정희원 ( Hee-won Chung ),유석종 ( Seok-jong Yu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1 No.1

        다수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패턴을 협업적인 방법으로 분석할 경우 모바일 기기에 대한 선호도 분석, 과몰입 정도 판단 등 다양한 관련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의 사용패턴 분석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개발을 위하여 로그데이터를 추출하여 서버에 저장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용자의 스마트폰 로그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모바일앱을 개발하고 모바일앱을 통해서 추출된 로그데이터를 저장할 서버 DB 를 구축하고 유사성 분석을 위한 협업필터링 엔진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일부 사용자에 대한 사용패턴 데이터셋 구축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실험 환경을 설계하였다.

      • KCI등재

        박재삼 시에 나타난 유년 체험 연구― 놀이 행위를 중심으로

        송현지 ( Hyun Ji So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8

        이 글은 박재삼의 시에 나타난 화자의 유년 체험 중 놀이 행위에 주목함으로써 박재삼의 시세계를 보다 심도 있게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박재삼의 시에서 시인과 구분되지 않는 화자는 자신의 유년시절을 회상하며 이를 서술하는 작업을 꾸준히 이어간다. 특히 놀이를 통해 세상과 조우하고 세상의 이치를 체득하며 성장했던 기억은 그의 유년 체험에서 매우 비중 있게 다루어진다. 박재삼에게 있어 놀이란 단순히 동심의 세계를 대변하거나 즐거움을 주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세계에 대한 그의 태도를 형성하고 이를 공고하게 하는 데에 기여한 행위였다. 놀이를 통해 그는 존재의 한계를 반복적으로 자각하는 한편, 자신의 인식 너머에 존재하는 세계에 대한 상상을 이어가며 현실과 구분되는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한다. 놀이를 하며 겪은 이러한 경험은 유년을 통과한 후 허무적인 인식에 빠진 그에게 위안을 줄 뿐만 아니라, 그러한 무상감을 극복할 방법 또한 알려준다. 유년에 대한 회상과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서술이 그것이다. 박재삼이 허무주의로만 침잠하지 않고 타계하기 전까지 활발하게 시를 쓸 수 있었던 원동력은 바로 여기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weighty meaning of Park, Jae sam``s childhood experience to provide an overview of Park`s poetry. In his poems, he continues to recollect his childhood days which are represented by two distinctive experiences. One is related to his poor family history and the other is involved in doing play activities. Although his play activities have had a major impact on Park`s inside consciousness, previous researchers have not concerned about it. Only the former experience has been focused in terms of tracing back his grief. Based on these results and the limits,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the importance of his play activities in his youth. While playing various activities, he repeatedly experienced the finite nature of human being. Not only that, those activities also intrigued him about the world beyond his understanding and encouraged him to create his own world. On the basis of those experiences, he found out the way of overcoming transitory. It is to bring back the memory of the past and describe it persiste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