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조 음악의 『시경』 수용과 활용 양상

        송지원(Song, Ji-Wo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6 한국문학과 예술 Vol.19 No.-

        고대 중국의 가장 오래된 시가집으로서의 『시경』은 사서삼경의 경전으로 우리나라에 유입되어 유학사(儒學史)에 큰 영향을 끼쳤다. 특히 『시경』은 음악과 관련된 경전으로서 원래 노랫말이 있는 음악이었으며, “『시경』은 곧 『악경』”이라고 보는 학자들도 있으리만치 음악적인 면에서 중요한 경전의 위치를 점하고 있다. 특히 유학의 심화가 이루어지는 조선조에 『시경』은 문학 텍스트만이 아닌, 노랫말 있는 음악이라는 시각이 확대되었다. 텍스트만 남은 시에 노래 선율이 있다면 그 선율의 모습은 사람들마다 다르게 그려질 수 있다. 따라서 조선에서는 학문적 권위를 지니는 주희가 선택한 시경 선율을 유입하고 그것을 손보아 여러 의례에서 활용하였다. 또 『시경』의 텍스트가 지니고 있는 교화적 기능은 그 노랫말에 당시 쓰이고 있는 여러 선율을 붙여 연주하는 시도로 이어기지도 했다. 조선 전기에 여러 의례를 제정하는 가운데 활용된 『시경』의 노랫말 선택 양상에서 그러한 시도들을 찾을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조선 후기로 가면서 『시경』이 ‘시와 악’의 화두와 함께 학문적 논의가 심화되는 현상들이 이어진다. 이처럼 조선조 음악에서 『시경』을 수용하거나 활용하는 사례는 다양하다. 이 글에서 그와 같은 양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첫째, 『시경』의 음악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중국에서 모의시악(模擬詩樂)을 만들어 놓은 음악을 조선이 수용하고 그것을 활용하는 양상에 대한 것, 둘째, 텍스트만 남아 있는 『시경』의 가사에 제3의 선율을 입혀 활용하는 양상, 셋째, 그러한 『시경』 관련 음악들이 여러 의례에서 쓰이는 양상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았다. 또 『시경』이 ‘노래가 있는 음악’이라는 전제에서 성립한 시악학(詩樂學)으로의 전개 양상에 관한 것도 논의하였다. The Book of Songs, which is the oldest book of poetry of the ancient China, is one of the scriptures of the Seven Chinese Classics and influenced the history of Confucianism after entering Korea. Especially, the Book of Songs is a scripture related to music which used to have lyrics and takes an important position as a scripture in terms of music so that some scholars even view the Book of Songs as the Scripture of Music. Especially in the Joseon Dynasty when Confucianism took its root firmly, the view that considered the Book of Songs as music with lyrics, not just as literary text, spread widely. If a poem that used to have a melody has only its text left, its melody will be imagined differently by different people. So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melody of the Book of Songs that had been chosen by Zhu Xi, who held academic authority, was introduced to Joseon, touched up, and used in various ceremonies. In addition, the edifying function of the text of the Book of Songs led to the efforts to combine the lyrics with various melodies that were used at that time. Such efforts can be found in the aspect of choosing lyrics of the Book of Songs, which were used in establishing various ceremonies in the early Joseon era. In the meantime, in the late Joseon era, there were in-depth academic discussions on the Book of Songs along with the theme of ‘poetry and music’. Like this, there were various cases where music in the Joseon Dynasty accepted or used the Book of Songs and this paper discussed such aspect. First of all, this paper examined the aspect of how Joseon accepted and used what China made as trial poetry and music, since the music of the Book of Songs does not exist now. Second, it reviewed the aspect of combining the lyrics of the Book of Songs with a third melody. Third, it studied the aspect of how music related to the Book of Songs was used in various ceremonies. Also, it discussed the developing aspect of the study of poetry and music that was formed under the premise that the Book of Songs was ‘music with songs’.

      • KCI등재

        석북 한시의 공연예술화에 대한 소고

        송지원 ( Song Ji-wo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6 공연문화연구 Vol.0 No.33

        석북 신광수는 시창(詩唱) 「관서악부(關西樂府)」의 작가로 잘 알려진 조선후기의 시인이다. 「관서악부」는 조선시대의 음악인들에게 인기가 있었던 시창이다. 그것을 통해 신광수의 한시에 선율을 붙여 노래 불렀던 전통이 이미 조선시대에 있었음이 확인된다. 이는 조선시대의 한시가 노랫말로 사용되었던 증거의 하나이다. 석북 외에도 조선시대의 문인들은 한시를 짓고 직접 노래했다. 이 경우 노래의 소통 공간은 작자 개인의 사랑방이 된다. 그러나 석북의 작품처럼 그것이 음악인들에 의해 노래로 불려질 때, 이는 많은 사람들과 소통하는 음악으로 공개된다. 이 글은 이미 조선시대에 사람들의 인기를 얻었던 석북 신광수의 한시와 음악을 이 시대의 무대에서도 소통될 수 있는 음악으로 만들기 위한 하나의 새로운 시도이다. 그의 한시를 일정 선율에 얹어 실제 무대를 통해 음악화한 작업의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한시의 공연예술화에 대해 생각해 보는 기회를 갖기 위한 것이다. 신광수의 한시는 그 작품 수도 많지만 한시 하나하나에 그의 삶을 조망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그의 한시 작품을 통해 그의 삶에서 있었던 주요한 사건을 이야기하는 ‘스토리텔링’이 가능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광수의 음악적 삶을 조명하고 그의 한시를 공연예술화하는 방식과 그 내용에 대해 소개해 보고자 한다. Shin Gwang-su (申光洙, 1712∼1775), also known as Seokbuk (石北), is a well-known poet and author of the song poetry (詩唱) “Gwanseo-akbu (Poems of the Gwanseo Region, 關西樂府)” in the late Joseon Dynasty. “Gwanseo-akbu” was popular among the Joseon Dynasty musicians. This fact confirms that the tradition of adding a melody to Shin Gwang-su’s “hansi (Korean poetry recorded in Chinese characters, 漢詩)” already existed in the Joseon Dynasty. It is also a proof that the hansi poem was used in songs. Besides Seokbuk, other literary figures in the Joseon Dynasty wrote and sang hansi. In that case, the place of communication for songs was a poet’s personal study, or “sarangbang.” But when, like the works by Seokbuk, poems were sung by musicians, they became available to the public to communicate through music. This study is one of the attempts to re-make Seokbuk Shin Gwang-su’s poems and songs, once popular among the Joseon Dynasty people, into the contemporary music that can be performed on stage. By adding a certain melody to his poems, this study introduces a case of musical work and offers an opportunity to consider hansi as performance art. There is a number of hansi works by Shin Gwang-su, and each poem includes material which can help survey Shin Gwang-su’s musical life. And, working on his hansi works makes it possible to narrate major events that took place in Shin’s life. Thus, this study attempts to focus Shin Gwang-su’s musical life and introduces methods and contents to stage his hansi poems as performance art.

      • KCI등재

        『금합자보(琴合字譜)』의 역사적 의미

        송지원 ( Ji Won Song ) 한국음악사학회 2013 한국음악사학보 Vol.50 No.-

        『금합자보』는 장악원 소속 관리와 음악 전문인이 함께 만든 전문성 있는 악보이다. 장악원 첨정 안상은 악보 편찬을 총체적으로 관리하고, 장악원의 악사 홍선종에게는 당시의 가락을 수습해 기존의 합자보를 개수(改修)하도록 하였으며, 대금 전공의 악공인 허억봉에게는 대금보를, 이무금에게는 장고보를 만들도록 하여 전문성을 최대치로 끌어 올렸기 때문에 악보로서의 전문성은 배가된다. 또 『금합자보』는 편찬에서 간행까지 일느 16세기 악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편찬’으로 그친 경우 악보의 배포는 한정되지만 간행까지 이를 경우 그 배포 범위가 매우 커진다. 게다가 그 편찬은 장악원 소속 관리가 주관하고 음악 전문인이 함께 참여하여 완성했다는 점에서 볼 때 국가적 규모로 이루어진 악보일 가능성을 지닌다. 『금합자보』는 합자보의 기보 방식을 취해 특별히 악보를 만든 것으로, 초학자들도 쉽게 연주할 수 있는 악보를 만들고자 하는 목적이 있었다. 이는 보다 많은 이들에게 소통이 되어 연주할 수 있는 악보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며, 16세기 장악원 소속 음악과 음악인이 ‘왕을 위한 음악’만을 관장한 것에서 더 나아가 민간에서 소통되어도 좋은 음악을 선별하여 모았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요컨대 『금합자보』는 일차적으로 안상 개인의 공로이자 업적인 것은 분명하지만 그 편찬 목적이나 내용의 분석을 통해 그것이 국가적 사업의 하나로 이루어져 편찬에서 나아가 간행까지 이르게 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Kum-bapcbabo 『琴合字譜』 (Tablature Notation for Komun`go거문고) is the musical manuscript for komun`go (six-stringed zither) by a music official of Cbangagwon 掌樂院 (Royal Music Institute of the ChosOn 朝鮮 Dynasty). An Sang 安상, the music officer of Cbamgagwon comprehensively manages the compilation of musical manuscript, asked Hong Son-jong 洪善終 musician of Cbangagwon to collect melody of the times, and repair the existing bapcbabo 合字譜 (combined character notation), asked Ho Ok-pong 許憶鳳, court musician majoring in taegum 大芩 (long transverse flute), to create taegum notation, and asked Yi Mu-gum 李無金 to create cbanggu 杖鼓(hourglass drum) notation, to maximize the professionalism. In addition, Kum-bapcbabo is important in that it is the manuscript of the 16th century from compilation to publication. If it ceased at `compilation`, the distribution of note is restricted, but if it reached publication, the scope of distribution gets much larger. 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is manuscript was achieved in national dimension in that compilation was supervised by officials of Cbangagwon and completed with participation of music specialists. Kum-bapcbabo was specially created by adopting music notation type of bapcbabd and aimed to make musical note which could be easily played by beginning artists. This makes us to think the possibility that music was selected which could be communicated to private sectors beyond the supervision of ‘music for king’ by the musicians as well as music that belonged to Cbangagwon in the 16th century. In short, it is clear that completion of Kum-bapcbabo is primarily personal achievement and credit of An Sang but this study tried to check that it might result in compilation and publication into national project through analysis of contents and purpose of compilation.

      • KCI등재

        부모-자녀관계치료(CPRT)를 통한 공감적 상호작용과 양육효능감 증진 및 양육스트레스 감소의 효과성 연구: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를 중심으로

        송지원 ( Song Jiwon ),최연실 ( Choi Younshil ) 한국가족관계학회 2022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6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3세-5세 자녀를 둔 취업모를 대상으로 부모-자녀관계치료인 CPRT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공감적 상호작용,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 1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 5명씩 나누고 실험집단은 화상회의어플인 Zoom으로 주 2회 90분씩 총 8회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Mann-Whitney U Test와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시행하였다. 질적 분석을 위해 매 회기별 참여한 취업모의 행동 변화를 관찰하고 기록하여 공통적 변화와 치료적 요인을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관계치료 프로그램은 취업모의 공감적 상호작용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부모-자녀관계치료 프로그램은 취업모의 양육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부모-자녀관계치료 프로그램은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넷째, 부모-자녀관계치료 프로그램의 회기별 관찰을 통해 취업모의 공통적 요인과 치료적 요인이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부모-자녀관계치료 프로그램이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효능감 형성을 위한 예방적 차원 및 단기적 집단치료 프로그램으로서의 타당함과 효과성을 입증하였으며, 영유아기 자녀 양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업모들의 사회·심리 적응 프로그램에 대한 후속연구 확산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intend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mpathic interaction,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by conducting a CPRT program, a child-parent relationship treatment, for working mothers with children aged 3 to 5. Methods: Ten working mothers with children aged 3 to 5 were equally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90 minutes twice a week with a total of 8 sessions. To verify effectiveness, the study conducted the Mann- Whitney U Test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using SPSS 21.0. For qualitative analysis, changes in the behavior of working mothers participating in each session were observed and recorded, and common factors and therapeutic factors were categorized. Results: Results indicate that the CPRT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empathic interaction and the parenting efficacy of the working mothers. The program was similarly effective in reducing the working mothers’ parenting stress. This study also observed common and therapeutic factors of working mothers during the CPRT program sessions. Conclusions: This study proved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CPRT program as a preventive and group treatment program for the formation of parenting efficacy for employed mothers with infants. The study also recommends that follow-up research be conducted focusing on social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programs.

      • KCI등재
      • KCI등재

        조선후기 儒家樂論의 쟁점

        송지원(Song Ji-wo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9 한국학연구 Vol.30 No.-

        서명응은 『詩經』이 『樂經』이라는 시각에서 출발, 시와 악 양자에 걸쳐 두루 논의를 전개하였다. 三代와 西周의 盛世를 가장 이상적인 상태로 여겼던 대부분의 유학자들처럼 서명응 詩經論의 이상적 모델도 삼대에 있었다. 이 시기의 음악이 곧 성인이 제작한 樂으로 천지조화에 상징을 세웠던 본래적 의미가 음악에 드러나는 것으로 간주했기 때문이다. 서명응은 祭禮를 연행할 때 堂上과 堂下의 사이에서 추는 佾舞는 儒家의 세계관인 天地人 三才思想을 반영한 것으로 보았다. 제례를 올릴 때 연주되는 넓은 의미의 ‘樂’은 하늘을 상정하는 堂上樂, 땅을 상징하는 堂下樂, 그리고 사람, 사람의 일[人事]을 상징하는 일무의 삼자가 결합하여 ‘우주의 음악’을 연행하는 것이라 설명하였다. 서명응이 논한 詩樂論과 佾舞論은 유가악론의 쟁점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내용이다. 국가의 핵심관료라는 위치에서 논하는 서명응의 시악론은 국가전례에서 쓰이는 시와 악, 즉 전례음악으로서의 시와 악에 집중되어 있었다. 일무론 또한 五禮 중의 吉禮에 속하는 제례악무로서의 일무라는 점에 집중되어 있었다. 따라서 서명응의 시악론과 일무론은 조선후기 당시 국가전례에 사용하는 樂ㆍ歌ㆍ舞의 논의와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Siaknon 詩樂論 and Ilmuron 佾舞論 discussed by Seo Myeong-eung 徐命膺, a Jiak jishin (music-understanding Subordinate, 知樂之臣) in the King Jeongjo 正祖 of the late Joseon period are the most core issue among the issues of the music theory by a Confucian scholar. The Siaknon by Seo Myeong-eung who mentioned this in the position of a key government official, was concentrated on traditional poems and music used in national rites (國家典禮), in other words, liturgical music (典禮音樂). The Ilmuron also was devoted on the fact of being Ilmu 佾舞 as ritual music and dance that belonged to auspicious ceremonies (吉禮) from among five ritual ceremonies (五禮). Therefore, the Siaknon and Ilmuron of Seo Myeong-eung were found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discussions about music, song, and dance (樂ㆍ歌ㆍ舞) which had been used for national rites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Seo Myeong-eung saw Ilmu that people danced between Dangsang (on the main floor of the royal palace, 堂上) and Dangha (under the main floor of the royal palace, 堂下) during religious rites, as the reflection of the ideology of three components (三才思想): heaven 天, earth 地, and man 人. This ideology was the view of the world by a Confucian scholar. Music performed during religious rites signifies performing music of universe in combination of the following three parties: Dangsangak 堂上樂 symbolizing heaven, Danghaak 堂下樂 symbolizing the earth, and Ilmu symbolizing man affairs (人事).

      • KCI등재
      • KCI등재

        조선 중기 국왕의 음악정책 - 성종ㆍ중종ㆍ인조를 중심으로 -

        송지원 ( Song Ji-wo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7 공연문화연구 Vol.0 No.34

        이 연구에서는 15세기 후반부터 17세기 초반까지 약 200여년 사이에 집권했던 세 왕, 성종과 중종, 인조의 음악정책을 살펴보았다. 이 세 왕은 각각 다른 이유에서 음악사적으로 주목을 요한다. 성종은 조선의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는 예서, 법전, 악서의 전형인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1474), 『경국대전(經國大典)』(1476), 『악학궤범(樂學軌範)』을 편찬하여 그가 펼친 음악정책의 방향에 대해 조명할 필요가 있다. 중종은 연산군의 폭정을 못 견디어 신하들이 반란을 일으키고 왕으로 추대된 후 대비의 승인을 얻어 왕위에 오른 경우이며, 인조는 직접 군사를 일으켜 집권하여 반정(反正)에 의해 즉위했다. 반정에 의해 즉위한 왕이 전개한 음악정책의 양상은 그렇지 않은 경우와 어떻게 다른지 궁금하다. 이처럼 세 왕 모두 즉위의 배경이 각 다르고 그 왕대에 펼쳐진 음악정책의 내용 또한 다른 강조점을 두고 전개되므로 각각의 양상에 대해 별도로 고찰하였다. 성종은 악(樂)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음률을 깨친 관리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 예조에 특별한 전지(傳旨)를 내렸다. 그 내용을 먼저 밝히고자 하였다. 또 의례에서 사용하는 노랫말의 개정 논의와 관련되어 이루어진 여러 개편 작업들의 과정과 내용, 의미를 살펴보았다. 중종은 음악의 제도적인 면을 많이 보완하였다. 이는 연산군 대에 변칙적이고 방만하게 이루어진 음악관련 정책을 바로잡고자 하는 의지 표명의 결과이다. 또 노랫말이 불도(佛道)에 관계되는 말, 남녀상열지사를 다룬 말이 많아 이를 혁파하고자 하는 정책이 펼쳐졌다. 인조 대는 전란 이후의 상황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펼쳐진 음악정책을 살펴보았다. 두 차례의 전란 이후 악공과 악생이 흩어져 국가제사도 제대로 갖추어 올리지 못하던 시기이므로 이 시기의 음악정책은 안정기와는 다른 방식으로 정책이 펼쳐진다. 이와 함께 병자호란 이후 소실된 악기와 흩어진 음악인들의 수습을 위해 어떠한 조치가 취해지는지 논의하였다. 아울러 제사에서 쓰이는 음악이 폐지된 상황에서 그 복구 노력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보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music policies of the three kings, Seongjong, Jungjong, and Injo, who were in power for about 200 years from the late 15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These three kings deserve attention in musical history for different reasons. Sungjong published “Gugjooryeui”(1474), “Gyeong-gugdaejeon"(1476), and “Aghaggwebeom"(1493), the typical etiquette books, law books, and musical books that take the most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Joseon, so his direction of music policy deserves attention. Jungjong was the long who rose to the throne after there was a revolt against Yeonsangun`s tyranny. Injo ascended to the throne by starting a military coup d`etat himself. One may wonder how the aspect of music policies developed by a king, who was crowned by a revolt, is different from other cases. As each of these three kings had different background of enthronement and the contents of music policies in the royal family also developed with different emphasis, this study examined each aspect separately. Sungjong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usic and regarded it important to cultivate officials who know music. To this end, he gave a special order to Yejo(the office of protocol) and this study tried to clarify the contents first.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contents, and meaning of various modification works related to the revision of the lyrics used in the ceremonies. Jungjong supplemented the institutional aspects of music. This is the result of expressing the will to correct the anomalous and reckless music policies of the period of Yeonsangun. In addition, many words in the lyrics had been about Buddhist doctrines and love songs between male and female, so there were efforts to reform these. As for the period of Injo, this study examined the music policies that were made in the process of resolving the crisis after the war. It was a time when court musicians were scattered after two times of war and it was not possible to hold the national ritual properly, so music policies in this period were different from the ones in stable era. This study covered discussions on the measures to collect lost instruments and scattered musicians. It also looked at how the restoration effort was made in the situation that the music used in ancestral rites was abolish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