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송지원(Song, Ji-Wo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6 한국문학과 예술 Vol.19 No.-
고대 중국의 가장 오래된 시가집으로서의 『시경』은 사서삼경의 경전으로 우리나라에 유입되어 유학사(儒學史)에 큰 영향을 끼쳤다. 특히 『시경』은 음악과 관련된 경전으로서 원래 노랫말이 있는 음악이었으며, “『시경』은 곧 『악경』”이라고 보는 학자들도 있으리만치 음악적인 면에서 중요한 경전의 위치를 점하고 있다. 특히 유학의 심화가 이루어지는 조선조에 『시경』은 문학 텍스트만이 아닌, 노랫말 있는 음악이라는 시각이 확대되었다. 텍스트만 남은 시에 노래 선율이 있다면 그 선율의 모습은 사람들마다 다르게 그려질 수 있다. 따라서 조선에서는 학문적 권위를 지니는 주희가 선택한 시경 선율을 유입하고 그것을 손보아 여러 의례에서 활용하였다. 또 『시경』의 텍스트가 지니고 있는 교화적 기능은 그 노랫말에 당시 쓰이고 있는 여러 선율을 붙여 연주하는 시도로 이어기지도 했다. 조선 전기에 여러 의례를 제정하는 가운데 활용된 『시경』의 노랫말 선택 양상에서 그러한 시도들을 찾을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조선 후기로 가면서 『시경』이 ‘시와 악’의 화두와 함께 학문적 논의가 심화되는 현상들이 이어진다. 이처럼 조선조 음악에서 『시경』을 수용하거나 활용하는 사례는 다양하다. 이 글에서 그와 같은 양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첫째, 『시경』의 음악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중국에서 모의시악(模擬詩樂)을 만들어 놓은 음악을 조선이 수용하고 그것을 활용하는 양상에 대한 것, 둘째, 텍스트만 남아 있는 『시경』의 가사에 제3의 선율을 입혀 활용하는 양상, 셋째, 그러한 『시경』 관련 음악들이 여러 의례에서 쓰이는 양상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았다. 또 『시경』이 ‘노래가 있는 음악’이라는 전제에서 성립한 시악학(詩樂學)으로의 전개 양상에 관한 것도 논의하였다. The Book of Songs, which is the oldest book of poetry of the ancient China, is one of the scriptures of the Seven Chinese Classics and influenced the history of Confucianism after entering Korea. Especially, the Book of Songs is a scripture related to music which used to have lyrics and takes an important position as a scripture in terms of music so that some scholars even view the Book of Songs as the Scripture of Music. Especially in the Joseon Dynasty when Confucianism took its root firmly, the view that considered the Book of Songs as music with lyrics, not just as literary text, spread widely. If a poem that used to have a melody has only its text left, its melody will be imagined differently by different people. So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melody of the Book of Songs that had been chosen by Zhu Xi, who held academic authority, was introduced to Joseon, touched up, and used in various ceremonies. In addition, the edifying function of the text of the Book of Songs led to the efforts to combine the lyrics with various melodies that were used at that time. Such efforts can be found in the aspect of choosing lyrics of the Book of Songs, which were used in establishing various ceremonies in the early Joseon era. In the meantime, in the late Joseon era, there were in-depth academic discussions on the Book of Songs along with the theme of ‘poetry and music’. Like this, there were various cases where music in the Joseon Dynasty accepted or used the Book of Songs and this paper discussed such aspect. First of all, this paper examined the aspect of how Joseon accepted and used what China made as trial poetry and music, since the music of the Book of Songs does not exist now. Second, it reviewed the aspect of combining the lyrics of the Book of Songs with a third melody. Third, it studied the aspect of how music related to the Book of Songs was used in various ceremonies. Also, it discussed the developing aspect of the study of poetry and music that was formed under the premise that the Book of Songs was ‘music with songs’.
송지원 ( Song Ji-wo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6 공연문화연구 Vol.0 No.33
석북 신광수는 시창(詩唱) 「관서악부(關西樂府)」의 작가로 잘 알려진 조선후기의 시인이다. 「관서악부」는 조선시대의 음악인들에게 인기가 있었던 시창이다. 그것을 통해 신광수의 한시에 선율을 붙여 노래 불렀던 전통이 이미 조선시대에 있었음이 확인된다. 이는 조선시대의 한시가 노랫말로 사용되었던 증거의 하나이다. 석북 외에도 조선시대의 문인들은 한시를 짓고 직접 노래했다. 이 경우 노래의 소통 공간은 작자 개인의 사랑방이 된다. 그러나 석북의 작품처럼 그것이 음악인들에 의해 노래로 불려질 때, 이는 많은 사람들과 소통하는 음악으로 공개된다. 이 글은 이미 조선시대에 사람들의 인기를 얻었던 석북 신광수의 한시와 음악을 이 시대의 무대에서도 소통될 수 있는 음악으로 만들기 위한 하나의 새로운 시도이다. 그의 한시를 일정 선율에 얹어 실제 무대를 통해 음악화한 작업의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한시의 공연예술화에 대해 생각해 보는 기회를 갖기 위한 것이다. 신광수의 한시는 그 작품 수도 많지만 한시 하나하나에 그의 삶을 조망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그의 한시 작품을 통해 그의 삶에서 있었던 주요한 사건을 이야기하는 ‘스토리텔링’이 가능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광수의 음악적 삶을 조명하고 그의 한시를 공연예술화하는 방식과 그 내용에 대해 소개해 보고자 한다. Shin Gwang-su (申光洙, 1712∼1775), also known as Seokbuk (石北), is a well-known poet and author of the song poetry (詩唱) “Gwanseo-akbu (Poems of the Gwanseo Region, 關西樂府)” in the late Joseon Dynasty. “Gwanseo-akbu” was popular among the Joseon Dynasty musicians. This fact confirms that the tradition of adding a melody to Shin Gwang-su’s “hansi (Korean poetry recorded in Chinese characters, 漢詩)” already existed in the Joseon Dynasty. It is also a proof that the hansi poem was used in songs. Besides Seokbuk, other literary figures in the Joseon Dynasty wrote and sang hansi. In that case, the place of communication for songs was a poet’s personal study, or “sarangbang.” But when, like the works by Seokbuk, poems were sung by musicians, they became available to the public to communicate through music. This study is one of the attempts to re-make Seokbuk Shin Gwang-su’s poems and songs, once popular among the Joseon Dynasty people, into the contemporary music that can be performed on stage. By adding a certain melody to his poems, this study introduces a case of musical work and offers an opportunity to consider hansi as performance art. There is a number of hansi works by Shin Gwang-su, and each poem includes material which can help survey Shin Gwang-su’s musical life. And, working on his hansi works makes it possible to narrate major events that took place in Shin’s life. Thus, this study attempts to focus Shin Gwang-su’s musical life and introduces methods and contents to stage his hansi poems as performance art.
송지원(Song, Ji-won) 한국고전번역원 2013 民族文化 Vol.42 No.-
조선후기의 학자 保晩齋 徐命膺에 의해 수행된 詩와 樂 관련 연구는 조선후기 학술계에서 개별 분과학문의 개성화와 전문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현장을 보여준다. 조선후기의 학자 서명응은 영조, 정조 년간 중앙의 핵심관료를 지내면서 국가규모의 편찬사업에 두루 간여하여 여러 학문 분야에 걸쳐 중요한 저술을 남긴 인물이다. 그는 여러 학문 분야에 정통했지만 특히 詩와 樂에 관하여는 ‘침식을 잊을 정도로 심취’하여 일정 정도의 성취를 이루어내었다. 그가 침식을 잊고 연구한 詩와 樂은 근본적으로 詩樂의 원론적 탐색과 관련된 것이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제사와 연향, 군사의례 등 각종 국가전례에서 쓰이는 ‘樂章으로서의 詩樂’의 이상적인 형태를 찾아 그것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나아가 시와 악이 堂上의 노래와 堂下의 연주로 편성되는 이상적 형태의 음악을 제시함으로써 儒家의 樂論을 현실적으로 구현하는 방식을 탐구하고자 한 것이기도 했다. 따라서 서명응이 추구한 詩樂의 理想은 국가전례의 이상과 일정 지점에서 조우한다. 그러나 그것은 때로 이념적 이상으로 제시되는 것에 그치기도 한다. 시와 악의 원론적 탐색을 거쳐 그것을 실행에 옮기는 단계까지 연결되는 것은 현실적으로 무리가 따르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현실에서의 실행 여부를 놓고 서명응의 연구에 대한 가치를 매기는 것은 무의미한 일이 될 것이다. 오히려 가장 이상적인 시와 악이 무엇인지 고뇌했던 조선후기 학자가 그 고민의 결과로서 제시한 악장과 음악의 만남, 당상악과 당하악의 이상적 형태에 대한 고찰은 우주론적 의미에서의 시와 악에 대해 보다 깊이 성찰하는 기회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Study on poetry and music conducted by Bomanjae Seo Myoung-Eung, a scholar of the late Joseon dynasty, shows the scene of active individualization and specialization of individual branch study in an academic field. Seo Myoung-Eung, a scholar of the late Joseon dynasty, wrote on various academic fields, engaging national compilation project while he worked as a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 Although he was well-vers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he was especially interested in poetry and music that he forgot to eat and sleep. He gained some achievement in those fields. Poetry and music he studied, forgetting to eat and sleep, are related to a theoretical investigation into Poetry musicology but ultimately, they are to find and suggest an ideal form of ‘poetry musicology as a Akjang (movement)’ that is used at traditional national ceremonies such as ritual, reception and military protocol. Furthermore, they were for the investigation into how to realize Confucian’s theory of music realistically by suggesting ideal form of music that consists of Dangsang’s 堂上 songs and Dangha’s 堂下 instrument play. Therefore, idea of poetry musicology which Seo Myoung-Eung seeked meets the ideal of traditional national ceremonies at some points. However, it sometimes is limited to being just suggested as ideological idea. That is probably because it is hard to connect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poetry and music to the stage of action in reality. However, it would be meaningless to measure the value of Seo Myoung-Eung’s study depending on carrying it out in reality. Rather, combining Akjang and music, and the ideal form of Dangsanak (music on the hall) and Danghaak (music under the hall) suggested by the late Joseon dynasty scholar who studied what the most ideal poetry and music are can give an opportunity of reflecting on poetry and music more deeply in cosmological sense.
송지원(Song Ji won) 국립국악원 1999 국악원논문집 Vol.11 No.-
The late Chosun period boasted of her culture. It, also known as Chosun Chunghwaism, changed several aspects in governmental policy on music. Regulating the ceremonial music rather than importing new materials or re-defining music theory are good examples of Chunghwaism. Especially, the theoretical writing of the scholar-king Chŏngjo with Sŏ myŏng-ŭng represented the higher goal of Chosun, establishing her status as the cultural center of East Asian culture. The time was right after the fall of Chinese Ming Dynasty; the Chosun asswned the responsibility of becoming the center for Confucian.ism. What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ideal music, that is, to re-discover the music of the past, was emphasized during this period. On the contrary, some scholars from the northern tradition who had been to the Ching china searched for a new type of music and civilization, and adopted yangŭm as a result. This paper deals with two contrasting efforts by two groups in the late Chosun period.
송지원(Song, Ji-Wo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8 한국문학과 예술 Vol.28 No.-
산대(山臺)란 산 모양으로 만든 거대한 인공 가설무대로 삼국시대 이래 고려를 거쳐 조선조까지 전승되어 왔다. 신라시대로부터 유래하여 고려시대로 이어진 팔관회, 연등회와 같은 국가적인 규모의 행사를 거행할 때면 산대를 만들어 놓고 온갖 연희와 춤과 음악을 연행하는 전통이 있었다. 이때 산대 주변에서 펼쳐지는 온갖 연희는 그 시대에 연행되는 다양한 공연물로 채워졌다. 산대가 설치된다는 것은 나라의 중요한, 혹은 볼만한 공연문화가 한 자리에 모인다는 의미가 된다. 그러나 산대를 설치하는 데에는 대규모 물력이 필요하여 조선 중후기 무렵 폐지되지만 그 규모를 통해 조선시대에 번성했던 공연문화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또 산대를 중심으로 펼치는 다양한 연희는 전통시대에 다양하게 전개되었던 우리 공연예술의 다양함과 수준을 알려준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에 산대가 설치되는 역사와 그 전개과정을 살펴본다. 신라시대로부터 시작되어 조선시대에 산대 폐지 논의가 이루어지고 조선 후기에는 산대의 양상이 달라지는 과정을 논한다. 현재에 산대는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지만 산대를 설치하는 것의 현재적 의미는 무엇인지 생각해 보고자 한다. Sandea literally means “mountain stage”, it is a makeshift stage which has the shape like a mountain, and is passed down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to the Joseon Dynasty. Actually it comes from Silla period, and also relates to the national ceremonies like Palqwanghoi (팔관회) and Yondunghoi(연등회) in Goryo Daynasty. They built the Sandea to perform a play on the stage with dances and music also. People enjoyed the various performance not only on the stage but also around the Sandae. Building up the Sandea means a great deal of people from all around regions come for it. With the problem making huge fund to buil it up, Sandea was put under a ban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though, we could imagine the spectacular scenery of performing art at that time, and the cultural diversity and level. This paper examine the history about Sandae which strated from Silla to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Especially it contains the process of starting discussion about the prohibiting Sandae and the various form of the Sandae in the late Joseon Dynasty. Sandae has a place only in our imagination though, it is need to think what is the meaning of Sandae nowadays.
송지원(Jiwon Song),이규일(Gyuil Le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8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활동 측면에서 나타나는 비만 여중생의 체육수업 제약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포토보이스 기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D 광역시 A 중학교에 재학 중인 과체중 및 비만 여중생 6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오리엔테이션, 포토보이스 실행, 그리고 포커스 그룹 인터뷰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포토보이스 분석 절차에 따라 사진고르기, 맥락화, 주제화하기 순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체육수업의 신체활동 제약문제에 대한 연구참여학생의 인식은 무력감, 몸의 노출과 시선, 차별의 목소리로 범주화되었다. 연구결과를 구체화할 때, 비만 여중생들은 낮은 신체상과 자아상, 부정적인 신체활동 태도, 몸에 대한 예민한 반응 등의 문제를 안고 있으며, 이러한 개인의 내적 상태가 체육수업 과정에서 야기되는 심리적 무기력, 노출과 시선, 차별적 관계 형성 등의 외적 문제와 결합하며 소극적 신체활동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체육수업의 편만한 slenderism, 신체적 노출환경, 사회적 관계 문제, 교수방법 문제에 대한 대안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onstraint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of obese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perspectives of physical activity. This study used a photo voice approach. Six obese female A middle school students from D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using orientation, photo voice, and focus group interviews, an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photo selection, conceptualization, and the thematic structure of a text.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perceiv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s a feeling of helplessness, body exposure & attentions from others, and discriminated voice. This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experienced low levels of body- and self-image, negative attitudes toward physical activity, and excessive concerns of their body. The combination of these internal experiences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helplessness of task, discriminated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unpleasant exposure & attentions make students inactive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Lastly, this study discusses alternative solutions of prevailed slenderism, teaching method problems, body exposed environments, and social relationship problems.
의례(儀禮) 기록의 방식: 『국조속오례의서례(國朝續五禮儀序例)』 읽기
송지원 ( Ji Won Song ) 한국실학학회 2012 한국실학연구 Vol.0 No.23
이 연구는 五禮書의 ``序例`` 讀法에 관한 연구이다. 오례서의 ``서례``는 국가의례에서 본 행사를 기록한 儀註를 실제 의례로 행할 때 알아야 할 각종 규정, 즉 제사의 성격, 제사 지내는 시기, 제사에 참여하는 齋官, 의례에서 연주하는 음악과 악대의 편성, 의례 참여자의 복식, 왕의 행차에 동원되는 각종 儀仗旗, 의례에 쓰이는 器物 등에 대해 기록한 것을 말한다. 의례의 시행절차를 기록한 ``의주``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서례``에 기록된 이들 규정을 함께 읽어야 하는 것은 本書와 서례를 별도로 작성했던 조선시대 국가전례서의 기록 방식 때문이다. 오례서의 ``서례``부분은 오례서를 이해하는 것 이상으로 치밀하게 읽고 이해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간 ``서례``에 대하여 집중한 연구는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 오례 기록의 규범을 이룬 『국조오례서례』를 기준으로 하여 그 전후의 서례와 함께 살펴봄으로써 서례 기록의 일반성과 특수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영조대에 편찬된 『국조속오례의서례』를 빌미로 오례서의 「서례」를 어떻게 읽어야 할 것인지 파악하는 데 초점이 있다. 따라서 영조대 의례의 내용에 대해 집중적으로 밝히기 보다는 「서례」 일반에 관한 논의에 비중이 더 두어질 것이다. 이 글이 오례서를 읽는 과정에서 올 수 있는 독법상의 오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이 있으며, 같은 사안을 다르게 읽는 경우가 허다한 현실을 인식하고 쓴 글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례」만을 다룬 연구가 없는 현실에서 「서례」의 시스템을 어떻게 인식하고 「서례」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고민해 보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This is a study on the reading of ``Seorye 序例`` of Oryeseo 五禮書. ``Seorye`` of Oryeseo is record of various rules which should be known when actually carrying out Euiju 儀註 of the main event in national ritual, including nature of memorial service, period of holding memorial service, holding offices who participate in each service, organization of music and band, clothing of the ritual participants, all sorts of ceremonial flags and articles used in ceremony. To properly understand ``Euiju,`` which documented procedures of ritual, we must read those rules recorded in ``Seorye`` because of recording methods of national liturgical book in Joseon Dynasty where the main book and ``Seorye`` were written separately. Therefore, the part of ``Seorye`` of Oryeseo must be closely read and understood much more than understanding of Orye. Nevertheless, the studies focusing on ``Seorye`` have been rare, this study attempts to discover generality and specialty of Seorye documents by examining the ones before and after Gukjooryeseorye 國朝五禮序例, which has made norms for Orye records. This study focuses on understanding how to read Seorye with Gukjo sogoryeui Seorye, which was published in the period of King Yeongjo. Thus, instead of intensively examining some things from ritual in the time of King Yeongjo, the study will give more weight to general discussion about Seorye. The current article has the purpose of minimizing misunderstanding in reading, which might happen in the course of interpreting Orye, and it`s written in the perception of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examples of reading the same case differently. Therefore, with reality in which studies dealing only with Seorye, this study should be an opportunity to concern about how to appreciate the system of Seorye and how to read it correc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