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도인지장애를 가진 노인 운전자의 위험요소 예측 및 인지평가도구에 대한 메타분석

        송아영,박민경,이재신 대한작업치료학회 201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2 No.2

        목적 : 경도인지장애를 가진 노인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 운전상황에서 나타나는 위험요소를 예측하고, 운전 위험성 확인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인지평가도구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경도인지장애”와 “정상”노인 운전자 그룹으로 분류하여 운전평가와 인지평가를 실시한 무작위대 조군(Randomized Control Trial; RCT)연구 17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Jadad 평가를사용하여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고, 각각의 위험요소와 인지평가도구에 대하여 통계적 이질성, 효과크기,민감도 및 출판 편의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 선정된 연구들의 Jadad 평가는 “높은 질의 논문”으로 평가되었다. 인지평가도구의 효과크기 분석결과 길만들기 검사-A (Trail Making Test-A; TMT-A), 길 만들기 검사-B (Trail Making Test-B; TMT-B),The Useful Field of View (UFOV-subtest 2)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5). 각 효과크기는TMT-A가 0.44, TMT-B 가 0.54, UFOV-subtest 2가 0.52로 “큰 효과크기”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위험요소의 효과크기 분석결과 주행 오차 항목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5). 각 효과크기는 주행오차가 0.83, 주행속도가 -0.17, 반응속도 가 0.70, 브레이크가 0.47 그리고 회전은 -0.81이다. 따라서주행오차와 회전은 “큰 효과크기”, 반응속도는 “중 간 효과크기”, 브레이크는 “작은 효과크기”로 해석할 수있다. 결론 : TMT-A, TMT-B와 운전 시 필요한 시지각 능력을 평가하는 UFOV-subtest 2는 경도인지장애를가진 노 인 운전자의 운전 위험성 확인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위험요소에서 속도위반, 신호위반,차량 정지선 위 반을 의미하는 주행오차는 안전한 운전을 위한 추가적인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뇌졸중 환자를 위한 한국형 지역사회 통합 설문지(Korean-translated Version of Community Integration Questionnaire; K-CIQ)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송아영,차태현,이재신,김수경 대한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6 No.1

        목적 : 본 연구는 한국형 지역사회 통합 설문지(Korean version of Community Integration Questionnaire; K-CIQ)를 개발하고, K-CIQ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상자는 총 300명으로 뇌졸중 환자 200명과 일반인 100명이었다. 한국형 지역사회 통합 설문 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용타당도, 판별타당도, 수렴타당도, 구성타당도의 4가지 타당도 검증과 내적일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내용타당도 결과 문항 이해도 검증에서 15문항 모두 4점대의 점수를 보였으며, 내용 타당도 지수 값이 .96으로 나타났다. 판별타당도 검증 결과 뇌졸중 환자와 일반인의 K-CIQ 총점 및 각 영역별 점수 의 평균에서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p<.01). 수렴타당도 검증 결과 K-CIQ와 SF-36의 상관관계가 .197로 다소 낮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1)으며, 구성타당도 검증 결과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신뢰도 연구 결과, 내적일치도 값은 .712로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다. 검사-재검사 신뢰도 결과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지역사회 통합의 정도 확인 및 재활의 결과 측정을 위한 K-CIQ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수립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K-CIQ가 국내의 다양한 재활 중재의 결과 측정 및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사회적 독립성과 지역사회 참여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to develop Korean Version of Community Integration Questionnaire(K-CIQ) translational CIQ,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verified. Methods: In study of K-CIQ, total of 300 study subjects including 200 adult stroke patients and 100 normal people. In order to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CIQ which was 4 validity studies were conducted including content, discriminant, convergent and construc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Results: Content validity results showed high scores around 4 point in all 15 item in the verification of understanding, and content validity index was highly calculated at .96 in item-fit test. In K-CIQ average scores in discriminant validity results, stroke group showed lower scores than normal group and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In convergent validity results, correlation between SF-36 and K-CIQ was .197 and th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p<.01). In construct validity results, 4 factors and 13 item were identified. Internal consistency of total item in K-CIQ was at high level of .712. In test-retest reliability results all area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K-CIQ for stroke patients, has been proven validity and reli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K-CIQ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measure various local rehabilitation results and related studies, and as useful tools to measure social independence and regional community participation.

      • KCI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Obesity in Pre-Pregnancy and Preterm Birth in Korean Women: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송아영,지정현,노은진,김호연,안기훈,홍순철,김해중,오민정,조금준 대한주산의학회 2022 Perinatology Vol.33 No.4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maternal pre-pregnancy obesity on the risk of preterm birth in Korean women. Methods: Primiparas who delivered a singleton between January 1, 2007, and December 31, 2015, and underwent a National Health Screening Examination within 1 year of pregnancy were eligible. Preterm birth data were obtained by merg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for Infants and Children database. Maternal obesity was defined as a body mass index of ≥25 kg/m2. Results: Among 237,064 women who delivered during the study period, 16,249 (6.9%) women were obese. In the multivariable analysis, women with obesity had an increased risk of preterm birth (<37 weeks of gestation: odds ratio [OR], 1.14; 95% confidence interval [CI], 1.04-1.25) compared with those without obesity. Women with obesity also had an increased risk of early preterm birth (<34 weeks of gestation: OR, 1.44; 95% CI, 1.24-1.69). Conclusion: Our study demonst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in pre-pregnancy and the risk of preterm birth in Korea. A public health plan regarding obesity in prenatal counseling is needed to achieve optimal body weight gain before conception to minimize the risk of poor perinatal outcomes.

      • KCI등재

        DACUM 직무분석을 통한 ‘연하재활’ 교과목 개발연구

        송아영,전영혜,차태현,홍덕기,윤영식,이훈병,우희순,오종치,최지현 대한작업치료학회 2016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4 No.1

        목적 : 본 연구는 임상에서 요구하는 지식, 기술, 태도를 갖춘 작업치료사를 양성하기 위해 작업치료사의 ‘연하재활’ 교과목을 개발하고, 특성화된 연하재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Deveploping a Curriculum (DACUM) 직무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연하재활의 직무를 정의하고 연하재활관련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작업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를 검증하였다. 검증을 통해 추출한 각각의 핵심작업에 대해 지식, 기능, 도구를 확인하여 교과목을 도출하고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결과 : 연하재활 직무에 대한 4개의 책무와 18개의 수행작업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6개의 핵심작업을 추출하고 지식, 기능, 도구에 따라 4개의 교과영역과(기본 이론, 연하장애의 원인과 특성, 연하장애 평가, 연하장애 치료) 15주차 교육내용을 도출하였다. 결론 : 연하재활 직무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교과목을 개발하였기에 연하재활 교육 프로그램 및 체계적인 임상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ourses of dysphagia rehabilitation in order to cultivate occupational therapists who have knowledge, technical skills and attitudes required in a clinical situations and to present a direction for specialized dysphagia rehabilitation. Methods : Job of dysphagia rehabilitation was defined by using job analysis technology of Developing a Curriculum (DACUM). Priority of jobs and a need of education were verified for occupational therapists who work in dysphagia rehabilitation. Knowledge, functions and instruments were checked for core work extracted through verification to draw subjects and compose curriculum. Results : Four duties which are related to dysphagia rehabilitation and eighteen works were checked. Based on the check, six core jobs were extracted and four subjects (basic theory, reason and characteristics of dysphagia, evaluation of dysphagia and dysphagia therapy) according to knowledge, function and instruments were drawn for 15 week course. Conclusion :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ysphagia rehabilitation education program and systematic education because this study developed subjects by concretely analyzing duty of dysphagia rehabilitation.

      • 중심 안정화 운동이 실조증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증례보고-

        송아영,하치심,이주능,박래덕,이준성,이지원 대한신경치료학회 2014 신경치료 Vol.18 No.1

        Background an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re stability exercise on the static standing balance and upper limb function in patients with cerebeIlar ataxia. Subjects and Me빼ods The 3 subjects(2 maIes and 1 femaIe) p따ticipated in the study. Intervention was given 40 minutes per session for each subject, 5 days a week for 6 weeks. The outcomes of the study were measured by BaIance Trainer-4 system for static standing balance, manuaI function test(MFT) for upper limb function, surface elecσomyography(sEMG) for analysis of trunk and upper limb muscIes activities and internationaI cooperative at없ia rating scaIe(lCARS) for assessment of ataxic symptoms. Resu/ts Compared to study resu1ts betwee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e static standing baIance of 2 subjects improved. For 외1 subjects, the MFT score increased after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EMG results during reaching task in si띠ng posi디00 , the mean amplitudes of thoracic and lumbar erector spinae(ES), triceps brac비i(TB) and extensor carpi radiaIis(ECR) increased and the mean ampIitudes of middle de1toid and biceps brachii(BB) decreased in aIl 3 su비ects. AIso, the scores of ICARS decreased after core stabiIity exercis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re stabiIity exercise may have a beneficiaI effect on static standing balance and upper Iimb function in patients with cerebellar atax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