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문과(漢文科) 교수(敎授),학습(學習) 방법(方法) 연구(硏究)의 성과(成果)와 방향(方向)

        송병렬 ( Pyung Nyul So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처음부터 활발했던 것은 아니다. 연구는 두 가지 형태로 발표되었다. 즉 ``교수 방법``과 ``교수·학습 모형``이 그것이다. ``교수 방법``의 성과는 강덕희의 「기초 조어표의 활용을 통한 조어표의 효과적인 지도방안」부터 비롯했다. 이후 김우용의 「특활을 통한 한문과 학습지도가 학습자의 학력신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한자카드 놀이법``을, 조규남은 「그림을 활용한 한자지도법 연구」에서 한자를 그림으로 제시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들 논문은 지도안의 성격을 띠는 것이었다. 배원룡은 「한문과 교수·학습 지도 방법」에서 ``융판 활용 한자어 지도법``에서 ``비교 학습법``, ``색출 학습법``, ``역할 놀이 카드 활용법`` 등의 다양한 학습법을 제시하였으나, 기존의 교육공학의 매체 제작 및 활용의 수준이었다. 이들 교수 방법은 대체로 모색과 모방의 수준이었다. 이에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은 백원철의 「한문과 학습의 전통적 낭독법에 대하여-한문과 학습의 효과적 일방안의 모색-」, 이태희의 「근체시의 4단 구성과 그림으로 하는 한시 수업」, 이복규의 「옛날 이야기와 수수께끼를 통한 한자 한문 학습」, 송병렬의 「한문교과교육에서 ``한자의 짜임`` 지도 방법의 일고찰」, 김은경의 「문화유산을 활용한 한자·한자어 교수·학습 방법」, 김재영의 「신문, 방송을 활용한 한자·한자어 교수 학습 방법」 등이다. 이들 논문은 한문과의 독자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교수 모형에 대한 성과는 원용석이 「한자어 교수·학습 모형」에서 한자어 교수 모형을 제시했다. 백광호는 「한문과에 적용 가능한 웹기반 수업과 문제중심학습」에서 한문과 구성주의 이론에 따른 교수 모형을 소개했다. 김연수는 『한시 교육에서 구성주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서, 김재영은 「독자 반응 중심 한시 교수·학습 모형에서 ``인지적 도제 중심의 한시 교수·학습 모형``과 ``텍스트 중심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위의 두 모형은 앞서 제시한 구성주의 이론을 적극 수용한 데서 나온 성과물이다. 송병렬은 「한문과 교수·학습의 협동학습 모형 적용」에서 구성주의에 따른 협동학습을 한문과에 적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모형``의 사례를 보고하였다. 이경우는 「UCC를 기반으로 하는 한시 학습 방법 연구」에서 ``동영상 활용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같은 연구 성과는 2000년 이후 매우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그러나 이같은 활발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체계화 등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김재영이 「한문과 교수·학습방법의 체계화방안」에서, 송병렬이 「한문과 교수?학습의 이론과 방법」에서 각기 ``교수 방법``을 분류를 시도하였다. 즉 교수 방법의 체계화를 시도한 것이다. 이러한 분류의 체계화는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또한 최근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는 국제적인 학술대회의 개최 등으로 세계화할 조짐이다. 특히 중국·홍콩·대만 등의 국가들이 한자·한문의 교수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들과의 교류로 인해서 새로운 연구 주제와 범위가 확산되었다. 역시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도 새로운 방향이 열린 것이다. 그동안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는 100여 편 이상이 될 정도로 많은 편이나, 대체로 중복이 많다. 이는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 대한 미숙함도 있지만, ``교수 방법, 모형`` 등에 대한 차이를 분류하고 체계화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매우 주목할 만한 연구도 많았으며, 이들이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Aspect of the study for the teaching-learning of Chinese Character can be integrated to three things in general. They are teaching method, teaching-learning model and classification of teaching method. The achivement of the teaching method had begun from 「An effective guide plan of coinage chart through the use of basic coinage chart」 by Kang Duk Hee. Since Chinese Character teaching through extracurricular activities have on the learner`s academic ability」, and Jo Kyu Nam showed the method that indicates Chinese Character as a picture in 「Study of the teach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 using pictures」. However, these papers were kinds of guidance plan. After them, Bae Won Ryong presented many learning methods such as ``Chinese Character teaching which uses felt boards``, ``Comparing``, ``Searching`` and ``Application of cards on role-playing``, though, these were the level of imitation and search on the whole. Taking a stronger point of view, there are 「About the traditional elocution in Chinese Character study-Searching for effective way of Chinese Character-」 by Baek Won Chul, 「Four step-construction of modern-style poetry and Chinese poem class using picture」 by Lee Tae hee,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lassics learning though old stories and puzzles」 by Lee Bok Kyu, 「A Thought about the Method to Teach ``The Principle of Cre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by Song Pyung Nyul,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and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Utilizing Cultural Heritage」by Kim Eun-kyung and 「A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Using Newspaper and Broadcasting」by Kim Jae-young. They showed their own ways in Chinese Characters. The result concerned with teaching models indicated Chinese words teaching models in 「Chinese words teaching-learning models」 by Won yong suk. Baek Kwang-ho introduced a new teaching models that are based on the Chinese Character`s constructivism theory in 「Web-based course and problem-based learning that can be applied to Chinese Character」. Kim Yeon soo showed ``Cognitive apprentice centered Chinese poem Teaching-Learning model`` and `` Text centered Teaching-Learning model`` in 「Constructivism method study of teaching-learning in Chinese poem education」, Kim Jae-young did in 「Readers` Responce centered Chinese Poem Teaching-Learning Model」. Those two models are the results of accepting constructivism which were mentioned before this actively. Song Pyung-nyul reported the example of ``Teaching-learning model focused learners`` to apply cooperative learning following to constructivism in 「Cooperative model Application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Lee kyung woo presented ``Model of lesson that uses video`` in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Chinese poem using U.C.C in education」. Systematization of teaching method was tried by Kim Jae-young in 「A study on How to Systemize Teaching-Learning in Classical Chinese」, and Song Pyung-nyul in 「Theory and method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by attempting to classify each ``teaching method``. Systematization in classification has contributed to the methodical study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Until now, there were many studies about the method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as many as more than 100, however, they have many overlaps. Because they are not only unfamiliar about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but failed to classify the difference of the things like ``Teaching method and model``. Though, many scholars` achivements were very noticable and played a role to expand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Recently, it looks like being globalized through the things like holding international symposiums. Especially in the countries that include China, Hong Kong, Taiwan, etc, the study is lively being conducted. Therefore, interaction with them will be connected to the expand of the new subject and range soon.

      • KCI등재
      • KCI등재

        기획 1 : 중세 라틴어 문화권과 한자 문화권의 이중 언어와 문화 ; 한국(韓國)의 한문문화(漢文文化)와 한문교육(漢文敎育)

        송병렬 ( Pyung Nyul Song ) 동방한문학회 2007 東方漢文學 Vol.0 No.33

        한국 문화는 두 가지 측면에서 형성되었다. 토착적인 생활 문화와 주변 국가와의 교류적인 문화의 측면이다. 주변국과 교류하면서 형성된 문화 중 가장 영향력이 컸던 것은 동아시아 한문문화이다. 이는 한국의 토착적인 민중 생활 문화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주변의 국가들에게도 문화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하였다. 한문문화는 한국의 문화의 정신적, 물질적인 모든 분야에서 드러나고 있다. 사상사적으로 고려시대의 불교, 이조 사회의 유교 사상(성리학) 등이 그것이다. 유교이념의 내용은 전적으로 ``한문문화``에서 起因했다. 이러한 한국의 한문문화는 주로 언어적인 측면에서 출발하고 있다. 바로 한문으로 기록되어서 나온 것이다. 이러한 한문의 교양과 지식을 지닌 지식인들은 또한 한문으로 이루어진 수많은 기록물을 만들어냈을 뿐만이 아니라, 그 안에 내용을 담아냈다. 이러한 내용은 하나의 분야에만 멈추는 것이 아니라, 사회 문화 전반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산수 자연 문학에 관련된 문학작품이 미술 작품으로는 산수화나 건축으로는 자연친화적인 한옥 건축 미학으로 연결된다는 것이다. 한문문화는 단지 언어적인 것에 머물러 존재할 수 없는 것이요. 수많은 근대 이전의 사회 문화 속에 적용이 되는 것이며, 오늘날 현재의 우리 삶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오늘날과 같이 물질주의의 공세가 커질수록 오늘날 현대인의 삶 속에는 그에 대항할 만한 사상과 문화로서의 반물질주의적인 문화의 교육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문문화의 전통이 우리의 잠재적인 문화로 존재하는 것으로 현대의 물질주의에 저항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한문문화의 전통이 현대 물질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도록 미래 세대에 대해 교육할 수 있는 장이 있어야 한다. 한문교육은 바로 그런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제7차 교육과정의 한문과 성격에는 "언어생활의 한자어" 교육을 강조하였다. 언어생활 한자어가 한문 문화에 의해서 형성된 국어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한문과 성격의 제1의 것으로 하기에는 아쉬움이 남는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새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성격은 "한문의 학습을 통하여 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교과"라고 규정하고 있다. 심미적으로 고전 자료를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제시하였다. 7차에 비해 매우 적극적인 태도이다. 그러나 그의 실천은 아직 미정이다. 교육과정으로 선언만 하였을 뿐 실천은 교과 전체의 책임으로 남았다. Korean culture has been created in two aspects, which are native living culture and mutually interactive culture with foreign countries. Chinese writing culture was the most effective one among those interactive cultures. It effected Korean native way of life as well as that of other peripheral countries in East Asia. Chinese writing culture is discovered in every mental and material fields in Korean culture. Buddhism of Goryeo dynasty and Confucianism in Joseon dynasty are the very evidence. Confucianism has its ideological foundation definitely on Chinese writing culture. Chinese writing culture in Korea is born in linguistic side; Korean archives a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ntellectual people had produced substantial documents within which contents were linked organically all over the social culture. For instance, literature on natural landscape was connected to landscape paintings and architectural aesthetics. Chinese writing culture does not nor cannot stand alone in linguistic side, but does affect pre-modern social culture and our daily lives. Especially, as materialism gets more excessive, people need culture education of anti-materialism for ideal and cultural factor in their lives. But tradition of Chinese writing culture cannot resist modern materialism if it stays only in our potential culture. We need to educate our descendants to get over materialism with the tradition of Chinese writing cultur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that aspect. 7th curriculum emphasized "Sino-Korean words in daily lives" as a feature of Classical Chinese. Sino-Korean words are indeed Korean word derived from Chinese writing culture, but it occurs to me that it`s not quite adequate for a prime feature on Classical Chinese. On the contrary, the new curriculum states that Classical Chinese is "a subject to achieve critical understanding and aesthetic enjoy of various types of Classical Chinese materials through studying." It suggests that building an aesthetic enjoy has a significant meaning. This is a vigorous gesture. Still, taking it into action is yet uncertain. It is our duty not to leave the curriculum as a vague declaration.

      • KCI등재후보

        漢文 敎育의 識字 敎育 問題와 方向

        宋秉烈(Song Pyung-nyul) 대동한문학회 2006 大東漢文學 Vol.24 No.-

          한문 교육에서 "識字 敎育"이란 漢文이나 漢字語에서 필요한 기본 어휘인 한자를 다양한 방법으로 교수-학습 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한문과의 교수-학습을 낱글자 중심으로 진행시키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하는 것이다.<BR>  전통적인 식자 교육은 주로『千字文』과『類合』,『訓蒙字會』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여기에는 세 가지 학습 요소가 제시되었다. 첫째, 낱개의 한자에 釋音(뜻풀이와 음)을 다는 것이다. 둘째, 유사한 뜻을 지니거나 같은 부류의 한자와 유사하거나 같은 계통의 사물이나 개념의 한자를 학습하는 것이다. 셋째는 상대자나 유사자 중심으로 학습하는 것이다. 이 가운데 釋音式 식자 교육은 한문이 모든 생활과 학문의 중심 역할을 하고, 많은 시간을 한문 교육에 투자하던 전통 시대부터 실시했던 방법이다. 그러나 다양한 학문이 존재하고, 교육과정의 편제에서 적은 단위로 운영되는 현재 한문 교육의 환경에서는 석음식 식자 교육은 학습자에게 부담을 준다. 따라서 현행 한문과 교육과정에서는 許愼이 제기한 製字原理인 "六書"만이 식자 교육의 학습 요소로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근대 갑골이 발견되고 난 이후에 허신이 풀이한 字源의 일부에서 오류가 발견되고 있다. 육서의 제자원리는 학습요소로 여전히 필요하지만, 그것만으로 식자 교육의 학습 요소를 다 갖추었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오늘날 학습 환경에 맞는 식자 교육의 다양한 학습요소를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BR>  이에 식자의 원리를 중심으로 세 가지 학습 요소를 제시한다. 첫째, 독립적인 어휘로서 한자를 학습하며, 복체자의 字素(grapheme)로서 기본 한자를 학습한다. 기본한자는 도형의 원리(상형 원리)로 학습하며, 복체자의 자소로 활용되는 것임을 학습한다. 둘째, 응용자인 복체자는 결합의 원리로 학습한다. 셋째는 뜻 중심 결합법으로 만들어진 한자와 음 중심 결합법으로 만들어진 한자를 분류하여 학습한다.<BR>  이러한 세 가지 방법은 석음 중심의 학습이나 육서와 같은 제자원리와 분명히 다르다. 석음 중심의 학습은 낱개의 한자를 끊임없이 반복하여 학습효과를 떨어뜨린다. 육서는 낱글자에 대한 자원 중심으로 문자학적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이나, 때로는 불필요한 전문적인 지식을 요구하며 또한 낱개한자 자원에 대한 이설이 많다. 이는 학습자에게 혼란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육서의 학습은 인정하되 혼란을 줄이도록 해야 한다.<BR>  반면에 새로이 제시한 세 가지 학습 요소는 석음을 단순 반복하는 기존의 학습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육서와 같은 문자학적 방법보다 앞서 기초적인 원리로 한자를 학습할 수 있다.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literacy education refers to various methods of instructing/learning fundamental characters in Classical Chinese or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This is an alternative to singlecharacter-based instructing/learning method in general Chinese characters education.<BR>  Traditional literacy education, based primarily on the Thousand-Character Classic, Yuhap, and Hunmongjahoe, offered three learning factors. First, matching its meaning and sound to a single character (semantic-phonetic method). Second, classifying characters by similar meanings or categories. Third, focusing on antonymic and synonymic characters. Among these methods, literacy education based on semantic-phonetic method is suitable for traditional era, when Classical Chinese dominated daily lives as well as scholarly studies and considerable time was invested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t cannot function appropriately in contemporary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ince there are various fields of studies nowadays and Classical Chinese takes only small part in current education system. These circumstances lead the six writings, or Liu Shu(the six categories of Chinese characters), composition theory suggested by Xu Shen, to the only acknowledged learning factor for literacy education. Since the discovery of the Oracle-Bone Inscriptions, however, inaccuracies have been found in Xu Shen"s definition of origins of characters. Composition theory of Liu Shu is necessary. Still, learning factors of literacy education are not fortified enough. Therefore, various learning factors that correspond current educational circumstance need to be presented.<BR>  Here I suggest three learning factors based on principles of literacy. First, characters as both independent vocabulary and grapheme in compounds; study them with pictographic principle and usage of grapheme as well. Second, study compounds with compositional principle. Third, classify semantical compounds and phonetical compounds.<BR>  These three methods are quite different with learning with semanticphonetic method or composition theory of Liu Shu. Learning with Semantic-phonetic method reduces learning efficiency by repeating single characters over and over. Etymologic approach of Liu Shu occasionally requires inappropriate technical knowledge. Besides, students get confused with conflicting opinions on each character"s origins. Therefore, studying Liu Shu should be admitted on the condition that such confusion is excluded as much as possible.<BR>  On the other hand, these three new learning factors would overcome simple repetition of semantic-phonetic method. Futhermore, they present an easier way of studying Chinese characters than that of Liu Shu does.

      • KCI등재

        기획주제(企劃主題) : 한문과(漢文科) 성취기준(成就基準) 및 성취수준(成就水準)의 내용(內容) 분석(分析)과 적용(適用) 방안(方案) 모색(摸索) ; 기조(基調) 발표(發表) : 2009 한문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領域) 성취기준(成就基準) 및 성취수준(成就水準) 내용(內容) 분석(分析)

        송병렬 ( Pyung Nyul Song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2 漢字 漢文敎育 Vol.29 No.-

        이 논문은 한문과 교육과정의 ‘읽기’ 영역에 대한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의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7차 교육과정까지 내용 요소는 학습요소를 중심으로 진술했다. 2007, 2009 교육과정은 성취수준을 중심으로 진술하였다. 한문과의 읽기 영역은 중학교 한문은 1~3學年群別 성취기준과 영역 성취 기준, 학습 내용 성취 기준으로, 고등학교 한문Ⅰ은 학교급별 성취 기준, 영역 성취 기준, 학습 내용 성취 기준으로, 고등학교 한문Ⅱ는 학교급별 성취 기준, 영역 성취 기준, 학습 내용 성취 기준으로 되어있다. 한문과 읽기 영역의 성취 기준은 한문과 교육과정 내용(교육과정 성취 기준)과 비교해 보면 성취 기준 요소가 보다 상세하다. 중학교 한문의 교육과정 내용의 <한9112> ‘글을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알맞게 띄어 읽을 수 있다’에 대한 성취 기준은 <한9112-1> ‘글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한문 단문, 한문 산문을 알맞게 띄어 읽을 수 있다’와 <한9112-2> ‘글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한시를 알맞게 띄어 읽을 수 있다’로 나뉘어져 있다. 고등학교 한문Ⅰ의 교육과정 내용의 <한Ⅰ111> ‘글을 화자의 어조에 맞게 읽을 수 있다’는 4개의 성취기준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고등학교 한문Ⅱ의 교육과정 내용의 <한Ⅱ111> ‘글의 분위기를 살려 유창하게 낭독할 수 있다’는 무려5개의 성취기준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교육과정 내용의 성취 기준이 다수의 학습성취 기준을 포괄적으로 담았으며, 교육과정 내용은 성취 기준으로 진술되어 있지만 학습 요소에 대한 성취 기준이며, 성취 기준은 교육과정 내용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므로 평가 요소를 보다 작게 세분화했던 것이다. 따라서 교육과정 내용과 성취 기준은 학습 내용의 성취 기준과 학습 내용 평가의 성취 기준의 관계이다. 읽기 영역의 성취 기준에 대한 성취 수준은 학습자의 성취 수준의 도달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중·하의 3단계로 설정하였다. 상·중·하 3단계의 진술방식은 ‘학습 내용 + 수행(행동)’으로 진술하였다. 여기서 드러난 문제는 한문과 영역에서 읽기에 대한 성취 기준을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즉 ‘한문 단문, 한문 산문, 한시 등을 구성하는 한자의 바른 음을 알고 그것을 소리 내어서 읽을 수 있는가’의 평가 대상은 지필형태의 평가로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일부의 단문, 산문, 한시를 수행평가를 통해서 평가할 수 있지만, 평가 내용이 읽기라는 것과 평가 방법이 소리 내어 읽은 것을 평가하는 것이므로 평가의 시간과 평가의 공정성을 확보하기가 그리 쉽지 않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일부 요소는 소리로 읽는 것을 ‘지필’ 형태로 대체하는 방법도 존재하였으나, 그 또한 읽기 요소의 평가를 다 반영할 수 없다는 문제를 갖고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읽기 영역의 성취 기준은 평가 방법에 있어서 획기적인 창안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sed the achievement criteria and the achievement levels of the ``reading`` par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urriculum. The description of the achievement criteria was focused on learning factors until it was superseded by the achievement levels in 2007 and 2009 revision.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the reading part of Classical Chinese pertain to the following: academic year, parts, and learning factors in middle school and the type of schools, parts, and learning factors in high school, respectively.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the reading part are more specific compared to that of the curriculum. In middle school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han(한)9112> ‘to read with appropriate intervals in order to clarify the meaning of text`` are depicted as <han(한)9112-1> ‘to read short sentences and prose with appropriate intervals in order to clarify the meaning of text’ and <han(한)9112-2> ‘to read poetry with appropriate intervals in order to clarify the meaning of text’. In high school curriculum, <han(한)Ⅰ111> ‘to read in accordance with the tune of speaker`` is segmented into 4 achievement criteria, while <han(한)Ⅱ111> ‘to recite fluently enriching the context’ in 5.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the curriculum enclose most of the criteria for learning comprehensively. The achievement criteria stating the curriculum are actually the criteria for learning factors, which are for the assessment of the curriculum. Assessment factors are segmented in this manner.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achievement criteria can be inferr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learning content and assessment of it. The achievement levels for reading part indicating how far the learner has accomplished are provided with three levels. These levels are presented by ``learning content and execution``. One problem here reveals that it is difficult to develop a measure to evaluate the achievement criteria. Written test is not an appropriate assessment tool for criterion such as ``to be aware of correct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composing short sentences, prose and poetry and read them aloud`` since filling in correct pronunciations cannot reflect every aspect of reading. Besides, it was confirmed that execution test needs quite a large amount of time and does not guarantee fairness with respect to evaluation of reading aloud. In consequence,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the reading part require an innovative tool in terms of assessment.

      • KCI등재

        敎育課程의 變化와 漢文敎育의 正體性 摸索의 方案

        송병렬(Song Pyung Nyul)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3 동양한문학연구 Vol.37 No.-

        本稿는 근대 이후 한국에서의 한문의 위상 변화와 그에 따른 自己 正體性을 어떻게 추구해왔는지를 밝혔다. 또한 敎育課程 編制 變化에 따른 한문과의 위기는 새로운 正體性과 漢文文化의 新談論이 요구되고 있음을 밝혔다. 中世 東아시아에서 한문은 동아시아의 다양한 思想을 담아내는 그릇이었다. 동아시아의 근대는 동아시아의 漢文文化로 형성된 여러 價値와 思想을 밀어내는 것으로 시작했다. 한국에서는 20세기 초에 漢文廢止論으로 漢文文化를 排除하고자 했다. 이에 한문문화는 國漢文體로 대응했다. 또한 1945년 이후 語文政策에서 한글 專用論으로 漢文文化를 排除하고자 했다. 이에 國文學界는 漢文學을 '國文學 속의 漢文學'으로 定義하였다. 이는 한문을 傳統文化 繼承과 東아시아 國家 交流의 주요한 敎科로 槪念 定義하는데 중요한 影響을 미쳤다. 이에 3, 4, 5차 敎育課程에서 漢文은 中學校, 高等學校 모두 必修 敎科가 되었다. 그러나 6차 敎育課程에서 中學校는 選擇 科目, 高等學校는 課程別 必修 科目으로 되었다. 7차, 2007년, 2009년 敎育課程에서는 중학교는 裁量活動 科目, 高等學校는 選擇科目으로 되면서 계속 編制 單位 時數가 줄었다. 大學入試에서도 豫備考査ㆍ本考査, 學力考査를 치르던 시절에는 國語 敎科에 漢文 領域으로 3~10問題 出題되다가, 1990년대 초 6차 敎育課程期中 大學 修學能力試驗 3년 정도 言語 領域에 出題되다가, 이후 漢文 問項이 除外되었다. 2002년 大學修學能力試驗에 제2外國語/漢文으로 出題되면서 僅僅히 命脈을 維持해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현재 漢文 敎科의 位相을 위태롭게 하고 있다. 近代 이후 漢文文化는 한국 사회에서 사회문화적으로 位相 變化를 강요받았다. 그때마다 새로운 談論과 變身으로 漢文文化의 基盤을 유지해왔다. 21세기의 東아시아는 새로운 秩序가 形成되고 있다. 東아시아의 言語와 文字의 普遍性이 다시 漢字 語彙의 側面에서 提起되고 있다. 이는 漢文文化圈의 再形成 되었음을 意味하는 것이다. 따라서 韓國 社會가 漢文文化를 바라보는 視角의 矯正이 필요하다. 이에 漢文文化에 대한 새로운 談論을 要求한다. '漢文文化 新談論'이 大衆化되면 동아시아에서 漢字와 漢字 語彙를 가지고 문화적 보편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될 것이며, 그에 따라 한자ㆍ한문 교육의 방향도 희망적으로 바뀔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nunciated the change of the Chinese character's statue since the Modern age, and how has sought self-identity following this. Also, it says the crisis of Chinese character department following the change of curriculum formation requires the new identity and discussion for Chinese character culture. In East Asia of the middle age, Chinese character was a container that holds various East Asian ideas. The Modern age of East Asia started pushing the ideas and values that formed with East Asian Chinese character culture. In Korea, Chinese character culture was intended to push as 'Chinese character abolition' in the early 20's. In response to this, Chinese character culture coped with it as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with Chinese characters. And also, since 1945, in the language policy, there was a attempt to push Chinese Classics as a theory of exclusive usage of Hangul. For this, the academia of Korean literature accepted Chinese Classics as Korean literature and defined Chinese Classics into the category of 'Chinese Classics included in Korean literature'. This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concept definition of Chinese character as a success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a major subject for the exchange among the East Asian countries. Accordingly, Chinese character had become the required subject in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from the 3rd curriculum to 5th curriculum. However, in the 6th curriculum, it became an optional subject in the middle school and a required subject following each course in the high school. In the 7th curriculum, in 2007 and 2009, the formation unit hours of Chinse Character consecutively decreased, becoming a discretionary activity in the middle school and an optional subject in the high school. Even, in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while there were preliminary exam, main exam and achievement exam, Chinese character was set from 3 to 10 questions in the Korean subject. And then, in the early 1990's, on the 6 th curriculum term, it was set in the Korean subject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for 3 years, and it was excluded in the Korean subject. After that, Chinse character barely keeps itself in existence, being set as Chinese character subject of the second foreign language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2002. This situation is undermining the statue of the present Chinese character subject. Since the Modern age, Chinese character culture has forced socioculturally the change of the statue in the society of Korea. On all such occasions, it keeps the foundation of Chinse character culture as a new discourse and change. In East Asia in the 21 st century, the new order is being formed. The universality of language and character in East Asia is being brought up in terms of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It means the reconstitution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sphere. Therefore, Korean society should have the new vision to see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And also, the new discourse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is required. If the 'new discourse of Chinese character culture' become popular, the importance of cultural universality with the Chinese character and its vocabulary will be recognized in East Asia. Following this, the direction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will be changed hopefully.

      • KCI등재

        투고논문 : 한문(漢文)의 다음절(多音節) 어휘(語彙)의 성격(性格)과 교수(敎授),학습(學習) 원리(原理)에 관(關)한 연구(硏究)

        송병렬 ( Pyung Nyul So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9 한문교육논집 Vol.33 No.-

        漢文의 語彙에는 單音節 語彙와 多音節 語彙가 있다. 단음절 어휘는 문장 내에서의 위치에 따라 그 의미가 變容되는 특징이 있다. 다음절 어휘는 故事成語, 典故, 假借語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단음절 어휘와 달리 의미가 변용되는 횟수는 적다. 반면 어휘의 유래가 독특하여 각각의 단음절 한자의 의미와는 전혀 다른 의미로 변용된다. 고사에서 유래한 다음절 어휘는 고사의 이야기를 요약적으로 제시하는 특징을 우선적으로 지닌다. 요약 및 압축된 어휘는 뒷날에 다른 사람의 작품에서 패러디된 언어처럼 새롭게 사용된다. 詩文에서 형성된 典故는 隱語的인 성격을 지닌다. 본디 한자의 의미를 버리고 다른 의미로 변용되어 독자로 하여금 隱語를 읽는 듯하다. 한문에 능통한 사람들끼리만 서로 알 수 있다. 隱語化된 典故는 고급한 지적 언어의 문화를 향유하려는 사대부 계층의 언어유희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또한 의성어와 의태어를 나타내는 가차어는 형용적인 성격을 띠고, 한문의 문장에서 유래한 구조어들은 문법적인 성격을 지닌다. 따라서 이러한 특수한 성격의 다음절 어휘에 대한 교수·학습 원리가 필요하다. 지금까지 고사성어에 대한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토의학습법, 역할놀이 학습법(7차 교육과정 해설서) 등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학습의 원리로 겉뜻과 속뜻을 파악하도록 하고 있다. 압축성을 띤 다음절 어휘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이해하는 학습 원리가 필요하며, 은어적 성격을 띤 다음절 어휘는 어휘를 변용해서 활용하는 특징을 이해하는 학습 원리가 필요하며, 형용적인 성격을 띠는 다음절 어휘는 의성어와 의태어의 특징을 이해하는 학습 원리가 필요하다. 또한 현대 언어생활에 가장 많이 쓰이는 구조어는 문법적 특징을 이해하고 어원 풀이를 이해하는 학습 원리가 필요하다.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consists of monosyllabic and polysyllabic vocabulary. Monosyllabic vocabulary has different meaning according to its position in the sentence. Polysyllabic vocabulary, including proverbial idioms, authentic precedents, and phonetic loans, does not tend to share this feature. But when it does, its meaning transforms in a totally different way due to its peculiar origin and it has nothing to do with original meanings of each character. Polysyllabic vocabulary derived from ancient literature condenses the ancient literature from which the very vocabulary was derived. Condensed vocabulary is used like parody in other works. Authentic precedents formed from poetry do not hold the meanings their original characters carry and create completely different meaning. Readers would feel they are reading jargon and only those who are fluent in Classical Chinese can fully comprehend. Jargonized authentic precedents may also be a tool of paronomasia for the nobility enjoying advanced intellectual linguistic culture. Therefore teaching/learning principles are required for this attribute of polysyllabic vocabulary. Teaching/learning principles for proverbial idioms so far include discussion method and roleplaying(7th curriculum reference book). They are also helpful to figure exterior and underlying meanings. But they do not cover the origin and features of proverbial idioms. They need to extend over condensation of polysyllabic vocabulary and its jargony features so they can provide further comprehension.

      • 漢文科 敎授ㆍ學習의 理論과 方法

        宋秉烈(Song Pyung Nyul)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09 동아한학연구 Vol.- No.5

        교수ㆍ학습의 방법은 수업을 통해 최상의 효과를 얻기 위한 것으로 수업에 관한 여러 접근 방법들의 강조점과 특성을 파악하고 학습자와 학습과제의 특성, 수업조건에 맞도록 활용해야 한다. 일반적인 교육학 이론은 교수자와 학습자 행동의 내용을 중심으로 개발된 행동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을 제시한다. 행동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은 여러 교과나 내용에 보편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대부분 수용하여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행동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교과의 내용과 매체의 특성을 반영한 방법은 개발되었다. 따라서 한문과에서는 행동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 내용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 매체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 등으로 크게 분류한다. 행동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에는 교사 중심의 강의법, 학습자가 결론하도록 도와주기 위해 질문을 위주로 하는 질문법, 교사와 학습자간 의사소통을 통한 토론법,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인의 학습 환경을 구성해주는 개별학습법, 자유로운 연상과 탐색발견을 위주로 하는 브레인스토밍과 버즈 학습법,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중심의 문제중심 학습법, 소집단 구성원들이 협력하여 목표를 성취하는 협동학습법, 학습자 스스로 학습 요구를 진단, 계획, 실행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법, 상황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역할에 참여하게 하는 역할놀이 학습법, 낭독법 등이 있다. 내용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으로는 부수 중심 지도법, 구조분석법, 조어 분석법, 이야기를 통한 고사성어 학습법, 도제식 한시 교수ㆍ학습법, 자원 활용법, 비교학습법, 허자지도를 통한 독해 지도법, 어순 구조를 통한 독해 지도법 등이 있다. 매체 중심 교수ㆍ학습 방법으로는 언어 활용법, 색출법, 이미지컷 활용 학습법, 한자카드 활용법, NIE 활용 학습법, 웹기반 교수ㆍ학습 방법, 옥편 활용 지도법 등이 있다. 전통적인 교수ㆍ학습 방법은 근대의 교수ㆍ학습 방법과는 다른 것이 주로 학습법에 치중되어 있다. 자기주도 학습법이라고 할 만한 것이 대부분이다. 낭송하며 학습하는 誦讀法, 학습내용을 반복해서 읽는 多讀學習法, 학습 내용의 이치를 궁리하여 깨우치는 格物致知 學習法(격물치지 학습법 ; 精讀 學習法), 철저한 자기관리를 통하여 학습하는 全心全力(전심전력) 학습법 등이 있다. 제시된 한문과의 교수ㆍ학습 방법은 다양하나, 체계화가 미흡하여 다양한 유형과 모형, 기법의 개발 여지가 많다. The method of teachingㆍlearning is for getting the best effect through the class, so we have to grasp emphasis and characteristic of various methods about class and utilize to proper character of learner and task and the condition. As the methods of teaching-learning, there are the general teaching-learning methods of pedagogic theory and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classified two branches, one is to apply some general theories to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and the other is developed to be right for contents or nature of the area of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In the general teaching-learning methods, there are 'Lecture method', teacher-centered method, 'Conversational method', question-centered to help learner draw the conclusion, 'Discussion method',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 'Personal learning', making one's personal studying environment out of regard for nature of learner, 'Brainstorming and Buzz learing', ceturing free associations and the exploration and discovery, 'Problem based learning', centuring process that is solving problems, 'Team teaching', where members achieve goals to work together, 'Self-lead learning', where the learner diagnose, plan and act learning needs himself, 'Role-play method', leading to play roles in the artifical situations and so on. In teaching-learning methods following Chinese character and content's area, there are the things that are presented for pedagogic general theory like 'Elocution, Lecture method, Discusson method, Team teaching, Role-play method and so on', or developed in the school field like 'Elocution adding Hangeul to Chinese character, Leading method using image cuts,Utilizing Chinese character card,Radical centered teaching, Analyzing constructure, Utilizing resouces, Teaching through the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Ok Pyeon), Analzing coinages, Utilizing languages, Searching out method, Comparing, Teaching reading through leading Huh ja(虛字), Teaching readig through constructure of the word order, Cognitive teaching apprentices and so on'. Some of them presented 'process', model of studying, but most of them are the teaching-learing methods presented in the level of technique without model. Traditional teaching-learning methods mainly focus on something unlike modern teaching-learning methods. Most of them are the things to say self-lead learning, learning through recitation(誦讀法), reading contents repeatedly(多讀 學習法), realizing the logic of learning contents through devising(格物致知 學習法), learning through thorough self-discipline(全心全力學習法). There are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of the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but they are open to developing various types,models and techniques because they are insufficient for systematization.

      • KCI등재

        외국인(外國人)을 위한 한국어교육(韓國語敎育)에서 한자어휘교육(漢字語彙敎育)의 문제(問題)

        송병렬 ( Pyung Nyul So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2 한문교육논집 Vol.38 No.-

        In Korean vocabulary, the rate of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occupies is very high. The reason why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accounts for the high rate is because of the tradition of Chinese Character culture-round in Korea. Also, in the contents of the vocabulary, it occupies most of the morphemes. Modern Korea aims the linguocentric policy. As a result for this, it comes to have the vocabulary in the system based on five languages; the native language,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the language of the Northern people, Japanese and the Western language. Above them, what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for language is the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Therefore, the education of its vocabulary is essential thing in Korean education. Because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in Korean has used historically as a universal language in East-Asian Chinese Character culture-round, the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education in the Korean education for foreigners has different situations for them which are from Chinese Character culture-round and not. Chinese Character culture Learners are put in the same condition in that the prerequisite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was already done, whereas non-Chinese Character culture leaners are not ready for that at all. As a result, the cases and situations that occur from this have no choice but to have differed. Chinese Character culture Learners got a precedent education for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So they have to study concentrating on the same and different points between the Chinese Character vocabularies in their native language and those in Korean. In particular, when vocabulary in Korean Chinese Character and that in their native Chinese Character has similar or same pronunciation, they can have immediate learning effects without confusing by the difference of pronounce in Chinese Character words, however, when they have a great difference, the Learners need to be careful learning it. Also, it has to be considered that there are gaps in the orthography of Chinese Character. South Korea, Taiwan and Hong Kong use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China and North Korea use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and Japan writes in acronym for that. Though they use simplified one and acronym in China, North Korea and Japan, they apply them to not all the Chinese Characters but parts of them. They have certain connection with the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in the morphemes because simplified Chinese Character or the acronyms were made by dropping out grass characters or some shapes from the traditional characters. For this, We have to organize the learning system that overcomes these differences in terms of learning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of Chinese Character culture-round. However, non-Chinese Character culture Learners are almost same as they don`t have any precedent experience of the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is why they have to contact to it in the completely different contents and ways. When it is transcribed by Hangul morpheme, the range of ``homomorphs`` becomes wider. So, the wider the extent of ``Hangul homomorphs``,the higher the level of study. Therefore, the situation changes ,when it is learned marking on vocabularies made in ``Hangul homomorph`` with Chinese Character together.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pronunciation for morphemes, they have more complex aspects. Thus, foreign Learners have to be taught and study Korean vocabulary, divided into Chinese Character culture Learners and non-Chinese Character culture Learners. Chinese Character culture Learners have to study Korean concentrating on the distinction of ``Chinese Character morpheme`` like traditional character, simplified character and acronym and the same and different points of sound and meaning in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Otherwise, non-Chinese Character culture Learners necessarily should perform it accompanying basic ``Chinese Character morpheme`` study ,and dividing vocabularies that have wide ``Hangul homomorphs`` range into ``Chinese Character morphemes``.

      • KCI등재

        기획주제(企劃主題) : 기조발표(基調發表) ; 한문과평가(漢文科評價)의 방향(方向)과 실제(實際)를 위한 전제(前提)

        송병렬 ( Pyung Nyul Song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1 漢字 漢文敎育 Vol.27 No.-

        20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와 내용 요소가 완성되는 것은 평가이다. 그런데 내용 요소는 평가 요소의 대상으로 한문과 각 영역별 학습 내용을 평가 내용 요소로 전환한 것이다. 2007년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는 7차 한문과 교육과정과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한자 어휘부터, 문장, 글[작품]로 이어지는 내용 요소의 상당수의 변화가 생겼다. 이에 대해 해설서에 제시된 평가 방법은 선택형·서답형 지필 평가와 토론, 관찰, 구술시험, 연구보고서, 포트폴리오의 교사 중심 평가의 방법과 교사 중심의 평가 이외에 학습자의 자기 평가, 동료 평가, 양적 평가 이외에 질적 평가, 수행 평가, 비형식 평가, 직접 평가 등의 다양한 평가 방법이 체계적으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들 평가의 방법은 모두 교육학에서 제시된 이론일 뿐이다. 이러한 평가 이론에 대한 한문과 교사들은 추상적·선언적·표면적 진술 내용, 현장의 실제 평가 활동과의 괴리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한문과 평가 요소에 대한 실질적이고 바람직한 실례(實例)가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한문과 교사의 교육학적 관점과 지식의 제고를 통해서 전문적 소양을 갖춘 한문과 전문 평가 도구를 개발하여야 한다. It is the evaluation that what completes the character, purpose and content element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in 2007. However, content elements is what made a switch each part of learning contents in Chinese character from a target of evaluating factor to a evaluating content factor. Content elements of 2007 education curriculum have a difference with 7th Chinese character curriculum. Therefore, there were considerable changes in content elements which are from word, sentence and writing [works]. For this, evaluating method indicated in written exams of selection type·supply type, teacher-centered assessment such as discussion, observation, oral examination, paper and portfolio. And also various types are systematically suggested leaner`s self-assessment, company assessment. And in addition to quantitative assessment, there are qualitative assessment, performance assessment, informal assessment and direct assessment. However, all these methods of evaluation are the only already suggested theory in pedagogy. For these evaluation theory, Chinese character teachers are perceiving that they have a gap with abstract·declaratory·superficial description and evaluating activity. Therefore, it needs a desirable and tangible examples about Chinese character evaluation elements. To do that, evaluating application specialized to Chinese character have to be developed through the pedagogical perspective and improving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