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터벌이벤트의 영향력관계에 기반한 연관규칙 탐사기법

        송명진(Myung-Jin Song),김대인(Dae-In Kim),황부현(Bu-Hyun Hwang) 한국정보과학회 200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6 No.1

        시간속성을 갖는 이벤트집합에서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여 이벤트 사이의 영향력관계를 발견한다면 가까운 미래에 발생할 이벤트를 예측할 수 있다. 기존의 이벤트 발생지지도를 기준하여 연관규칙을 탐사하는 데이터마이닝 기법은 빈발하지 못한 이벤트에 대한 연관규칙은 탐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벤트 중에는 빈발하지 않더라도 특정 이벤트와 함께 발생하는 이벤트가 존재하며 이들 사이에는 다양한 영향력관계에 대한 연관규칙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이벤트 시간속성을 이용하여 인터벌이벤트로 요약하고 이벤트들의 영향력관계를 탐사하여 이벤트발생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은 다양한 지지도를 고려하여 빈발 인터벌관계와 빈발하지 않은 희소이벤트들 사이에 존재하는 의미있는 영향력관계를 탐사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구성된 민족 개념과 역사,전기소설의 전개 -신채호와 박은식의 민족 개념을 중심으로-

        송명진 ( Myung Jin Song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6

        본고는 전파된 민족이라는 용어가 그 개념을 확정하기까지는 내부적으로 다양한 개념들의 지난至難한 경쟁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신 채호와 박은식의 민족 개념의 차이에 대해 조망했다. 또한 민족 개념의 차 이를 이들이 창작한 역사·전기소설의 서사적 특징과 연계시켰다. 신채호와 박은식이 논의한 민족 개념의 실체와 이를 토대로 형성된 역사·전기소설의 서사적 특징은 다음과 같았다. 신채호는 종적인 범주의 특성을 강화시켜 민족 개념을 정립하였다. 신채호는 여러 종족들 가운데 부여족을 지배적인 종족으로 인식하여 부여 족의 계보로 민족의 계보를 대체했다. 민족의 순혈성을 강화하고 적통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민족을 개념화한 것이다. 반면, 박은식은 횡적인 범주 의 특성을 강화시켜 민족 개념을 정립하였다. 박은식은 한반도뿐만 아니 라 탈-한반도에 거주했던 모든 종족을 동화와 단군이라는 기원을 통해 민족의 범주로 포괄했다. 민족 개념의 차이는 이들이 집필한 역사·전기소설에서도 반복되었다. 신채호는 종적인 민족 개념에 기반을 둔 민족의 서사를 인물의 서사와 중첩시킴으로써 과거의 전쟁 영웅을 민족 영웅으로 변모시켰다. 반면, 민족의 외연을 확대했던 박은식은 한韓민족보다 대동大東민족을 강조했다. 금 태조와 무치생이 민족의 장래를 논의하고 있는 <몽배금태조>는 대동민 족간의 상호부조를 강조했던 박은식의 민족 개념을 상징적으로 드러낸 것이었다. 그러나 박은식은 주변 민족을 경쟁상대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 라 잠재적인 동족으로 인식한 결과, 이민족과의 경쟁보다는 남성성을 전 경화한 민족 영웅을 형상화할 수밖에 없는 모순을 보이기도 했다. 이상의 논의는 애국계몽기라는 동시대에 통용되었던 ``민족``이라는 어휘가 동시대성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여주었다는 사실을 드러냄과 더불어 이러한 민족 개념의 차이가 역사·전기소설의 서사적 특징으로 연결되었다는 사실을 밝혔다는 의의를 지닌다. The term nation spreading from the West was very confusing. Because this term indicated from the race to the tribe. But the concepts of nation were arranged by two finally. Shin Chae Ho constructed the concept of nation vertically. He thought the Buyeo tribes were important than the other tribes. Thus he substituted history of the Buyeo tribes for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This concept of nation emphasized on pure-blooded legitimacy. Whereas, Park Eun Sik constructed the concept of nation horizontally. He embraced not only the people of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the people of external Korean Peninsula. He considered them to be a nation by assimilation and the same origin called Dangun. The difference of the concept was repeated in Historical-Biographical Novels written by Shin Chae Ho and Park Eun Sik. Shin Chae Ho changed war heroes of the past into national heroes by overlapping narrative of nation with narrative of character. On the other hand, Park Eun Sik emphasized on the Daedong people than the Korean people. Mong-bae-gum-tae-jo(몽배금태조) showed the direction of the Daedong people through narrating that the founder of the Gum Empire discussed the future of nation with Muchisaeng. Different concepts on nation showed that the term nation was intended.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nation was decided between competitive concep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역사,전기소설과 디아스포라 -『권업신문』 소재 역사,전기소설을 중심으로-

        송명진 ( Myung Jin Song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1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19 No.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Korean community in Russia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here the expression of ``nationalism`` was still a talking point.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Biographical Novels written for Gwoneop Shinmun published in Russia is examined. The Historical-Biographical Novels written for Gwoneop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streams of biography and history. First of all, the Historical-Biographical Novels focused on characters who directly refers to the Japanese imperialism. If the Historical-Biographical Novels during the period of patriotism and enlightenment were focused on war heroes of various historical era as national heroes to build the strong foundation for national history, the Historical-Biographical Novels written for Gwoneop were intended to remind Japanese imperialism and to promote the nationalism through them. Second, the Historical-Biographical Novel, In the Chinese Revolution written for Gwoneop considered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revolution. The Chinese Revolution was a modern revolution that established a republican government for the first time in China, but the revolution in the context of Chinese revolution is described as a national revolution of Han Tribe who gets freed from the long rule of Manchurians. Gwoneop probably wanted to give the conviction in the future of Korea through the Han tribal history to the Koreans in Russia who lived as people of ruined nation whose Gwoneop main talking topic was ``nationalism``.

      • KCI등재

        웹소설로 진화한 로맨스의 잡식성과 그 서사적 특징 - 웹소설 〈소녀, 홍길동〉을 중심으로 -

        송명진(Song, Myung-Jin)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4

        이 논문은 웹소설을 통해 향유되는 사랑이야기의 특징과 한계를 살펴보기 위해, 2018년 12월 24일부터 2019년 2월 18일까지 카카오페이지에 연재되었던 〈소녀, 홍길동〉의 구성 방식과 매체 환경에 대해 고찰했다. 비록 〈소녀, 홍길동〉이 웹소설 전체를 포괄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현대 로맨스의 한 경향을 드러낸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소녀, 홍길동〉은 기존의 소설과 역사에서 대중들에게 친숙한 인물들을 호명했다. 그러나 이름만 빌렸을 뿐, 이들의 역할은 로맨스가 추구하는 낭만적 사랑을 극대화하는 것이었다. 특히, 원래의 홍길동과 아무런 관련이 없는 홍길동(민서연)의 낭만적 사랑을 위한 능동성은 매우 중요했다. 그러나 홍길동(민서연)의 능동성이 훼손된 가부장적 질서의 재건이라는 방향으로 전개된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녔다. 한편, 〈소녀, 홍길동〉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혼종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었다. 혼종성은 기존의 분류 체계가 갖는 모순을 인식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혁명적이다. 그러나 〈소녀, 홍길동〉에 형상화된 인물의 특성은 단순성으로 귀결되는 소설의 결말을 향해 가는 일종의 서사 과정에 불과했다. 따라서 인물의 혼종성은 웹소설의 소비를 위한 하나의 흥미 요소에 불과했다고 할 수 있다. 낭만적 사랑을 강조하는 서사 전개와 혼종성을 보여주는 인물화의 특징은 웹이라는 환경과 긴밀한 관련성을 내포했다. 검색할 수 있는 대상과 내용이 분리된 상황에서 스마트폰으로 손쉽게 향유되는 웹소설에 대한 독자들의 기대지평은 사랑으로 인한 갈등과 고민이 아닌 낭만적 사랑의 극대화였다. 인물의 혼종성 역시 여러 아이디를 통해 다양한 사이트에서 복합적인 인격을 구축하는 인터넷 유저들에게는 결코 낯선 풍경이 아니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의미가 강했던 고전소설 〈홍길동전〉을 패러디한 〈소녀, 홍길동〉에 대한 분석을 통해, 웹소설의 플랫폼을 통해 유통되는 로맨스의 특징과 한계를 고찰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narrative features of Girl, Hong Gil-Dong, which was serialized in the KakaoPage from December 24, 2018 to February 18, 2019, in order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ve stories of web novels. The title Girl, Hong Gil-Dong is a reference targeted at people who are familiar with the existing Korean literature and history. However, only the name was borrowed from the original novel Hong, Gil-Dong, as the focus of the web series was romantic love. In particular, Hong, Gil-Dong(Min, Seo-Yeon)’s active approach to romantic love was important, which is unlike the original text. However, the activeness of Hong, Gil-Dong(Min, Seo-Yeon) is limited; it was developed to rebuild the damaged patriarchal order. On the other hand, characters appearing in Girl, Hong Gil-Dong were characterized by hybridity. Hybridity is revolutionary. It allows recognition of the contradictions of existing classification systems. However the detailing of the characters depicted in Girl, Hong Gil-Dong merely served the narrative process, resulting in simplicity toward the end of the novel. Therefore the hybridity of characters only acts as an interesting factor for the consumption of web novels. The narrative development that emphasizes romantic love and hybridity of characters is closely related to the web environment. The reader"s expectation of a web novel is a celebration of romantic love, and not the conflict and trouble caused by love. The hybridity of the characters is not unfamiliar to internet users who are building complex personalities on various sites through multiple ID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is analysis of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web novel through the analysis of Girl, Hong Gil-Dong that parodied the classic novel Hong Gil-Dong, which had a strong social significance.

      • KCI등재

        해방기 귀환의 허구성과 계급적 치유

        송명진(Song, Myung-jin) 한국어문학회 2013 語文學 Vol.0 No.119

        This paper examines repatriation and healing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in the fictions of Ahn, Hoe-Nam. The wounds in the fiction of Ahn, Hoe-Nam fall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wound was a guilty conscience about the family by the forceful separation. The second wound was a mortal fear through a compulsory manpower draft. The third wound was the unconverted reality after the repatriation. The relief policy for returnees proceeded actively by the 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USAMGIK). But this relief policy was ironic that the healing subject of the USAMGIK predominated over the healing object of returnees. There was a distinct difference between the relief policy in the fictions of Ahn, Hoe-Nam and the relief policy of the USAMGIK. The relief policy in the fictions of Ahn, Hoe-Nam minimized the alienation of returnees through squaring the healing subject with the healing object. However, his fictions had its limit also. This limitation resulted from the position of intellectual. The intellectuals in Ahn, Hoe-Nam’s fictions didn’t join the general returnees. They didn’t share the healing process with the general returnees. Therefore his fictions just gave direction to heal the returnees. The aspects of repatriation represented the process of changing imperialism from decolonialism. But the implication of repatriation dose not end, can be more. Outside of decolonialism, repatriation connoted a lot of wounds. When this wounds will be encompassed, the semantic network of repatriation will be rich.

      • KCI등재

        근대(近代) 과학소설(科學小說)의 '과학(科學)' 개념(槪念) 연구(硏究) - 박영희(朴英熙)의 「인조노동자(人造勞動者)」를 중심(中心)으로

        송명진 ( Song Myung-ji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4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2 No.2

        본고는 朴英熙가 번역한 「人造勞動者」를 대상으로, 近代科學小說에 함축되어 있는 機械文明 이외의 다양한 '科學' 槪念에 대해 고찰하고자 했다. 먼저, 進化論과 관련된 '科學' 개념이었다. 「人造勞動者」에는 두 가지 進化의 모습이 형상화되어 있었다. 점차 발전하는 人造勞動者로 대변되는 '個體 進化'와 生存競爭에서 승리한 人造勞動者 중심의 사회가 환기하는 '社會 進化'가 그것이다. 朴英熙가 강조했던 唯物史觀 역시 기존의 社會進化論을 대체하면서 새롭게 등장한 進化論이었다. 둘째, 虛僞意識을 暴露하는 수단으로서의 '科學'이었다. 「人造勞動者」에는 資本의 論理와 勞動者에 대한 부르주아의 認識이 暴露되어 있었다. 虛僞意識은 唯物論的 前提 위에서 검토될 때 폭로될 수 있으며 이는 마르크스주의에서 또 하나의 科學이었다. 창작보다는 번역된 科學小說이 향유되었던 근대초기의 '科學'은 단순히 機械文明만이 아닌 進化論, 虛僞意識을 暴露하는 科學개념도 함축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various meanings of "science" contained in the SF novels in the modem age, focused on the Artificial Worker translated by Park Yeong-hee. There are three types of semantic networks in the Artificial Worker. First is the concept of "science" in relation to civilization by the machines. Lee Gwang-su and Kim woo-jin understood the collapse of humanity in the novel as a satire to growth of human dependence on machines. Second is the concept of "science" in relation to the evolution theory. The Artificial Worker featured the evolution of both individuals and society. Park Yeong-hee highlighted the materialistic view of history, suggesting a new type of evolution to replace the former one which represented the interest of imperialism. The materialistic view of history was recognized scientifically due to the aura of Darwin's evolution theory. Third network is the concept of "science, as a tool to expose false awareness. The Artificial Worker revealed awareness of the bourgeoisie about logic of capitalism and the proletariat. The false awareness is usually concealed but exposed when it is reviewed on the preposition of materialism. In addition, this was also identified scientifically by the Marxism. In early days, when translated novels were widespread than the created ones, "science" had a broader meaning than the machine civilization. "Science" contained in the Artificial Worker translated by Park Yeong-hee had at least three concepts, which are the civilization created by machines, evolution theory and exposing false awareness.

      • KCI등재

        지리적 경계의 일탈과 개화기 소설의 지속과 변이

        송명진(Song, Myung-jin) 국어국문학회 2014 국어국문학 Vol.- No.169

        본 연구는 1910년대 미국 한인에 의해 발간된 『신한민보』 소재 소설의 특징을 밝힘으로써 개화기 소설의 지속과 변이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는 그동안 ‘통속’으로 획일화된 1910년대 소설사를 다양화하는 동시에 1910년대 미국 한인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이산(離散) 문학에 대한 조망이라는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주로 번역소설과 창작소설로 구성된 1910년대 『신한민보』 소재 소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1910년대 『신한민보』 소재 소설은 식민지의 현실과 민족적 저항이라는 맥락을 함께 수용했다. 개화기 소설에서 식민화된 현실에 대한 소설화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현실을 형상화하는 데에 초점을 맞췄던 신소설은 가시화된 식민화의 위험보다는 개화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저항에 관심을 가졌던 역사?전기소설은 과거의 형상화를 통해 현재에 대한 알레고리적 접근만을 시도했을 뿐이다. 경술국치는 식민지현실을 외면하고 이에 대한 저항을 아예 배제하는 계기가 되었다. 일제에 대한 저항의 소설화는 미국 한인들의 소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었다. 1910년대 『신한민보』소재 소설은 한국이라는 지리적 한계를 초월함으로써, 식민지 현실과 이에 대한 저항을 적극적으로 소설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둘째, 1910년대 『신한민보』 소재 소설에 형상화된 남녀의 연애담은 ‘근대적 개인’에 기초하여 이루어졌다. 1910년대 신소설의 전개는 개화기의 긍정성을 상실하고 통속화는 물론 근대적 가치마저 부정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국내의 상황에 비해, 한국이라는 지리적 한계를 일탈했던 1910년대 『신한민보』 소재 소설은 개화기소설이 거두었던 긍정성을 보다 확대했다. 특히, 근대적 개인의 출현과 이에 따라 변화된 연애 문법의 소설화 더 나아가 부부 중심의 가치 지향성 및 전통적인 남녀 이분법 해체 등은 개화기 소설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소설적 가치들이었다. 이국의 한인 문학 즉, 이산(離散) 문학에 대한 논의는 보다 심화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이를 통해 획일화된 기존의 한국문학사를 다양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 또한 1910년대 『신한민보』 소재 소설에 대한 논의를 통해, 1910년대 소설사를 좀 더 다양한 관점에서 인식하고자 노력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tinuance and change of the novels in Enlightenment period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vels published in Shinhanminbo, a newspaper published by Koreans in America during the 1910’s. The 1910’s was “omitted” from the existing novels or only briefly mentioned as a popularization process. However, the history of the 1910’s novels was unfolded in Shinhanminbo by Koreans in America, across geographical boundaries. Materials for the novels published in Shinhan minbo during the 1910’s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y accepted both the reality of a colony and the national resis tance. This novels integr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n-Novels which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dopting civiliz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Biographical Novels which tried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by calling the past war heroes as the national heroes. In other words, both the “reality” and the “resistance” were described at the same time in one novel. Such feature cannot be found in novels written in Enlightenment period. Second, man-woman love stories published in Shinhanminbo in the 1910’s were based on “modern individual.” The Sin-Novels of the 1910’s lost novelty of the past and advocated premodern values instead. However, materials of the novels published in Shinhanminbo were based on the free will of individuals and in particular, women had dominant influence in love affairs. It was possible because there was an awareness for modern individuals. The argument made above has significance as it diversifies the history of 1910’s novels which was usually considered “conventional” until now and takes a view of Dispersed Literature unfolded mainly in America in the 1910’s.

      • 그림의 명암과 그림자 표현을 위한 아트로봇 기술 설계

        송명진 ( Myeongjin Song ),김바울 ( Paul Kim ),이근주 ( Geunjoo Lee ),김상욱 ( Sangwook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8 No.2

        휴머노이드 로봇 중 초상화를 그리는 로봇이 있지만 다양한 영상을 입력받아 명암 및 그림자까지 그림을 그리는 로봇은 흔하지 않다. 기존의 화가로봇들은 사용자의 얼굴을 영상으로 입력받아 윤곽선만 추출하여 그리는 방식으로,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로봇 암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제대로 동기화가 이뤄지지 못해 드로잉 속도가 느리고 원본 영상과 비교 시 차이가 많이 난다. 본 연구에서는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명암과 그림자를 인식하여 표현해 줌으로써 입체감 있는 그림의 드로잉이 가능하다. 또한, 로봇 암의 미세한 컨트롤을 통해 드로잉 선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자연스러운 그림을 그리고, 드로잉 속도가 향상되어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하는 휴리스틱 암 제어 기술을 제안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영상으로부터 명암, 그림자의 농도에 따라 레벨을 결정하고, 레벨을 바탕으로 주변 명암 픽셀들을 평활화 하여 좌표 집합을 추출한다. 좌표 값들로 부터 유효 궤적을 분석하여 로봇 암이 이동할 경로를 추출하고, 효율적인 드로잉 기법을 통해 명암을 표현하여 드로잉하려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