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원배심제도의 성과분석과 인식에 관한 연구 : 대구시 수성구 사례 the case of Suseong-gu, Daegu Metropolitan

        김재기,송건섭 한국행정연구원 2004 韓國行政硏究 Vol.13 No.1

        본격적인 지방자치제 실시이후 지방자치단체의 업무수행과 관련하여 다양한 형태의 갈등이 급격히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갈등의 양상증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지방자치단체와 주민간의 민원행정과 관련한 갈등이다. 이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및 주민간의 갈등현상을 주요 문제로 인식하여, 그 원인과 기존의 해결방안을 검토한 다음 기초자치단체 중 대구시 수성구에서 채택하여 실시되고 있는 민원배심제도의 성과사례를 분석, 평가하고, 발전 및 확대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대구시 수성구 지역을 중심으로 사례분석과 더불어 설문조사를 통해 실중적인 분석을 하였는데, 그 결과 민원배심제도의 성과는 비교적 낮게 인식되고, 주민의 인식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집단민원 발생시 민원배심제를 통하여 조정, 중재하는 민원배심제도는 집단민원을 효율적·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제도로 판명되었고, 보다 확대 발전하기 위해서는 민원배심 결과를 실효성확보, 민원배심원의 중립화, 민원배심제도의 법제화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격적인 지방자치제 실시이후 지방자치단체의 업무수행과 관련하여 다양한 형태의 갈등이 급격히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갈등의 양상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지방자치단체와 주민간의 민원행정과 관련한 갈등이다. 이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및 주민간의 갈등현상을 주요 문제로 인식하여, 그 원인과 기존의 해결방안을 검토한 다음 기초자치단체 중 대구시 수성구에서 채택하여 실시되고 있는 민원배심제도의 성과사례를 분석, 평가하고, 발전 및 확대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대구시 수성구 지역을 중심으로 사례분석과 더불어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인 분석을 하였는데, 그 결과 민원배심제도의 성과는 비교적 낮게 인식되고, 주민의 인식정도는 낮은 것의로 나타났다. 그러나 집단민원 발생시 민원배심제를 통하여 조정, 중재하는 민원배심제도는 집단민원을 효율적·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제도로 판명되었고, 보다 확대 발전하기 위해서는 민원배심 결과의 실효성확보, 민원배심원의 중립화, 민원배심제도의 법제화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참여정부 자치경찰제(안)에 대한 비판적 논의

        송건섭(Keon-Sup Song),이태종(Tae-Jong Lee),이승철(Seung-Chul Lee) 서울행정학회 2006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16 No.4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roduction of Local Police System to increase efficiency of the police system through the improvement of centralized police system in Korea, and to be democratic police as servants or the police serving for citizen and community. In study, investigate having the controversies and ideas on introduction of the Local Police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before or after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The reasons for introduction of Local Police System in the police as an alternative measure of the Korean police system are as follows: First, it is in need that the police should change the way of thinking into being customer-centered and citizen participation should be increased. Second, it is in need that the protection of private information and security should be strengthened. Third, it is in need that Local Police System should be activated by keeping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e and local police system. Fourth, it is in need that efficiency of the police's affairs should be increased. In the end, the Local Police System decided to introduction in 2004 through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Therefore, In case of enforcing Local Police System in what is call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through survey method try to find introduction orientation what kinds of plan are durable Local Police System for local residents.

      • KCI등재

        유권자의 투표행태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2002년·2006년·2010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송건섭(Keon-Sup Song),이곤수(Kon-Su Yi) 한국정책과학학회 2011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5 No.3

        본 연구는 지방선거를 대상으로 유권자의 투표행태와 후보선택의 결정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기존의 지방선거 분석들이 특정 시점의 횡단 분석에 의존함으로써 유권자의 투표행태나 후보선택의 영향요인이 변화하는 역동성을 충분히 다루지 못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2002년(6.13지방선거) 2006년(5.31지방선거) 2010년(6.02지방선거)의 3차례에 걸친 지방선거의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투표행태는 선거관심도 투표시기 결정기준과 방법 선거문제점과 개선방안 등을 주로 논의하였고 투표선택은 후보자 인지와 이미지 그리고 결정요인의 관계 속에서 파악되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vote behavior and determinants of candidate choice to local election. Many local election studies are not addressed sufficiently the vote behavior of voters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candidate's choice to changing the dynamics by relying in the cross-sectional analysis on a specific point. In this respect this study was utilized the survey data conducted over three times in 2002(6.13 local elections) 2006(5.31 local elections) 2010(6.02 local elections) local elections. Voting behavior in this study the election interest the voting time the decision criteria and methods including election issues and the improvement was mainly discussed and voting choice was identified in the relationship of the cognition and image of a candidates and the determining factors.

      • KCI등재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 평가시스템 구축

        송건섭(Song Keon-Sup) 서울행정학회 2003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13 No.4

        This paper build to improve and efficiently evaluate the quality of public service in local government. It needs present integrated evaluation system developing an indicators what mixed objective and subjective method to desirable evalu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difficult in using all indicators in evaluation public service system, therefore, it profit by adapt for evaluation system to works relating major service capable of diminishing directly in regional inhabitants. Second, For evaluating public service in local government, it should be positively considered new multiple methodology what mixed the qualitative method based on scientificㆍquantitative method in performance evaluation. Third, It can be evaluated to endow with weighted value according to synthesis level or sector of outputed local government's performance. Especially, these weighted value endowment might be operating not only professionals in local administration, municipal and regional development. local finance, tax, and so forth but only evaluation committee composed of civil servants, customer's representativ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정부의 반부패 정책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청탁금지법을 중심으로

        송건섭(Song, Keon Sup) 한국부패학회 2020 한국부패학회보 Vol.25 No.3

        논문은 청탁금지법에 대한 인식과 효과조사를 통해 부패방지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증하였다. 측정변수로는 사회부패수준, 부패인지 관심, 법시행효과, 부패방지성과 등이며, 2016년과 2020년에 조사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첫째, 사회적 부패수준 및 부패에 대한 관심도가 청탁금지법 시행 직후보다 현재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청탁금지법이 시행되고는 있지만, 사람들이 생각하는 만큼 성과를 나타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사회적 부패 수준이 높을수록 청탁금지법에 대한 인지 및 관심도는 높아지고, 법률 시행으로 인한 효과가 크게 증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사회의 부정청탁 수준과 부패행위가 심각할수록 법규제 및 처벌을 강력하게 원하게 되고, 부정청탁에 대한 관행과 불신 풍조를 개선하려는 효과가 증대되기 때문이다. 셋째, 법시행의 효과가 높을수록 부패방지성과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리고 사회부패수준 정도는 법시행효과를 매개하여 부패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적인 시사점은 첫째, 부정 청탁에 대한 심각성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청탁금지법을 대한 인식을 강화하여야 한다. 둘째, 부정 청탁에 대한 관행 및 불신 풍조를 제거하여 법 시행의 효과를 높여야 한다. 셋째, 청탁금지법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법시행효과를 강화하고, 강력한 규제와 처벌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This paper verified the influencing factors on anti-corruption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the anti-graft act. Measured variables include social corruption level, perception and interest in corruption, law enforcement effect, and anti-corruption performance, and data surveyed in 2016 and 2020 were us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ocial corruption and interest in corruption were lower in the present than at the beginning of the enforcement of the anti-graft act. This is the fact that the enforcement effect of the law is not showing as high performance as expected.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corruption, the higher the degree of awareness and interest in the law, and the effect of law enforcement was greatly improved. This is because the more serious the level of solicitation and corruption in society, the stronger the desire for legal regulation and punishment, and the greater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ractices and distrust of solicitation. Third, the higher the effectiveness of the law enforcement, the more positive it has on anti-corruption performance. And the degree of social corruption was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corruption performance by mediating the law enforcement effect.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irst, efforts to improve the severity of illegal solicitation are needed, and awareness of the anti-graft act must be strengthened.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law enforcement by removing practices and distrust regarding illegal solicitation. Third,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anti-graft act, the enforcement effect of the law must be strengthened, and strong regulations and punishments are required.

      • KCI등재

        지방정부 지역축제의 성과평가

        송건섭(Song Keon-Sup) 서울행정학회 2004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14 No.4

        This study analyzed empirically to evaluate service quality factors and how to influence festival satisfaction variables, finally that performance of the 2002 DaeguㆍGyeonbuk Regional Festival Fixed upon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Andong Mask Dance Festival, Yeongju Ginseng Festival, Cheongdo Bullfighting Festival, Korean Traditional Drink and Rice Cake Festival, Daegu Yakryeongsi Opening Event etc). Servqual(service quality) explored in regional festival are five factors (tangibles,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empathy etc), among these factors, the empathy have influence the strongest in festival satisfaction variables, but its make difference according to regional festival. Satisfaction in regional festival was evaluated high level, but the degree of knowledge was low. Therefore, to achieve performance of the regional festival, local government should oriented strategy festival planning focused on service quality, attach importance to physical environment, differential regional festival etc.

      • KCI등재

        주관적 빈곤인식의 측정과 영향요인

        송건섭(Song, Keon-Sup)(宋建燮),정미용(Jung, Mi-Yong)(鄭美容) 한국지방정부학회 2011 지방정부연구 Vol.15 No.1

        This paper shows the implications our current basic living security system by measuring the standards of living of recipients of basic living. For this study, an experience survey was conducted an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standards of living are explained by difference analysis and recurrence analysi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standards of living are affected by chronic disease, age, family size, living environment, education, income and expenses, and the utilization of social welfare resources. The analysis concludes that we need different kinds of programs to improve the basic living security system and the standard of living of recipients of the basic living security system. 본 논문은 기초생활수급자의 주관적인 빈곤정도를 측정하고, 그 차이 및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시 기초생활수급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빈곤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명하였다. 분석결과, 빈곤인식에는 만성질환, 연령, 가구원수, 주거형태, 학력, 수급경력, 경제참여 상태 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영향요인으로는 소득, 자산 정도, 생활환경, 지원체계, 사회복지 자원이용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초생활수급자의 빈곤의식을 개선하고 기초생활보장제도를 발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광역생활권의 삶의 질(QOL) 영향요인

        송건섭(Keon Sup Song) 한국정부학회 2008 한국행정논집 Vol.20 No.3

        이 연구는 QOL에 대한 미국과 한국의 사례를 검토하고 QOL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한국의 대구지역과 미국의 시애틀지역의 QOL사례를 검토하고, 주관적인 평가지표를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QOL에 대한 주관적 평가의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으며, 평가지표로 QOL의 기본적인 공통지표이외 사회자본 지표, 참여지표 등이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전반적인 QOL 만족도에서 대구보다는 시애틀이 높다. 그리고 대구시는 인근지역보다는 높지만, 시애틀은 인근지역보다 낮았다. 셋째, QOL 하위지표 중 개선부문에 대해 대구와 인근지역은 교육과 문화가 가장 높은 반면, 시애틀과 인근지역은 교통 및 주거가 가장 높았다. 넷째, QOL 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대구는 사회자본, 인근지역은 지역경제가 가장 높았고, 시애틀은 건강, 인근지역은 교통 및 주거생활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quality of life Daegu-area residents in the Korea and Seattle-area resident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way they live. The method was chosen to more clearly understand the opinions of Daegu-Seattle residents about their own `quality of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subjective evaluation about quality of life is increasing, as the evaluative indicators social capital, citizen participation are very useful. Second, the Seattle area about the overall quality of life were proven higher than Daegu-area, and Daegu-area was higher than neighborhood area, but Seattle-area was lower than neighborhood area. Third, the education and culture factors were the highest in Daegu-area, the transportation and housing afford ability were the highest in Seattle area. Fourth,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were proven to is social capital in Daegu-area, regional economy in neighborhood area, while Seattle-area ranked health and neighborhood area ranked transportation, housing afford ability as an important fa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