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지 점검 모형 기반 상위인지 교육 방안 -학습 보조도구로서 한국어 학습일지를 활용하여-

        손혜진 ( Hye Jin Son ),김민경 ( Min Kyung Kim ) 이중언어학회 2014 이중언어학 Vol.55 No.-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Metacognition Based on a Cognitive Monitoring Model: using Korean learning journal as a supplementary educational tool. Bilingual Research 55, 157-181. This study suggests a new approach to a teaching method of metacognition based on a cognitive monitoring model from Flavell(1979). Metacognition takes a core role in terms of making more efficient learning and its role can be more emphasized in the second/foreign language learning situation due to cognitive burden. So far, most of studie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treated ‘metacognition’ as a subcategory of learning strategies. However, metacognitive strategies are not exactly the same notion with metacognition. Metacognitive strategies are the list of actions which occurs when people activate their metacognition to monitor their cognitive working. Thus,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way of activating metacognition based on the Flavell(1979)`s theory. In addition, the study proposes a teaching method for metacognition. In order to develop learners` metacognition and support their learning, the study uses learning journal as a supplementary tool, which can be an effective way to teach metacognition. And it also discusses about how to design the Korean learning journal in terms of supporting learners and activating their metacognition.(Korea University)

      • KCI등재

        Keller의 ARCS 동기이론을 활용한 특성화고등학교의 기초제도 수업방안 연구 : 정투상도와 특수투상도 단원을 중심으로

        손혜진 (Son, Hye Jin),김관배 (Kim, Kwan Bae)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3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기초제도 수업 중 ‘정투상도’와 ‘특수투상도’ 단원에 ARCS 학습 동기이론을 활용함으로써 효과적인 수업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특성화고등학교 디자인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수업과정의 실효성을 검증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P 특성화고등학교 1학년으로 2019년 5월 4주에 걸쳐 총 8차시 수업의 효과 검증을 위해 ARCS 동기이론을 적용한 연구수업 전 기존수업과 연구수업 후 학생들을 대상으로 5점 척도로 만족도 설문조사하고,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ARCS 동기이론을 활용한 기초제도 수업이 주의집중 향상, 높은 흥미와 전반적으로 높은 평가의 만족도를 받아 적용된 수업의 긍정적인 효과가 입증되었다.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proposes by applying the ARCS learning motivation theory to the chapters orthographic projection and special projection of the basic drawing subject that are the basis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 The teaching method applied to the ARCS learning motivation theory has been verified for first-year design students in the P specialty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The same students take the class without the ARCS motivation theory and the class applying the ARCS motivation theory, to study the effect of the classes applying the ARCS motivation theory. A survey with a 5-point scale to the students is conducted on the satisfaction of the class applying the ARCS motivation theory and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by using the t-test. As a result of t-test analysis, it proves the positive effect of classes applying the ARCS learning motivation theory by improving concentration, inducing interest, and positive satisfaction for basic system classes using ARCS motivation theory.

      • PCA와 음성인식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백지혜(Ji-Hye Baek),손혜진(Hye-Jin Son),이효은(Hyo-Eun Lee),정성택(Sung-Taek Jung),오용철(Young-Chul Oh),최진구(Jin-Gu Choi) 한국정보과학회 200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2D

        홈 네트워크의 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지만,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가정용 기기들이 다양한 서로 다른 통신 방식과 네트워크, 적용분야 등으로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문제시 되고 있다. 새로운 네트워크 기술과 홈 네트워크 서비스가 등장을 하더라도 일관된 홈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공과 수용을 할 수 있도록 위해서는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기술의 표준화가 필요하다. OSGi는 게이트웨이상의 서로 다른 기술 또는 타사의 서비스 간에도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표준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OSGi가 탑재한 홈 게이트웨이에서의 홈 네트워크 서비스의 요구사항들을 살펴보고, PLC통신 기반에 가정용 제어 기기들과 OSGi의 프레임워크가 탑재한 홈 게이트웨이와의 네트워크를 구현하고, 음성인식과 PDA로 홈 기기들을 제어하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설계와 구현을 하였다.

      • KCI등재

        일상학습의 개념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병준(Byung-Jun Yi),석영미(Young-Mi Seok),마루오시(Ruoxi Mai),이지인(Ji-In Lee),손혜진(Hye-Jin Son) 한국문화교육학회 202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6 No.6

        학습현상을 설명하고 학습현실을 이해하는데 있어 일상 속에서 형식을 갖추지 않은채 자연스럽게 또는 문화적으로 습득되는 것의 중요성이 갈수록 강조되고 있다. 일터학습의 경우에도 형식교육을 통한 개인의 성장과 발달보다는 무형식상황에서의 학습이 더 영향을 주고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어떤 학자들은 무형식학습으로, 또 어떤 학자들은 일상을 강조한다는 의미에서 일상학습으로 명명하기도 한다. 그리고 어떤 이들은 삶의 문화적 맥락 속에서 학습이 일어난다고 하여 문화적 학습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계에서의 일상학습의 흐름과 동향을 분석하고, 일상 또는 일상성의 개념의 생성과 의미를 학제적으로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일상학습의 개념화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통한 내용분석을 시도하였다. 일상의 개념은 철학적으로는 후설의 현상학에서 제시된 생활세계로부터 시작하여 이를 사회학적으로 이어받은 슈츠가 일상적 생활세계라는 개념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프랑스사회학에서는 일상성을 강조하는 하나의 사회학적 흐름이 형성되었다. 역사학에서는 집단기억과 심성을 연구한다는 차원에서의 일상사연구라는 하나의 패러다임이 생겨났다. 교육학에서도 일상학습을 강조하는 일군의 연구자들이 생겨났는데 학습이 생성되는 일상적 맥락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For explaining learning phenomena and understanding learning realities, an importance of acquiring naturally or culturally without form in daily life is emphasized as time goes by. In case of workplace learning, studying results that learning of informal situation makes more effects than individual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formal education are increasing. Some scholars name the phenomenon as informal learning and other scholars name it as casual learning because it focuses daily life. And some people call it cultural learning as learning is occurred in the cultural context of life.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er intended to analyze steam and tendency of casual learning in Korean academic world, examine creation and meaning of the concept of daily life or dailiness interdisciplinarily and based on it, try to conceptualize casual learning. To achieve them, this researcher tried to analyze the contents through literature analysis. The concept of daily life started from living world suggested in Husserl’s phenomenology philosophically, Schutz who succeeded to it sociologically started to use it as daily living world, and one social stream focusing dailiness was formed in French sociology. In historical studies, one paradigm of daily life research was occurred in respect of studying collective memory and mind was created. In pedagogy, some researchers who emphasized casual learning were appeared because they focused on daily context causing learning.

      • KCI등재

        미혼 남녀의 개인적, 관계적, 상황적 변인이 데이팅 폭력에 미치는 영향

        손혜진,전귀연 대한가정학회 2003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4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uch individual. relational, and contextual variables have an effect on the dating violence of premarital males and females. Researched are 369 male and female residents over 19 years have experienced dating or were involved in any dating relationships in Daegu. The instruments of measurement are CTSⅡ scale and scales of relation to individual, relational, and contextual variables. The data are analysed through factor analysis, Cronbach'sα, frequency, percentile,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dividual variables that affect doing and victimization of dating violence are one's permission degree of dating violence, and psychologica abuses experienced during childhood from one's mother. Second, relational variables that affect doing and victimization of dating violence are control toward one's partner, communlcation, conflict, commitment, intimacy, satisfaction of dating relationship, and feeling of inferiority toward one's partner. Third, contextual variables that affect doing and victimization of dating violence are familial relationships,friend relationships, and financial stre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