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린공원 CPTED 적용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및 유형별 평가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손지현,김종구,김유준,Sohn, Jee Hyun,Kim, Jong Gu,Kim, Yu Jun 대한토목학회 2015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5 No.1

        공원은 도시에 활력을 주는 중요한 시설이나 관리의 부재시 우범지대로 전락할 수 있다. 최근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에 의한 다양한 효과가 입증됨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공원 설계시 CPTED를 도입하는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을 시행했다. 그러나 이를 공원에 적용하고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하기 위한 체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근린공원의 CPTED 평가를 위한 지표를 도출하고 전문가 검증을 통해 지표별로 가중치를 부여한다. 이후 이를 기준으로 부산시에 위치한 근린공원을 CPTED 도입정도에 따라 유형별로 나눠 각각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물리적 요소는 설계단계부터 CPTED가 도입된 공원의 점수가 현저히 높았고, 사회적 요소의 경우 각 공원별 특성에 따라 다른 결과들이 도출되었다. Neighborhood Parks are important facilities for urban residents, which provide recreation and vitality to users. But it can degenerate into crime-ridden area in the absence of control system. Recently,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is confirmed to be effective for safety enhancemen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promulgates enforcement regulation about urban parks and greens. In the enforcement regulation, consideration of CPTED in park design is mandatory. However, there is no systematic guideline for the application and continuous maintenance control. So we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of neighborhood park about CPTED, and verify the weighted value of the evaluation indicator through survey targeting related field experts. Then, we evaluate safety of neighborhood parks in Busan using developed evaluation indicators, by three types of CPTED application level. On the physical design elements Busan Citizen Park which applied CPTED method from the design phase received the remarkably hightest score, whereas, on the social elements score was investigated differently in accordance with characteristics of each park.

      • KCI등재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오해와 미술 교육적 의미

        손지현(Jihyun Sohn) 한국미술교육학회 2008 美術敎育論叢 Vol.22 No.1

          본고는 미국 미술교육에서 보이는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관심과 도입과정에서의 몇가지 오해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우리 미술교육에 주는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시각문화 미술교육이란 미술교육의 양적 확대라는 내용의 측면뿐 아니라 접근방식의 변화를 의미한다. 둘째로 시각문화 미술교육은 작품 활동을 배제하고 이미지 읽기에만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의 문화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작품 활동으로 이어지게 함으로써 미술교육의 핵심적인 부분을 계속적으로 심화 확대해가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시각문화 미술교육은 대중문화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미술작품과 그가 위치해있는 문화적 컨텍스트를 살펴보고 학생들의 삶의 핵심적 문제를 살펴본다. 자라나는 학생들의 문화를 통해 정체성 문제를 다룸으로써 흥미꺼리나 일시적 관심사가 아닌 문화적 인식을 통한 자신의 탐구를 가능하게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some misunderstanding of visul culture studies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in U.S. The author proposes the ways to understand meanings of visual culture studies and pedagogical approaches to art education. First of all.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s not just about contents but approaches. Second,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does not exclude students" artistic production from the field of art education but reconsiders students" artistic production. Students artistic production should be considered as the ways of understanding their cultures. The authors argues for the continuation of students" art making as well as socio-cultural analysis of images. Finally,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ncludes artworks as well as images of popular culture. Art educator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examine cultural context surrounding artworks and artifacts. In doing so, students could connect essential problems of their lifes to big ideas of artifacts. Students could explore their identity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cultural meanings in their everyday visual experiences.

      • KCI등재

        시각문화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원리 연구

        손지현(Ji-Hyun Sohn)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1 미술과 교육 Vol.22 No.3

        본 연구는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특성을 알아보고, 디지털 리터러시를 위한 교수·학습 원리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특성과 원리를 살펴보고, 포스트휴먼, 복합양식성과 아울러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우선 시각문화 연구의 용어와 미술사적 탄생 배경을 통해서 시각문화 연구가 추구하는 사회학적, 기술적 접근을 설명하였다. 또한, 디지털 텍스트적 맥락에서 시각문화의 복합양식적 특성(multimodality)을 살펴보고, 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해 메타버스(metaverse)로서, 가상과 현실을 결합한 새로운 대안적 공간을 논하였다. 시각문화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원리로 연구자는 세 가지로 설명하였다. 첫째, 예술가적 배움을 지향하고, 둘째, 참여문화를 통한 자발적 학습과 아울러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에서 초학제적 접근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디지털 테크놀로지로 “보기”의 논의는 층위가 복합화되는 가상세계에서 하이브리드된 주체와 관련된다. 결국 미술교육에서 시각문화 연구는 기술을 활용한 공감 증진과 감성을 중심으로 한 휴머니티적 세계관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gital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nd discusses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for digital literacy. Literature review on teaching visual culture in art education is presented, and posthuman, cultural research, multimodality within digital literacy education were discussed.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is an epistemology and can be viewed as a semiotic practice. In addition, the multimodality of digital visual culture in the context of critical pedagogy on metaverse and educational approaches were suggested. Next, the researcher discussed a new alternative space combining virtual and reality as a metaverse for the network society and artistic practice. As a teaching and learning for visual culture and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e researcher explained three ways for pedagogy. First, artistic learning was oriented, and second, voluntary learning through participatory culture and a transdisciplinary approach were discussed in the curriculum. The discussion of ‘viewing’ with digital technology goes beyond the traditional category, and suggests a hybrid subject in a virtual world where layers of digital spaces and identity. In the end, the study of visual culture in art education should focus on a humanistic worldview centered on affects so that it can pursue empathy using technology and the reconceptualization of a humanized world.

      • KCI등재

        브렌트 윌슨의 미술교육 사상과 시각문화 연구

        손지현(Jihyun Sohn) 한국미술교육학회 2006 美術敎育論叢 Vol.20 No.3

          현대 미술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브렌트 윌슨(Brent Wilson)의 미술교육사상의 철학적 기반, 시각적 텍스트로서의 미술교육과 아동화 연구, 시각문화 연구와 시사점으로 나누어 살펴보겠다. 윌슨은 광범위한 인문학적 지식과 철학적 관심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을 바탕으로 시각적 텍스트로서의 미술교육과 아동화 연구에 문화적 영향을 중시한다. 그는 DBAE가 학생들의 삶과 관심의 문제를 담는데 한계가 있다고 보고 현대미술과 대중매체를 포함하는 리좀(rhizome)과 같은 무수히 많은 기호학적 연결고리로 연결된 시각문화 연구를 중심으로 하는 현대 미술교육을 전망하였다.   Brent Wilson"s study on child"s art helps frame the recent shift toward visual culture as a revisioned movement. He presented the innovative view of how children learn to draw and the cultural influences of their choices. This article describes his research and its sources. Theories, philosophies, intellectual climate are the first classification to help art educational research. Wilson draws upon postmodern theories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Wilson continued to challenge art education field with research about popular culture and their influences on child art. He explored the role of popular culture in contemporary society while problematizing developmental theories including Lowenfeld prevalent in the field in 1970s. Wilson argued that art education should enable students to interpret and create artworks in term of solving problems in their life. His cross-cultural research on Japanese young people"s manga, dojinshi, and comic market provides a set of tools toward critical pedagogy to help students to investigate the intertextual site in visual culture outside schooling. A review placed his major writing in the context of art education with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n art education.

      • KCI등재

        미국 메이커 교육 사례 분석을 통한 뮤지엄 교육에의 시사점 연구

        손지현(Sohn Ji Hyun),황은경(Hwang Eun Ky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8 美術敎育論叢 Vol.32 No.4

        본 연구는 미국의 뮤지엄에서 이루어지는 메이커 교육의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뮤지엄 교육에의 시사점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메이커 교육은학습자가 관심 있는 만들기를 통해서 탐구하고, 다른 사람과 이를 공유하고 가르쳐주는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페퍼트의 구성주의에 기반한 메이커 교육은 ‘ 만들기’를 통해서 사고력을 기르며, 협력과 소통을 중시한다. 또한 팅커링이라는개조와 반복적 실험을 통해서 도전정신을 기른다. 본고는 메이커 교육이 활발히이루어지는 뉴욕 과학관, 피츠버그 어린이 박물관, 샌프란시스코 과학관, 애리조나대학 미술관의 사례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뮤지엄 고유의 메이커 교육철학의 수립, 놀이를 기반으로 한 메이커 활동에서 조력자의 피드백을 통한 창의적문제해결력의 신장, 에듀케이터 연수를 통한 교육 전문성 증진, 지역 사회 교육기관과의 협력 및 아웃리치 활동 증진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 of maker education in the museum in the United States and to seek for implication for museum education in Korea. The maker education is centered on making activities that emphasizes learning from sharing with others. The theory of constructionism by Papert places embodied, production-based experiences at the core of how people learn. The theory frames learning as product of play, experimentation and students learn by constructing knowledge through the act of making something valuable. The authors suggest implications by analyzing maker museum education in U.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museum education philosophy to the museum through the case analysis. To enhance creative problem-solving, makerspaces in museum need play-based making. It is also significant for facilitators in makerspaces to provide feedback during maker activities. Museums need to research maker education through consultation and cooperation with universities, communities and the result of research should be back into practice.

      • KCI등재
      • KCI등재

        미술교육에서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수 방법 연구

        손지현 ( Ji Hyun Soh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2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여 창의적 인재육성은 2009 개정 교육 과정의 핵심이다. 앞으로 개발될 미술과 교육과정을 위해서 현재 미술교육에서 창의성에 대한 개념, 교육과정, 교수학습 방법 등을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의 개념을 Amabile의 상호작용 모델, Csikszenmihalyi의 체제 모델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창의성의 의미와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요소와 학습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창의적 사고 모형으로는 Wallas의 단계설과 Osborn, Treffinger, Isaken과 Dorval의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을 통해서 창의성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미술교육에서의 창의성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서 2007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창의성이란 용어를 미술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에서 찾아보았다. 창의성을 민감성,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상상력의 사고 기능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면 이들에 대한 개념이 현행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명확히 구분이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는 유추와 은유를 창의적 발상을 위한 전략으로 보고 이를 미술 실기 작업에서 탐구 과정에서 활용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살펴보았다. 미술교육에서 창의적 사고의 신장을 위해서는 창의성의 의미와 창의적 사고 기능, 행동 특성, 창의적 과정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아울러 교수학습방법, 교실 수업의 적용을 가능하게 하는 교사 교육 등 실천적 연구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search on creativity and instructional methods in art education. The concept of creativity is widely used in different ways because of the complex nature of creativity activity itself, which has caused difficulty in practice of art education. The meaning of creativity and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are defined in educational context. To invest current status of creativity in art education, national art curriculum for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students is analyzed. The term "creativity" in art education is widely used but there are some limitations of what constitutes of artistic creativity and how to foster creativity in art classrooms. Therefore, the lack of systematic research on creativity in art education and art curriculum leads on the difficulty in practice in art classroom. Analogy and metaphor are recommended for teaching strategy in art classroom. Synetics with analogy and metaphor provide powerful tools for generating concepts and ideas for creation of Surrealistic artwork. Experience with creative thinking skills can help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in visual cycle of inquiry. Art educators need holistic approach to creativity such as creative thinking, behavior,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t is significant that art teachers utilize strategies of creativity for integrating cognitive, emotional, and environmental facets of art classrooms.

      • KCI등재

        Analytical Method를 이용한 고체 추진제 그레인의 Burn-back 연구

        손지현(Jihyun Sohn),장진성(Jinsung Jang),오석환(Seokhwan Oh),노태성(Taeseong Roh) 한국추진공학회 2014 한국추진공학회지 Vol.18 No.3

        The grain burn-back analysis has been performed for the internal ballistics analysis code to be used for the optimal design of the space launch vehicles. The grain burn-back has been used to calculate the burning surface that is essential to the internal ballistics. The calculation of internal ballistics code used in the optimal design is repeated until satisfying the required performance through the change of the design parameter. Therefore, the burn-back method applied to the internal ballistics analysis should be easy to change the design parameter and calculation time should be short. In this study, a burn-back analysis code has been developed using the analysis method. Also, geometric parameters of the grain have been selected and organized. The developed code has been verified by comparison of results of a numerical method.

      • KCI등재

        창의,인성 교육과 시각문화 미술교육: 통합 교육과정 개발과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손지현 ( Ji Hyun Soh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인 창의·인성 교육의 틀에서 시각문화 미술 수업을 통합 교육과정으로 설계하여 고찰한다. 창의성과 전인적 인간의 성장은 미술교육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담론이었고 현대에는 시각문화 미술교육 패러다임의 등장으로 학교 현장의 미술 수업에 새로운 접근 방법이 요구된다. 이에 초등학교 미술 수업의 통합 교육과정 설계 과정과 사례를 통해서 미술과의 시각문화 학습이 다른 교과의 지식, 기능과 어떻게 연결되고 학생의 인성 교육이 이루어질 것인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approach to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n teaching visual culture. Recently there are increasing notions about creativity and students` character in art education due to the reformation of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Postmodernism movement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emphasizes the focus on creativity in socio-cultural context and pedagogical practices. It is significant that we need to reconceptualize teaching creativity in art education and our belief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educational setting for students` development. It is advocated that through critical analysis of concepts and research and practice in art education we can develop personal, cognitive, productional aspects through artistic process. Integrated curriculum planing and practice through visual culture approaches to art education provide ways to cultivate creative students. Topics discussed in this article are related to reconsidering creativity and visual culture through interdisciplinary studies. The author suggest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Drake and Burns(2003)`s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 model of Creative Problem Solving. There are examples of curriculum planning, activities for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through Korean literature and social studies subjects. Discussion of this study has implicated the need for teachers` beliefs and competency for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 need for theories and practice bridging knowledge, skill and character teaching for visual culture studies.

      • KCI등재

        미술 비평 교수·학습 모델적용을 위한 발문 연구

        손지현 ( Ji Hyun Sohn ),김수진 ( Su Jin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2 초등교육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으로 새롭게 등장한 ``미술 비평``의 지도를 위해 교수·학습 모델을 살펴보고 발문을 중심으로 초등학생에게 적용 가능한 방법을 살펴보고 있다. 미술 비평은 초등학생에게 미술작품의 의미를 나름대로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서 전문 미술 비평가의 탐구 방법을 적용하여 작품을 세심히 관찰하고 발견한 것을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중심으로 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하지만 교육 현장에서 비평 수업의 개념은 아직 교사들에게 낯설기 때문에 교사들은 이러한 미술 비평 교수·학습 방법을 적극적으로 시도하지 않고 있는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 비평을 초등학생에게 적용하기 위해서 관련된 이론과 교수·학습 모델을 고찰해 보고, 이중 발문을 중심으로 가능한 수업의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ducational model for art-criticism which has appeared in the 2009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nd to introdu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questioning strategy applicable for the model. Art criticism education is a way that students can utilize professional inquiry of art critics in a revised way to build artworks` meaning in one`s own way. By using this revised method, children could construct meaning by looking into the artwork closely and carefully with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However, the concept of art criticism education is still unfamiliar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y are not familiar with critical inquiry of artworks so far. The authors suggest an educational model using Tom Anderson and Harry Broudy`s theories. ``Educational Art Criticism`` model by Anderson emphasizes the initial reaction toward the artwork. It can be applied well enough for an educational model for elementary students because they say their reaction immediately when seeing the artwork. Also, ``Aesthetic Scanning`` by Broudy emphasizes aesthetic perception and divided the perception into four types: sensory, formal, technical, and expressive. Elementary students don`t have the standards when looking the artwork, so by applying Broudy`s method, children will be able to look into the artwork more carefully by using his criteria. In art criticism education, teacher`s questions are important in a way children are able to think and observe through the carefully designed instruction. So in this study, authors suggest not only the educational model but also the way of teacher`s questioning strategy by looking into an example artwork by Hochul Che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