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석 및 석분 슬러지를 활용한 인조석판재의 제조

        손정수,김병규,김치권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1995 資源 리싸이클링 Vol.4 No.1

        국내 각 채석장 및 석재 가공공정에서 발생되는 폐석과 석분 슬러지를 활용하여 장식재, 바닥재 및 내외장재 등에 쓰이는 인조 석판재 제조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인조석재는 폐석과 결합제 및 경화제 등을 혼합하여 제조하였으며 성형압력, 폐석 및 석분 슬러지의 결합비 그리고 결합제의 양 등의 변화에 따른 인조석재 각각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천연석재와 인조석재와의 물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circled1$ 비중,$\circled2$ 흡수율, $\circled3$ 탄성파속도, $\circled4$ 압축강도, $\circled5$ 인장강도, $\circled6$ 반발경도, $\circled7$ 탄성계수 $\circled8$ 포아송비를 측정하였으며 $\circled9$ 내열성도 함께 조사하였는데 석재의 물성은 원료의 혼합정도, 성형압력 및 결합제의 양에 의해 좌우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인조석재의 제조에도 석분에 비해 고가인 결합제의 사용을 가능한한 최소로 하여 폐기물로 배출되는 폐석 및 석분슬러지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성형압력 $200kg/\textrm{cm}^2$, 결합제의 양 12~15wt.%의 제조조건에서 원하는 물성을 갖는 인조석재를 제조할 수 있었다. The amounts of waste stone and stone powder sludge that occurred in the quarry and processing plant of s stone plates, have been increased with the development of stone industry. The manufactunng process of 따tificial s stone was studied to reduce the outlet of these wastes and utilIze them as raw materials for architecture, interior decoration and art work. In order to compare the properties of artiflcial stone with those of natural building-stone, the physi$\alpha$II properties of artificial stone such as specific gravity, absorption ratio, elastic wave velocity, compressive s strength, tensile strength, shore hardness, elasticity and Poission's ratio were measured. From the mesaured d data of physical properties, it was found that physical propertIes of artificial stone were controlled by homogeneous m mixing ratio of constituents, molding pressure, and amount of binder. Also, from the thermo-gravimetric analysis, it was found that artIfIcial stone manufactured had a good thermal stability up to $300^{\circ}C$. It was concluded that t the optimum conditions for manufacturing process of artificial stone were $200kg/\textrm{cm}^2$ of molding pressure, 12-15 w weight % of binder amounts.

      • KCI등재

        저자의 경계 너머의 지대와 그 의미 (1): ‘김효식(金孝植)’이라는 이름으로 발표된 두 편의 동화를 중심으로

        손정수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2 한국문학연구 Vol.- No.68

        This article contains the process of estimating the identity of the author by examining two children’s stories, “Halmeoni-ui Bansaeng” (Grandma’s Half Life) and “Jeonjaeng Noleum” (War Game), published under the name of Kim Hyo-shik on the Maeil Shinbo (每日申報) in 1941. First,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wo stories were summariz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Kim Nam-cheon’s literature was examined. As a result, in terms of the intertextual dimension of motifs and character structures, the stories show similarities with Kim Nam-cheon’s another children’s stories set in the period of liberation and division, “Jeonggeojang” (Station) and “Kkul” (Honey). And in terms of vocabulary, intertextual intersections between the stories and Kim Nam-cheon’s other novels were confirmed. I also explored the circumstances that Kim Nam-cheon would have used a different name at that time. In this process, the possibility that the name Kim Hyo-shik might be another pseudonym of Kim Nam-cheon was suggested. This situation is an example of the special way in which the author's name exists, and it is thought that there are problems to be considered meaningfully in terms of responding to reality through the author's boundary as a medium. 이 글은 1941년 『매일신보』에 ‘김효식’이라는 이름으로 발표된 「할머니의 반생」, 「전쟁놀음」 등 두 편의 동화를 대상으로 그 필자의 정체를 추정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우선 동화 두 편의 내용과 특징을 정리하고, 그것과 김남천 문학의 연관성을 살펴보는 순서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그 이야기들이 「정거장」, 「꿀」 등 해방과 분단의 상황을 배경으로 한 김남천의 동화와 모티프와 인물 구조의 차원에서 상동성을 보이고 있고, 어휘의 측면에서도 김남천의 다른 소설들과 상호텍스트적 교차점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그 시기에 김남천이 다른 이름을 사용했을 정황과 개연성에 대해서도 타진했다. 이 과정에서 ‘김효식’이 김남천의 또 다른 필명일 가능성을 어느 정도 수준에서 확인할 수 있었는바, 이런 상황은 저자의 이름이 존재하는 특수한 방식을 보여주는 사례로, 저자의 경계를 매개로 한 현실 대응의 측면에서 의미 있게 살펴볼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김남천 문학의 외연 확장을 위한 시론 (2)-전집 미수록 산문(1940-1950)을 중심으로

        손정수 구보학회 2022 구보학보 Vol.- No.31

        This thesis is an essay to reimagine the expanded extension of Kim Nam-cheon’s literature while arranging the contents of his prose published after 1940 that were not included in the complete collection. The process was divided into four phases. (1) In the early prose of Kim Nam-cheon in the 1940s, he showed a relatively active reaction with respect to technical aspects, but kept a distance from the current events passively coping with them. From this figure, we could see the fact that Kim Nam-cheon had his own response to the more complex govermentality than ever before. (2) In addition, some of the writings confirmed to have been written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not only quantitatively poor compared to other periods, but also consciously avoid confrontation with reality by limiting their content to trivial problems related to life and past memories. From such an attitude, it was possible to confirm in detail the traces of his willingness to endure negative times with a passive attitude amid the external oppression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3) On the other hand, the prose after liberation showed the aspect of introducing the problems of ideology, organization, and practice back into his literature, but partly with the anxiety about such a situation. Such an ambivalent aspect concretely showed his efforts and passion for an independent and democratic nation-state and national literature, but also contained his sensuous percep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that did not unfold as he wished. (4) The prose after his going to North Korea over border was as if the ideology of the government power was directly printed, and Kim Nam-cheon’s individual voice could not be felt there. From the state of such texts, it can be said that the tragic fate he had to face in the process of war and division had already been foreshadowed. This essay, which tried to supplement and extend the extension of Kim Nam-cheon’s literature, needs to lead to an analysis of the individual issues and meanings inherent in the overall composition. 이 논문은 1940년 이후 발표된 김남천의 산문 가운데 전집에 수록되지 않은 글들의 내용을 정리하면서 김남천 문학의 확장된 외연을 새롭게 그려보기 위한 시론으로, 이전 시기에 비해 더 극적인 변화와 부침을 보여주고 있는 그 과정을 네 국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 1940년대에 접어든 초기의 김남천의 산문에서는 그가 기술적인 측면과 관련해서는 상대적으로 적극적인 반응을 보인 반면, 시의적 현실에 대해서는 소극적으로 대처하며 거리를 두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런 모습에서 김남천이 이전에 비해 보다 복잡해진 통치성에 대해 그 나름의 대응을 수행했다는 사실을 엿볼 수 있었다. (2) 또한 일제 말기에 쓴 것으로 확인된 몇 편의 글은 다른 시기에 비해 양적으로도 빈약할 뿐만 아니라 내용에서도 생활이나 과거의 기억과 관련된 사소한 문제에 한정함으로써 현실과의 대면을 의식적으로 피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런 태도로부터 일제 말의 외적 억압 속에서 그가 수동적인 자세로나마 부정적인 시대를 견디고자 했던 흔적을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3) 한편 해방 이후의 산문들은 그의 문학에 다시 이념과 조직, 실천의 문제가 도입되는 양상을, 그러나 부분적으로는 그와 같은 상황에 대한 불안을 함께 드러내고 있었다. 그와 같은 양가적인 면모는 한편으로 독립되고 민주적인 민족 국가와 민족 문학을 위해 그가 기울인 노력과 열정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면서도, 그의 바람대로 전개되지 않는 현실적 상황의 추이에 대한 그의 감각적 인식을 담고 있었다. (4) 월북 이후의 산문들은 집단의 이데올로기가 그대로 활자화된 것으로 거기에서는 김남천의 개별적인 목소리를 느낄 수 없었다. 그런 텍스트의 상태로부터 이미 전쟁과 분단의 과정에서 그가 직면해야 했던 비극적인 운명이 예감되고 있었다고 하겠다. 김남천 문학의 확장된 외연을 정리한 이 시론은 이후 그 전체적 구도에 내재된 개별적인 논점과 의미에 대한 분석으로 이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텍스트의 경계

        손정수 한국현대소설학회 2002 현대소설연구 Vol.- No.16

        Limit of the Text― The Meaning of Proper Nouns in Modern Korean Novels in 1930s

      • KCI등재

        1880-1910년의 ‘소설’ 개념 - ‘소설’ 개념의 역사 (4)

        손정수 한국현대문학회 202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9

        This study is the fourth part corresponding to the period from 1880 to 1910 in a series of works aimed at examining the history of the concept of Sosŏl(소설) in Korea in modern times. First, I summarized the trend of occurrence and change appeared in the concept during this period. In the process, it is confirmed that the new cases concerning the concept of Sosŏl were introduced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external facts and events and the flow of old novels summoned from the system of newspapers and magazines gradually undergoing periodic changes in their content and form. And in the meantime, an active attempt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two streams has also continued as one stream from the beginning of this period. Meanwhile, the frequency of the appearance of the concept of Sosŏl in newspapers and magazines during this period showed a rapid increase in the second half compared to the first half, especially after the mid-1900s. The phenomenon can be understood as reflecting the reality that the concepts of Sosŏl with different connotations, which had been relatively stable until a certain period of time, begin to compete with each other as their frequency increases. Through the process, there were signs that the concept of Sosŏl at this time was being reorganized into a new structure. 본 연구는 한국의 근대적 ‘소설’ 개념의 역사를 살피는 것을 목표로 삼는 일련의 작업에서 1880년부터 1910년까지의 시기에 해당하는 네 번째 부분으로, 이 시기 ‘소설’ 개념의 존재 양상을 문학, 문화 담론의 영역에서 확인하고 그 상태를 정리한 것이다. 우선 이 시기 주로 신문과 잡지에 나타난 ‘소설’ 개념의 양상을 1900년을 기점으로 두 시기로 나눠 그 발생과 변화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그 과정에서 외부의 사실과 사건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도입되는 흐름과 신문과 잡지의 체계로부터 소환된 구소설이 점차 그 내용과 형식에서 시대적 변화를 겪는 흐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런 가운데 두 흐름 사이의 틈을 메우려는 적극적인 시도 또한 이 시기의 초기부터 하나의 흐름을 이어오고 있었다. 한편 이 시기 ‘소설’ 개념이 신문, 잡지에서 출현하는 빈도는 전반부에 비해 후반부, 특히 1900년대 중반 이후 급증하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 현상은 어느 시기까지 비교적 안정적으로 병립해오던 서로 다른 내포를 지닌 ‘소설’ 개념들이 그 빈도의 증가에 따라 경합하기 시작하는 현실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 과정을 거치면서 이 시기의 ‘소설’ 개념이 이후 새로운 구도로 재편될 징후도 나타나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