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업탄력성과 지혜의 관계 : 4학년과 6학년 비교

        소연희 한국교육방법학회 2014 교육방법연구 Vol.2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들에 따라 학업탄력성과 지혜에서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고, 각 변인들 간의 상호관련성과 학업탄력성이 지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업탄력성에서는 4학년들은 학업에서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였을 때 부모와 교사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경향이 높은 반면 6학년들은 친구들과 어려운 점을 공유하는 친구지지와 자기 스스로 학습습관을 성찰하고 조절하는 학습조절이 높았다. 지혜에 있어서는 6학년이 4학년들 보다 높았다. 둘째, 6학년들은 친구지지와 학습조절이 지혜와의 상관정도가 높았고, 4학년들은 학업탄력성의 모든 하위요인들과 상관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학업탄력성의 하위요인들 중 4학년들은 부모지지가 6학년들은 친구지지가 지혜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학교장면에서 초등학생들의 학업탄력성을 반영하여 지혜를 증진시키기 위한 학습 환경 조성방안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academic resilience and wisdom across grade levels; to verify correlations among two variables, and to examine predictions of academic resilience on wisdom across grader levels such as 4th and 6th graders. Participants were 214 sixth and 199 fourth grader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wisdom, indicating 6th graders displayed higher wisdom. Wisdom correlated positively peers' support and learning regulation of academic resilience in sixth graders. Wisdom showed strong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parents and teachers' support, peers' support and learning regulation of academic resilience in fourth graders. For wisdom, parents' support were the best predictor in 4th grader whereas For wisdom, peers' support was the best predictor in 6th grad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o enhance wisdom, it is desirable to consider academic resilience in elementary school setting.

      • KCI등재

        초등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소연희 한국직업교육학회 2011 職業 敎育 硏究 Vol.30 No.4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rners' perception on parents academic involvement, academic self-efficacy, school adjustment, and career maturity, and also to analyze the hypothetical structural equation model relating three independent variables to career maturity. The participants were 443 sixth grade children(218 boys and 225 girl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career maturity positively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s with learners' perception on parent academic involve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 findings revealed that learners' perception on parent academic involvement indirectly influenced career maturity mediated by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Furthermore, school adjustment displayed the highest direct effect on career maturity, whereas learners' perception on parent academic involvement showed the highest indirect effect on career maturity. It was discussed to develop and mange career program, career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effectively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이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생 443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의 교육적 관여,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 및 진로성숙도들 간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지각된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 변인의 매개효과가 있는지에 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첫째, 지각된 부모의 교육적 관여의 하위변인들 중 학습지도와 자녀교육지원이 진로성숙도의 하위변인들과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의 하위변인들 중 자기이해와 미래직업태도와 상대적으로 높은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연구모형 적합도 검증결과 지각된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 적응을 완전히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주는 모형이 적합하였다. 셋째, 초등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간접적인 효과 분석결과 총 효과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상대적으로 높았고, 직접적인 효과는 학교생활적응이 가장 높았으며, 간접적인 효과는 지각된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토대로 실제 학교현장에서 초등학생들에게 맞는 진로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과제선택이 과제흥미에 미치는 효과

        소연희,김성일 한국교육학회 2005 敎育學硏究 Vol.43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ask choice and self-efficacy on task interests with 7th graders. They were given a set of ill-defined problems and asked to propose the solutions. In experiment 1, the types of choice (choice/assignment) and task difficulty (difficult/easy) were manipulated in small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situ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two-way interaction effects on task interests between self-efficacy and choice, and between self-efficacy and the task difficulty. This finding indicated that participants with low self-efficacy were more interested in choice condition and easy task condition, whereas participants with high self-efficacy were more interested only in the difficult task. In experiment 2, the types of choice and levels of competition (high/low) were manipulated in individual learning situation. The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three-way interaction, indicating that participants with high self-efficacy showed more interests in choice condition when they were in highly competitive situation, whereas participants with low self-efficacy showed more interests in choice condition when they were less competitive situ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desirable for highly efficacious students in a small group activity to provide a difficult task and for less efficacious students to provide an easy task and task choice. In contrast, in individual learning situation, it is recommended that it is beneficial to provide task choice for the students with high self-efficacy only in a competitive learning environment and for those with low self-efficacy to provide task choice only in a less competitive learning environment. 이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과제선택이 과제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모색하고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두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소집단활동에서 과제선택, 과제난이도가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라 과제흥미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고, 실험 2에서는 개별활동에서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라 과제선택과 경쟁제공방식이 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실험 1에서는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습자들은 과제선택권 제공여부에 따라 흥미에서 차이가 없었고, 어려운 과제에서만 과제흥미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자기효능감이 낮은 학습자들은 과제선택권을 부여했을 경우와 쉬운 과제에서 흥미가 높게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습자들은 고경쟁에서 과제선택에 대한 흥미가 높은 반면 자기효능감이 낮은 학습자들은 저경쟁에서 과제선택에 대한 흥미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학교수업이나 학습장면에서 학습자의 흥미나 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는 자율적인 학습환경 조성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학교 교사의 정서, 교실목표구조 및 창의적 교수행동의 구조적 관계

        소연희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교사교육연구 Vol.56 No.4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structure equation modeling of the relationship among middle school teachers’ emotions, classroom goal structures, and creative teaching behaviors, and to examine classroom goal structure as possible mediator between teachers’ emotions and creative teaching behaviors.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232 middle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ffective creative teaching behavior positively display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mastery goal structure and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feelings of anger. Cognitive creative teaching behavior positively display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performance goal structure. However, it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relation to anxiety and anger.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revealed that it was an appropriate model tha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middle school teachers’ emotions on creative teaching behavior were mediated by classroom goal structures simultaneously. It was also identified that classroom goal structur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ed effect on creative teaching behaviors. These findings suggested further enhancements are required with respect to creative teaching behavior and positive emotions for middle school teachers. 이 연구는 중학교 교사의 정서, 교실목표구조 및 창의적 교수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교사의 정서와 창의적 교수행동의 관계에서 교실목표구조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교사 23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토대로, 적률상관분석을 통해 변인들 간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았고, 구조모형분석을 통해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와교실목표구조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첫째, 창의적 교수행동 중 정의적 지원은 숙달목표구조와의정적상관이 높았고, 즐거움과 수행목표구조 순으로 정적상관이 높았다. 반면 분노와는 낮은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불안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인지적 지원은 수행목표구조와 높은 정적상관을나타냈고, 즐거움과 숙달목표구조와도 각각 통계적으로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그러나 분노와 불안과는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는지 않았다. 둘째, 교사의 정서가 직접적으로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면서 동시에교실목표구조를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모형이 적합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매개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즐거움과 창의적 교수행동의 관계에서 숙달목표구조의 매개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중학교 교사의 긍정적인정서 함양을 위해서, 수업성과의 강조를 지양하고, 교사들이 부정정서를 표출해 낼 수 있는 업무환경이 마련되어야 하며, 창의적 교수행동 증진을 위해서는 숙달목표구조를 기반으로 한 수업분위기 조성 전략에 대한교사교육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정서창의성과 대인관계 성향분석

        소연희 한국교육방법학회 2004 교육방법연구 Vol.16 No.2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monstrate the viability of emotional creativity as a theoretical construct. For this purpose, I pursued to investigate validation of the scale of emotional creativity and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reativity and interpersonal disposition. Subjects were 330 undergraduate students in Seoul, Kyong-gi province, Kangwon-do, ect. Four categories of their behavior were assessed: emotional creativity, cognitive creativity, personality creativity, interpersonal dispos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score of emotional creativity and the constructs of the scale of emotional creativity was ranged from .63 to .82. Thus it could be supposed to verify construct validity. Secon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nstructs of Creative Personality Inventory and the constructs of the scale of emotional creativity was ranged from .11 to .35. In addition,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nstructs of Torrance Test of Creativity Thinking and the constructs of the scale of emotional creativity was ranged from .12 to .33. Therefore, I could find to verify concurrent validity. Third, it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the interpersonal disposition and the degree of emotional creativity. The students who had the high emotional creativity could be relatively gotten the higher score in domains of role disposition, social metric disposition, and expressive disposition. 본 연구에서는 Averill(1991)의 정서 창의성 이론을 소개하고 우리나라의 상황에서도 적용가능성이 있는지를 검증하기위해, 정서창의성 척도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정서 창의성구인과 대인관계성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의 대학생 320명이며, 분석방법은 구인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요인분석, 상관계수법 등을 사용하였고 공인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창의적 인성검사(Creative Personality Inventory)와 창의적 사고력검사(Torrance Test of Creative)를 준거척도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구인타당도에 있어서 각 측정요인과 정서 창의성 총점과는 높은 상관을 나타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문화적 상황에서 정서 창의성이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공인타당도에 있어서는 창의적 인성 검사와 사고력검사 모두 정서 창의성 측정도구와 낮은 상관을 나타내었기에 정서 창의성이 창의성의 특수한 영역임을 예측할 수 있다. 둘째 정서 창의성과 대인관계성향과 상관분석결과 정적상관을 나타내었기에 정서 창의성이 대인관계구인을 설명해줄 수 있는 예측변인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창의성교육에서도 정서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하며 특히 현대사회의 성공요소인 대인관계에 있어서 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자 중심 수업인식, 학습동기와 비판적 사고력 간의 구조적 관계

        소연희 한국교육치료학회 2017 교육치료연구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correlation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academic motivation, and critical thinking and to analyze hypothetical models of their perceptions and a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motivation. The subjects were 343 undergraduates. Pearson’s correlations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a result, critical thinking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eaching philosophy and intrinsic motivation. In particular, habitual perception and critical recognition respectively revealed a high correlation with learning belief. Also, comprehension and reflective judgment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ed perceptions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ed critical thinking and were medicated by academic motivation at the same time.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motivation was significant. These findings led to the suggestion of supporting a learner-centered instruction environment to enhance critical thinking abil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학습자 중심 수업인식, 학습동기와 비판적 사고력의 구조적 관련성을 살펴보고 학습동기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34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변인들 간 상호관련성과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비판적 사고력은 학습관과 내재동기와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인 중 습관적 지각과 비판적 반성은 학습신념과의 정적 상관정도가 높았고, 이해와 반성적 성찰은 자기효능감과의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학습자 중심 수업인식의 하위요인 중 교수·학습활동은 내재동기와 학습신념은 의사소통, 수업분위기조성, 학습관과 각각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구조모형분석 결과, 학습자 중심 수업인식이 비판적 사고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학습동기를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모형이 적합하였고, 학습자 중심 수업인식이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직접효과보다는 학습동기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가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대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수업환경 조성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학생의 자기효능감, 문제유형 및 평가방식이 흥미에 미치는 영향

        소연희,김성일 안암교육학회 2005 한국교육학연구 Vol.11 No.2

        이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의 흥미를 증진시킬 수 있는 문제특성을 탐색하기 위해서 자기관련성 문제와 선택형 문제에 있어서 교사와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에 따라 선호하는 문제의 경향성을 살펴보았다. 또 이 결과를 토대로 실제 학교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평가방식인 점수와 등수와 같은 단면평가와 다양한 평가준거를 제공하는 다면평가가 문제의 자기관련성정도와 선택권부여에 따라 흥미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1에서 교사들은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습자들의 문제에 대한 선호율이 비슷하였기 때문에 자기효능감이 낮은 학습자들의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 2에서는 상위 자기효능감 집단은 선택형 문제에 대한 흥미가 높았으며, 단면평가에서는 자기관련성이 높은 문제에 대한 흥미가 높고, 다면평가에서는 선택형 문제에 대한 흥미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학습자 특성변인이나 평가상황에 따라 흥미에서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의 흥미/동기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 특성에 맞는 문제를 제공해야 한다는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범대학생의 자기결정욕구, 진로태도성숙,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의 구조적 관계 분석

        소연희 한국직업교육학회 2011 職業 敎育 硏究 Vol.30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determination need, career attitude maturity, career preparatory behaviors, and career decision, and to explor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input-procedure-output framework in three independent variables and career decision. The participants were 356 undergraduates in college of education. It was found that career decision positively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s with career attitude maturity, career preparatory behaviors, and competenc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revealed self-determination need directly affected career decision and indirectly influenced career decision through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ory behaviors at once.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have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 on career decision mediated by career preparatory behaviors. Furthermore, career attitude maturity displayed the highest direct effect on career decision, whereas self-determination need showed the highest indirect effect on career decision. It was discussed to develop and mange career program, career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effectively for college students.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자기결정욕구, 진로태도성숙,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선행연구결과들을 기초로 하여 세 개의 가설모형들을 설정한 후 이에 대한 적합성정도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경남소재의 사범대학생 35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 첫째, 진로결정은 진로준비행동, 진로태도성숙, 유능감과 관련성이 높으며, 진로태도성숙 중에서도 결정성과 관련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기결정욕구는 직접적으로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을 매개로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태도성숙은 직접적으로 그리고 진로준비행동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모형이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태도성숙이 진로결정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자기결정욕구는 진로결정에 대해 전체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기초로 대학생들에게 적합한 진로결정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정서 창의성과 대인관계성향에 관한 분석

        소연희 한국교육방법학회 2004 교육방법연구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Averill(1991)의 정서 창의성 이론을 소개하고 우리나라의 상황에서도 적용가능성이 있는지를 검증하기위해, 정서창의성 척도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정서 창의성 구인과 대인관계성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의 대학생 320명이며, 분석방법은 구인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요인분석, 상관계수법 등을 사용하였고 공인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창의적 인성검사(Creative Personality Inventory)와 창의적 사고력검사(Torrance Test of Creative)를 준거척도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구인타당도에 있어서 각 측정요인과 정서 창의성 총점과는 높은 상관을 나타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문화적 상황에서 정서 창의성이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공인타당도에 있어서는 창의적 인성 검사와 사고력검사 모두 정서 창의성 측정도구와 낮은 상관을 나타내었기에 정서 창의성이 창의성의 특수한 영역임을 예측할 수 있다. 둘째 정서 창의성과 대인관계성향과 상관분석결과 정적상관을 나타내었기에 정서 창의성이 대인관계구인을 설명해줄 수 있는 예측변인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창의성교육에서도 정서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하며 특히 현대사회의 성공요소인 대인관계에 있어서 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monstrate the viability of emotional creativity as a theoretical construct. For this purpose, I pursued to investigate validation of the scale of emotional creativity and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reativity and interpersonal disposition. Subjects were 330 undergraduate students in Seoul, Kyong-gi province, Kangwon-do, ect. Four categories of their behavior were assessed: emotional creativity, cognitive creativity, personality creativity, interpersonal dispos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score of emotional creativity and the constructs of the scale of emotional creativity was ranged from .63 to .82. Thus it could be supposed to verify construct validity. Secon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nstructs of Creative Personality Inventory and the constructs of the scale of emotional creativity was ranged from .11 to .35. In addition,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nstructs of Torrance Test of Creativity Thinking and the constructs of the scale of emotional creativity was ranged from .12 to .33. Therefore, I could find to verify concurrent validity. Third, it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the interpersonal disposition and the degree of emotional creativity. The students who had the high emotional creativity could be relatively gotten the higher score in domains of role disposition, social metric disposition, and expressive disposition.

      • KCI등재

        의과대학생들의 성취목표성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이 수업에 대한 흥미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소연희 한국의학교육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20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across grade levels; to verify correlations amo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efficacy, course interests and academic achievement (GPA); and to examine prediction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efficacy on course interests and academic achievement (GPA) across grade levels. Methods: Participants were 347 medical students with the breakdown being premedical students (n=104, 30.0%), first-year medical students (n=130, 37.5%), and third-year medical students (n=113, 32.5%). The scales of 3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performance approach, performance avoidance, and mastery), academic self-efficacy, and course interests were used in the study. The final grade was used as the academic achievement (GPA). We conducted a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resolve the research questions. Results: Premedical students revealed higher performance approach and higher self-efficacy than medical students. First-year medical students had higher mastery goal. Third-year medical students showed higher performance avoidance and lower mastery goal than the first-year medical students and premedical students. Course interests correlated positively with performance approach, mastery goal, and self-efficacy regardless of grade level. Academic achievement correlated positively with performance approach, mastery goal and self-efficacy in premedical students and performance approach and mastery goal in first-year medical students. Performance approach and self-efficacy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cademic achievement in third-year medical students. For course interests, mastery goal and performance approach were the best predictors; and for academic achievement, performance approach was the best predictor in all participants. Mastery goal in premedical students and selfefficacy in third-year medical students significantly predicted academic achievement.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o enhance course interests and academic achievement, it is desirable to consid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academic goal orientation and level of self-efficacy when designing the learning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