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래시장의 서비스 품질이 거래관계의 질과 고객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형석(Hyung-Suk Sung),한상린(Sang-Lin Han) 한국유통학회 2007 流通硏究 Vol.12 No.1

        본 연구는 갈수록 설자리를 잃어가는 재래시장에 있어서 서비스 품질인 물리적 환경, 상호작용적 품질, 결과품질이 거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관계의 질이 고객의 재방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재래시장 활성화에 대한 마케팅 측면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거래관계의 질과 고객의 재방문의 인과관계에 있어 고객의 이용경험과 다양성 추구성향이 어떠한 조정적 역할을 담당하는지도 연구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재래시장을 방문하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서비스 품질 → 거래관계의 질 → 고객 재방문에 대한 인과적 구성모델에 대해 구조방정식 모델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구성모델에 대한 분석결과 서비스 품질을 구성하는 환경적 품질, 상호작용적 품질, 그리고 결과적 품질 모두 관계의 질에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래관계의 질 역시 고객의 재방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거래관계의 질이 고객의 재방문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이용자의 경험과 다양성 추구성향은 조정적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결과 나타났다. 즉, 이용경험이 풍부할수록 관계의 질이 고객 재방문에 더욱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다양성 추구성향이 낮을수록 관계의 질이 고객 재방문에 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basic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rvice quality and relationship quality affecting the result of long-term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buyers and suppliers. This research presented a constructive model(service quality → relationship quality → customer's revisiting intention) and then propose the research model base on prior researches and studies about relationships among components of service. Data were gathered from respondents who visit traditional markets. For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by SPSS and AMOS 5.0. Data were gathered from 209 respondents in the Korean traditional market. This research proposed 6 hypotheses on 5 latent variables and test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5 alternative measurements were compared through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of the paths of research model and the overall fitting level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result was successful.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service quality is properly modeled as an antecedent of relationship quality and revisiting intentions. We also discusse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its limitations.

      • KCI등재
      • KCI등재

        깜짝쿠폰 제공이 소비자의 대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형석(Sung, Hyung-Suk),한상린(Han, Sang-Lin) 한국소비문화학회 2008 소비문화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뜻밖의 깜짝쿠폰 제공이 구매자로 하여금 추가적 혜택을 제공받았다고 인식하게 만들고 이러한 혜택이 쿠폰의 가치와 구매평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점에 기초하여 고객이 사전에 매체를 통해 접하게 된 쿠폰과 매장 내에서 깜짝 제공된 쿠폰의 서로 다른 제공방식이 구매결정에 대한 만족, 지각된 가치, 공정성 지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와 쿠폰의 유효기간 및 인지욕구에 따른 조절적 역할을 살펴보았다. 실증분석을 위해 283명을 대상으로 실험에 의한 측정(8개 집단)을 진행하였으며 우선 실험대상이 될 제품을 선정하기 위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원분산분석(2way-ANOVA)을 통해 쿠폰 제공방식(매체쿠폰 vs 깜짝쿠폰)과 유효기간(○ vs X) 혹은 인지욕구(고 vs 저)에 대한 2X2 실험설계를 통해 실증 분석하였다. 실험연구를 통해 고객의 구매결정에 대한 반응을 측정해본 결과 깜짝 제공된 쿠폰은 더 높은 구매만족 및 지각된 가치를 제공하며 쿠폰 제공자에 대한 공정성 지각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효기관과 인지욕구에 따른 조절적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쿠폰 유효기간의 제약조건과 고객의 인지욕구는 각각 구매 만족과 지각된 가치 및 공정성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전에 인지된 매체쿠폰과 뜻밖에 제공된 쿠폰은 고객의 구매후의 평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쿠폰을 통한 프로모션 활용 시 제공방식 및 구성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할 것으로 보인다.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how consumers differ in their interpretation of advertised and “surprise”(or unexpected) next-purchase checkout coupons as delayed rewards of immediate losses based on promotion context and coupon availability restrictions. Laboratory experiments examine how consumers respond to next-purchase coupons. In this study, next purchase coupon types (advertised; unexpected) vs NFC (high; low) vs coupon start date restriction (restricted; unrestricted to future start date) between-subjects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o examine the impact on purchase satisfaction, perceived promotion value, and perceived retailer fairness. Study indicates that unexpected next-purchase coupons lead to higher purchase satisfaction but lower perceptions of retailer fairness compared to advertised coupons and Consumer predisposition toward effortful thought(NFC) amplifies the impact of unrestricted availability on perceptions of retailer unfairness. Furthermore, this effect is stronger on purchase satisfaction and perceived value for unrestricted unexpected next-purchase coupons. Results imply that advertised and unexpected next-purchase coupons differ in their impact on post-purchase outcomes of consumers. Differences in competing brand promotions and coupon availability restrictions lead to interpretations of next-purchase coupons as immediate loss vs delayed gains.

      • KCI등재

        산업재 시장에서 브랜드 가치와 거래 성과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한상린(Sang Lin Han),성형석(Hyung Suk Sung) 한국마케팅학회 2006 마케팅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최근 산업재 시장에서 조직구매자와 공급업체 간의 장기적인 거래관계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됨에 따라 관계의 구축 및 강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산업재 브랜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동안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산업재 시장에서는 브랜드에 대한 연구가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산업재 브랜드의 가치요인들과 구매자-공급자의 관계적 성과요인들에 대한 구성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에 의한 실증분석을 통해 산업재 시장 내에 있는 공급자를 대상으로 공급자의 역량, 구매가치, 전환비용, 조직구매자 만족, 브랜드 신뢰 및 충성도가 관계의 질, 관계몰입 및 거래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은 산업재 조직구매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ing)에 의한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대부분의 가설이 지지(브랜드 충성도의 몰입에 대한 가설은 기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재 조직구매자와 공급업자에게 그들의 거래관계를 평가하고 개선시키는데 그동안 연구가 거의 되지 않았던 산업재 시장에서의 브랜드에 대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큰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산업재 브랜드 가치 구성요인(공급자 역량, 구매가치, 조직구매자 만족, 전환비용, 브랜드 충성도 및 신뢰)과 구매자-공급자간의 관계적 성과요인(관계의 질, 관계몰입, 그리고 거래성과)과의 구조적 관계를 통해 그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산업재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한 산업재 브랜드 관리의 개념적 틀을 제공할 수 있으며 거래관계의 발전을 위한 평가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basic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dustrial brand values affecting the Result of business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buyers and suppliers. Factors hypothesized to influence values in a brand include brand characteristics(supplier`s competence, purchasing value, buyer`s satisfaction, switching cost, brand trust, brand loyalty) and relationship commitment, relationship quality, and performance. This research presented a comprehensive constructive model consisting of components of industrial brand value and relational factors, and then propose the research model base on prior researches and studies about relationships among components of industrial brand values. Data were gathered from respondents who work in industrial buying center. For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by SPSS 10.0 and AMOS 5.0. Data were gathered from 242 respondents in the industrial field. This research proposed 15 hypotheses on 9 latent variables and test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 alternative measurements were compared through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of the paths of research model and the overall fitting level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result was successful. Industrial brand values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a number of industrial brand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 commitment, relationship quality, and transactional performanc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산업재 시장에서 조직구매자의 공급자 브랜드에 대한 신뢰 및 충성도에 관한 연구

        한상린(Sang Lin Han),성형석(Hyung Suk Sung) 한국유통학회 2006 流通硏究 Vol.11 No.3

        본 연구는 최근 산업재 시장에서 조직구매자와 공급업체간의 장기적인 거래관계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됨에 따라 서로간의 관계의 구축 및 강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산업재 브랜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산업재 시장에서 구매자의 공급자 브랜드에 대한 신뢰 및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9가지의 영향요인들에 초점을 두고 있다. 산업재 시장에서 공급자와 구매자의 거래 시 브랜드 신뢰의 증가는 브랜드 충성도의 증가로 이어지며 이것은 공급자-구매자의 장기적 관계를 강화시킬 것으로 예상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브랜드 특성요인, 공급자 특성요인, 구매자 특성요인들 대부분이 비교적 브랜드 신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 신뢰는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Brands are important in the consumer market. They are the interface between consumers and the company. and Consumers may develop loyalty to brands. also, The late development of industrial marketing explains the near absence of research on brand equity in business to business. With recent change, Industrial companies have shifted from a production focus to a customer focus. industrial brand is fast developing. The basic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dustrial brand trust and loyalty affecting the result of business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buyers and suppliers. Factors hypothesized to influence trust in a brand include a number of brand characteristics, company characteristics and consumer-brand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presented a comprehensive constructive model consisting of components of industrial brand trust and loyalty, and then propose the research model base on prior researches and studies about relationships among components of industrial brand loyalty. Data were gathered from respondents who work in industrial buying center. For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by AMOS 4.0.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nalysis were as fallow. Industrial brand trust and loyalty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a number of industrial brand characteristics, supplier characteristics and buyer-brand characteristics, relationship commitment. This research newly proposed the concept of industrial brand trust and loyalty affecting the result of business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buyers and suppliers.

      • 산업재 시장에서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한상린(SANG-LIN HAN),성형석(HYUNG SUK SUNG) 한국유통학회 2005 한국유통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 No.-

        본 연구는 산업재 시장에서 조직구매자의 공급자의 관계에 있어서 공급자 브랜드에 대한 신뢰 및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9가지의 영향요인들(브랜드 명성, 브랜드 확신성, 브랜드 역량, 공급자 신뢰, 공급자 명성, 공급자 능력, 브랜드 애호도, 브랜드 경험, 브랜드 만족)을 브랜드 특이성, 공급자 특이성, 구매자 특이성의 관점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산업재 시장에서 공급자와 구매자의 거래 시 브랜드 신뢰의 증가는 브랜드 충성도 및 관계몰입의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실증분석은 산업재 구매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기존 문헌고찰을 통해 그동안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산업재 시장에서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브랜드 신뢰의 형성요인에 대한 구성모델을 제시하고 있으며 구조방정식모델에 의한 실증분석을 통해 브랜드 특이요인(브랜드 명성, 브랜드 확신성, 브랜드 역량), 공급자 특이요인(공급자 신뢰, 공급자 명성, 공급자 능력), 및 구매자 특성요인(브랜드 애호도, 브랜드 경험, 브랜드 만족)이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충성도, 및 관계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신뢰 및 브랜드 충성도의 중요성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이 요인들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영향요인들에 대해서 세 가지 영역(브랜드/공급자/구매자)으로 구분하여 하부변수들의 선행적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브랜드 특성요인(브랜드 확신성 기각), 공급자 특성요인, 구매자 특성요인(브랜드 애호도 기각)들 대부분 브랜드 신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 신뢰는 브랜드 충성도 및 관계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Brands are important in the consumer market. They are the interface between consumers and the company, consumers may develop loyalty to brands. also, The late development of industrial marketing explains the near absence of research on Brand Equity in business to business. With recent change, industrial companies have shifted from a production focus to a customer focus. industrial brand is fast developing. The basic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dustrial brand trust and loyalty affecting the Result of business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buyers and suppliers. Factors hypothesized to influence trust in a brand include a number of brand characteristics, company characteristics and consumer-brand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presented a comprehensive constructive model consisting of components of industrial brand trust and loyalty , and then propose the research model base on prior researches and studies about relationships among components of industrial brand loyalty. Data were gathered from respondents who work in industrial buying center. For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by SPSS 10.0 and AMOS 4.0.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nalysis were as fallow. Industrial brand trust and loyalty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a number of industrial brand characteristics, supplier characteristics and buyer-brand characteristics, relationship commitment. This research newly proposed the concept of “industrial brand trust and loyalty affect ing the Result of business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buyers and suppliers”.

      • KCI등재

        E-Trust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한상련(Sang-Lin Han),성형석(Hyung-Suk Sung) 한국마케팅과학회 2007 마케팅과학연구 Vol.17 No.1

          많은 온라인 사용자들은 아직도 인터넷을 통해 구매하는 것을 꺼려하는 경향이 있다.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구매행위는 해당 사이트에 의해 제시되는 정보에 상당부분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개인 정보의 누출과 관련한 보안과 결제 안전성에 대한 문제의 심각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인터넷 쇼핑몰들은 치열해지는 경쟁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고객의 신뢰를 향상시키고 장기적 거래관계를 강화시킴으로써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필수요건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의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지각된 품질, 지각된 명성, 지각된 가치)과 전반적 신뢰와의 관계, 그리고 전반적 신뢰와 결과요인(지각된 위험, 사이트 의존의사, 사이트 재방문)과의 관계에 초점을 두었으며 선행요인들간의 인과적 관계 및 결과요인들 간의 인과적 관계를 실증분석하여 신뢰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BR>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델분석을 통해 나온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터넷 쇼핑몰의 지각된 명성과 지각된 품질은 신뢰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신뢰는 지각된 위험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위험을 거치지 않고도 사이트 재방문과 의존의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분석 결과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뢰와 마찬가지로 지각된 위험은 사이트 재방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as internet shopping mall users rapidly, a form of shopping changed from off line to on line. The rapid growth of customers and transaction volume through evolution of new media, internet, brings new problems to internet marketers. It is the most important task that how internet shopping mall operators obtain their customers trust and repeat buying. This empirical research investigates online shoppers for their trust dimensions for online retailers.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e-trust antecedents(perceived reputation, perceived quality, perceived value) influence trust dimension and whether the multidimensional trust contributed differently to perceived risk and willingness to depend on e-retailers.<BR>  Consequence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reveals that of reputation, web site quality of the internet shopping mall have influence upon trust dimension. Second, the higher level of trust consumers have, the higher level of willingness to depend and intent to revisit on the retailers they have. But level of perceive risk consumers have not influences on willingness to depend on the retailers.<BR>  It is necessary for internet shopping mall to development its reputation and familiarity to obtain customer"s trust. Accordingly, this research will be helping internet shopping mall insight for marketing strategies, constantly should study about action and mind of consum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