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재태주령 30주 미만 미숙아에서 예방적 인공 폐 표면 활성제 투 여와 비강 양압 환기 적용

        성인창,신연심,장영표 대한신생아학회 2012 Neonatal medicine Vol.19 No.4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the prophylactic administration method of surfactant,followed by rapid extubation to nasal CPAP (nCPAP) in very preterm infants. Methods: Thirty-three preterm infants with 24-29 weeks gestational age (GA) were treated with the method of prophylactic administration of surfactant by a brief intubation within 15 minutes after birth and rapid extubation to nCPAP for the treatment of respiratory distress. The variables and complications related to oxygen therapy and mechanical ventilation (MV) were compared with those of 24 historical control infants with comparable GA, treated with the rescue surfactant administration with prolonged MV for th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Results: Prophylactic surfactant with nCPAP did not reduce the total durations of oxygen therapy and MV, compared with the rescue surfactant with MV (P=0.622 P=122, respectively). The incidence of death and BPD at 36 weeks postmenstrual age (PMA)and other complications related to oxygen therapy and MV were not increased in the infants treated with prophylactic surfactant with nCPAP despite the lower GA and birth weight. In the subgroup analysis for infants with 27-29 weeks of GA, the total duration of MV tended to decrease in infants treated with prophylactic surfactant with nCPAP (Odd ratio, 0.93, 95% Confidence interval, 0.87,1.00, P=0.051). Conclusion: Prophylactic surfactant administration followed by rapid extubation to nCPAP tended to reduce the duration of MV in infants with GA of 27-29 weeks, compared with the rescue surfactant administration with prolonged MV for RDS. 목적: 극소 미숙아에서 예방적 인공 폐 표면 활성제 투여와 비강양압 환기를 적용하는 방법의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재태주령 24-29주 미숙아 33명을 대상으로 출생 후 15분 이내에 호흡 곤란 치료를 위해 예방적 인공 폐 표면 활성제를 투여하고빠른 기관지 관 제거 후 비강 양압 환기 적용 방법으로 치료를 시행하였다. 산소 치료와 기계적 환기 치료와 관련된 변수와 합병증을 과거에 호흡 곤란 증후군으로 구조적 인공 폐 표면 활성제 투여와 지속적 기계적 환기 방법으로 치료 받았던 상응하는 재태주령의 24명의미숙아와 비교하였다. 결과: 예방적 인공 폐 표면 활성제 투여에 이은 비강 양압 환기 치료는 구조적 인공 폐 표면 활성제 투여에 이은 지속적 기계적 환기치료와 비교하여 총 산소 치료 기간과 총 기계적 환기 치료 기간을줄여주지 않았다(각각 P=0.622, P=0.122). 교정연령 36주에 사망과기관지폐 형성 이상, 산소 치료 또는 기계적 환기와 연관된 합병증들의 빈도는 대상 환아군의 낮은 재태주령과 출생 체중에도 불구하고증가하지 않았다. 재태주령 27-29주를 가진 환아를 대상으로 한 하위 집단 분석에서 총 기계적 환기 치료 기간이 예방적 인공 폐 표면활성제 투여에 이은 비강 양압 환기 치료를 받은 대상아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odd ratio, 0.93, 95% confidence interval, 0.87,1.00, P=0.051). 결론: 호흡 곤란 치료를 위한 예방적 인공 폐 표면 활성제 투여에이은 비강 양압 환기 치료는 구조적 인공 폐 표면 활성제 투여에 이은 지속적 기계적 환기 치료와 비교하여 재태주령 27-29주 환아에서 기계적 환기 치료 기간을 줄여 주는 경향이 보였다.

      • KCI등재후보

        교정 주령 만삭 주변에 촬영한 뇌 자기 공명 영상의 백질에서 미만 성 과잉 고신호 강도(diffuse excessive high signal intensity, DEHSI) 소견을 보이는 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신경발달

        오종석,성인창,장영표 대한신생아학회 2012 Neonatal medicine Vol.19 No.4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use excessive high signal intensity (DEHSI) in the white matter of the brain MRI and neurodevelopmental abnormalities in VLBW infants. Methods: The T1- and T2-weighted MR images of the brain around a near term-equivalent age in 167 VLBW infants were evaluated for the white matter lesions. The presence of DEHSI was determined and classified into four grades on the extent of DEHSI.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ade of DEHSI and neurodevelopmental abnormalities was investigated in 94 infants who were assessed for neurodevelopmental outcomes by using a neurologic examination and neurodevelopmental assessment (BSID-II) at 18-24 months of corrected age. Results: DEHSI was the most commonly observed white matter lesion (68.3%) in the MR imaging of the brain around a near term-equivalent age.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grade of DEHSI (P=0.060, P=0.001,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grade of DEHSI and neurodevelopmental outcomes at 18–24 months of corrected age (P>0.05). Periventricular cysts and ventriculomegaly in the brain MRI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neurodevelopmental abnormalities (P<0.05). Conclusion: DEHSI, most commonly seen in the white matter of the brain MRI around a near term-equivalent age in VLBW infants,did not seem to be related to the neurodevelopmental abnormalities at 18-24 months of corrected age. 목적: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뇌 MRI의 백질에서 미만성 과잉 고신호 강도(diffuse excessive high signal intensity, DEHSI) 소견과신경 발달 장애의 연관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교정 주령 만삭 근처에 뇌 MRI를 촬영하였던 167명의 극소저체중 출생아를 대상으로 T1-과 T2-가중 영상에서 뇌 백질 병변에 대하여 판독하였다. DEHSI의 존재를 결정하고 그 확장 정도에 따라4단계로 분류하였다. 교정 연령 18-24개월에 신경학적 진찰과 신경발달 평가(BSID-II)를 받은 94명에서 DEHSI와 신경 발달 장애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뇌 MRI에서 DEHSI는 가장 흔히 관찰되는 백질 소견이었다(68.3%). 재태 주령과 출생 체중은 DEHSI의 확장 정도가 증가함에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각각 P=0.060, P=0.001). DEHSI의 확장 정도와 교정 연령 18-24개월의 뇌신경 발달 결과는 의미 있는 연관성이 없었다(P>0.05). 뇌 MRI의 측뇌실 백질 낭성 소견과 뇌실 확장이 신경 발달 장애의 의미 있는 위험인자였다(P<0.05). 결론: DEHSI는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교정 주령 만삭 근처에촬영한 뇌 MRI의 백질에서 가장 흔히 보이는 소견인데, 교정 연령18-24개월의 뇌신경 발달 장애와는 연관이 없는 것으로 여겨졌다.

      • KCI등재

        극소저출생체중아에서 태변에 의한 장폐색에 관한 연구

        홍기배,성인창,이건송,장영표,송희승,Hong, Ki-Bae,Seong, In-Chang,Lee, Kun-Song,Chang, Young-Pyo,Song, Hee-Seung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11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4 No.1

        목 적: 극소저출생체중아 태변 장폐색은 장관 영양을 지연시키고 장폐색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이 진단과 치료의 유용성에 대한 원칙은 아직 논란 중이다. 본 연구는 태변 장폐색을 보인 극소저출생체중아의 임상 소견을 관찰하고,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 관장 후 장폐색 증상 호전, 장관영양의 진행, 합병증 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극소저출생체중아 중에 태변 장폐색으로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을 시행한 14명의 임상 소견과 방사선 소견, 장관 영양의 진행,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 치료 후 호전 여부,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과 연관된 합병증 등을 관찰하였다. 이들의 주요임상 소견을 장폐색 증상 없이 수유 진행이 가능하였던 극소저출생체중아 18명과 비교 하였다. 결 과: 1) 태변 장폐색을 보인 극소저출생체중아에서 태변 장폐색이 없었던 극소저출생체중아에 비해 낮은 5분 Apgar 점수를 보였다(p<0.05). 또한, 출생 후 마지막 태변 배출시기(일), 첫 수유 시작 시기(일), 전 장관 영양 도달 시기(일)들도 의미 있게 지연되었다(p<0.05). 2)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은 14명에서 18 회를 시행하였다. 18회 중 12회에서 조영제가 회장 말단에 도달하였으며 이 중 11회에서 관장 후 다량의 태변 배출과 함께 장폐색 증상의 호전이 있었으나, 1예는 호전이 없어 회장절개술로 태변을 제거하였다. 3) 조영제가 회장 말단에 도달 못한 5명 중 3명에서 증상의 호전이 없어 조영제 관장을 재시행 하여 조영제가 회장말단에 도달하였고 장폐색 증상이 호전되었다. 4) 고삽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과 연관된 특별한 합병증은 없었다. 결 론: 극소저출생체중아 태변 장폐색에서 고삼투압수용성 조영제 관장은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이었다. Purpose: Mecnoium obstruction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VLBWI), which delays enteral feeding and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bowel obstruction, can be diagnosed and treated with hyperosmolar water-soluble contrast enem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clinical findings of meconium obstruction, the improvement of small bowel obstruction after contrast enema, and the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enema. Methods: Hypersolmolar water-soluble contrast enemas were performed in 14 VLBWIs with meconium obstruction. Clinical findings, radiologic findings, feeding intolerance, effectiveness, and complications of enemas were observed. Also, clinical findings related to meconium obstruction were compared with 18 VLBWIs without meconium obstruction. Results: 1) Fourteen VLBWIs with meconium obstruction had significantly lower 5 minutes Apgar scores than 18 VLBWIs without meconium obstruction (p<0.05). Moreover, the day of last meconium passing, and the day of the first trial and full enteral feeding were delayed significantly. 2) A total of 18 enemas were performed in the 14 infants. The contrast medium passed the ileocecal valve and reached the terminal ileus in 12 enemas. Of the 12 enemas, 11 were successful, but 1 infant underwent an ileotomy, even though the contrast medium reached the terminal ileum. 3) Intestinal obstruction was not relieved in three of five infants, in whom the contrast medium failed to pass the ileocecal valve. Obstruction was relieved after repeated enemas in which the contrast medium reached the terminal ileum. 4) No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water-soluble contrast enemas were observed. Conclusion: Hyperosmolar water-soluble contrast enema is considered to be safe and therapeutic for meconium obstruction in VLBWIs.

      • KCI등재

        파미드로네이트 치료로 호전된 특발성 유아기 고칼슘혈증 1례

        박지윤,유지숙,성인창 대한소아내분비학회 2011 Annals of Pediatirc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16 No.1

        Hypercalcemia is not common, and occurs more frequently in children than in adults. Left untreated, hypercalcemia could result in a profound impact on growth and development. We report a case of recurrent idiopathic infantile hypercalcemia with poor weight gain, constipation, and a renal stone. We successfully treated the infantile hypercalcemia with a low-calcium diet and intravenous pamidronate.(J Korean Soc Pediatr Endocrinol 2011;16:51-55) 저자들은 간헐적인 발열, 변비, 성장장애를 보인 유아에서 특발성 유아기 고칼슘혈증으로 진단하고, 파미드로네이트 주사 및 비타민 D 없는 특수 분유 식이 후 호전을 보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재발성 장중첩증 환아에서 병적 선두로 확인된 장중복 낭종 1예

        이건송,박지윤,오종석,성인창,한강민,이영석,Lee, Kun-Song,Park, Ji-Yun,Oh, Jong-Seok,Seong, In-Chang,Han, Kang-Min,Lee, Young-Seok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10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3 No.1

        장중첩증이 재발한 15개월 여아에서 초음파 검사에서 병적 선두로 생각되는 낭성 종괴를 확인하였고 이중벽 징후와 인접한 소장 사이에 Y자 형상의 저반향 경계를 가지고 있어 중복 낭종으로 의심하였다. 이후 절제술을 시행하여 조직병리검사에서 인접한 회장과 근육층을 공유하고 낭종의 바깥쪽으로는 인접한 장 점막상피 조직과 안쪽으로는 이소성 위 점막 조직이 관찰되는 중복 낭종으로 확진되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Intestinal duplication cysts are characterized by the attachment to some part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ith which a blood supply is shared, and have an epithelial lining resembling some part of the alimentary tract. A 15-month-old female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with cyclic irritability, vomiting, and blood-tinged stool. The results of an ultrasound showed an ileocolic intussusception and a 1.3 cm cystic mass had double-wall sign and a Y-configuration with an adjacent ileal loop. She had a past history of two ileocolic intussusceptions. The cystic mass was considered to be a pathologic lead point, so resection and end-to-end anastomosis was performed. The gross and histologic evaluation of the specimen demonstrated a $2.4{\times}2.4$ cm cystic mass containing yellow mucoid fluid and the cyst wall was lined with intestinal and gastric mucosa and enclosed by a layer of muscle, which was shared with the adjacent ile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